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449B1 -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갖는 압력 조절기 - Google Patents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갖는 압력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449B1
KR100902449B1 KR1020077013816A KR20077013816A KR100902449B1 KR 100902449 B1 KR100902449 B1 KR 100902449B1 KR 1020077013816 A KR1020077013816 A KR 1020077013816A KR 20077013816 A KR20077013816 A KR 20077013816A KR 100902449 B1 KR100902449 B1 KR 10090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lve
pressure regulator
flow
bia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392A (ko
Inventor
던 엠. 에더리지
제임스 러셀 모리스
제이알. 제임스 아치 윈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8Ball fea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2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53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apparatu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84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welding or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연료 시스템 내에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부 하우징, 그리고 연료 통로를 갖는 하부 밸브 부재를 포함하며, 하부 하우징은 연료 유입구를 가지며, 연료 유동은 연료 유입구를 통하여 유동하고 밸브 편향 부재를 이용하여 연료 챔버로 소통한다. 밸브 편향 부재는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개폐함으로써 연료 챔버를 통과하는 연료 유동을 허용하거나 방지한다. 밸브 편향 부재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에 의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망상 동심 링을 갖는 평 디스크를 포함한다. 연료는 개방된 밸브 부재를 지나 하부 밸브 부재의 연료 통로를 통하여 밸브 편향 부재로 유동한다. 그 후, 밸브 편향 부재는 연료의 유동을 확산시킨다. 연료 커버는 밸브 편향 부재로부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킨다.

Description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갖는 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 WITH CERAMIC VALVE ELEMENT}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대체로 압력 제어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연료 시스템에 사용되는 세라믹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식 자동차 연료 시스템은 연소를 위해 엔진 실린더로 연료를 전달하는데 연료 인젝터를 사용한다. 연료 인젝터는 펌프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 레일상에 장착된다. 연료 레일로 연료가 공급되는 압력은 연료 인젝터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도록 계량되어야 한다. 계량은 모든 엔진의 r.p.m. 레벨에서 시스템 내의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조절기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대부분의 압력 조절기 밸브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 재료로 제조된 상부 밸브 부재,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하부 밸브 부재 또는 밸브 시트를 사용한다. 밸브가 개방될 때, 밸브 부재는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며 밸브 시트와 접촉을 형성하면서 떨릴 수 있다. 밸브가 폐쇄될 때, 밸브 부재는 밸브 시트상에 떨어진다. 고밀도 금속 밸브 부재는 밸브 시트의 밀봉 표면을 마모시킬 가능성을 가지며, 이러한 마모 가능성은 갤링(galling)으로도 지칭된다. 이러한 마모는 밸브 시트에 충격을 가하는 밸브 부재 및 밸브 부재와 밸브 시트 사이의 갤링때문일 수 있다.
밸브 시트상의 밀봉 표면을 개선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코이닝(coining)이다. 금속 밸브 시트를 코이닝하는 데는 금속 볼 또는 밸브 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코이닝중에 갤링이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 부재와 밸브 시트의 영계수(Young's modulus)가 유사할 때, 이 두 부분은 코이닝 작업중에 유사한 비율로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열악한 누출 성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기술상 공지되어 있는 압력 조절기는 종방향 유동 통로를 갖는 밸브 시트에 대해 편향된 밸브 편향 부재를 사용한다. 낮은 연료 압력에서, 밸브 시트는 압력 조절기를 통한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폐쇄 위치로 편향된다. 연료 압력이 시스템 내에서 확립될 때, 밸브 시트에 대항하는 압력은 밸브 편향 부재의 편향력을 극복하여 연료가 밸브 시트를 통해 유동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시스템 내에서 연료 압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압력 조절기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증명된 반면, 상당한 수의 부품들 을 필요로 한다. 열악한 누설 성능을 낮출 뿐 아니라 연료 압력 조절기의 재료 및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더 적은 수의 부품을 가지며 크기가 작은 연료 압력 조절기를 개발할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공지된 압력 조절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압력 조절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청구항에 인용되어 있는 바와 같은 관류형 압력 조절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추가 부품 없이 연료 압력 조절기의 개선된 소음 특성 및 유동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압력 조절기의 재료 및 제조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류형 압력 조절기는 연료 유입구를 갖는 하부 하우징으로서, 상기 연료 유입구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이 연료 챔버를 통해 밸브 조립체와 소통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연료 챔버 내의 연료에 의해 세라믹 밸브 부재상에 가해진 압력에 반하여 상기 연료 챔버를 향해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를 편향시키는 밸브 편향 부재; 및 상기 밸브 편향 부재로부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는 연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연료 챔버 및 하부 밸브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상기 하부 밸브 부재의 상부 주위에 복수의 연료 통로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조절하며, 상기 연료 챔버로부터 상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 상에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가 안착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 편향 부재는 중심 개구를 갖는 평 나선형 디스크; 대체로 y자 형상의 중심공을 갖는 평 디스크; 및 하나 이상의 브리지에 의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망상 동심 링(reticulated concentric rings)을 포함하는 평 디스크 중 하나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브리지에 의해 연결되는 상이한 직경의 상기 2개 이상의 망상 동심 링은 상기 연료의 유동을 상이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킨다.
상기 브리지는 최대 망상 동심 링의 반경보다 긴 길이까지 상기 밸브 편향 부재의 유효 빔 길이를 증가시킨다.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는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는 알루미나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부재는 구체 또는 절두형 구체이다.
상기 밸브 부재는 자유 부양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밸브 시트는 부드러운 밀봉을 위한 제조 과정을 통해 코이닝된다.
상기 밸브 편향 부재는 권축, 용접 또는 클립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에 부착된다.
상기 연료 배출구는 상기 연료 커버상에 배치된다.
상기 연료 커버는 상기 밸브 편향 부재로부터 상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는 일체형 통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료 커버는 내벽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료 커버는 상기 관류형 압력 조절기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냅 기구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상부 밸브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밸브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의 단면도,
도 4는 밸브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의 사시도,
도 5는 밸브 편향 부재의 평면도,
도 6은 연료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밸브 편향 부재의 대안적인 3점 접촉 실시예의 평면도, 및
도 8은 대안적인 나선형 밸브 편향 부재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를 도시하고 있다.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는 연료관(30)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연료관(30)은 연료 챔버(40)를 수용하고, 연료 챔버(40)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이며 연료 펌프(미도시)로부터 압력 조절기(10)로 연료를 보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료관(30)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연료는 먼저 연료 필터(50)를 통해 연료 챔버(40)로 들어간다. 대체로 원형인 연료 필터(50)는 연료관(30)의 하부 주위 및 오-링(6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오-링(60)은 시스템 내의 다른 구성요소로의 임의의 연료 누출을 방지하고 밀봉하도록 하부 하우징(20) 아래에 위치된다. 오-링(60)은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며, 대체로 원형이다. 다른 당업자는 오-링(60)을 사용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는 밸브 부재(80)와 협력하는 밸브 시트(70)를 포함하며, 밸브 부재(80)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폐쇄 위치에서, 밸브 부재(80)는 밸브 시트(70)의 안착 표면과 접촉하고 안착 표면에 대하여 밀봉되어 밸브 시트(70)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을 방지한다. 밸브 부재(80)는 밸브 편향 부재(90)에 의해 폐쇄 위치로 편향된다. 밸브 편향 부재(90)는 하부 하우징(20)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며, 하부 하우징(20)은 밸브 편향 부재(90)의 외부 에지에 걸쳐서 권축된다. 다른 당업자는 용접 또는 클립을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20)에 밸브 편향 부재(90)를 부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가압된 연료는, 가압된 연료가 밸브 부재(80)의 바닥 표면과 접촉할 때까지 연료 챔버(40)를 통해 유동하여 연료 챔버(40) 내에 축적된다. 그 후, 가압된 연료는 밸브 시트(70)의 밸브 부재(80)를 개방 위치로 밀어낼 것이다. 밸브 시트(70) 제조 시, 밀봉 표면은 밸브 부재(80)와 밸브 시트(70) 사이의 부드러운 밀봉을 보장하도록 코이닝된다.
가압된 연료가 방출되고 나면, 밸브 부재(80)는 밸브 편향 부재(90)에 의해 폐쇄 위치로 다시 편향된다. 밸브 편향 부재(90)는 폐쇄 위치에 있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의 밸브 부재(80)가 미리 정해진 압력량에서 유지되도록 작용하며, 미리 정해진 압력량은 관류형 압력 조절기(10) 사양에 의해 요구되는 압력과 관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부재(80)는 구체로 형성되며 자유 부양형 구조(free floating design)를 유지한다. 밸브 부재(80)는 코이닝 중에 갤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 시트상의 마모를 감소시키도록, 알루미나 산화물(alumina oxide)로 이루어진 세라믹으로 제조된다. 밸브 부재(80)는 마모, 열, 부식 환경에서 작동하며, 온도 2000℉까지 치수 안정성을 유지한다.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의 다른 구성요소는 밸브 부재(80)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밸브 부재(80)는 밸브 편향 부재(90)와의 영구적인 접촉을 공유하지 않는다. 밸브 부재(80)는 밸브 시트(70)로부터 변위될 때, 축방향 및 반경 방향 모두로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다. 밸브 편향 부재(90)는 밸브 부재(80)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되어 밸브 시트(70)로부터 축방향으로 밸브 부재(80)의 움직임을 돕는다. 유입 연료의 압력이 밸브 편향 부재(90)에 의해 가해진 힘보다 더 클 때, 연료는 밸브 부재(80)를 축방향의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며, 밸브 부재(80)는 밸브 시트(70)를 떠난다. 연료는 밸브 편향 부재(90)의 압력이 밸브 부재(80)를 밸브 시트(70)로 되돌리도록 충분히 높아서 밸브 시트(70) 내의 개구를 폐쇄할 때까지,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를 통해 유동한다. 다른 당업자는 절두형 구체 또는 원뿔체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80)에 대한 상이한 형상을 선택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당업자는 밸브 편향 부재(90)에 밸브 부재(80)를 용접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밸브 편향 부재(90)의 결합구조는 밸브 부재(80)를 폐쇄하고 밸브 시트(70)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힘을 제공한다. 또한, 밸브 편향 부재(90)는 시스템 내에서 연료 압력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스프링율(spring rate)을 제공한다. 밸브 편향 부재(90)의 결합구조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120)에 의해 서로 부착된 2개 이상의 동축인 망상 동심링(100, 110)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편향 부재의 바람직한 형상은 환형이지만, 다른 당업자는 타원형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로부터 평형 슬롯 개구(130)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평형 슬롯 개구(130)는 호형이다. 다른 당업자는 원형, 관형, 삼각형 또는 각을 이룬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평형 슬롯 개구(130)를 선택할 수도 있다. 각각의 동심링(110)은 훅의 법칙(Hooke's law)에 따라서 스프링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빔 길이(beam length)를 갖는다. 유효 빔 길이는 밸브 편향 부재(90)의 전체 길이로서 형성된다. 다른 모든 요인들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폭의 길이를 변화시킨 결과, 성능 기준(performance criteria)이 변화할 것이다. 동시에, 개방 영역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되는, 평형 슬롯 개구(130)의 개방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밸브 편향 부재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더 큰 저항에 대항한다. 따라서, 밸브 편향 부재(90)의 최대 링의 반경보다 더 긴 길이까지, 밸브 편향 부재(90)의 유효 빔 길이를 증가시키고 내부 평형 슬롯 개구(130)의 개방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프링율은 밸브 편향 부재(90)가 덜 강성이 되도록 감소한다. 브리지(120)는 제 1 링(100)을 근접하는 이웃 링(110)과 망상 그물형으로 연결한다. 브리지(120)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에 대한 바람직한 스프링율을 얻는, 밸브 편향 부재(90)의 유효 빔 길이를 증가시킨다.
밸브 편향 부재(90)는 밸브 부재(80)에 평형력을 가하며, 평형력은 밸브 부재(80)를 임의의 편향 없이 수직으로 직립하여 들어 올려지게 한다. 평형 개구(130)는 균일 확산기(homogenous diffuser)로서 작용하여 밸브 시트(70)의 개구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킨다. 평형 개구(130)는 유동 특성이 개선되고 소음이 감소한 상태로 연료 유동을 분산시킨다.
바람직하게 밸브 편향 부재(90)의 중심 개구(140)는 밸브 시트(70)의 중심 축선상 및 하부 하우징(20) 상에 중심을 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심 개구(140)는 밸브 부재(80)와 3점 접촉을 제공한다. 다른 당업자는 밸브 편향 부재(90)를 밸브 부재(80)와 3개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기준점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밸브 부재(80)를 중심에 두며, 정상 압력(right pressure)에서 낮은 유동으로 조절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의 낮은 유동 선형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밸브 시트 정렬 문제에 대하여 밸브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통상적으로 추가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다른 조절기 설계에서 공통적인 부유 밸브 부재(80)는 요구되지 않는다. 다른 당업자는 밸브 편향 부재(90)의 중심 개구(140)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중심 개구(140)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밸브 부재(80)를 반경 방향으로 부유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는 연료 커버(150)를 더 포함한다. 연료 커버(150)는 플라스틱 몰딩 재료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를 수용한다. 연료 커버(150)는 밸브 편향 부재(90)로부터 연료 배출구(170)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고 돌리는 연료 통로(160)를 포함한다. 연료 배출구(170)는 대체로 원형 형상이며 커버(150)의 외부 에지상에 위치된다. 또한, 연료 커버(150)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에 부착될 때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스냅 기구(180)를 포함한다. 스냅 기구(180)는 일체형 클립으로서 연료 커버(150)에 직접 몰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클립 부착물이 불필요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냅 기구(180)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10)를 적소에 유지시키도록 클립으로 작용하는 탭이다. 당업자는 연료 커버(150)를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에 부착하지 않고 연료 커버(150)가 없는 관류형 조절기(10)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커버(150)는 연료 유동중에 밸브 편향 부재(90)를 연료 내에 항상 잠기도록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밸브 편향 부재(90)의 임의의 진동 소음을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밸브 편향 부재(9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연료는 밸브 편향 부재(90)를 빠져나간 후에, 밸브 편향 부재(90) 상부의 커버 챔버(190) 내에서 상승하며, 내부벽(200)에 걸쳐서 올라간 뒤, 연료 배출구(170)로 유동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연료의 유동은 유기적인 유동에서 빠져나오며 여러 방향에서 흐르지 않는다. 유사하게, 밸브 편향 부재(90)가 연료에 침수되는 것은 연료가 밸브 편향 부재(90)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위치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밸브 편향 부재(90)가 연료에 침수되는 것은 연료가 통기되지 않도록 보장하며, 따 라서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의 소음을 줄인다. 마지막으로, 연료 커버(150)는 수송 및 취급중에 밸브 편향 부재(90)를 보호한다.
도 7 및 도 8은 밸브 편향 부재(9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관류형 조절기(10)의 여러가지 모든 요소들은 밸브 편향 부재(90)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도 7에서, 밸브 편향 부재(90)의 결합구조는 동심 링 결합구조를 갖지 않는 하나 이상의 3점 접촉 개구(140)를 포함하는 평 디스크이다. 도 8에서, 밸브 편향 부재(90)의 결합 구조는 중심 개구(140)를 갖는 나선형인 평 디스크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영역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변형, 대안,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 및 그의 균등물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연료관(30)을 갖는 하부 하우징(20)으로서, 상기 연료관(30)을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이 연료 챔버(40)를 통해 밸브 시트(70)와 소통하는, 하부 하우징(20);
    상기 연료 챔버(40) 내의 연료에 의해 세라믹 밸브 부재(80)상에 가해진 압력에 반하여 상기 연료 챔버(40)를 향해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80)를 편향시키는 밸브 편향 부재(90); 및
    상기 밸브 편향 부재(90)로부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는 연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연료 챔버(40) 및 밸브 시트(7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상기 밸브 시트(70)의 상부 주위에 복수의 연료 통로(45)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조절하며, 상기 연료 챔버(40)로부터 상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70) 상에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80)가 안착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10)에 있어서,
    상기 밸브 편향 부재가,
    중심 개구(140)를 갖는 평 나선형 디스크;
    대체로 y자 형상의 중심공을 갖는 평 디스크; 및
    하나 이상의 브리지(120)에 의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망상 동심 링(100, 110)을 포함하는 평 디스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리지(120)에 의해 연결되는 상이한 직경의 상기 2개 이상의 망상 동심 링(100, 110)이 상기 연료의 유동을 상이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가 최대 망상 동심 링의 반경보다 긴 길이까지 상기 밸브 편향 부재(90)의 유효 빔 길이를 증가시키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 시트(70)로부터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밸브 부재(80)가 알루미나 산화물을 포함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80)가 구체 또는 절두형 구체인
    관류형 압력 조절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80)가 자유 부양형 구조를 갖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70)가 부드러운 밀봉을 위한 제조 과정을 통해 코이닝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편향 부재(90)가 권축, 용접 또는 클립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에 부착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배출구가 상기 연료 커버상에 배치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커버가 상기 밸브 편향 부재로부터 상기 연료 배출구로 연료의 유동을 지향시키는 일체형 통로를 더 포함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커버가 내벽을 더 포함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커버가 상기 관류형 압력 조절기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냅 기구를 더 포함하는
    관류형 압력 조절기.
  14. 삭제
  15. 삭제
KR1020077013816A 2004-12-01 2005-12-01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갖는 압력 조절기 KR100902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3209404P 2004-12-01 2004-12-01
US60/632,094 2004-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392A KR20070086392A (ko) 2007-08-27
KR100902449B1 true KR100902449B1 (ko) 2009-06-11

Family

ID=3609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816A KR100902449B1 (ko) 2004-12-01 2005-12-01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갖는 압력 조절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522099A (ko)
KR (1) KR100902449B1 (ko)
DE (1) DE112005002871T5 (ko)
WO (1) WO2006060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191A (ja) * 2005-03-17 2006-09-28 Pacific Ind Co Ltd バルブ及びバルブの製造方法
KR100981086B1 (ko) * 2008-08-13 2010-09-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KR101381368B1 (ko) * 2013-12-12 2014-04-04 유상근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612A (en) 1974-07-08 1976-0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Fluid valve with wide temperature range
EP0658362A2 (en) 1993-12-13 1995-06-21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filter master module with optional diverter capability
US20010008147A1 (en) 1999-05-19 2001-07-19 Miller Gary Wayne Filter arrangement
EP1477873A1 (de) * 2003-05-12 2004-11-17 WIKA Alexander Wiegand GmbH & Co.KG Druckregel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767Y1 (ko) * 1970-09-21 1975-06-07
JPS5915790Y2 (ja) * 1979-05-30 1984-05-10 日東工器株式会社 圧縮機等の弁機構
JPS63125264U (ko) * 1987-02-06 1988-08-16
JPH0562775U (ja) * 1992-01-31 1993-08-20 株式会社土屋製作所 リリーフバルブ
JP3296372B2 (ja) * 1993-03-30 2002-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水中ポンプ
DE19705405A1 (de) * 1997-02-13 1998-08-2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anlage
JP3767111B2 (ja) * 1997-08-29 2006-04-19 Nok株式会社 噴射弁
DE19849849A1 (de) * 1998-10-29 2000-05-04 Pierburg Ag Brennstoffdruckregel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JP2002012470A (ja) * 2000-06-23 2002-01-15 Ngk Spark Plug Co Ltd 高純度アルミナ焼結体、高純度アルミナボール、半導体用治具、絶縁碍子、ボールベアリング、チェックバルブ及び高純度アルミナ焼結体の製造方法
DE10107223A1 (de) * 2001-02-16 2002-08-22 Bosch Gmbh Robert Druckregler
US6886590B2 (en) * 2002-09-20 2005-05-03 Siemens Vdo Automative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fuel pressure regulator
JP2004301120A (ja) * 2003-03-14 2004-10-28 Denso Corp 燃料圧力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612A (en) 1974-07-08 1976-0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Fluid valve with wide temperature range
EP0658362A2 (en) 1993-12-13 1995-06-21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filter master module with optional diverter capability
US20010008147A1 (en) 1999-05-19 2001-07-19 Miller Gary Wayne Filter arrangement
EP1477873A1 (de) * 2003-05-12 2004-11-17 WIKA Alexander Wiegand GmbH & Co.KG Druckregelu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5002871T5 (de) 2007-10-18
WO2006060517A1 (en) 2006-06-08
KR20070086392A (ko) 2007-08-27
JP2008522099A (ja)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132B2 (en) Pressure regulator with ceramic valve element
US7984728B2 (en) Fuel pressure regulator valve assembly
EP1061251B1 (en) Fuel filter including slow release additive
JP4763694B2 (ja) 自動車の燃料を通す管路において使用される弁
JP5121829B2 (ja) 圧力レギュレータ用の流れ制御デバイス
US4657045A (en) Noise-preventing structure for water mixing cocks
US6668856B2 (en) Valve with guided ball
KR100902449B1 (ko) 세라믹 밸브 부재를 갖는 압력 조절기
JP2008536049A (ja) 燃料噴射弁
KR19980703405A (ko) 통류 압력 레귤레이터
US7370816B2 (en) Fuel injector
US20110204268A1 (en) Unbalanced Inlet Fuel Tube For A Fuel Pressure Regulator
JP2006144797A (ja) 網状同心リングを有する圧力調整弁の偏倚部材
US6655611B2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comprising flexible element for positioning armature
US7146997B2 (en) Regulator with flow diffuser
JP4352879B2 (ja) バルブ内蔵コネクタ
KR100958711B1 (ko)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JP2009180377A (ja) バルブ内蔵コネクタ
KR100981086B1 (ko)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US7111639B2 (en) Pressure regulator including a press-fit spring retainer
WO2018175575A1 (en) Stacked spray disc assembly for a fluid injector
KR950033061A (ko) 유통식 연료압 조절기
WO2001088418A1 (en) Regulating valve for insertion in a valve housing in a liquid-carrying medium
GB2586247A (en) Non-return check valve for vacuum system
JPH06185646A (ja) 圧力調整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