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64B1 - 반도체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64B1
KR100903364B1 KR1020070046379A KR20070046379A KR100903364B1 KR 100903364 B1 KR100903364 B1 KR 100903364B1 KR 1020070046379 A KR1020070046379 A KR 1020070046379A KR 20070046379 A KR20070046379 A KR 20070046379A KR 100903364 B1 KR100903364 B1 KR 10090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lock
memory device
semiconductor memor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549A (ko
Inventor
신범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4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64B1/ko
Priority to US12/005,551 priority patent/US7872939B2/en
Publication of KR2008010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64B1/ko
Priority to US12/971,723 priority patent/US805013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48Arrangements in static store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by means external to the store, e.g. using direct memory access [DMA] or using auxiliary access pa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시 사용하는 핀의 수를 줄인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테스트모드와 노멀모드에서 모두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노멀모드에서 보다 많은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 및 노멀모드에서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디스에이블 되는 제2어드레스 버퍼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46379
어드레스, 버퍼, 테스트모드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1은 DDR2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액티브(active)와 리드(read)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어드레스를 받아들이는 어드레스 버퍼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모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제1어드레스 버퍼 320: 제2어드레스 버퍼
330: 전달부
ADDR_A: 제1어드레스 핀 ADDR_B; 제2어드레스 핀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어드레스 버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DDR2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액티브(active)와 리드(read)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DR2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경우 데이터는 클럭의 라이징(rising) 및 폴링(falling) 에지(edge)에서 모두 입력되는 DDR 모드(double data rate mode)로 입력되고, 어드레스(address)와 커맨드(command) 신호는 SDRAM과 같이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만 입력되는 SDR 모드(single data rate mode)로 입력된다.
도면에는 2개의 뱅크 어드레스(BA<0:1>)와 14개의 어드레스(ADDR<0:13>)를 입력받는 메모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즉,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데 16비트(bit)가 사용되며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데 16개의 채널(channel)과 핀(pin)을 필요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어드레스를 받아들이는 어드레스 버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어드레스 A(ADDR_A)와 어드레스 B(ADDR_B)를 받아들이는 어드레스 버퍼 2개(210, 2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총 16개의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메모리장치의 경우에는 어드레스 버퍼는 총 16개가 필요할 것이다.
각각의 어드레스 버퍼(210, 220)는 2개의 래치(211, 212, 221, 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첫번째 래치(211, 221)는 클럭(CLK)이 '로우'일 때 어드레 스(ADDR_A, ADDR_B)를 입력받아 래치하고(CLKB에 동기), 두번째 래치(212, 222)는 클럭(CLK)이 '하이'일 때 첫번째 래치(211, 221)로부터 어드레스(TLA_A, TLA_B)를 입력받아 래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BA, ADDR)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중앙이 정렬되어서 입력되기 때문에 이러한 어드레스를 입력받기 위해서 클럭이 '로우'일 때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것이다.
각각의 래치(211, 212, 221, 222)의 출력(TLA, LAA)에 대한 동작 타이밍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정리하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어드레스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어드레스 버퍼(210, 220) 또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테스트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테스트 타임(test time)은 곧 제조비용(cost)의 문제와 직결된다.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 테스트장비를 통해 여려 가지의 신호를 인가하여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 테스트장비의 채널(channel) 수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테스트시 필요한 채널의 수를 줄이는 것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이다.
즉, 테스트시 필요한 채널(핀)의 수가 줄어들수록 동일한 장비로 한번에 테스트할 수 있는 칩(chip)의 갯수가 많아지고 이는 테스트타임을 감소시키고 제조비용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 필요한 어드레스 핀(address pin)의 갯수를 줄여 테스트시간(test time)을 단축하고, 테스트비용(test cost)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테스트모드와 노멀모드에서 모두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노멀모드에서 보다 많은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 및 노멀모드에서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디스에이블 되는 제2어드레스 버퍼를 포함하며, 노멀모드에서는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와 상기 제2어드레스 버퍼를 통해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전달하고, 테스트모드에서는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로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전달하는 어드레스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노멀동작에서는 제1어드레스 버퍼와 제2어드레스 버퍼를 사용하여 어드레스를 입력받지만, 테스트모드시에는 제1어드레스 버퍼만을 사용하여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다. 이는 곧 테스트시 필요한 어드레스 핀의 갯수가 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어드레스 핀의 측면에서,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지 않는 제2어드레스 핀; 및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시에는 상기 제2어드레스 핀에 노멀모드에서 입력되던 어드레스를 더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핀을 포함한다.
즉, 노멀모드에서는 제1어드레스 핀과 제2어드레스 핀을 사용하여 어드레스를 입력받지만, 테스트모드시에는 제1어드레스 핀만을 사용하여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다. 이 역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 필요한 어드레스 핀의 갯수가 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클럭의 제1시점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입력부와, 클럭의 제2시점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2입력부를 구비하는 어드레스 핀(상술한 제1어드레스 핀)을 포함하여 테스트시 필요한 어드레스 핀의 수를 반으로 줄인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어드레스가 클럭의 라이징에서 입력되었고, 이에 따라 어드레스 버퍼도 어드레스를 클럭의 라이징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노멀모드에서는 종래와 같이 어드레스를 클럭의 라이징에서 입력받지만, 테스트모드에서는 일부 어드레스 버퍼가 어드레스를 클럭의 라이징과 폴링 모두에서 입력받는다. 즉, 일부의 어드레스 버퍼가 DDR모드(Double Data Rate mode)로 동작하기 때문에 나머지 일부의 어드레스 버퍼는 동작할 필요가 없고, 이것은 테스트모드시 필요한 어드레스 핀의 갯수가 노멀모드 대비 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은 서로 상대적인 의미이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고 폴링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된다는 것은 라이징/폴링 에지에 중앙이 정렬되었다는 의미일 수도 있지만, 클럭의 ' 하이'에서 입력되고 클럭의 '로우'에서 입력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즉 이하에서 사용되는 클럭의 라이징/폴링 또는 클럭의 라이징/폴링 에지에 정렬 등의 표현은 클럭의 서로 다른 시점(위상)을 표현하기 위한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가 클럭의 라이징에서 입력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노멀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클럭의 라이징에서 입력받고, 테스트모드에서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서 입력받는다. 그러나 이는 노멀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클럭의 폴링에서 입력받고, 테스트모드에서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서 입력받는다와 동일한 의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은 서로 다른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테스트모드(test mode)와 노멀모드(normal mode)에서 모두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노멀모드에서 보다 많은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310), 및 노멀모드에서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디스에이블 되는 제2어드레스 버퍼(320)를 포함한다.
또한, 노멀모드에서는 제1어드레스 버퍼(310)와 제2어드레스 버퍼(320)를 통해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전달하고, 테스트모드에서는 제1어드레스 버퍼(310)로 입 력받은 어드레스를 전달하는 어드레스 전달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어드레스 버퍼(310)는 노멀모드에서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다. 그러나 테스트모드에서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다. 노멀모드에서 제1어드레스 핀(ADDR_A)으로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스펙에 맞게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되어 어드레스가 입력된다. 그러나 테스트모드시에는 테스트장비를 통해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데, 본 발명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장비는 제1어드레스 핀(ADDR_A)로 어드레스를 클럭의 라이징과 폴링에서 입력해 주며, 이를 제1어드레스 버퍼(310)로 입력받게 된다. 즉, 테스트모드시 제1어드레스 핀(ADDR_A)으로는 노멀모드시 제2어드레스 핀(ADDR_B)으로 입력되던 어드레스가 더 입력된다.
제1어드레스 버퍼(310)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래치하기 위한 제1래치(311), 클럭의 폴링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래치하며 노멀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 되는 제2래치(312), 및 제2래치(312)에서 래치된 어드레스(AT0)를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하며 노멀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 되는 제3래치(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312) 및 제3래치(313)를 노멀모드에서 디스에이블 하도록 한 것은 노멀모드에서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어드레스 버퍼(320)는 노멀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지만, 테스트모드시에는 제2어드레스 핀(ADDR_B)으로 어드레스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2어드레스 버퍼(320)도 어드레스를 입력받지 않는다.
제2어드레스 버퍼(320)는 노멀모드에서 사용되며 테스트모드시에 디스에이블 된다. 여기서 디스에이블 된다는 의미는 테스트모드시에는 제2어드레스 핀(ADDR_A)으로 어드레스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제2어드레스 버퍼(320)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제2어드레스 버퍼(320)는 노멀모드에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래치하며, 테스트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지 않는 제4래치(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래치(321)에 로딩(loading)이라고 쓰여 있는 것은 늘어난 제1어드레스 버퍼(310)의 로딩에 맞추어 제2어드레스 버퍼(320)도 로딩을 크게 설계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어드레스 전달부(330)는 노멀모드에서는 제1어드레스 버퍼(310) 및 제2어드레스 버퍼(320)로 입력된 어드레스를 각각의 경로(LAA_A, LAA_B)로 전달하고, 테스트모드에서는 제1어드레스 버퍼(310)로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본래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가 전달되어야 하는 경로(LAA_A, LAA_B)로 전달한다. 즉, 테스트모드에서는 노멀모드에서 제2어드레스 버퍼(320)로 입력되던 어드레스도 제1어드레스 버퍼(310)로 입력되지만, 제1어드레스 버퍼(310)로 대신 입력된 어드레스는 본래의 경로(LAA_B)로 전달된다.
어드레스 전달부(330)는 제1래치(311)에 저장된 어드레스(TLA_A)를 전달하기 위한 제5래치(331), 노멀모드에서는 제4래치(321)에 래치된 어드레스를 테스트모드에서는 제3래치(313)에 래치된 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332), 및 멀티플렉서(332)의 출력(TLA_B)을 전달하기 위한 제6래치(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드레스 전달부(330)의 멀티플렉서(334)는 실제 멀티플렉서로 동작하지 아니하며, 항상 제1래치(311)에 래치된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로 제1어드레스 버퍼(310) 측의 로딩과 제2어드레스 버퍼(320) 측의 로딩을 맞춰주기 위해 삽입된 멀티플렉서이다. 따라서 동일한 로딩을 가진 트랜지스터, 저항 등의 조합 또는 패스게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노멀모드에서는 TEST MODE 신호는 '로우' 로 디스에이블 되고, 이에 따라 제2래치(312) 및 제3래치(313)는 디스에이블 된다. 그리고 제1어드레스 버퍼(310)와 제2어드레스 버퍼(320)는 모두 라이징 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최종적으로 각각의 경로(LAA_A, LAA_B)로 전달된다.
테스트모드에서는 TEST MODE 신호는 '하이'로 인에이블 되며, 제2래치(312) 및 제3래치(313)도 인에이블 된다. 테스트모드에서는 제2어드레스 핀(ADDR_B)으로는 어드레스가 입력되지 아니하며, 제1어드레스 핀(ADDR_A)으로 어드레스가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 정렬되어 입력된다. 제1어드레스 버퍼(310)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모두 입력받으며, 멀티플렉서(332)는 제3래치(313)의 출력을 선택해 클럭의 폴링에서 입력된 어드레스가 본래의 경로(LAA_B)로 전달되게 한다.
제1래치(311)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제2래치(312)는 클럭의 폴링 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데, 제1래치(311)는 클럭(CLK)의 '로우'구간에서 제2래치(312)는 클럭(CLK)의 '하이' 구간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게 설계되어 있다. 이는 클럭(CLK)의 라이징 및 폴링 에지에 어드레스의 중앙이 정렬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실제로 라이징 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는 클럭(CLK)의 '로우'구간에서 처음 입력되고, 폴링 에지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는 클럭(CLK)의 '하이'구간에서 처음 입력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제2어드레스 버퍼(320)는 종래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제1어드레스 버퍼(310)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면 된다. 이러한 설계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음은 자명하며, 도 3은 그 중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3에는 제1(310) 및 제2어드레스 버퍼(320)로 2개의 버퍼를 도시하였지만,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어드레스 버퍼 전체를 도시한 것이 아니며, 2가지 종류의 어드레스 버퍼를 각각 하나씩만 도시했다. 16개의 어드레스 핀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경우에는 제1(310) 및 제2어드레스 버퍼(320)를 각각 8개씩 포함하도록 설계하면 된다.
어드레스 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지 않는 제2어드레스 핀(ADDR_B), 및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시에는 제2어드레스 핀(ADDR_B)에 노멀모드에서 입력되던 어드레스를 더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핀(ADDR_A)을 포함한다.
제1(ADDR_A) 및 제2어드레스 핀(ADDR_B)은 노멀모드시에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제1어드레스 핀(ADDR_A)은 테스트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 에지에서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1(ADDR_A) 및 제2어드레스 핀(ADDR_B)에는 상술한 제1어드레스 버퍼(310) 및 제2어드레스 버퍼(320)가 각각 연결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클럭(CLK)의 제1시점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입력부(311)와, 클럭(CLK)의 제2시점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제어신호(Test mode)에 의해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2입력부(312)를 구비하는 어드레스 핀(ADDR_A, 상술한 제1어드레스 핀)을 포함하여 테스트 모드시에 사용되는 어드레스 핀의 수를 줄인다.
여기서 클럭의 제1시점이란 클럭의 라이징 에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클럭의 제2시점은 클럭의 폴링에지를 의미한다.(제1시점과 제2시점은 서로 다른 위상을 의미)
도 4는 도 3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모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스트모드시에는 테스트장비를 통해 본래 노멀모드시에 제2어드레스 핀(ADDR_B)에 입력되던 어드레스인 A1이 클럭의 폴링에 정렬되어 제1어드레스 핀(ADDR_A)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1어드레스 버퍼(310)에서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 A1, A2를 모두 입력받고 이를 정렬하여 출력한다(LAA_A, LAA_B).
즉, 본 발명의 어드레스 버퍼는 테스트모드시에 DDR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데이터를 프리패치(pre-fetch)하는 스킴(scheme)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어드레스 버퍼 및 제2어드레스 버퍼가 어드레스를 입력받기 위해 래치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클럭의 라이징/폴링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 및 클럭의 라이징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2어드레스 버퍼는 래치 이외에 플립플롭 등 여러 가지 논리회로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핵심은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테스트모드시에 노멀모드에서 보다 더 많은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와 테스트모드시에 사용되지 아니하는 제2어드레스 버퍼를 구비한다는데 있으며, 제1, 제2, 제3, 제4의 어드레스 버퍼가 있고 테스트모드시에 제1어드레스 버퍼가 제2~4어드레스 버퍼의 어드레스까지 모두 입력받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노멀모드시에는 제1어드레스 버퍼와 제2어드레스 버퍼를 모두 사용하지만, 테스트모드시에는 제1어드레스 버퍼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노멀동작 대비 테스트시 필요한 어드레스 핀의 갯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이는, 동일한 장비로 한번에 테스트 가능한 칩의 갯수가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테스트타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1. 제1어드레스 핀에 연결되어, 노멀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고, 테스트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와 클럭의 폴링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
    제2어드레스 핀에 연결되어, 노멀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고, 테스트모드시에는 디스에이블되는 제2어드레스 버퍼; 및
    노멀모드시에는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로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제1경로로 전달하고 상기 제2어드레스 버퍼로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제2경로로 전달하며, 테스트모드시에는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로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상기 제1경로와 상기 제2경로로 나누어 전달하는 어드레스 전달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를 래치하기 위한 제1래치;
    클럭의 폴링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를 래치하기 위한 제2래치; 및
    상기 제2래치에서 래치된 어드레스를 클럭의 라이징 에지로 정렬하기 위한 제3래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드레스 버퍼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정렬된 어드레스를 래치하기 위한 제4래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달부는,
    상기 제1래치에 래치된 어드레스를 상기 제1경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5래치;
    노멀모드에서는 상기 제4래치에 래치된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테스트모드에서는 상기 제3래치에 래치된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를 상기 제2경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6래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와 상기 제3래치는,
    노멀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래치는,
    테스트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노멀모드시에 상기 제2어드레스 핀으로 입력되는 어드레스는,
    테스트모드시에는 클럭의 폴링 에지에 정렬되어 상기 제1어드레스 핀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는,
    테스트모드시에 노멀모드에서 보다 어드레스를 2배 더 많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상기 제1어드레스핀,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 상기 제2어드레스 핀, 상기 제2어드레스 버퍼 및 상기 어드레스 전달부 각각을 복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에서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지 않는 제2어드레스 핀; 및
    노멀모드에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시에는 상기 제2어드레스 핀에 노멀모드에서 입력되던 어드레스를 더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핀
    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어드레스 핀은 노멀모드시에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어드레스 핀은 테스트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 에지에서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드레스 핀에 테스트모드시에 입력되는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정렬된 어드레스는,
    노멀모드시에 상기 제2어드레스 핀에 입력되는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상기 제1어드레스 핀에 연결되어 노멀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된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테스트모드시에는 클럭의 라이징 및 폴링에지에서 정렬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어드레스 버퍼; 및
    상기 제2어드레스 핀에 연결되어 노멀모드시에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정렬 되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2어드레스버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노멀모드에서는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와 상기 제2어드레스 버퍼를 통해 입력받는 어드레스를 각각의 경로로 전달하고, 테스트모드에서는 상기 제1어드레스 버퍼로 입력받은 어드레스를 상기 각각의 경로로 전달하는 어드레스 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어드레스 버퍼는,
    클럭에 동기되어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어드레스 핀은 각각 복수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0. 어드레스 핀;
    클럭의 제1시점에 상기 어드레스 핀을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는 제1입력부; 및
    클럭의 제2시점에 상기 어드레스 핀을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제2입력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점은 클럭의 라이징 에지이며 상기 제2시점은 클럭의 폴링에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테스트모드시 인에이블 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20070046379A 2007-05-14 2007-05-14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90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79A KR100903364B1 (ko) 2007-05-14 2007-05-14 반도체 메모리장치
US12/005,551 US7872939B2 (en) 2007-05-14 2007-12-2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2/971,723 US8050135B2 (en) 2007-05-14 2010-12-17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79A KR100903364B1 (ko) 2007-05-14 2007-05-14 반도체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549A KR20080100549A (ko) 2008-11-19
KR100903364B1 true KR100903364B1 (ko) 2009-06-23

Family

ID=4002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79A KR100903364B1 (ko) 2007-05-14 2007-05-14 반도체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872939B2 (ko)
KR (1) KR100903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77B1 (ko) * 2007-10-09 2009-04-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 페치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8552765B2 (en) 2011-01-07 2013-10-08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Adaptive multi-stage slack borrowing for high performance error resilient computing
US8649210B2 (en) * 2011-09-06 2014-02-11 Mediatek Inc. DDR PSRAM and data writing and reading methods thereof
KR102091823B1 (ko) * 2012-12-17 2020-03-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어드레스 입력 회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02B1 (ko) 2005-03-31 2006-11-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구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소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231B1 (ko) * 1994-08-23 1998-04-22 김주용 고속 테스트 기능을 갖는 메모리 소자
US5809228A (en) * 1995-12-27 1998-09-15 Intel Corporait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multiple writes to a memory resource utilizing a write buffer
JP3970716B2 (ja) * 2002-08-05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JP4119412B2 (ja) * 2004-09-24 2008-07-16 株式会社東芝 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KR100612034B1 (ko) * 2004-11-01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테스트 모드 진입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테스트모드 진입회로
KR100663362B1 (ko) * 2005-05-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방법
KR100925385B1 (ko) * 2008-02-22 2009-1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시 제어 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02B1 (ko) 2005-03-31 2006-11-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구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72939B2 (en) 2011-01-18
US20080285374A1 (en) 2008-11-20
US20110085401A1 (en) 2011-04-14
KR20080100549A (ko) 2008-11-19
US8050135B2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581B1 (ko)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가진 멀티 포트 메모리 소자
JP5232019B2 (ja) 複数のプロセッサコア用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574111B (zh) 半频命令路径
US7995403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data bus inversion function
TW201209821A (en) Status indication in a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devices
US6873197B2 (en) Scan flip-flop circuit capable of guaranteeing normal operation
US20110242922A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7590009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data masking method of the same
KR100903364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US8248126B2 (en) Clock control circuit and data alignment circuit including the same
US6734693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 semiconductor storage circuit and a test circuit for testing the semiconductor storage circuit
US8611159B1 (en) Memory write interface in a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KR100719146B1 (ko)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가진 멀티 포트 메모리 소자
KR101996967B1 (ko) 반도체 장치
KR2015005141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90061323A (ko) 바운더리 스캔 테스트 회로 및 바운더리 스캔 테스트 방법
US6151257A (en) Apparatus for receiving/transmitting signals in an input/output pad buffer cell
KR100902123B1 (ko) 어드레스 트레이닝 모드 동작을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82157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위한 입력 데이터 생성 장치
CN105608033B (zh) 半导体装置及其操作方法
KR100543936B1 (ko) 데이터 얼라인 마진이 향상된 동기식 메모리 장치
US829661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KR100929831B1 (ko) 고속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04479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어드레스 입력방법
KR100484259B1 (ko) 데이터 얼라인 마진이 향상된 동기식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