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154B1 - 고속 중합체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중합/경화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체 - Google Patents

고속 중합체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중합/경화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154B1
KR100901154B1 KR1020037017145A KR20037017145A KR100901154B1 KR 100901154 B1 KR100901154 B1 KR 100901154B1 KR 1020037017145 A KR1020037017145 A KR 1020037017145A KR 20037017145 A KR20037017145 A KR 20037017145A KR 100901154 B1 KR100901154 B1 KR 10090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o
cyanate
composition
polymerizable composition
polymeriz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064A (ko
Inventor
페이퀴 지앙
파디 오. 아디레
야신 유세프 투샤니
Original Assignee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filed Critical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Publication of KR2004002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4Polythioethers from mercapto compounds or metallic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3/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rings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13/28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 C07C13/32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 C07C13/39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a bicyclo ring system containing seven carbon atoms
    • C07C13/40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a bicyclo ring system containing seven carbon atoms with a bicycloheptane ring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최소 하나의 에피설파이드 및 에피설파이드기와 중합될 수 있는 최소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최소 1종의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그리고 B) 다음 화학식 I의 최소 1종의 염 및 최소 1종의 3차 아민을 포함하는 중합 촉매 시스템의 유효량:
Figure 112003050332729-pct00033
(I)
상기 화학식에서, Y-는 0.5≤pKa≤14 조건을 만족하는 pKa를 갖는 해당 산 YH의 음이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와 같은 광학 제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중합, 에피설파이드, 3차 아민, 촉매, 광학, 렌즈

Description

고속 중합체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중합/경화 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체{Fast Polymerizable/Curable Episulfide Based Composition, Polymerization/Curing Process and Optical Anticles Resulting therefrom}
본 발명은 중합체화/경화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을 제조하기 위한 실온 또는 열 중합성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중합/경화되는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그리고 상기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을 제조하기 위한 실온 또는 열 중합반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성 조성물 및 중합공정은 렌즈, 프리즘, 광학섬유, 필터와 같은 광학체 또는 정보저장기저체와 같은 다양한 기저체 (substrate)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성 조성물 및 중합공정은 다양한 코팅제, 특히 광학용도의 코팅제에 특히 적합하다.
플라스틱 물질은 광학분야, 그리고 특히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배스에 함침시켜 밝기, 고충경내성 및 착색능을 갖게 하는 안과 분야에 특히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고굴절율, nD=1.6 또는 그 이상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은 최근에 개발되었고, 이는 동등한 교정력 (광학력)을 위한 보다 작은 두께의 렌즈와 같은 광학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물질의 한 군은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미합중국 특허 제 5,807,975 호는 디에피설파이드의 열중합 및 경화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안경용 렌지와 같은 광학체의 제조에 이용된다. 이러한 디에피설파이드의 열중합/경화는 수시간, 일반적으로 약 20시간 동안 지속된다.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및 이의 중합 과정은 EP-A-761.665 및 EP-A-785.19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은, 찰흔 또는 변형 없이 완전히 중합된 물질을 얻기 위하여, 장기간의 열 사이클, 일반적으로 8시간 내지 수일을 요구한다.
US SN 09/748,653은 촉매로서, 다음 화학식의 염을 이용하는 에피설파이드 화합물의 열 또는 실온 경화 공정을 개시한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Mp+는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전이 금속 및 암모늄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이고, Y-는 0.5≤Pka≤14 조건을 충족하는 산의 음이온이며, p는 양이온의 원자가이고, n은 m x p이다. 바람직한 촉매는 KSCN이다.
비록 중합 시간은 상당힌 감소되지만, US SN 09/748,653의 염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찰흔 및 황화의 유도 없이 또는 런-어웨이 (run-away) 반응 없이 에피설파이드의 중합을 더욱 신속하게 할 필요는 여전히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 전형적으로 6시간 미만의 시간 내에, 열중합 또는 실온에서의 중합될 수 있는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보다 단축된 시간을 요구하는,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의 제조를 위한 중합방법, 특히 실온 또는 열 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으로 제조된 렌즈와 같은 광학 제품에 관한 것이다.
염의 특정 군의 최소 1종의 염 및 최소 1종의 3차 아민을 포함하는 촉매 시스템의 유효량을 에피설파이드계 레진의 제조용 중합성 조성물에 이용하는 경우, 매우 단축된 중합 사이클, 전형적으로 6시간 미만의 중합 사이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고, 이 경우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변형이 없으며, 우수한 기계적 특성, 스크래치 및 열내성 특성을 갖는 중합 레진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에피설파이드계 레진 제조용 열 또는 실온 중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최소 하나의 에피설파이드 기 및 에피설파이드기와 중합될 수 있는 최소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최소 1종의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그리고
B) 다음 화학식의 최소 1종의 염 및 최소 1종의 3차 아민을 포함하는 중합 촉매 시스템의 유효량: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Mp+는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전이 금속 및 화학식 NR4 + (상기 R은 알킬 라디칼)의 암모늄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이고,
Y-는 0.5≤pKa≤14 조건을 만족하는 pKa를 갖는 해당 산 YH의 음이온이며, Mp+가 암모늄기인 경우, 상기 촉매 시스템은 전자-공여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p는 상기 양이온의 원자가이고,
n은 m x p이다.
본 발명의 촉매 시스템의 염의 바람직한 금속성 양이온은 Li+, Na+, K+, Rb+, Mg2+, Ca2+, Ba2+ 및 A13+이다. 특이 바람직한 금속성 양이온은 Li+, Na+ 및 K+이고, 이는 이들 양이온이 조성물에서 색상을 나타내지 않고,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전이 금속은 덜 바람직하며, 이는 이들의 염이 색상을 갖는 조성물을 초래하며, 결국 착색된 중합체 레진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NR4 +기는 R이 C1-C8 알킬 라디칼,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헥실 라디칼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Y-는 0.5≤pKa≤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pKa≤8의 조건을 만족하는 pKa를 갖는 해당 산 YH의 음이온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Y-는 티오시아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 티오카르복실레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케톤, 아세토아세틱 에스테르, 말로닉 에스테르, 시아노아세틱 에스테르, 케토니트릴 및 화학식 RS-의 음이온 (R은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 또는 페닐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킬기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과 같은 C1-C6 알킬기이 다.
바람직한 음이온 Y-는 SCN-,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아세테이트, 티오아세테이트, 포름메이트 및 벤조에이트이다.
가장 바람직한 염은 KSCN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염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촉매 시스템의 3차 아민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R)3N (I)
상기 화학식에서, R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라디칼, 일반적으로 메틸, 에틸 및 프로필과 같은 C1-C6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일반적으로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헵틸과 같은 C2-C10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3차 아민은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및 N,N-디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3차 아민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촉매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최소 1종의 전자-공여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전자-공여 화합물은 아세토니트 릴 화합물, 아미드 화합물, 설폰, 설폭사이드, 트리알킬포스파이트, 니트로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테이트 (kryptat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아세토니트릴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과 같은 C1-C6 알킬기이다.
상기 아미드 화합물은 1차, 2차 또는 3차 아미드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트리알킬포스파이트 및 트리아릴포스파이트는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4
상기 화학식에서, R, R', R"은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6 알킬기 또는 페닐기와 같은 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C2H5O)3P와 같은 트리알킬포스파이트이다.
전자-공여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테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이와 같은 환성 분자는 일반적으로, 헤테로원자 또는 금속 크기 및 "케이쥐" 크기, 즉 헤테로원자의 수 및 환의 크기 사이의 우수한 타협이 발휘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테이트는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8032290738-pct00034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Xl은 O, S 또는 NH를 나타내고, x1는 3 내지 6의 정수, X2, X3 및 X4는 O 또는 S을 나타내며, n1, n2, n3, n4, y2, y3, y4는 2 또는 3이고, 그리고 x2, x3, x4는 2 또는 3이다.
바람직한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테이트 중에서, 다음 화합물들이 인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7
;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8
Figure 112003050332729-pct00009
, 및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0

상기 전자-공여 화합물은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전자-공여 화합물은 크라운-에테르, 크립테이트, 트리알킬 포스파이트 및 아세토 니트릴 화합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8-크라운, 18-크라운-7, 15-크라운-5 및 15-크라운-6와 같은 크라운 에테르이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단량체내 염 촉매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똔느 디옥산과 같은 어떠한 극성 용매도 사 용할 수 있다. 그러나, 거품 생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히드록실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3-메틸-2-부텐-1-올 및 2-머르캅토에탄올이다.
용매의 양은 일반적으로,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wt% 이하로 유지하며, 바람직하게는 혼탁(haze)과 버블링을 억제하기 위하여 약 5 wt% 이하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중합성 에피설파이드 단량체는 분자당 최소 하나의 에피설파이드 작용기성, 바람직하게는 두개 이상의 에피설파이드 작용기성을 갖는다.
에피설파이드기와 중합될 수 있는 상기 작용기는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티올 및 아크릴과 티오아크릴과 같은 불포화 c=c 결합이다.
가장 바람직한 에피설파이드 단량체는 단지 두 개의 에피설파이드 작용기성을 갖으며, 다른 반응성 작용기성을 갖지 않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하나의 에피설파이드 작용기성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하나의 분자내에 다음 화학식 (IV)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피설파이드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1
상기 화학식에서, Rl은 탄소원자 1 내지 10을 갖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10을 갖는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X에 의해 표시되는 S의 평균수가 3-멤버 고리를 구성하는 S 및 O의 총수의 약 50%인 경우 X는 S 또는 O를 나타낸다.
중합성 에피설파이드 단량체의 바람직한 군은 다음 화학식 V의 화합물로 나타낸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2
상기 화학식에서, R5, R6, R7, R8, R9 및 R10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10을 갖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X에 의해 표시되는 S의 평균수가 3-멤버 고리를 구성하는 S 및 O의 총수의 약 50% 또는 그 이상인 경우 X는 S 또는 O를 나타내며, m은 0 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V의 Rl은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고, 화학식 IV의 R2, R3 및 R4 그리고 화학식 V의 R5, R6, R7 ,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 틸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l은 메틸렌기이고,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원자이다.
화학식 IV 및 화학식 V 각각에서 S의 평균수는 3-멤버 고리를 구성하는 S 및 O의 총수의 50%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또는 그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또는 그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0%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는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탄, 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3-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3-(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부탄, 1,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펜탄,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펜탄, 1,6-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헥산,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헥산,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에탄 및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2-(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에틸]티오]에탄과 같은 선형 유기 화합물; 테트라키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메탄, 1,1,1-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1,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 -3-티아펜탄, 1-(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4-티아헥산, 1,5,6-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 3-티아헥산, 1,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4,5-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9-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5-[(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3-7-디티아노난, 1,10-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6-비스[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3,6,9-트리티아데칸, 1,11-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7-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7-[(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및 1,11-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7-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과 같은 분지형 유기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에피설파이드기의 최소 하나의 수소원자를 메틸기, 그리고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사이클로헥산,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헥산,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사이클로헥실]메탄, 2,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사이클로헥실]설파이드,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및 2,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과 같은 사이클릭 지방족 유기 화 합물으로 치환하여 수득한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에피설파이드기의 최소 하나의 수소원자를 메틸기, 그리고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3- 및 1,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메탄, 2,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술폰 및 4,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비페닐과 같은 방향족 유기 화합물고 치환하여 수득한 화합물; 그리고 상기 화합물의 에피설파이드기의 최소 하나의 수소원자를 메틸기로 치환하여 수득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화합물 (a)는 실시예로 나타낸 상기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에피설파이드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의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3
그리고, 다음 화학식의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이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4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wt%의 1종 또는 그 이상의 폴리티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티올은 두개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개 내지 네개의 티올 작용기를 갖는다.
상기 폴리티올 단량체는 다음 화학식 (VIII)으로 표시될 수 있다:
R'(SH)n' (VIII)
상기 화학식에서, n'은 2 내지 6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이고, R'은 n'과 동일한 원자가를 갖는 유기 기(group)이다.
유용한 폴리티올 단량체는 EP-A-394.495 및 미합중국 특허 제 4,775,733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며, 다음 화학식에 따른 폴리티올이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5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6
C2H5C(CH2COOCH2CH2SH)3
바람직한 폴리티올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 머르캅토프로프리오네이트, 1-(1'-머르캅토에틸티오)-2,3-디머르캅토프로판, 1-(2'-머르캅토프로필티오)-2,3-디머르캅토프로판, 1-(3'-머르캅토프로필티오)-2,3-디머르캅토프로판, 1-(4'-머르캅토부틸티오)-2,3-디머르캅토프로판, 1-(5'-머르캅토펜틸티오)-2,3-디머르캅토프로판, 1-(6'-머르캅토헥실티오)-2,3-디머르캅토프로판, 1,2-비스(4'-머르캅토부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 1,2-비스(6'-머르캅토헥실)-3-머르캅토프로판, 1,2,3-트리스(머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머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머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4'-머르캅토부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6'-머르캅토헥실티오)프로판, 메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1-프로판디티올, 1,2-프로판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2,2-프로판디티올, 1,6-헥산티올-1,2,3-프로판트리티올, 1,2-비스(2'-머르캅토에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 2-(2-설파닐에틸티오)-3-[3-설파닐-2-(2-설파닐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티올 단량체는 1,2-비스(2'-머르캅토에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 및 2-(2-설파닐에틸티오)-3-[3-설파닐-2-(2-설파닐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티올 단량체의 첨가는 혼탁 및 변형을 감소시키 고, 중합 과정의 원활화를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분자당 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세개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작용기성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 30 wt%, 바람직하게는 15 wt%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는 다음 화학식을 갖는 것들이다: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7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8
Figure 112003050332729-pct00019
Figure 112003050332729-pct00020
상기 화학식에서, Rll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l-C5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H3 또는 C2H5;
R12는 H,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Cl 또는 Br, 또는 Cl-C5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H3 또는 C2H5;
Z는 -N=C=O 또는 -N=C=S, 바람직하게는 -N=C=O;
a는 1 내지 4의 정수, b는 2 내지 4의 정수, 및 a+b ≤6; 그리고,
x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정수.
바람직한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는 톨릴렌 디이소(티오) 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티오) 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 디이소(티오) 시아네이트, 이소 프로필 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질 트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벤질 트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4,4'-디페닐 메탄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비스(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틸) 사이클로헥산, 헥사메틸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다.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의 첨가는 젤 시간을 단축시키고 수득된 레진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폴리티올 단량체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 모두 존재하는 경우,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폴리티올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 또는 1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성 조성물은, 광학체, 특히 안관 렌즈를 주형하기 위하여 중합성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의 통상적인 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억제제, 염료, UV 흡수제, 향료, 방취제, 항산화제, 항황화제 및 이형제를 포함한다.
항료는 본 발명 조성물의 냄새를 막아주며, 특히 표면처리 또는 외면 처리 공정에서 그러하다.
특히, UV 5411?, UV9?, Tinuvin 400? 및 Tinuvin 312? 상표명으로 상업화된 것과 같은 통상적인 UV 흡수제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최대 0.4 wt%까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 0.1 wt%까지의 이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이형제의 예는 모노 및 디알킬 포스페이트, 실리콘, 불소화 탄화수소, 지방산 및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이용제는 모노 및 디알킬 포스페이트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이형제는,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 4,662,376 호 및 제 4,975,328 호, 그리고 EP-271.83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위 온도 또는 가열을 하여 상기 중합성 단량체 및 촉매 시스템을 혼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중합/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경화는 적당한 가열에 의해 실시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단계 가열 공정을 이용하여 실시되고,상기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5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온도의 제 일차 온도에서 젤화가 이루어질때 까지 가열하는 제 1 과정, 그리고 상기 제 일차 온도보다 높은 온도, 전형적으로 최대 9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경화성 레진을 수득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이차 온도는 60℃ 내지 90℃이다. 중합 공정은 일반적으로 6시간 또는 그 이하, 전형적으로 3시간 또는 그 이하 동안 지속된다. 2 단계 가열 공정의 경우, 제 1 과정은 15분 내지 1시간 동안 지속되고, 제 2 과정은 약 2시간 동안 지속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다르게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경우,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 및 2 및 비교 실시예 C1 및 C2
중합성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광학력 -2.00 및 -4.25의 광학 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2-부분 유리 주형의 주형 공간 내로 상기 조성물을 부었다. 이어,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성물을 오븐에서 경화하였다. 제조된 렌즈의 특성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조성 Ex.1 Ex.2 C1 C2
중합성 단량체 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100 - 100 100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 100 - -
촉매 시스템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 - - 0.02
N,N-디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 0.15 0.15 0.15 0.10
KSCN 용액* 0.11 0.11 - -
중합 사이클 시간
45℃ 1 1 1 1
80℃ 2 2 2 2
중합 사이클 후 조성물의 상태 경화 레진 경화 레진 젤 형성 않됨 젤 형성 안됨

실시예 3 및 비교 실시예 C3 및 C4
표 2에 기재된 조성 및 중합 사이클을 이용하여, 광학력 -2.00 및 -4.25 디옵터를 갖는 광학 렌즈를 실시예 1 및 2와 같이 주형 제작하였다. 결과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Ex.3 C3 C4
조성 중량부
중합성 단량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90.0 90.0 90.0
1,2-비스(2'-머르캅토에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 10.0 10.0 10.0
촉매 시스템
N,N-디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 0.15 0.50 -
KSCN 용액* 0.11 - 0.29
중합 사이클
30℃/1시간 젤 형성 안됨 젤 형성 안됨
80℃/2시간 경화 레진 변형이 크게 발생됨 런어웨이 반응
실시예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촉매 시스템은 고속 젤을 제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비록 증가된 촉매 농도에서도, 3차 아민 또는 KSCN 용액의 단독 사용은 우수한 고속 젤을 제공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내지 8
표 3의 조성 및 중합 사이클을 이용하여, -2.00 내지 -10.00 디옵터의 광학력을 갖는 광학 렌즈를 상술한 바와 같이 주형 제작하였다.
Ex.4 Ex.5 Ex.6 Ex.7 Ex.8
조성 중량부
중합성 단량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85.0 85.0 90.0 90.0 -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 - - - 90.0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7.5 7.5 - - -
1,2-비스(2'-머르캅토에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 - 7.5 - 10.0 10.0
티올 A*** 7.5 - - - -
2-(2-설파닐에틸티오)-3-[3-설파닐-2-(2-설파닐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 - 10.0 - -
촉매 시스템
디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 0.15 0.15 0.15 0.15 0.15
KSCN 용액* 0.08 0.08 0.24 0.11 0.11
중합 사이클 시간
45℃ 1 1 1 1 1
80℃ 2 2 2 2 2
중합 사이클 후 상태 경화 레진 경화 레진 경화 레진 경화 레진 경화 레진
렌즈 특성
변형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혼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탈주형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표면 흠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연화점 (℃) >80 >80 >80 >80 >80
황색도 1.54 - - 1.36 -
착색 (%) 68.0 - - 74 -
광투과 (%) 90.0 - - 90.1 -
nD 25 1.73 - - 1.74 -
아베 (Abbe) 수 vD 32 - - 33 -
*KSCN 용액: 8.49% KSCN/34.85% 크라운 에테르 (18-크라운-6)/56.66% 2-머르캅토에탄올
**다음 화합물의 혼합물:
Figure 112003050332729-pct00021
Figure 112003050332729-pct00022
Figure 112003050332729-pct00023
***티올 A는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2-비스(2'-머르캅토에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이 1/8의 몰비로 반응하여 제조된 폴리티오 프리폴리머이다.
- 혼탁도는 육안으로 아크 램프에 의해 판단된다.
- 탈주형 (demoulding) 및 표면 흠결은, 광학적 또는 화장품학적 흠결 (선, 등)이 있는 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단된다.
탈주형 없음은 중합이 종료되기 전에 조기성숙 탈주형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기성숙 탈주형은 표면 흠결이 렌즈에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 황색도 (YI)는 Hyperlab의 Ultrascan으로 측정한다.
- 착색은 렌즈를 BPI 흑색 염료 용액에 94℃에서 45분동안 함침시켜 실시된다.
언급된 값은 착색 후 렌즈의 광투과이다.
- 광투과는 BYK Gardner의 Haze-Guard Plus로 측정한다.
실시예 9
광학 렌즈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 경화 사이클 및 렌즈의 성능은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조성 중량부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89.0
XDI 1.0
폴리티오 프리폴리머**** 10.0
디사이클로헥실아민 0.60
KSCN 용액* 0.10%
경화 사이클
20℃ 20분 (젤)
80℃ 2시간 (후경화)
경화 사이클 후 상태 경화 레진
렌즈 특성
변형 없음
혼탁 없음
탈주형 없음
표면 흠결 없음
연화점 >80℃
황색도 1.48
착색 71
광투과 90.0
굴절율(nD 25) 1.74
아베 (Abbe) 수 vD 33
****폴리티오 프리폴리머는 2-(2-설파닐에틸티오)-3-[3-설파닐-2-(2-설파닐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및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를 80/20 중량비율로 혼합 및 중합하여 제조된 폴리티오 프리폴리머이다.

Claims (33)

  1. 에피설파이드계 레진 제조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A) 다음 화학식 (Ⅴ)의, 최소 하나의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및
    Figure 112009008542529-pct00039
    상기 화학식 (Ⅴ)에서,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10을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S를 나타내며, m은 0 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B) 화학식 (R)3N (상기 R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라디칼, C5-C10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또는 이의 조합)의 최소 하나의 3차 아민 및 다음 화학식의 최소 하나의 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중합 촉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09008542529-pct00024
    상기 화학식에서, Mp+는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및 전이 금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이고,
    Y-는 0.5≤pKa≤14 조건을 만족하는 pKa를 갖는 해당 산 YH의 음이온이며, Mp+가 암모늄기인 경우, 상기 촉매 시스템은 전자-공여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p는 상기 양이온의 원자가이고,
    n은 m x p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 YH는 0.5≤pKa≤8의 조건을 만족하는 pK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Y-는 티오시아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 티오카르복실레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케톤, 아세토아세틱 에스테르, 말로닉 에스테르, 시아노아세틱 에스테르 및 케토니트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Mp+는 Li+, Na+, K+, Rb+ , Mg2+, Ca2+, Ba2+ 및 A1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KSC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5%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아민은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아민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아민은 0.05 내지 2%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합반응의 반응성을 증대시키는 전자-공여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 화합물은 아세토니트릴 화합물, 아미드 화합물, 설폰 및 설폭사이드, 트리알킬포스파이트, 니트로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테이트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08032290738-pct00035
    Figure 112008032290738-pct00026
    상기 화학식에서, Xl은 O, S 또는 NH를 나타내고, x1는 3 내지 6의 정수, X2, X3 및 X4는 O 또는 S을 나타내며, n1, n2, n3, n4, y2, y3, y4는 2 또는 3이고, 그리고 x2, x3, x4는 2 또는 3이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공여 화합물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 5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중합성 화합물은 에피설파이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2-비스(2'-머르캅토에틸티오)-3-머르캅토프로판, 2-(2-설파닐에틸티오)-3-[3-설파닐-2-(2-설파닐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및 다음 화합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티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712008004542744-pct00036
    Figure 712008004542744-pct00037
    Figure 712008004542744-pct00038
    .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티올은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30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는, 벤질 트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비스(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틸) 사이클로헥산, 나프탈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4,4'-디페닐 메탄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질 트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08032290738-pct00029
    Figure 112008032290738-pct00030
    Figure 112008032290738-pct00031
    Figure 112008032290738-pct00032
    상기 화학식에서, Rll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l-C5 알킬기,
    R12는 H, 할로겐, 또는 Cl-C5 알킬기,
    Z는 -N=C=O 또는 -N=C=S;
    a는 1 내지 4의 정수, b는 2 내지 4의 정수, 및 a+b ≤6; 그리고,
    x는 1 내지 10의 정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는 톨릴렌 디이소(티오) 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티오) 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 디이소(티오) 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 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1종 또는 그 이상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단량체는 중합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30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 조성물.
  26. 상기 제 1 항의 조성물의 실온 중합 또는 열 중합에 의해 제조된 주형품.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품은 광학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품.
  28.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에피설파이드계 레진 주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 제조된 조성물을 주형에 충진하는 단계;
    - 주위 온도 또는 가열에 의해 상기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및
    - 상기 주형으로부터 주형품을 분리하는 단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단계는 다음의 과정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 50℃ 또는 그 이하의 제 일차 온도에서 젤이 수득될 때까지 상기 충진된 주형을 가열하는 과정; 및
    - 상기 제 일차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제 이차 온도에서 경화성 레진이 수득될 때까지 가열하는 과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일차 온도는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이차 온도는 6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일차 온도에서의 가열은 15분 내지 1시간 동안 지속되고, 상기 제 이차 온도에서의 가열은 2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품은 광학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37017145A 2001-06-29 2002-06-28 고속 중합체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중합/경화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체 KR100901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95,446 2001-06-29
US09/895,446 US6891017B2 (en) 2001-06-29 2001-06-29 Fast polymerizable/curable episulfide based composition, polymerization/curing process and optical articles resulting therefrom
PCT/EP2002/007164 WO2003002632A1 (en) 2001-06-29 2002-06-28 Fast polymerizable/curable episulfide based composition, polymerization/curing process and optical articles resulting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064A KR20040020064A (ko) 2004-03-06
KR100901154B1 true KR100901154B1 (ko) 2009-06-04

Family

ID=2540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145A KR100901154B1 (ko) 2001-06-29 2002-06-28 고속 중합체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중합/경화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1017B2 (ko)
EP (1) EP1404743B1 (ko)
JP (1) JP4268516B2 (ko)
KR (1) KR100901154B1 (ko)
AT (1) ATE449808T1 (ko)
DE (1) DE60234518D1 (ko)
WO (1) WO2003002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0275B1 (en) 2003-07-24 2013-06-2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made of same, and optical article
WO2007096425A2 (en) * 2006-02-24 2007-08-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olarized poly(thio)urethane optical lens
WO2015056665A1 (ja) * 2013-10-15 2015-04-2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材料
TWI619707B (zh) 2013-12-11 2018-04-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Novel thiol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using the same
TWI699389B (zh) 2014-07-18 2020-07-21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聚硫醇組成物及其製造方法
JP6763199B2 (ja) * 2015-06-02 2020-09-3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
CN116874733A (zh) * 2020-01-27 2023-10-1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光学材料用聚合性预聚物组合物、固化物及光学材料的制造方法
CN115286758A (zh) 2020-01-27 2022-11-04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光学材料用聚合性预聚物组合物、固化物及光学材料的制造方法
US20230111506A1 (en) * 2020-03-10 2023-04-13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polymerizable prepolymer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cur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6272A1 (en) 1998-10-29 2000-05-1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olymerizable compositions for making thio containing resins including a salt catalyst and process for making thio containing resin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975A (en) * 1995-08-16 1998-09-1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Inc. Alkyl sulfide type episulfide compound
US5945504A (en) 1996-01-17 1999-08-3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Episulfide compound
US6130307A (en) * 1998-02-10 2000-10-10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Composition for a resin
US6204311B1 (en) 1998-03-13 2001-03-20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US5973098A (en) * 1998-10-29 1999-10-26 Essilor International -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olymerizable compositions for making thio containing resins including a thiocyanate salt catalyst and process for making thio containing resin articles
EP1006374B1 (en) 1998-12-01 2009-01-0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a resin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6272A1 (en) 1998-10-29 2000-05-1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olymerizable compositions for making thio containing resins including a salt catalyst and process for making thio containing resin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064A (ko) 2004-03-06
DE60234518D1 (de) 2010-01-07
US6891017B2 (en) 2005-05-10
US20030100641A1 (en) 2003-05-29
JP2004530780A (ja) 2004-10-07
WO2003002632A1 (en) 2003-01-09
ATE449808T1 (de) 2009-12-15
EP1404743B1 (en) 2009-11-25
JP4268516B2 (ja) 2009-05-27
EP1404743A1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273B1 (ko)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과 그 중합성 조성물
KR100908367B1 (ko) 금속 함유 화합물 및 그 용도
JP4496121B2 (ja) 色相に優れた硫黄原子含有透明樹脂の製造方法
JP3995427B2 (ja) 新規なポリチオールを含有する重合性組成物、及びそれを重合させてなる樹脂、並びにレンズ
KR100543220B1 (ko) 티올 화합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광학제품
KR100901154B1 (ko) 고속 중합체성/경화성 에피설파이드계 조성물, 중합/경화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체
US10759895B2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JP4684427B2 (ja) 新規なポリチオール
JP2007271744A (ja) 光学製品
JP2004510000A (ja) (アルコキシフェニル)ホスフィンで触媒されるエピスルフィド系重合性組成物、それから得られる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53791B2 (ja) チオール化合物を用いてなる光学製品
JP4684426B2 (ja) ポリチオール及び該ポリチオールを含有する重合性組成物
JP5986446B2 (ja) (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これを用いた重合性組成物および樹脂
JP2003128668A (ja) 新規なポリチオール
JP4506932B2 (ja) 新規な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11702B2 (ja) オール化合物を用いてなる光学製品
JP4598916B2 (ja) ポリチオー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得られるポリチオール
JP4396146B2 (ja) 新規なジ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39003A (ko) 광학 부재용 모노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경화물, 및 안경 렌즈
KR20200021784A (ko) 에피설파이드계 고굴절 광학재료용 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광학재료용 조성물 및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KR20200033423A (ko) 에피설파이드계 고굴절 광학재료용 조성물 및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KR20200025517A (ko) 에피설파이드계 고굴절 광학재료용 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광학재료용 조성물 및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JP2003212843A (ja) ポリチオール、その製造方法、これを含有する重合性組成物、並びに樹脂及び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