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175B1 -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175B1
KR100902175B1 KR1020070136152A KR20070136152A KR100902175B1 KR 100902175 B1 KR100902175 B1 KR 100902175B1 KR 1020070136152 A KR1020070136152 A KR 1020070136152A KR 20070136152 A KR20070136152 A KR 20070136152A KR 100902175 B1 KR100902175 B1 KR 10090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boiler
observation window
liquid oxygen
flam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주
김종진
박병식
최규성
안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8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reducing temperature in combustion chamber, e.g. for protecting walls of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2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water tubes arranged in the boiler furnace, fire tubes, or flu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2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using a mixture of gaseous fuel and pure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8Tr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e.g. by filtering, or moi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23M11/04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 F23M11/042Viewing ports of wind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고농도화하여 회수할 목적으로 보일러에 공급되는 산소에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가스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순산소연소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 외관에 위치하는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주위에 낮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불어넣어서 연소열의 복사로 인하여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일측에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형성되고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와 보일러로 공급되는 물을 서로 열교환시키는 절탄기와;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탱크와; 상기 액체산소탱크와 연결되어 액체산소를 기화시키는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와; 상기 관측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상기 화염센서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통상의 순산소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배기가스로 흡입하여 상기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에 제공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후단에는 송풍기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에서 수증기를 분리하는 수분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136152
보일러, 관측창냉각, 화염센서냉각, 재순환가스, 순산소연소

Description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Cooling methods of observing windows and flame sensors in Oxy-fuel combustion boiler for carbon capture}
본 발명은 보일러 설치된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주위에 연소열보다 낮은 온도의 재순환배기가스를 불어넣어서 주변을 냉각시켜 연소열로 인하여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소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석유 또는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에는 공기를 산화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산화제로 사용되는 공기의 일부를 관측창이나 센서의 냉각용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고농도화하여 회수할 목적으로, 보일러에 순산소를 공급하여 배기가스 일부를 재순환시켜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산소를 그대로 산화제로 사용하는 순산소연소 보일러에 있어서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고농도화가 목적이기 때문에 질소성분비율이 높 은 공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산소연소장치의 최적 연소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가동 중에 상기 보일러의 내부를 수시로 감시 및 관측한다. 즉, 산소연소장치를 갖는 보일러에는 항상 연소상태를 육안으로 관측, 확인하기 위하여 관측창이 설치되거나, 순산소연소장치의 작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화염의 소실시 연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 화염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0019281호에서는 연소로에 부착되는 샘플포트 몸체(2)에 샘플포트 덮개(3)가 체결되되, 샘플포트덮개(3)는 관측창 부분(5)과 샘플링 프루브 장착부분(6)으로 이루어지면서 이들은 연결부(7)를 이용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관측창 부분(5)은 연소로 내부의 관측이 용이하도록 중간에 원형 석영창(8)이 장착되는 한편, 샘플링 프루브 장착부분(6)은 온도측정용 프루브(9)를 장착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9)을 갖춘 유니온 체결부가 설치된 연소실 관측창을 겸비한 샘플포트 구조를 제시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0019281호는 연소로 내부의 각종 관측 및 샘플 채취 및 온도측정 등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고온의 배기가스 및 화염의 복사열의 영향으로 수명이 길지 못하다. 특히, 산소연소장치가 작동 중에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고장난 경우에는 연소상태를 확인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고온의 화염이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에 순산소연소장치의 작동을 중지하고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를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순산소연소장치를 정지시킴으로서 생산공정에 커다란 차질이 발생하고,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수반되며, 고온의 연소가스의 누출을 초래하여 안전상의 커다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내측에 위치하는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주위에 연소열보다 낮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수증기 불포화 재순환배기가스로 만들어 불어 넣어서 주변을 냉각시키므로 연소열로 인하여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형성되고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와 보일러로 공급되는 물을 서로 열교환시키는 절탄기와;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탱크와; 상기 액체산소탱크와 연결되어 액체산소를 기화시키는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와; 상기 관측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상기 화염센서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통상의 순산소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배기가스로 흡입하여 상기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에 제공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후단에는 송풍기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에서 수증기를 분리하는 수분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기에서 흡입된 재순환배기가스를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재순환배기가스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는 순산소나 공기를 사용하여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고농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연소열보다 매우 낮은 온도의 재순환배기가스가 보일러에 설치된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주변을 냉각시켜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순환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여 배기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와 수분이 접촉하여 형성된 탄산으로 인한 배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송풍기의 후단에는 송풍기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에서 절탄기 및 각종의 열교환기를 거쳐서 온도가 낮아짐으로서 수증기가 이미 많이 분리되었으며, 이를 재순환배기가스가열기에서 재가열함으로서 불포화수증기 상태의 재순환배기가스를 공급하거나 수분분리기를 설치하여 수분에 의한 장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는 보일러(10), 절탄기(20), 액체산소탱크(30),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31), 송풍기(40) 및 수분분리기(45)로 이루어진다.
보일러(10)는 작동시에는 석탄, 석유 또는 가스 등의 연료와 연료를 산화시키는 순산소를 산화제를 함께 공급받아 이들을 연소시켜서 보일러(10)의 연소실을 둘러싸고 있는 보일러수실(11)의 물을 가열하고, 연소후의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기가스를 배기관(15)으로 배출시킨다. 보일러(10)에는 연소버너(12)의 연소상태를 관측하는 관측창(13)과, 내벽에 설치되어 화염상태를 측정하는 화염센서(14)가 구비된다. 관측창의 일측에는 수분분리기(45)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를 분사시키는 제1배기가스분사노즐(55)이 형성되고, 화염센서(14)의 일측에는 재순환배기가스를 분사시키는 제2배기가스분사노즐(56)이 형성된다.
절탄기(20)는 보일러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와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서로 열교환시킨다. 급수부(25)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제1유량조절밸브(27)에 의해 조절된다. 절탄기(20)에서 열교환된 물은 보일러수실으로 공급되어 보일러(10)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을 줄여 연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액체산소탱크(30)는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액체산소를 저장하고,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31)는 액체산소탱크로부터 액체산소를 제공받아 기상의 순산소로 기화시킨다.
송풍기(60)는 배기관(15)으로부터 분기된 재순환관(41)을 통해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배기가스로 흡입하고, 흡입된 재순환배기가스를 관측창의 일측에 형성된 제1배기가스분사노즐(55) 및 화염센서(14)의 일측에 형성된 제2배기가스분사노즐(56)로 공급한다. 이때, 송풍기에서 흡입하는 재순환배기가스의 유입량은 제2유량조절밸브(42)로 조절된다.
한편, 송풍기(60)는 인버터용 송풍기를 사용하면 회전속도를 가변시켜서 재순환배기가스의 송풍량이 조절함으로서 덕트 누설에 의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분리기(45)는 송풍기에서 흡입된 재순환배기가스에서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한다. 수분분리기(45)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제거되면 배기가스가 이동되면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는 절탄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형성된 배기가스식액체산소기화기(50)를 더 구비한다. 배기가스식액체산소기화기(50)는 액체산소탱크(30)에서 제조된 액체산소를 제공받아 절탄기(20)를 통과한 저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액체산소를 기상의 순산소로 기화시키고, 배기가스의 온도를 더욱 낮춘다. 이에 따라 액체산소는 배기가스로부터 대량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기 때문에 액체산소를 기화시키는 별도의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가 필요 없으며, 또한, 배기가스는 상기 액체산소에 열량을 빼앗겨 온도가 낮아진 상태이므로 배기가스의 처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는 보일러(10)와 절탄기(20)의 사이에 재순환배기가스가열기(60)를 더 구비한다. 배기가스가열기(60)는 송풍기(40)에서 흡입된 재순환배기가스를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따라, 재순환배기가스는 재순환배기가스가열기(60)를 통과하면서 수증기의 포화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재순환관(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배기가스분사노즐(55) 및 제2배기가스분사노즐(56)로 공급되는 순간까지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관측창 및 화염센서로 제공되는 재순환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분리기가 필요 없어 수분분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 석유 또는 가스 등의 연료와 연료를 산화시키는 산화제를 함께 공급받은 보일러(10)는 연소버너(12)에서 이들을 연 소시켜 보일러(10)의 외부에 설치된 보일러수실(11)의 물을 가열시키고, 연소후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기가스를 배기관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보일러수실(11)에서 가열된 물은 또 난방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 활용된다.
한편, 보일러의 일측벽에 설치된 관측창에서 연소버너(12)의 연소상태를 관측하고, 보일러(10)의 내벽에 설치된 화염센서(14)에서 화염상태를 측정한다.
보일러(10)에서 연소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절탄기(20)로 공급되고, 절탄기(20)에서 보일러수실(11)로 공급되는 급수부(25)에서 공급되는 급수관(26)의 물과 서로 열교환되어 예열된다. 따라서, 보일러수실로 공급된 예열된 물은 보일러(10)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을 줄일 수 있어서 결국 연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때, 급수부(25)에서 공급되는 양은 제1유량조절밸브(27)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물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진 배기가스의 일부는 배기관으로부터 분기된 재순환관(41)을 통해 송풍기(40)로 흡입된다. 이때, 재순환관(41)에 제2유량조절밸브(42)가 설치되어 송풍기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한다.
송풍기(40)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는 수분분리기(45)를 통과하면서 재순환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수분분리기(45)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제거되면 배기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와 수분이 접촉하여 형성된 탄산이 배관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재순환배기가스는 제1배기가스분사노즐(55)을 통하여 보일러(10)의 벽체에 설치된 관측창(13)의 주위로 불어넣어지고, 제2배기가스분사노즐(56)을 통하여 화염센서(14)의 주위로 불어넣어진다. 따라서,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주위에 연소열보다 낮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재순환배기가스로 분사하여 주변을 냉각시키므로 연소열로 인하여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일러(10)에 공급되는 기상의 순산소는 액체산소탱크(30)에서 제조된 액체산소를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31)에서 대기와 열교환시켜 순산소로 기화시킨 후에 제공하거나(도 2 참조) 또는 액체산소탱크(30)에 저장된 액체산소를 절탄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형성된 배기가스식액체산소기화기(50)에서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순산소로 기화시킨 후에 제공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도 3과 같이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액체산소를 기화시키면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가 필요치 않으며, 배기가스가 액체산소에 열량을 빼앗겨 온도가 낮아진 상태이므로 배기가스의 처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10)와 절탄기(20)의 사이에서 송풍기(40)에 의해서 흡입된 재순환배기가스를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재순환배기가스가열기(60)를 설치하여 재순환배기가스를 수증기의 포화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키면 재순환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분리기가 필요 없어 수분분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보일러 내부에 위치하는 관측창(13) 및 상기 화염센서(14) 주위로 보일러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열보다 매우 낮은 온도의 재순환배기가스를 불어넣어주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종래의 산소연소장치의 샘플포트 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일러 11: 보일러수실
20: 절탄기 25: 급수부
30: 액체산소탱크 31: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
40 : 송풍기 45 : 수분분리기
50 : 배기가스식액체산소기화기 60 : 재순환배기가스열교환기

Claims (5)

  1. 일측에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형성되고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와 보일러로 공급되는 물을 서로 열교환시키는 절탄기와;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탱크와; 상기 액체산소탱크와 연결되어 액체산소를 기화시키는 대기식액체산소기화기와; 상기 관측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상기 화염센서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통상의 순산소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배기가스로 흡입하여 상기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에 제공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후단에는 송풍기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에서 수증기를 분리하는 수분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2. 일측에 관측창 또는 화염센서가 형성되고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와 보일러로 공급되는 물을 서로 열교환시키는 절탄기와;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탱크와; 상기 관측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상기 화염센서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통상의 순산소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산소탱크에서 저장된 액체산소를 제공받아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순산소로 기화시키는 배기가스식액체산소기화기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배기가스로 흡입하여 상기 제1배기가스분사노즐 및 제2배기가스분사노즐에 제공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후단에는 송풍기를 통과한 재순환배기가스에서 수증기를 분리하는 수분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서 흡입된 재순환배기가스를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재순환배기가스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5. 삭제
KR1020070136152A 2007-12-24 2007-12-24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KR10090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52A KR100902175B1 (ko) 2007-12-24 2007-12-24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52A KR100902175B1 (ko) 2007-12-24 2007-12-24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175B1 true KR100902175B1 (ko) 2009-06-10

Family

ID=4098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152A KR100902175B1 (ko) 2007-12-24 2007-12-24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3230A (zh) * 2013-07-10 2013-09-25 佛山市广顺电器有限公司 气体燃烧喷嘴测试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036A (ja) * 2002-09-09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焚きボイラの覗き窓
JP2007147162A (ja) * 2005-11-28 2007-06-14 Electric Power Dev Co Ltd 酸素燃焼ボイラの燃焼制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036A (ja) * 2002-09-09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焚きボイラの覗き窓
JP2007147162A (ja) * 2005-11-28 2007-06-14 Electric Power Dev Co Ltd 酸素燃焼ボイラの燃焼制御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3230A (zh) * 2013-07-10 2013-09-25 佛山市广顺电器有限公司 气体燃烧喷嘴测试方法及装置
CN103323230B (zh) * 2013-07-10 2016-06-01 佛山市广顺电器有限公司 气体燃烧喷嘴测试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7972B (zh) 干馏气化焚烧处理装置
US6029588A (en) Closed cycle waste combustion
KR101293003B1 (ko) 액화가스유조선 또는 액화가스터미널에 설치된가스소성로장치
CA2443738C (en) Closed cycle waste combustion
BRPI0913080A2 (pt) método de suprimento de carvão pulverizado em um alto-forno
CN109595568B (zh) 高纯度废氨气焚烧炉、系统及工艺
AU2002252628A1 (en) Closed cycle waste combustion
KR100902175B1 (ko) 관측창 및 화염센서의 냉각이 가능한 순산소연소장치
KR100934751B1 (ko) 재순환배기가스 수분응축 방지용 열교환기를 갖는이산화탄소 고농도화 순산소 연소보일러
KR100913888B1 (ko) 가연성 불순물이 혼합된 배출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고순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방법
Bohn et al. Flame temperatures and species concentrations in non-stoichiometric oxycoal flames
ES2400923T3 (es) Dispositivo para purificación térmica de gases de escape y procedimiento para la purificación térmica de gases de escape
CN111678153A (zh) 一种基于温度测量的废液焚烧与余热回收的一体化装置
KR860000327B1 (ko) 습윤열풍 발생방법 및 장치
JP4413249B2 (ja) 火葬炉の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火葬炉の燃焼制御方法
CN104456515A (zh) 一种锅炉的运行方法
KR100891726B1 (ko) 공기 퍼지장치를 가지는 순산소연소 보일러
JP3937232B2 (ja) 炭化装置
JP3846998B2 (ja) 燃料油と水の混合燃焼装置
US20220307688A1 (en) Thermal Oxidiz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Greenhouse Gas Capture
JP5044317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設備の燃焼室及び燃焼方法
KR20120074544A (ko) 연소실의 연소 제어방법
CN207412783U (zh) 一种再沸器及精馏体系
CN103836627B (zh) 无辅助燃料点火的高炉煤气燃烧机
JP4166190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