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35B1 - 주행용 동력분무기 - Google Patents

주행용 동력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35B1
KR100901835B1 KR1020090012455A KR20090012455A KR100901835B1 KR 100901835 B1 KR100901835 B1 KR 100901835B1 KR 1020090012455 A KR1020090012455 A KR 1020090012455A KR 20090012455 A KR20090012455 A KR 20090012455A KR 100901835 B1 KR100901835 B1 KR 10090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tank
spraying
power spray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진
Original Assignee
박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진 filed Critical 박승진
Priority to KR102009001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원과 같이 높은 곳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주행용 동력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행용 동력분무기는 엔진이 장착되고 주행가능한 이동대차에 용액을 저장하는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내에 저장된 용액을 분사하도록 분무펌프와 분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무수단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의 한쪽에 조작부가, 상기 조작부 반대쪽에 분무수단이, 상기 조작부와 분무수단 사이에는 탱크와 엔진과 분무펌프가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분무수단은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반원형태의 제1판과, 상기 제1판에 이격되게 설치된 제2판과,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이송통로가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수단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한 바람을 이송통로로 전달하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이송통로는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방사선 형태로 설치된 격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한쪽에는 일정길이의 호스가 감긴 호스 릴을 갖는 제2분무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탱크와 분무수단은 이동대차의 프레임에 분리되는 받침대에 설치되어 이동대차와 분리되고, 상기 탱크와 분무수단이 분리된 이동대차에는 적재함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에 양측으로 가이드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대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분리시 용이하게 분리되며, 상기 받침대는 프레임에 고정구로 분리/고정된 것이다.
상기 분무수단의 다수개의 분무노즐은 제1 분배파이프와 제2 분배파이프에 나누어져 설치되어 양측 또는 한쪽만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관리기, 주행용, 분무기, 이동대차, 분무수단, 송풍기

Description

주행용 동력분무기{High-pressure sprayer}
본 발명은 과수원과 같이 높은 곳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주행용 동력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병충해 방지 및 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 농약을 살포한다. 농약은 살균, 살충제 및 기타 영양제를 통칭하는 것으로 농작물의 해충을 방제함과 아울러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농약(이하, 용액이라 칭함)은 일반적으로 용액을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 내의 용액을 압력을 가지고 이동시키는 분무펌프와, 상기 분무펌프에 호스로 연결되어 분무하는 분무노즐이 설치된 노즐대로 작업자가 이동하며 한손으로 노즐대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호스를 잡고 이동하면서 농작물에 용액을 분사(살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적어도 2명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며, 작업자로 하여금 많은 노동력을 소모시키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어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04127호의 농약살포기는 트랙터의 한쪽에 농약살포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농약을 살포하고, 작업자가 농약에 노출되어 중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트랙터의 한쪽에 농약살포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트랙터를 농가에서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몸체가 크기 때문에 특히 과수원과 같이 나무에 의하여 이동로의 폭이 좁은 협소한 공간에 진입하여 살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0337392호의 농약살포기는 탱크가 적재되고 동력수단인 경운기로 이동되는 적재대에 반원형상으로 다수개의 분무노즐이 설치된 제1분무수단과, 일정길이의 호스가 감긴 릴로 이루어진 제2분무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농약살포기는 반원형상으로 다수개의 분무노즐이 설치된 제1분무수단에서 살포되는 용액은 높이 살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제1분무수단으로 높이 용액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용액에 높은 압력을 부여야 하며, 이 경우에는 연결부분에서 압력에 의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과수원과 같이 높은 곳에 용액을 살포할 경우에는 제1분무수단을 이용하지 못하고, 제2분무수단을 이용하여 용액을 살포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많은 노동력을 요구하며,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1993-6326호의 관리기용 분무기는 용액이 분사되는 분무노즐에 바람을 발생시키는 휀으로 바람을 공급하여 분사(살포)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관리기용 분무기는 분무노즐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분사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한쪽 부분만 살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휀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균일하게 분무노즐에 공급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편중되는 형상이 발생하여 균일한 분무를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분사노즐이 설치된 판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경사진 곳에서 분사가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주행가능한 이동대차가 과수원과 같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에도 수직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분무수단과 이동대차 사이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주행용 동력분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분무수단에 방사선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분사노즐에 부체꼴 형태로 다수개의 이송통로를 형성하여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용액을 바람으로 더 멀리 보내는 동시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주행용 동력분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주행용 동력분무기는,
엔진이 장착되고 주행가능한 이동대차에 용액을 저장하는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내에 저장된 용액을 분사하도록 분무펌프와 분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무수단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의 한쪽에 조작부가, 상기 조작부 반대쪽에 분무수단이, 상기 조작부와 분무수단 사이에는 탱크와 엔진과 분무펌프가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분무수단은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반원형태의 제1판과, 상기 제1판에 이격되게 설치된 제2판과,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이송통로가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수단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한 바람을 이송통로로 전달하는 덕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무수단은 이동대차에 각도가 조절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통로는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방사선 형태로 설치된 격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한쪽에는 일정길이의 호스가 감긴 호스 릴을 갖는 제2분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와 분무수단은 이동대차의 프레임에 분리되는 받침대에 설치되어 이동대차와 분리되고, 상기 탱크와 분무수단이 분리된 이동대차에는 적재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에 양측으로 가이드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대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분리시 용이하게 분리되며, 상기 받침대는 프레임에 고정구로 분리/고정된다.
상기 분무수단의 다수개의 분무노즐은 제1 분배파이프와 제2 분배파이프에 나누어져 설치되어 양측 또는 한쪽만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대차의 프레임 하측에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L'자형으로 형성된 덕트로 분무수단의 다수개의 이송통로에 분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주행용 동력분무기는 다수개의 이동통로로 용액이 살포되는 분사노즐에 강력한 바람에 전달됨으로써 용액의 살포능력이 향상되어 과수원의 나무와 같이 높은 곳에 용이하게 용액을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분무수단이 이동대차와 각도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경사진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용액을 원하는 장소에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무수단과 탱크가 이동대차의 프레임에서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무수단과 탱크를 탈착하여 적재함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대차의 프레임에서 받침대가 분리되고, 상기 받침대에 분무수단이 분리된다.
도 3은 본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탱크가 분리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탱크와 분무수단이 설치된 받침대를 분리하고, 적재함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송풍수단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분무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받침대에 분무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상세도로써, 도 7은 분무수단이 받침대에 각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8과 도 9는 분무수단이 받침대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분무수단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분무수단에 바람이 이송되는 이송통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이동대차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분무수단에 설치된 분사 뭉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측면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이동대차에서 분무수단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주행용 동력분무기는 크게 엔진(12)의 동력으로 이동바퀴(13)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이동대차(10)와, 상기 이동대차(10)에 안착(설치)되어 용액을 저장하는 탱크(20)와, 상기 탱크(20)에 저장된 용액을 분사하는 분무수단(30)과, 상기 탱크(20)와 분무수단(30)이 설치되는 받침대(40)와, 상기 분무수단(30)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50)과, 제2분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대차(1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L'자 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의 한쪽에 설치된 손잡이(17a)와 조작레버(17b)를 포함하는 조작부(17)와, 엔진(12)과, 분무펌프(14)와, 밸브박스(15)가 설치되고, 하측에 엔진(12)으로부터 동력전달장치(16)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이송바퀴(13)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의 양측에는 가이드대(18)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박스(15)에는 다수개의 호스(1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동대차(10)는 조작부(17)에서 동작이 조작되고, 엔진(12)의 동력은 풀리(16a)와 벨트(16b)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16)에 의하여 전달되어, 분무펌프(14)와 이송바퀴(13)를 작동시킨다.
상기 이송바퀴(13)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무한궤도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타이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송바퀴(13)는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이동대차(10)에 설치된 엔진(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으나, 이송바퀴(13)는 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트랙터와 같은 농기구기계에 연결되어 이동대차(10)가 끌려다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분무펌프(14)는 엔진(12)의 동력전달장치(16)로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여 탱크(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후설되는 분무수단(30)과 제2분무수단(60)으로 공급한다.
상기 밸브박스(15)는 용액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것으로 분무펌프(14)에서 용액을 공급받아 각각의 호스(19)로 후설되는 분무수단(30)과 제2분무수단(60)으로 제어하여 공급한다.
상기 가이드대(18)는 도 2와 같이 프레임(11)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대(18a)와 제2가이드대(18b)로 이루어지며, 보통 단면은 도 11과 같이 롤러가 설치되고 안내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임(11)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대(18)에는 후설되는 받침대(40)의 하측에 설치된 롤러(41)가 설치되어 안내된다.
상기 탱크(20)는 용액을 저장하는 것으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후설되는 분무수단(30)과 함께 받침대(40)에 설치된다.
상기 분무수단(30)은 탱크(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공급받아 살포(분사)하는 것으로, 도 1과 도 2와 같이 분사노즐(34)이 설치된 분사뭉치(33)가 방사선 형태로 설치된 반원형태의 제1판(31)과, 상기 제1판(31)과 이격되게 설치된 제2판(32)과, 상기 제1판(31)과 제2판(32) 사이에 바람의 이송통로(36)가 형성되도록 방사선(부체꼴) 형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격판(35)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분사뭉치(33)는 2개의 분배파이프(37)에 분할되어 설치된다.
상기 분배파이프(37)는 도 2와 도 4와 같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제1분배파이프(37a)와 제2분배파이프(37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배파이프(37a)와 제2분배파이프(37b)에는 밸브박스(15)에서 각각 인출된 호스(19)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34)이 설치된 분사뭉치(33)가 가운데를 중심으로 나누어진 제1분배파이프(37a)와 제2분배파이프(37b)에 설치됨으로써 밸브박스(15)에서 제1분배파이프(37a) 또는 제2분배파이프(37b)에 설치된 분사노즐(34)의 한쪽만을 분사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무수단(30)은 도 3과 같이 이동대차(10) 프레임(11)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17)와 반대부분인 한쪽 끝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작업자와 분무수단과 거리를 최대로 하여 용액으로부터 작업자가 피해를 입지않도록 한다.
상기 분사뭉치(33)는 도 12와 같이 양측에 분사량 또는 분사형태가 다른 분사노즐(34)을 포함하고, 상기 도 12 (b)와 같이 2개의 분사노즐(34) 중 용액의 이동통로가 개폐된 하나(도면상 상부)의 분사노즐(34)에서만 용액이 살포(분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0794607호의 방사형 분무장치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이송통로(36)는 도 10과 같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판(31)과 제2판(32) 사이에 방사선(부체꼴) 형태로 설치된 격판(35)에 의하여 방사선(부체꼴) 형태로 형성되어 방사선(부체꼴) 형태로 배치되어 설치된 분사노즐(34)에서 후설되는 송풍수단(50)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안내하여 용액의 살포(분사)능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받침대(40)은 도 11과 같이 이동대차(10)의 프레임(11)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대(18)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40)에는 탱크(20)와 분무수단(30)이 설치된다.
도 11의 (a)와 (b)와 같이 상기 받침대(40)의 하측에는 프레임(11)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대(18)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롤러(41)가 설치되고,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로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40)를 프레임(11)과 분리할 경우에는 고정부재를 분리하고, 받침대(40)를 조작부(17)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2와 같이 프레임(11)의 가이드대(18)에서 받침대(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41)가 빠져나와 프레임(11)에서 받침대(40)가 분리된다.
이러한 받침대(40)에 탱크(20)와 분무수단(30)이 설치됨으로써 도 5와 같이 받침대(40)를 이동대차(10)의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하고, 적재함(7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70)의 하측에는 받침대(40)와 동일하게 가이드대(18)에 삽입 되는 다수개의 롤러(41)가 설치되고, 고정부재로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40)에 설치되는 분무수단(30)은 도 7과 같이 설치되거나, 또는 도 8과 도 9와 같이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받침대(40)의 끝부분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로 분무수단(30)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분무수단(30)이 각도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치한 것이며,
도 8과 도 9와 같이 받침대(40)의 끝부분에 분무수단(30)을 힌지(38) 결합하고, 상기 분무수단(30)과 받침대(40) 사이에 각도조절장치(39)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분무수단(30)이 받침대(40)의 끝부분에 힌지(38) 결합되고, 분무수단(30)과 받침대(40) 사이에 각도조절장치(39)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이동대차(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분무수단(30)은 도 13과 같이 소정의 각도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이동대차(10)에 설치된 받침대(40)에 소정의 각도로 조절되게 설치되는 분무수단(30)은 이동대차(10)가 경사진 면을 이동할 경우에도 분무수단(30)을 각도조절장치(39)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 13과 같이 분무수단(3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용액이 상부로 향하되 전방의 방향으로 분사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장치(39)는 도 8과 같이 유압 또는 공압을 사용하는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도 9와 같이 길이조절용 턴 버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과 같이 각도조절장치(39)가 유압(공압)실린더가 사용된 경우에는 이동 대차(10)의 일측에 유압(공압)펌프(미도시)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장치(39)는 이동대차(10)의 조작부(17)에서 유압(공압)에 의하여 원격조작된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장치(39)는 작업자가 조작부(17)에서 조작할 수 있음으로 분사 중 또는 주행하며 분사 중에도 분무수단(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송풍수단(50)은 바람을 용액이 살포(분사)되는 분사노즐(34)에 공급하여 용액의 살포(분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엔진(12)의 동력을 동력전달장치(16)로 공급받아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51)와, 상기 송풍기(51)의 바람이 나오는 입구(51a)에 설치되어 분무수단(30)의 이송통로(36)에 연결하는 덕트(52)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51)는 이동대차(1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분무수단(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이동대차(10)의 프레임(11) 하측에 설치되고, 덕트(52)는 'L'자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분무수단(60)은 이동대차(10)가 진입하기 어려운 곳에 용액을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소정 길이의 호스가 감긴 호스 릴(61)과 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노즐대(62)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탱크가 분리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탱크와 분무수단이 설치된 받침대를 분리하고, 적재함을 설치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송풍수단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분무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받침대에 분무수단이 설치되는 부분에 대한 부분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받침대에 분무수단이 설치되는 부분에 대한 부분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받침대에 분무수단이 설치되는 부분에 대한 부분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분무수단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이동대차의 프레임과 받침대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분무수단에 설치된 분사 뭉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주행용 동력분무기에서 이동대차에서 분무수단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대차 11 : 프레임
12 : 엔진 13 : 이송바퀴
14 : 분무펌프 15 : 밸브박스
16 : 동력전달장치 17 : 조작부
18 : 가이드대 19 : 호스
20 : 탱크
30 : 분무수단 31 : 제1판
32 : 제2판 33 : 분사뭉치
34 : 분사노즐 35 : 격판
36 : 이송통로 37 : 분배파이프
38 : 힌지 39 : 각도조절장치
40 : 받침대 41 : 롤러
50 : 송풍수단 51 : 송풍기
52 : 덕트
60 : 제2분무수단 61 : 호스 릴
62 : 분사노즐대

Claims (7)

  1. 엔진이 장착되고 주행가능한 이동대차에 용액을 저장하는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내에 저장된 용액을 분사하도록 분무펌프와 분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무수단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수단(30)은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34)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반원형태의 제1판(31)과, 상기 분사노즐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방사선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이송통로(36)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차(10)에 힌지(38)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각도조절을 하도록 각도조절장치(39)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수단(50)은 송풍기(51)와, 상기 송풍기(51)에서 발생한 바람을 이송통로(36)로 안내하는 덕트(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
  2. 엔진이 장착되고 주행가능한 이동대차에 용액을 저장하는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내에 저장된 용액을 분사하도록 분무펌프와 분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무수단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10)의 한쪽에 조작부(17)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17) 반대쪽에 분무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17)와 분무수단(30) 사이에는 탱크(20)와 엔진(12)과 분무펌프(14)가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분무수단(30)은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34)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반원형태의 제1판(31)과, 상기 분사노즐(3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방사선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이송통로(36)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차(10)에 힌지(38)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각도조절을 하도록 각도조절장치(39)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수단(50)은 송풍기(51)와, 상기 송풍기(51)에서 발생한 바람을 이송통로(36)로 안내하는 덕트(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36)는 제1판(31)과 이격되게 제2판(32)을 설치하고, 상기 제1판(31)과 제2판(32) 사이에 방사선 형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격벽(35)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와 분무수단(30)은 이동대차(10)의 프레임(11)에 분리되는 받침대(40)에 설치되어 이동대차(10)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에 양측으로 가이드대(18)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40)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대(18)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41)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40)는 프레임(11)에 고정구(45)로 분리/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동력분무기.
  6. 삭제
  7. 삭제
KR1020090012455A 2009-02-16 2009-02-16 주행용 동력분무기 KR10090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55A KR100901835B1 (ko) 2009-02-16 2009-02-16 주행용 동력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55A KR100901835B1 (ko) 2009-02-16 2009-02-16 주행용 동력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835B1 true KR100901835B1 (ko) 2009-06-09

Family

ID=4098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55A KR100901835B1 (ko) 2009-02-16 2009-02-16 주행용 동력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835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81B1 (ko) * 2010-08-20 2013-02-20 효동개발 주식회사 살수기
KR101367316B1 (ko) * 2013-10-07 2014-02-27 박승진 다기능을 가지는 동력주행형 ss분무기
KR101385233B1 (ko) * 2013-09-25 2014-04-15 박승진 간이 ss분무기
CN104322474A (zh) * 2014-11-06 2015-02-04 华南农业大学 一种风送式与喷杆式可切换的喷雾机
KR20150055804A (ko) *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케이보배 농약 살포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KR101593496B1 (ko) * 2015-05-22 2016-02-17 최경준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KR20160134181A (ko) 2015-05-15 2016-11-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20160136836A (ko) 2015-05-21 2016-11-3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CN106259270A (zh) * 2016-08-19 2017-01-04 滁州新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自动农药喷雾机
CN107136038A (zh) * 2017-06-07 2017-09-08 烟台烟知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自动园林喷雾器
KR200488377Y1 (ko) 2018-08-09 2019-01-21 김종문 과수용 약액 분사장치
KR102031089B1 (ko) 2018-11-22 2019-10-11 현영일 화물차량 탑재용 약액 분무장치
KR20190115174A (ko) 2018-04-02 2019-10-11 김성호 농약분무용 대차
KR102038255B1 (ko) * 2019-06-18 2019-10-29 제이엔케이히터(주) 차량 탑재형 방재제 살포시스템
KR102331622B1 (ko) * 2021-06-15 2021-12-01 윤정덕 스프레이장치
KR20220103216A (ko) * 2021-01-14 2022-07-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다목적 소형 로봇
KR20230094655A (ko) * 2021-12-21 2023-06-28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61U (ja) * 1993-05-21 1995-06-13 耕一 坂本 薬剤散布機
KR200399541Y1 (ko) * 2005-08-09 2005-10-25 박승진 방사형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61U (ja) * 1993-05-21 1995-06-13 耕一 坂本 薬剤散布機
KR200399541Y1 (ko) * 2005-08-09 2005-10-25 박승진 방사형 분사장치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81B1 (ko) * 2010-08-20 2013-02-20 효동개발 주식회사 살수기
KR101385233B1 (ko) * 2013-09-25 2014-04-15 박승진 간이 ss분무기
KR101367316B1 (ko) * 2013-10-07 2014-02-27 박승진 다기능을 가지는 동력주행형 ss분무기
KR20150055804A (ko) *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케이보배 농약 살포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KR101598107B1 (ko) 2013-11-14 2016-02-26 주식회사 케이보배 농약 살포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CN104322474A (zh) * 2014-11-06 2015-02-04 华南农业大学 一种风送式与喷杆式可切换的喷雾机
CN104322474B (zh) * 2014-11-06 2016-09-14 华南农业大学 一种风送式与喷杆式可切换的喷雾机
KR101710112B1 (ko) * 2015-05-15 2017-02-2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20160134181A (ko) 2015-05-15 2016-11-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20160136836A (ko) 2015-05-21 2016-11-3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708183B1 (ko) * 2015-05-21 2017-02-2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593496B1 (ko) * 2015-05-22 2016-02-17 최경준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CN106259270A (zh) * 2016-08-19 2017-01-04 滁州新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自动农药喷雾机
CN107136038A (zh) * 2017-06-07 2017-09-08 烟台烟知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自动园林喷雾器
KR20190115174A (ko) 2018-04-02 2019-10-11 김성호 농약분무용 대차
KR200488377Y1 (ko) 2018-08-09 2019-01-21 김종문 과수용 약액 분사장치
KR102031089B1 (ko) 2018-11-22 2019-10-11 현영일 화물차량 탑재용 약액 분무장치
KR102038255B1 (ko) * 2019-06-18 2019-10-29 제이엔케이히터(주) 차량 탑재형 방재제 살포시스템
KR20220103216A (ko) * 2021-01-14 2022-07-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다목적 소형 로봇
KR102537049B1 (ko) * 2021-01-14 2023-05-30 주식회사 스카이뷰 다목적 소형 로봇
KR102331622B1 (ko) * 2021-06-15 2021-12-01 윤정덕 스프레이장치
KR20230094655A (ko) * 2021-12-21 2023-06-28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KR102563960B1 (ko) * 2021-12-21 2023-08-04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35B1 (ko) 주행용 동력분무기
KR101460991B1 (ko)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US3301487A (en) Sprayer construction for yard tractors employing electro-magnetic clutch and solenoid valves
CN103340135B (zh) 自驱动多功能一体化喷滴灌两用机
KR101367316B1 (ko) 다기능을 가지는 동력주행형 ss분무기
KR20170003083U (ko) 농작물 방제장치
KR20100009157A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약액 살포기
CN211631195U (zh) 一种具有施肥以及喷洒农药功能的喷灌机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KR101151280B1 (ko) 다단 분사관을 갖는 약액 자동살포기
JP3886989B2 (ja) 茶園用薬剤散布機
CN202857638U (zh) 自走式风送喷雾机
KR20160134181A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CN212436781U (zh) 一种灌溉装置
KR101153850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주행용 동력분사기
JPH0448840Y2 (ko)
EP1112679A2 (en) Apparatus to treat plantations in rows
JP2000060268A (ja) 簡易乗用型茶葉摘採機
JP6556500B2 (ja) 移植装置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JPH07203826A (ja) 走行型防除機
JP6449721B2 (ja) マルチ作業機を備えた台車
KR20210013801A (ko) 지게 캐리형 농약 분무기
JP6334460B2 (ja) 給水タンクを備えた台車
KR102571232B1 (ko) 비닐하우스 농약 살포용 운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