KR100903672B1 -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 Google Patents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672B1
KR100903672B1 KR1020070107916A KR20070107916A KR100903672B1 KR 100903672 B1 KR100903672 B1 KR 100903672B1 KR 1020070107916 A KR1020070107916 A KR 1020070107916A KR 20070107916 A KR20070107916 A KR 20070107916A KR 100903672 B1 KR100903672 B1 KR 10090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upled
opening
solenoid valv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043A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플러스파운틴(주)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파운틴(주), 김우진 filed Critical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to KR102007010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68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resilient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연결되는 개폐 홀이 구비되는 작동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몸체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다이어프램모듈과, 상기 다이어프램모듈에 일단이 결합되며, 인장탄성을 갖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모듈을 개폐작동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플런저가 가이드 될 수 있게 내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가이드 홈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수중용, 솔레노이드, 밸브, 오작동, 부하

Description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TVE}
본 발명은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사용될 수 있게 방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른 부하를 줄여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프링과 전자석에 의해 밸브를 제어하는 것으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404155호 "분수 시스템용 노즐"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이어프램 어셈블리와, 다이어프램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샤프트, 샤프트를 구동하는 코일어셈블리, 그리고 샤프트와 코일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샤프트를 가이드 하는 코어어셈블리가 본닛에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특허 제404155호는 샤프트가 다이어프램을 밀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고, 흐름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체의 수압에 의존하여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의 흠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차단이 가능하나 유체의 흐름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개방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샤프트와 다이어프램 어셈블리가 직접 결합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37917호가 "솔레노이드 밸브"제시되어 있으나 샤프트와 이는 차단을 비롯해 개방작동에도 샤프트 및 전자석에 부하가 발생되며 후방에서 지지하는 스프링에 의해 부하는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샤프트의 왕복작동에서 유동 없이 직선왕복 되도록 정밀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샤프트의 작동시 반대편에서 유체 또는 공기의 정압이 발생되어 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 어셈블리는 주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판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어, 밸브공의 개폐에 따른 밀착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손상이 발생되면 다이어프램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플런저와 디어어프램모듈을 탄성부재에 의해 간접결합하고, 플런저에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이동 홀을 형성하여 플런저와 전자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이어프램모듈의 개폐작동에 따른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패킹의 손상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 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연결되는 개폐 홀이 구비되는 작동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몸체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다이어프램모듈과, 상기 다이어프램모듈에 일단이 결합되며, 인장탄성을 갖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모듈을 개폐작동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플런저가 가이드 될 수 있게 내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가이드 홈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모듈은 상기 제1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의 개폐작동에 따라 왕복되어 상기 개폐 홀을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내주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와 덮개 사이에 외주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왕복에 따라 반전되는 다이어프램와,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의 폐쇄 시 개폐 홀에 밀착되는 제1패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는 상기 제1패킹이 삽입될 수 있게 제1삽입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삽입 홈은 삽입된 제1패킹이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어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제1걸림 턱이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이 결 합될 수 있게 제2걸림 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반전을 원활하게 하면서, 상기 유로를 개방할 경우 개폐 홀에서 이격시키는 파일럿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타측에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삽입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삽입 홈에는 상기 파일럿 홀을 개폐하는 제2패킹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런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시 일측과 타측의 유체가 상호 이동될 수 있게 이동 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홀은 상기 플런저의 외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켜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에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 홈이 마련되고, 상기 완충 홈에는 제2탄성부재와, 완충 핀으로 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석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상기 전자석의 구동에 의한 상기 덮개에서의 충격전달을 방지하는 완충 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는 플런저와 디어어프램모듈을 탄성부재에 의해 간접결합하고, 플런저에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이동 홀을 형성하여 플런저와 전자석의 부하를 줄임으로서 오작동을 줄여 그에 따른 작동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패킹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 밸의 수명을 연장하고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유로(13)를 형성하는 몸체(10)와, 몸체(10)를 덮는 덮개(20)와, 덮개(20)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모듈(30)과, 다이어프램모듈(30)을 작동시키는 플런저(40), 플런저(40)를 구동하는 전자석(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어프램모듈(30)과 플런저(40)는 제1탄성부재(48)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몸체(10)는 유체가 입수되는 입수구(11)와, 출수되는 출수구(12)가 마련되고, 입수구(11)에서 출수구(12)로 이동될 수 있게 경로를 형성하는 유로(13)가 마련된다. 그리고 유로(13)에는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하는 작동부(14)가 마련되 고, 작동부(14)에서 출수구(12) 측으로 연통되는 개폐 홀(15)이 마련된다.
따라서 입수구(11)를 통해 유입된 작동부(14)와 개폐 홀(15)을 거쳐 출수구(12)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 홀(15)은 다이어프램모듈(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단부가 편평하게 마련되며, 그 단부의 단면은 라운드지게 형성하거나, 삼각형태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다이어프램모듈(30)에 선 또는 면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덮개(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덮개(20)는 가장자리를 따라 몸체(10)에 볼트 및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며, 중앙에는 몸체(10)의 작동부(14)에 일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돌기(21)가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작동부(14)는 끼움돌기(21)가 삽입될 수 있게 내주면에 제1단차부(16)가 형성되며, 제1단차부(16)의 외측에는 상기 덮개(20)와 몸체(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18)가 설치된다. 이때 실링부재(18)가 안착될 수 있게 제2단차부(17)가 마련된다.
또한, 덮개(20)는 플런저(40)가 작동될 수 있게 상부로 연장된 가이드 바(22)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바(22)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23)을 형성한다.
이때 가이드 홈(23)의 내부는 플런저(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런저(40)와 0.6mm 이하 공차의 허용범위로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 홈(23)과 플런저(40)는 원형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프램모듈(30)은 몸체(10)에 형성된 작동부(14)에 설치되어 몸체(10)의 개폐 홀(15)을 개폐하여 유체의 이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다이어프램모 듈(30)은 판상의 플레이트(31)와, 플레이트(31)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37)과, 제1패킹(38)으로 구성된다.
판상의 플레이트(31)는 원형으로 마련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파일럿 홀(32)이 마련된다. 여기서 파일럿 홀(32)은 출수구(12)측으로 관통되며, 상부로 일부 돌출되어 연장되게 관로를 형성한다. 이때 파일럿 홀(32)은 플레이트(31)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에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에는 입수구(11)측 유로(13)로 연통되는 비아 홀(39)이 마련된다. 여기서 비아 홀(39)은 입수구(11) 측과 작동부(14)의 압력차를 줄인다.
그리고 가장자리에는 다이어프램(37)에 설치되는 안착 홈(3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패킹(38)이 설치되는 제1삽입 홈(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삽입 홈(33)에는 제1패킹(38)이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기(34)가 제1삽입 홈(33)의 측벽에 마련된다. 또한, 제1패킹(38)에는 걸림돌기(34)가 안착되는 걸림 홈(38a)이 외주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삽입 홈(33)에 설치된 제1패킹(38)은 몸체(10)의 개폐 홀(15)에 밀착되어 개폐 홀(15)을 폐쇄한다.
그리고 다이어프램(37)은 신축성과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거나, 반전 탄성력이 좋은 얇은 금속재로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주는 플레이트(31)에 결합되고, 외주는 몸체(10)의 개폐 홀(15)에 형성된 제1단차부(16)와, 덮개(20)의 끼움돌기(2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플런저(40)는 전자석(50)의 자화에 의해 구동되어 다이어프램모듈(30)의 플레이트(31)를 제1탄성부재(48)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왕복시키며, 제1탄성부재(48)는 플런저(40)와 다이어프램모듈(30)에 각각 양측단이 결합되어 인장탄성을 부여한다. 이때 제1탄성부재(48)가 결합될 수 있게 플런저(40)와 다이어프램모듈(30)에는 각각 제1걸림 턱(41)과, 제2걸림 턱(35)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플런저(40)의 하단에는 다이어프램모듈(30)이 몸체(10)의 개폐 홀(15)을 폐쇄할 경우 플레이트(31)의 파일럿 홀(32)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제2삽입 홀(42)이 마련되고, 제2삽입 홀(42)에는 제2패킹(43)이 설치된다.
이러한 플런저(40)는 파일럿 홀(32)을 개폐함으로서 다이어프램모듈(30)의 개폐 홀(15) 개폐를 제어한다. 즉, 플런저(40)가 개폐 홀(15)을 폐쇄할 경우에는 파일럿 홀(32)을 가압하여 폐쇄하여 유체의 이동을 완전차단하고, 개방할 경우에는 파일럿 홀(32)이 선 개방되도록 하여 입수구(11)측의 유체를 출수구(12)측의 압력차를 줄이게 된다. 따라서 입수구(11)측의 유체와 출수구(12)측의 유체의 압력차가 줄어들어 개폐 홀(15)의 개방을 신속하게 한다.
이때 제1탄성부재(48)는 다이어프램모듈(30)이 개폐 홀(15)을 개방할 경우 플런저(40)의 신속한 개방작동되도록 유도하고, 차후 압력차가 줄어들어 개폐 홀(15)이 개방되면, 다이어프램모듈(30)을 제1탄성부재(48)의 인장탄성력에 의해 당겨져 개폐 홀(15)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플런저(40)와 전자석(50)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오작동 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런저(40)의 상부에는 작동시 가이드 홈(23)의 단부에서 충돌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되는 제2탄성부재(45)와 완충 핀(46)으로 구성되며, 제2탄성부재(45)와 완충 핀(46)이 삽입될 수 있게 플런저(40)의 상부에는 완충 홈(44)이 마련된다.
또한, 플런저(40)는 전자석(50)의 자화에 의해 왕복 자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이동 홀(47)이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 홀(47)은 가이드 홈(23)의 상부와 하부의 유체가 각각 교체되도록 마련되며, 플런저(40)의 이동방향과, 유체의 이동방향은 반대가 된다. 여기서 이동 홀(47)은 플런저(4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4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3)의 외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바(22)는 전자석(50)이 설치되어 자력으로 플런저(40)를 왕복시킨다. 여기서 전자석(50)은 절연재에 의해 절연 및 방수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외부에는 케이스(51)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절연재를 액상으로 마련하여 케이스(51)에 전자석(50)을 설치한 후 절연재를 충진하여 방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50)에 작동전원 및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케이블이 함께 절연 및 방수된다.
또한, 케이블이 인출될 수 있게 케이스(51)의 외주에는 인출 홀(51a)에 마련되고, 상기 인출 홀(51a)에는 케이블과의 틈새가 방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방수 캡(5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51)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 바(22)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바(22)의 단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너트와 케이스(51) 사이에는 와셔가 더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51)와 덮개(20) 사이에는 플런저(40)의 작동에 따른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 링(53)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개폐 홀(15)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45)와 완충 핀(46) 또는 전자석(51)에 의해 플런저(40)가 작동되어 플런저(40)에 설치된 제2패킹(43)이 플레이트(31)의 파일럿 홀(32)을 차단하고, 플레이트(31)의 파일럿 홀(32)을 가압하여 몸체(10)의 개폐 홀(15)에 플레이트(31)를 밀착시킨다.
이때 비아 홀(39)을 통해 입수구(11) 측의 유체가 작동부(14)로 유입되며, 플레이트(31)에 결합된 제1패킹(38)은 개폐 홀(15)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14)에 수용된 유체가 플런저(40)의 이동 홀(47)을 따라 가이드 홈(23) 단부로 이동하여 플런저(40)의 작동공간만큼 충입상태가 된다.
그리고 개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51)이 작동되어 가이드 홈(23)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이 완료되면서 완충 핀(46)이 가이드 홈(23)의 단부로부터 완충됨과 동시에 제2탄성부재(45)의 탄성력이 극복되는 압축되는 상태로 수용된다. 이때 가이드 홈(23)에 수용된 유체는 이동 홀(47)을 따라 이동하여 플런저(40)가 수용될 공간만큼을 비워주게 된다.
이후, 플런저(40)의 상승으로 파일럿 홀(32)이 개방되게 되고, 파일럿 홀(32)을 통해 작동부(14)의 유체가 출수구(12)측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부(14)의 압력이 저하되고, 작동부(14)의 압력 저하로 입수구(11)측의 유체가 비아 홀(39)을 통해 작동부(14)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레이트(31)를 입수구(11)측의 수압과 제1탄성부재의 인장력에 의해 개폐 홀(15)에서 이격시킨다.
이때 입수구(11) 층의 유체가 개폐 홀(15)을 거쳐 출수구(12)로 배출되며, 플레이트(31)는 다이어프렘을 반전시키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되며, 이후에는 비아 홀(39)과 파일럿 홀(32)을 통해 작동부(14)의 유체가 출수구(12)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보인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솔레노이드 밸브 10: 몸체
11: 입수구 12: 출수구
13: 유로 14: 작동부
15: 개폐 홀 16: 제1단차부
17: 제2단차부 18: 실링부재
20: 덮개 21: 가이드 바
22: 가이드 홈 23: 끼움돌기
30: 다이어프램 모듈 31: 플레이트
32: 파일럿 홀 33: 제1삽입 홈
34: 걸림돌기 35: 제2걸림 턱
36: 안착 홈 37: 다이어프램
38: 제1패킹 38a: 걸림 홈
39: 비아 홀
40: 플런저 41: 제1걸림 턱
42: 제2삽입 홈 43: 제2패킹
44: 완충 홈 45: 제2탄성부재
46: 완충 핀 47: 이동 홀
50: 전자석 51: 케이스
51a: 인출 홀 52: 방수 캡

Claims (10)

  1.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13)와, 상기 유로(13)에 연결되는 개폐 홀(15)이 구비되는 작동부(14)가 외부로 개방되는 몸체(10);
    상기 작동부(14)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3)를 개폐하여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다이어프램모듈(30);
    상기 다이어프램모듈(30)에 일단이 결합되며, 인장탄성을 갖는 제1탄성부재(48);
    상기 제1탄성부재(48)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모듈(30)을 개폐작동시키는 플런저(40);
    상기 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14)를 밀폐시키며, 상기 플런저(40)가 가이드 될 수 있게 내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홈(22)이 마련된 덮개(20);
    상기 덮개(20)의 가이드 홈(22)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40)를 구동하는 전자석(50);
    상기 플런저(40)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홈(22)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시 일측과 타측의 유체가 상호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이동 홀(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모듈(30)은
    상기 제1탄성부재(48)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40)의 개폐작동에 따라 왕복되어 상기 개폐 홀(15)을 개폐하는 플레이트(31);
    상기 플레이트(31)에 내주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와 덮개(20) 사이에 외주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31)의 왕복에 따라 반전되는 다이어프램(37);
    상기 플레이트(31)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13)의 폐쇄 시 개폐 홀(15)에 밀착되는 제1패킹(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1) 하부에는 상기 제1패킹(38)이 삽입될 수 있게 제1삽입 홈(33)이 마련되고,
    상기 제1삽입 홈(33)은 삽입된 제1패킹(38)이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돌기(3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는 상기 제1탄성부재(48)의 일단이 결합되어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제1걸림 턱(41)이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31)는 상기 제1탄성부재(48)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게 제2걸림 턱(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1)에는 상기 다이어프램(37)의 반전을 원활하게 하면서, 상기 유로(13)를 개방할 경우 개폐 홀(15)에서 이격시키는 파일럿 홀(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는 타측에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삽입 홈(42)이 마련되고,
    상기 제2삽입 홈(42)에는 상기 파일럿 홀(32)을 개폐하는 제2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홀(47)은 상기 플런저(40)의 외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켜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22)의 단부에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 홈(44)이 마련되고, 상기 완충 홈(44)에는 제2탄성부재(45)와, 완충 핀(46)으로 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50)과 상기 덮개(20) 사이에는 상기 전자석(50)의 구동에 의한 상기 덮개(20)에서의 충격전달을 방지하는 완충 링(5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070107916A 2007-10-25 2007-10-25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90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16A KR100903672B1 (ko) 2007-10-25 2007-10-25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16A KR100903672B1 (ko) 2007-10-25 2007-10-25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43A KR20090042043A (ko) 2009-04-29
KR100903672B1 true KR100903672B1 (ko) 2009-06-18

Family

ID=4076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16A KR100903672B1 (ko) 2007-10-25 2007-10-25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55A (ko) 2019-10-14 2021-04-22 한국전력공사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96B1 (ko) * 2019-04-30 2020-03-24 (주)솔텍 소음 저감형 캐니스터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726A (en) * 1979-11-09 1981-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mperature-controlling valve
JP2000266196A (ja) * 1999-03-18 2000-09-26 Toto Ltd 圧力室式弁
KR100404155B1 (ko) 2003-07-28 2003-11-01 주식회사협신랜드스케이프 분수 시스템용 노즐
JP2004197899A (ja) * 2002-12-20 2004-07-15 Aisin Seiki Co Ltd ダイヤフラム内蔵遮断弁、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726A (en) * 1979-11-09 1981-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mperature-controlling valve
JP2000266196A (ja) * 1999-03-18 2000-09-26 Toto Ltd 圧力室式弁
JP2004197899A (ja) * 2002-12-20 2004-07-15 Aisin Seiki Co Ltd ダイヤフラム内蔵遮断弁、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404155B1 (ko) 2003-07-28 2003-11-01 주식회사협신랜드스케이프 분수 시스템용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55A (ko) 2019-10-14 2021-04-22 한국전력공사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43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0022B1 (en) A valve assembly having a reinforced valve seat
RU2068521C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лапан
AU2011201570A1 (en) Pneumatically actuated valve
JP5763186B2 (ja) 圧力容器用の電磁弁
CN104763839B (zh) 慢关先导型电磁阀
KR100903672B1 (ko) 수중용 솔레노이드밸브
CN108700202B (zh) 电磁阀和电磁阀的应用
CN2931959Y (zh) 高压电磁阀
KR100421638B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CN108980444A (zh) 旋转式电磁阀
CN110792786B (zh) 电磁阀
CN102301169B (zh) 伺服阀
US20200132210A1 (en) Solenoid valve
US20210215256A1 (en) Valve cartridge assembly for a faucet assembly
CN112066043B (zh) 控制棒驱动线组合阀结构及控制棒水压驱动系统
KR10109421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212028593U (zh) 海底用化学药剂注入阀
JP2007016935A (ja) バルブ機構
CN216643088U (zh) 一种小型活塞高频高压电磁阀
EP2455644A1 (en) Magnetic control valve
CN219282436U (zh) 对接阀座
CN213176983U (zh) 用于净水机的电磁阀和净水机
KR200467277Y1 (ko) 정수기용 저전압 구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CN111734876B (zh) 一种先导式高压电磁阀
CN218598865U (zh) 一种流体腔体结构及其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