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265B1 -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265B1
KR100901265B1 KR1020080052831A KR20080052831A KR100901265B1 KR 100901265 B1 KR100901265 B1 KR 100901265B1 KR 1020080052831 A KR1020080052831 A KR 1020080052831A KR 20080052831 A KR20080052831 A KR 20080052831A KR 100901265 B1 KR100901265 B1 KR 100901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ebbing
control plate
emergency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열
김창희
문상동
민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to KR102008005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0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06Spring shapes; Spring characteristic; Springs with adjustable 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기울기와 가감속을 감지하는 차량감응장치와 웨빙의 인출가감속을 감지하는 웨빙인출 감응장치를 구비하고, 미리 정해진 위험조건을 감지하면 탑승자를 구속하기 위해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스풀의 회전을 방해하는 긴급잠금장치를 갖춘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를 해리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긴급상황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컨트롤 플레이트는 스풀이 웨빙을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을 가진 텐션립에 의해 스풀과 순간적으로 상대적인 속도차이가 발생하여 스토퍼가 스토퍼 안착부에 접촉하여 해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벨트, 리트랙터, 긴급잠금장치, 웨빙, 스토퍼

Description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End-rock dissociate structure of seat-belt retractor emergency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리트랙터, 특히 주행 중 차량이 특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특정한 가속도 이상으로 감속 또는 가속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감응장치'(VSIR)와 '웨빙(webbing)인출 감응장치'(WSIR)가 장착되어 긴급한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웨빙의 인출방향으로의 스풀의 회전을 방해하는 긴급잠금리트랙터(Emergency Locking Retractor : ELR)에서 긴급한 위험을 벗어난 후 시트벨트 웨빙의 잠금을 원상태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해리할 수 있게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긴급잠금리트랙터는 정차 중이거나 정상적인 주행 중에는 시트벨트 웨빙이 자유롭게 인입·인출되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나 차량에 급가감속, 전복 등 미리 정해진 위험조건을 감지하면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며, 관성력이나 중력 등에 의하여 시트벨트 웨빙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 면서 장력을 유지한다.
긴급한 위험조건이 해제되면 시트벨트 웨빙에 가해진 장력을 해제하여 웨빙의 인입·인출이 용이하도록 잠금장치가 해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긴급잠금을 해제하는 데에는 이미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웨빙을 더 끌어당겨야 역회전 멈춤쇠(Pawl)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때때로 원활하게 해리되지 못하여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종래 긴급잠금장치를 해리하는 것에 대하여는 KR공개특허2001-22775(2001.03.26공개)에서 도 1과 같이 '시트벨트를 감고 풀기 위해서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릴(2)과, 릴의 회전을 방지할 잠금장치(5)와,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품과, 릴과 함께 회전하는 캐리어부품상(3)에 가동장착된 웨빙인출감응부(4) 및 차량감응부(35)와, 캐리어부품(3)과 제어부품(6) 사이의 가동접속이 웨빙인출감응부(4)에 의해서 형성되어 릴이 풀리는 방향으로 릴의 회전을 전달하여 잠금장치(5)를 작동시키는 커플링장치(14)를 포함하고, 웨빙인출감응부(4)가 그 위에 장착된 캐리어부품(3)과 제어부품(6)이 사전 조립된 유닛(7)을 형성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사전 조립된 유닛(7)은 프레임(1) 상에 또는 프레임(1)이 고정된 홀더(10)상에 끼워질 수 있고 프레임(1)상에 또는 홀더(10) 상에 및 사전조립된 유닛(7)상에 서로 끼워진 결합요소는 스풀축(11)의 둘레에 제어용 부품(6)용의 선회베어링을 형성한 것'을 제안한바 있었다.
상기의 출원은 웨빙인출감응부 및 캐리어부품, 제어부품 모두를 유닛 내에서 공통축 둘레에 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캐리어부품 및 제어부품은 피봇베어링 을 형성하는 플러그-인 결합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기계적 측면에서 구성요소를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높은 조립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서 긴급상황이 종료된 후 긴급잠금장치를 해리하는 과정에서 해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부품을 추가하거나 구성을 복잡하게 함이 없이 컨트롤 플레이트로부터 차량감응장치의 레버나 웨빙인출 감응장치의 회전방지멈춤쇠의 암을 보다 빨리 해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긴급잠금장치를 해리하는 과정에서 웨빙이 인출되는 반대방향으로 스풀과 컨트롤 플레이트가 동시에 회전할 때 스풀과 컨트롤 플레이트 사이에 탄성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상대적인 회전속도차이를 유발하여 잠금장치들이 쉽게 해리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은 긴급잠금리트랙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품을 추가하여 비용을 증가시키거나 구성을 복잡하게 하여 조립을 어렵게 하지 않으면서 긴급한 위험을 벗어난 후 끌어 당겨진 시트벨트의 웨빙을 긴급잠금장치의 작동 전 상태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기울기나 가감속을 감지하여 차체감응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컨트롤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멈춤쇠와 스풀이 조립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V와 결합하여 1차적으로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스풀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고, 더 큰 하중이 작용하여 스풀이 회전하게 되면 기어V와 센서멈춤쇠에 의해 컨트롤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최종적인 잠금장치가 작동한다.
이때 홀더센서의 텐션립에 존재하는 스토퍼는 컨트롤 플레이트의 상단면에서 탄성을 유지한 채 존재하며 컨트롤 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컨트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안착부로 하강하게 된다.
웨빙이 인출되는 가속을 감지하여 웨빙인출 감응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기어V에 조립되어 있는 멈춤쇠암이 컨트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치형과 결합하여 1차적으로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스풀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고, 더 큰 하중이 작용하여 스풀이 회전하게 되면 기어V와 센서멈춤쇠에 의해 텐션립에 존재하는 스토퍼는 컨트롤 플레이트 상단면에서 탄성을 유지한 채 존재하며 컨트롤 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컨트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안착부로 하강하게 된다.
차량감응장치 또는 웨빙인출 감응장치가 작동하여 최종적인 잠금장치가 작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센서멈춤쇠는 기어V의 치형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멈춤쇠 암은 컨트롤 플레이트의 치형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풀이 웨빙이 인출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어V와 센서멈춤쇠 그리고 멈춤쇠암과 컨트롤 플레이트가 결합된 채로 스풀과 같이 회전하며 탄성을 가진 텐션립에 의해 컨트롤 플레이트와 스풀은 순간적으로 상대적인 속도차이가 발생 하여 컨트롤 플레이트의 스토퍼 안착부는 스토퍼의 끝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 플레이트는 순간적으로 회전을 멈추게 되고 기어V는 계속 회전함에 따라 센서멈춤쇠 또는 멈춤쇠 암은 결합상태에서 해리되게 되며, 컨트롤 플레이트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긴급잠금장치의 초기 잠금위치보다 먼저 해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지 아니하게 하는 범위 내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공지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컨트롤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차량감응장치의 작동전·후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웨빙인출 감응장치의 작동전·후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긴급잠금장치의 작동전·후 텐션립의 위치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40)에는 스풀(41)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스풀(41)의 토션샤프트(42)에는 홀더(43)와 기어V(44) 및 컨트롤 플레이트(45)가 차례로 결합된다.
잠금장치(46)는 차량감응장치(48) 작동시 기어V(44)의 원주방향에 형성된 래칫기어와 센서멈춤쇠(49)와의 결합 또는 웨빙인출감응장치(47) 작동시 컨트롤 플레 이트(45)의 내측에 형성된 래칫기어와 멈춤쇠암(54)과의 결합에 의해 스풀(41)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차량감응장치(48)가 작동하여 컨트롤 플레이트(45)에 조립되어 있는 센서멈춤쇠(49)와 스풀(41)에 조립되어 있는 기어V(44)와 결합하고 스풀(41)의 회전을 방해하여 웨빙의 인출을 정지시키고, 더 큰 하중이 작용하여 스풀(41)이 회전하게 되면 기어V(44)와 센서멈춤쇠(49)에 의해 컨트롤 플레이트(45)가 회전하여 최종적인 잠금장치(46)가 작동한다.
웨빙인출 감응장치(47)가 작동하게 되면 기어V에 조립되어 있는 멈춤쇠암(54)이 컨트롤 플레이트(45)에 형성되어 있는 치형과 결합하여 1차적으로 웨빙이 인출되는 스풀(41)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고, 더 큰 하중이 작용하여 스풀(41)이 회전하게 되면 기어V(44)와 멈춤쇠암(54)에 의해 컨트롤 플레이트(45)가 회전하여 최종적인 잠금장치(46)가 작동한다.
잠금장치(46)의 작동시 홀더센서(50)의 텐션립(51)에 구비되는 스토퍼(52)는 컨트롤 플레이트(45)의 상단면에서 탄성을 유지한 채 접촉하여 컨트롤 플레이트(45)가 회전하면서 컨트롤 플레이트(45)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안착부(53)로 하강하게 된다.
스토퍼(52)의 단부에는 돌기(56)가 형성되어 스토퍼 안착부(53)와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차량감응장치(48) 또는 웨빙인출 감응장치(47)가 작동하여 최종적인 잠금장치(46)가 작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센서멈춤쇠(49)는 기어V(44)의 치형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멈춤쇠암(54)은 컨트롤 플레이트(45)의 치형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풀(41)이 웨빙이 인출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어V(44)와 센서멈춤쇠(49) 그리고 멈춤쇠암(54)과 컨트롤 플레이트(45)가 결합된 채로 스풀(41)과 같이 회전하며, 탄성을 가진 텐션립(51)에 의해 컨트롤 플레이트(45)의 스토퍼 안착부(53)는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56)와 접촉하게 되며, 컨트롤 플레이트(45)와 스풀(41)은 순간적으로 상대적인 속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 플레이트(45)는 순간적으로 회전을 멈추게 하고 기어V(44)는 계속 회전함에 따라 센서멈춤쇠(49) 또는 멈춤쇠암(54)은 결합상태에서 해리되게 되며 컨트롤 플레이트(45)는 리턴스프링(55)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차량감응장치(48)의 작동에 의해 기어V(44)와 결합하는 센서멈춤쇠(49) 또는 웨빙인출감응장치(47)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 플레이트(45)와 결합하는 멈춤쇠암(54)은 초기 잠금위치보다 먼저 해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KR공개특허 2001-22775호의 구성요소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구성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 홀더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컨트롤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차량감응장치의 작동전·후 상태도
도 6은 도 2의 웨빙인출 감응장치의 작동전·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긴급잠금장치 작동전·후 텐션립의 위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프레임 41. 스풀
42. 토션샤프트 43. 홀더
44. 기어V 45. 컨트롤 플레이트
46. 잠금장치 47. 웨빙인출 감응장치
48. 차량감응장치 49. 센서멈춤쇠
50. 홀더센서 51. 텐션립
52. 스토퍼 53. 스토퍼안착부
54. 멈춤쇠암 55. 리턴스프링
56. 돌기

Claims (3)

  1. 차량의 기울기 및 가감속을 감지하는 차량감응장치와 웨빙의 인출가감속을 감지하는 웨빙인출 감응장치를 구비하고 미리 정해진 위험조건을 감지하면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며, 탑승자를 구속하는 긴급잠금장치를 갖춘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긴급상황이 해제될 경우 컨트롤 플레이트(45)는 스풀(41)이 웨빙을 인출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을 가진 텐션립(51)에 의해 스풀(41)과 순간적으로 상대적인 속도차이가 발생하고 스토퍼(52)가 스토퍼 안착부(53)에 접촉하여 긴급잠금장치(46)의 해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텐션립(51)의 스토퍼(52) 단부에는 돌기(56)가 형성되어 텐션립(51)과 스토퍼(52)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의 후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컨트롤 플레이트(45)의 스토퍼 안착부(53)에는 스토퍼(52)의 돌기(56)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KR1020080052831A 2008-06-05 2008-06-05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KR100901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31A KR100901265B1 (ko) 2008-06-05 2008-06-05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31A KR100901265B1 (ko) 2008-06-05 2008-06-05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265B1 true KR100901265B1 (ko) 2009-06-09

Family

ID=4098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831A KR100901265B1 (ko) 2008-06-05 2008-06-05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276A (ja) 2000-02-01 2001-08-0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3267186A (ja) 2002-03-12 2003-09-25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のプリテンショナー
KR20070043685A (ko) * 2005-10-21 2007-04-25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모터구동식 전인장 동안 시트밸트 리트랙터의 잠금을감소/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276A (ja) 2000-02-01 2001-08-0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3267186A (ja) 2002-03-12 2003-09-25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のプリテンショナー
KR20070043685A (ko) * 2005-10-21 2007-04-25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모터구동식 전인장 동안 시트밸트 리트랙터의 잠금을감소/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048B2 (en) Webbing take-up device and seatbelt device
EP1211147B1 (en) Seatbelt retractor
US7029033B2 (en) Seatbelt apparatus for vehicle
KR100835936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KR20080101564A (ko) 안전벨트 리트랙터
KR980700919A (ko) 프리텐셔너를 가지는 리트랙터용 2차 잠금 메카니즘(secondary locking mechanism for retractor with pretensioner)
WO2013105580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11338764B2 (en) Restraining system for a seat belt buckle
JP454493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140028075A1 (en) Retractor Mounted Belt Tension Sensor
US9592791B2 (en) Advanced seatbelt apparatus
US11052868B2 (en) Seat belt retractor
JP2002274323A (ja) モータリトラクタシステム
KR100901415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유닛
CN2813378Y (zh) 卷收器以及包括该卷收器的安全带
CN110139783B (zh) 儿童座椅检测装置
JP4990949B2 (ja) シートベルト故障診断装置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KR100901265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EP1279575B1 (en) Retractor
JPH03157244A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KR100835938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
GB2329876A (en) Retractor for a seat belt
US4042277A (en) Seat belt system
JP4859116B2 (ja) バックル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