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33061A - 유통식 연료압 조절기 - Google Patents

유통식 연료압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33061A
KR950033061A KR1019950011241A KR19950011241A KR950033061A KR 950033061 A KR950033061 A KR 950033061A KR 1019950011241 A KR1019950011241 A KR 1019950011241A KR 19950011241 A KR19950011241 A KR 19950011241A KR 950033061 A KR950033061 A KR 950033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lve
housing
pressure regulator
annul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681B1 (ko
Inventor
에스. 로빈슨 배리
제이. 혼비 마이클
엘. 베네트 젠
Original Assignee
러셀 시. 웰즈
지멘스 오토모티브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239,665 external-priority patent/US5435344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269,406 external-priority patent/US5435345A/en
Application filed by 러셀 시. 웰즈, 지멘스 오토모티브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러셀 시. 웰즈
Publication of KR95003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05D16/0658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obtu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fety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유통식 연료조절기(30)는 그 밸브요소를 위해서 연료 입구챔버(56)의 하우징 단부벽(50)에 레이저 용접된 구(70)와, 그리고 그 밸브시이트(68)를 위해서 연료입구챔버와 연료출구챔버(58)를 구획하고 연료 출구챔버에 배치된 스프링(82)에 의해 연료 입구챔버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이동가능한 벽(다이아프램)(54)의 중앙부에 서 환형부재(60)에 있는 관통통로(66)의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 코이닝 가공된 원형 표면을 가지고 있다. 환형부재는 구에 대한 케이지를 형성하는 원주상으로 이격된 일련의 바아(114)를 포함하고 있어 구가 하우징의 축선을 따라 구에 상대적인 이동가능한 벽의 중앙구역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유통식 연료압 조절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내연기관용의 대표적인 연료시스템을 일부는 개략적으로 그리고 일부는 절취하여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연료압조절기와 이 조절기의 장착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게 위해 제1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Claims (15)

  1. 액체연료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탱크, 펌프의 출구로부터 압력하에서 연료를 펌핑시키기 위해 탱크상에 장착된 펌프, 펌프출구로부터 연료를 엔진안으로 분사시키는 엔진에 장착된 연료분사수단으로 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도관수단, 및 연료분사수단에 펌핑된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내연기관 차량용 연료시스템에 있어서, 통로관 통수단은 과잉연료를 펌프출구로부터 되돌아서 탱크로 보내기 위해 상기 압력조절기에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수단은 연료분사수단쪽으로 이송되는 연료에 소정된 압력을 제공하도록 펌프로부터의 과잉연료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기 위해 상기 관통통로수단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조절기는 완전히 탱크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압력조절기는 축선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축선을 횡단하는 이동가능한 벽에 의해 연료입구챔버와 연료출구챔버로 나누어져 있는 하우징, 압축된 액연료가 상기 연료입구챔버로 들어가게 하는 통로 수단, 과잉액연료가 상기 연료출구챔버를 빠져나가게 하는 통로수단, 상기 연료입구 챔버에 있는 연료에 의해 상기 이동가능한 벽상에 발휘한 압력에 대향하여 상기 입구챔버쪽으로 상기 이동가능한 벽의 중앙구역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 출구챔버내에 배치된 탄성가압스프링수단, 그리고 상기 관통통로수단이 상기 이동가능한 벽상에 장착된 환형부재에 담겨져 있고 상기 밸브가 상기 관통통로수단을 에워싸는 원형 밸브시이트와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스프링수단에 의한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이동가능한 벽의 위치결정과 상기 연료입구챔버내의 연료압력에 따라 상기 밸브시이트상에 착좌시키고 상기 밸브시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관통통로수단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밸브시이트와 상기 작용하기 위해 배치된 구형 표면을 가진 상기 하우징상에장착된 밸브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재와 환형부재의 축선상의 정렬을 유지하는 정렬유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수단은 상기 탄성가압스프링수단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상기 이동가능한 벽의 상기 중앙구역상에 장착된 환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환형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융기되어 있고 상기 환형부재에 있는 중앙관통구멍의 둘레를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관통통로수단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도록 상기 밸브시이트와 상호 접촉하는 밸브폐쇄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폐쇄부재는 상호 작용을 위해서 상기 시이트를 향한 절두형 표면을 가진 절두형 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형구는 포스트의 하단부상에 장착되어 선회되고 포스트의 다른 한단부가 상기 하우징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표면은 적으도 반구로 구성되고 상기 정렬유지수단은 상기 구형표면의 상기 반구를 잠금하도록 상기 환형부재상에 케이지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수단은 적어도 상기 반구의 직경만큼 상기 환형 부재로부터 축선상으로 뻗어있는 원주상으로 이격된 일련의 바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이트는 상기 축선에 대하여 60°각도를 이루고 있는 코이닝 가공된 표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폐쇄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 완전한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구장착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구의 일부는 상기 구멍에 착좌되고 상기 구멍주위의 상기 하우징에 이음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벽에 있는 중앙함몰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료압조절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연료가 상기 연료입구챔버로 들어가게 하는 상기 통로수단은 상기 구 장착구멍의 방사상 바깥쪽에 배치된 상기 하우징내의 복수의 연료유입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15. 제3항에 있어서, 과잉액 연료가 상기연료출구챔버를 빠져나가게 하는 상기 통로 수단은 상기 축선과 동축인 상기 하우징의 단부벽에 있는 단일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 조절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11241A 1994-05-09 1995-05-09 유통식연료압조절기 KR100378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39,665 US5435344A (en) 1993-07-14 1994-05-09 Flow through fuel pressure regulator
US08/239665 1994-05-09
US8/239,665 1994-05-09
US08/269406 1994-06-30
US08/269,406 US5435345A (en) 1993-07-14 1994-06-30 Flow through fuel pressure regulator
US8/269,406 199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61A true KR950033061A (ko) 1995-12-22
KR100378681B1 KR100378681B1 (ko) 2003-05-23

Family

ID=2693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241A KR100378681B1 (ko) 1994-05-09 1995-05-09 유통식연료압조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78681B1 (ko)
CN (1) CN11132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9477B1 (fr) * 2002-12-26 2006-05-19 Rexam Dispensing Sys Procede d'integration d'un clapet anti-retour a bille dans un corps de pompe
DE102004048386B4 (de) * 2004-10-01 2006-11-09 Siemens Ag Druckregler für eine Kraftstoff-Fördereinheit
DE102004048392B4 (de) * 2004-10-01 2012-10-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regler für eine Kraftstoff-Fördereinh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reglers
CN108119272A (zh) * 2011-10-11 2018-06-05 上海索菲玛汽车滤清器有限公司 燃油压力调节器
DE102016013008A1 (de) * 2016-11-02 2018-05-03 Mann + Hummel Gmbh Einheit zum Regeln oder Steuern eines Fluiddruck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466A (ja) * 1983-03-18 1984-09-26 Hitachi Ltd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681B1 (ko) 2003-05-23
CN1113293A (zh) 1995-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5345A (en) Flow through fuel pressure regulator
US4572436A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tapered armature/valve
US4395988A (en) Fuel injection system
US4284039A (en) Pressure regulator for injection system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413077A (en) Non-return fuel system with fuel pressure vacuum response
US5348233A (en) High volume gaseous fuel injector
US7210460B2 (en) Bypass pressure regulator
US10883458B2 (en) Asymmetric spring valve disk
KR102082562B1 (ko) 내연 엔진용 연료 분사 시스템
US5509444A (en) Flow through pressure regulator
KR20010102344A (ko) 연료 오리피스용 난류발생기를 구비한 연료 분사기
JPH10231755A (ja) 液化燃料用燃料インジェクタ
US9745933B2 (en) Fuel pressure regulator
JP2556505B2 (ja) 圧力調整装置
KR950001335B1 (ko) 연료 분사 밸브
JP2010540814A (ja) リードバルブを備えた流体インジェクタ
JPS61275565A (ja) 燃料圧力調整器
KR950033061A (ko) 유통식 연료압 조절기
KR19990008090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
US3598314A (en) Accumulator-type injection valve
US20020078927A1 (en) Fuel demand regulator
KR100508502B1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830005480A (ko) 점화 제어 내연기관의 분사 시스템용 압력 조정기
JPH07180639A (ja) 内燃機関を有する自動車の燃料装置
CA1199252A (en) Three-way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