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848B1 - 폐암 진단용 마커 - Google Patents

폐암 진단용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848B1
KR100899848B1 KR1020080070849A KR20080070849A KR100899848B1 KR 100899848 B1 KR100899848 B1 KR 100899848B1 KR 1020080070849 A KR1020080070849 A KR 1020080070849A KR 20080070849 A KR20080070849 A KR 20080070849A KR 100899848 B1 KR100899848 B1 KR 10089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recursor
isoform
lung cancer
hypothe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열
성혜진
안정모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프로탄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프로탄바이오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23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u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8Methods of protein analysis involving mass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3/00Manufacturing container or tube from paper; or other manufacturing from a sheet or web
    • Y10S493/961Tag, marker, or lab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암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폐암에서 과발현되는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폐암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마커, 폐암, 혈청 아밀로이드 A2

Description

폐암 진단용 마커 {Markers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본 발명은 종양 마커인 폐암에서 과발현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폐암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조기 발견이 쉽지 않고 그 치료가 어려워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발생률은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폐암은 두 번째로 발생률이 빈번한 암이다.
혈청 아밀로이드 A(Serum amyloid A: SAA)는 반응성 아밀로이드증(reactive amyloidosis)의 염증상황의 전구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신체 상황에서 혈청 내 농도가 증가하는 주된 급성기 단백질(acute phase protein)이다. SAA 다중유전자 패밀리(SAA multigene family)는 네 개의 유사한 유전자를 포함하는데 이들 중 SAA1과 SAA2가 급성기 반응(acute phase response)에 나타나는 주된 단백질이며 SAA3는 슈도-유전자(pseudo-gene), SAA4는 지속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AA1과 SAA2는 같은 염색체(chromosome)에 존재하며 유전적으로 상동 성(homology)이 매우 높아 전체 122개의 아미노산 중 서로 다른 특이한(unique) 아미노산은 9개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두 단백질은 DNA의 각기 다른 부위에 의해 발현되는각기 다른 유전자 유전자이다. SAA에 대한 많은 연구가 현재까지 진행되어 있지만 대개 SAA1에 대한 것들이며, SAA2의 바이오마커(biomarker)로써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되어 않았다.
SAA2 외에도, 폐암의 유의성 있는 진단, 예후 관찰 및 치료 목적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폐암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유의성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폐암 환자에서 얻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정상인에 비해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단백질들을 스크리닝하여,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유전자를 폐암 마커로 확보하였다.
즉, 본 발명은 혈청 아밀로이드 A2 (Serum amyloid A2), 보체 C4-A 전구체(Complement C4-A precursor), 혈청 아밀로이드 A 단백질 전구체(Serum amyloid A protein precursor), 보체 성분 C8 감마 쇄 전구체 (Complement component C8 gamma chain precursor), 187 kDa 단백질 (187 kDa protein), 가상 단백질 DKFZp686C15213 (Hypothetical protein DKFZp686C15213), 가상 단백질 DKFZp686N02209 (Hypothetical protein DKFZp686N02209), 아포리포단백질 A-II 전구체 (Apolipoprotein A-II precursor), 알파-1-안티키모트립신 전구체의 이소폼 1 (Isoform 1 of Alpha-1-antichymotrypsin precursor), 혈소판 베이직 단백질 전구체 (Platelet basic protein precursor), 세로트랜스페린 전구체 (Serotransferrin precursor), 루신-리치 알파-2-당단백질 전구체 (Leucine-rich alpha-2-glycoprotein precursor), 비타민 D-결합 단백질 전구체 (Vitamin D-binding protein precursor), SNC66 단백질 (SNC66 protein), IGL@ 단백질 (Ig lamda chain protein), C-반응 단백질 전구체의 이소폼 1 (Isoform 1 of C-reactive protein precursor), 알파-2-당단백질 1 징크 (alpha-2-glycoprotein 1, zinc), 클루스테린 전구체 (Clusterin precursor), 아포리포단백질 E 전구체 (Apolipoprotein E precursor), 아포리포단백질-L1 전구체의 이소폼 2 (Isoform 2 of Apolipoprotein-L1 precursor) 를 폐암의 바이오마커로써 제공한다.
용어, “폐암 마커” 또는 “폐암 바이오마커”란 정상 세포에 비하여 폐암을 가진 세포, 조직 등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여 폐암을 진단할 수 있는, 유기 생체 분자 물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표 2에 기재된 폐암 바이오 마커들의 발현을 mRNA 수준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함으로써, 폐암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 때, 분석에 사용되는 유전자의 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맞게 1 이상의 유전자를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표 2에 기재된 유전자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20개 선택되는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 마커 검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이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필요한 경우, 분광학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 가능한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는,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등과 같은 효소, 33P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바이오틴 등과 같은 화학그룹 및 형광성 분자를 예로 들 수 있다.
프로브는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라벨링 되어 있어서 특정 mR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한다.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로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당업자는, 공지된 유전자의 핵산 서열로부터, 표적 유전자내 서열간의 혼성 화 정도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상기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프로브를 디자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표 2에 기재된 유전자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20개 선택되는 유전자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 검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항체로, 표 2에 기재된 유전자의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 및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 예를 들어, Fab, F(ab'), F(ab') 2 및 Fv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폐암 진단 마커 검출용 조성물은 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른 구성 성분 또는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폐암 진단 마커 검출용 키트로 응용,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및, 추가적으로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억제제,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하여 RT-PCR용 키트로 제작될 수 있 다. 또 다른 예로서,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DNA 칩용 키트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유전자의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 및, 추가적으로,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chromophores), 효소 및 그의 기질을 포함하는 ELISA용의 키트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백질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단백질 칩용 키트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키트 외에도, 상기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래피드 진단 키트로 제작되는 여러 형태의 진단 키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의 표 2에 기재된 유전자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20개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폐암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mRNA 수준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표 2에 기재된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폐암 의심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으로 mRNA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 분석 방법으로는 RT-PCR, 경쟁적 RT-PCR, 실시간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블랏팅, DNA 칩 등이 있으 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표 2에 기재된 유전자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폐암 의심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와 접촉시켜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하는 방법으로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으로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랏,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단백질 칩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LISA는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체와 항원의 복합체에서 항원을 인지하는 표지된 또 다른 항체를 이용하는 직접적 샌드위치 ELISA,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체와 항원의 복합체에서 항원을 인지하는 또 다른 항체와 반응시킨 후 이 항체를 인지하는 표지된 2차 항체를 이용하는 간접적 샌드위치 ELISA 등의 다양한 ELISA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로서, 표 2에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20개 선택되는 단백질에 대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절단된 펩타이드의 질량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펩타이드의 질량 스펙트럼을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생성된 펩타이드를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질량분석기에서 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다중반응 모니터링) 또는 SRM (selective reaction monitoring; 선택반응 모니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나타나는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의 전구 이 온(precursor ion)과 이행성 이온(transition ion)의 질량분석기상의 피크를 확인한다. 또한, SEQUEST, Mascot, Sonar, X!Tandem, Phenyx, PeptideProphet, ProteinProphet, DTASelect 및 OMSSA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폐암 바이오마커를 검출 및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 분야에서 밝혀진 다양한 방법들의 조합 및 변형된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런 방법으로, SISCAPA (stable isotope standards and capture by anti-peptide antibodie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검사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시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페암에 걸리지 않은 시료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료내의 폐암 의심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유전자 발현량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조군과 생물학적 시료 간의 발현량의 차이는 절대적 또는 상대적 차이로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검출 방법들을 통하여, 폐암 마커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폐암 의심 환자의 폐암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폐암에서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표 2에 기재된 유전자의 발현을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측정하여 폐암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1-1 혈청 샘플
혈청 샘플은 다섯명의 흡연에 의해 유도된 선암(smoking-induced adenocarcinoma) 환자와 암이 확인되지 않은 다섯명의 비흡연자 혈청을 사용하였다. 이 혈청들은 혈액채취 후 즉시 분리되어 실험전까지 -70℃ 냉동고에서 보관되었다.
1-2 SDS-PAGE 및 코마시 블루 염색 (Coomassie Blue Staining)
각 그룹의 혈청은 동일한 양으로 풀링(pooling)되었다. 혈청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은 브래드포드 어세이(Bradford assay)로 측정하여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은 15% 아크릴아마이드 젤(acrylamide gel)에서 110V, 2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아크릴아마이드 젤은 증류수로 세척 과정을 거친 후, 코마시 블루 염색(Coomassie G250 Stain; BioRad)으로 상온에서 쉐이킹(shaking) 하면서 두 시간 정도 반응시켰다. 그리고 나서, 젤은 증류수에서 밤새 탈색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하는 과정으로 염색 과정을 마쳤다.
1-3 인-젤 다이제스쳔(in-gel digestion)
코마지 염색에서 확인된 분석하고자 하는 부위의 단백질 밴드를 자른 후 75 mM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ammonium bicarbonate)와 40% 에탄올을 1:1로 섞은 탈색(destaining) 용액에서 탈색과정을 거쳤다. 코마시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의 색이 모두 사라진 젤에 5 mM DTT/25 mM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를 충분히 넣고 60 ℃ 에서 30분간 환원(reduction) 시킨 후, 용액을 모두 제거하였다. 25 mM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한 번 세척한 후 55 mM 이오도아세트아미드(iodoacetamide)/25 mM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ammonium bicarbonate) 용액으로 RT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알킬화(alkylation) 시켰다. 이 후 젤 조각은 100% ACN을 사용하여 탈수 시킨 후 말렸다. 말린 젤 조각에 충분히 단백질이 빠져나올 정도의 20 mg/mL 모디파이드 시퀀싱 그레이드 트립신 (modified sequencing grade trypsin: Roche Applied Science)을 포함한 25 mM 암모늄 바이카보네이를 넣고 37 ℃에서 밤새 반응시킨다. 다음날 0.1% 포름산(formic acid)를 가하여 단백질을 용리(elution) 시켜 모은다.
1-4 LC-MS/MS 분석
LC-MS/MS 분석은 Thermo Finnigan’s ProteomeX workstation LTQ linear IT MS (Thermo Electron,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12ul의 각 샘플이 사용되었으며 주입(injection)된 샘플은 5 mm, 300 A 기공 크기(pore size) C18으로 패킹(packing)된 10 cm 길이의 RP PicoFrit column 5 mm에 정체되었다가 H2O 및 ACN의 구배 용액(gradient solution)으로 유리되어 나오면서 확인되었다.
1-5 데이터 분석
MS/MS 샘플은 SEQUEST algorithm (ThermoFinnigan, San Jose, CA; version v.27, rev. 11)를 통해 분석되었고, 서열분석은 ipiHUMAN3.29 database (68161 entries)를 기반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스카폴드(Scaffold)(version Scaffold-01_07_00, Proteome Software Inc., Portland, OR)가 MS/MS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펩타이드 프라피트 알코리즘(Peptide Prophet algorithm: Keller, A et al Anal. Chem. 2002;74(20):5383-92)에 따라 90.0% 이상의 가능성을 갖는 것들을 확인하였고 Protein Prophet algorithm (Nesvizhskii, AI Anal Chem. 2003 Sep 1;75(17):4646-58)에 따라 95.0% 이상의 가능성과 2개 이상의 펩타이드 수를 갖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1-6 웨스턴 블랏
각각의 정상인과 폐암, 기타 다른 암환자, 전신 염증성 질환 환자의 100ug 원래 혈청 단백질(crude serum protein)은 15% SDS-PAGE를 통하여 분리되었다. 전기영동 후 단백질은 PVDF 막 (Millipore, U.S.A.)로 트랜스퍼하였다. 막은 항-혈청 아밀로이드 항체 (R&D Systems, Inc. 1:1000 dilution)로 4 ℃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그리고 항-래빗 IgG 항체 (Santa Cruz, 1:3000)으로 실온에서 한 시간 반응 후 ECL 플러스 웨스턴 블랏 분석 시스템 (Amersham Biosciences, UK)로 단백질의 존재 유무를 확인 하였다.
실시예 2: SDS - PAGE 에 의한 단백질 분리
폐암 환자와 정상인의 혈청을 동일한 양의 단백질이 실험에 사용 될 수 있도록 단백질 정량 후 각각 100ug의 단백질을 각 레인에 로딩하였다. 전기영동 후 두 샘플의 차이를 코마시 블루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가 도 1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이듯 45kDa, 15kDa, 그리고 10kDa 부근에서 두 레인에서 차이가 보이는 밴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차이를 보이는 세 개의 밴드에 폐암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그 부분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LC-MS/MS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3: LC - MS / MS 분석
차이가 보인 부분의 젤을 잘라 인-젤 다이제스쳔 과정을 통해 단백질을 정제 분리하여, LC-MS/MS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온 분석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전체적으로 발견된 단백질의 수는 20~30개 정도였으며, 같은 위치의 정상 샘플 밴드와 암 샘플 밴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들은 13~20개 정도를 보였다.
이들 발견된 단백질의 펩타이드 히트(peptide hit)을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 (Fold 값)이 1.5 이상이 되는 단백질들은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들 단백질 중에서 SAA2는 폐암 샘플 레인 밴드2 에서만 확인이 되었고, 그 수도 정상인의 샘플 레인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것에 비해 폐암 샘플 레인 밴드2 에서는 펩타이드 히트 수가 10으로 나왔다.
동정된 단백질의 수
Peptide identified Peptides in common
Compare 1 LC1 21 17
N1 22
Compare 2 LC2 18 13
N2 23
Compare 3 LC3 28 19
N3 26
Figure 112008052350311-pat00001
실시예 4: SAA2 의 확인
LC-MS/MS 분석 결과 나타난 SAA2는 스카폴드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표 3). 총 나타난 10개의 펩타이드 조각 중에서 SAA1과 다른 특이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은 3개의 조각이 존재했고(Underlined Amino Acids-표 4) 이들은 차이가 난다고 알려진 9개의 아미노산(Amino Acids written in Red-표 4) 중에서 5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었다.
Figure 112008052350311-pat00002
Figure 112008052350311-pat00003
실시예 5: SAA 소 그룹 검증
시중에 현재 판매되는 SAA 항체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높은 상동성으로 인하여 두 단백질을 구별하여 확인 할 수 있는 항체는 없다. 따라서 항-인간 혈청 아밀로이드 A 항체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은 10명의 정상인과 50명의 폐 선암 (Lung Adenocarcinoma) 환자의 혈청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10명의 정상인에서는 SAA의 발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50명의 폐암 환자의 경우 28명의 환자 샘플에서 발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다른 타입의 암과 비교한 SAA 의 폐암 특이적 발현
SAA의 발현 유무가 폐암환자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암 이외에 잘 발생한다고 알려진 위암, 직장암, 유방암, 간경화, 간암 환자의 혈청에서 SA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다섯 명의 1,2기 혹은 3,4기 환자 혈청을 풀링(pooling) 하였고, 이는 각 Lane A, B에 로딩하였다. 그 결과 폐암환자의 혈청에서만 SAA의 발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동량의 다른 암 환자의 혈액에서는 SAA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7: 전신성 염증 질환과 비교한 SAA 의 폐암 특이적 발현
SAA의 경우 급성기 단백질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신체내의 염증반응에 의해서 그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전신 염증성 질환인 동맥경화와 당뇨병 환자에서의 SAA의 발현을 폐암환자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폐암환자의 혈액에서만 높은 SAA의 발현이 확인되었고, 동맥경화환자와 당뇨병 환자의 경우는 발현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 밝혀진 폐아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폐암을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의학적 분야에서 폭넓은 이용이 기대된다.
도 1은 정상인과 폐 선암 환자 사이에 발현 차이가 나는 단백질을 찾기 위하여 각 샘플을 SDS-PAGE 한 결과로, 45, 15, 10kDa 세 위치의 밴드가 정상인과 폐암환자에서 서로 다른 강도로 확인되었다.
도 2는 폐 선암 환자의 혈청에서 SAA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로, 밴드 강도는 각 환자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는 보이나, 정상인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폐암환자의 혈액에서만 높게 발현되었다.
도 3은 암 환자 샘플에서 SAA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을 통해 확인한 결과로, 레인 A는 단계 1과 2, 레인 B는 단계 3과 4를 나타낸다 (LiCi; 간경화증(Liver Cirrhosis), HCC;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도 4는 정상인, 폐암환자, 동맥경화 환자, 당뇨병 환자의 원래 혈청 단백질을 로딩한 후의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D.M; 당뇨병증신증을 가진 당뇨병(레인 A), 당뇨병증신증을 가진 당뇨병 (레인 B)).

Claims (7)

  1. 보체 성분 C8 감마 쇄 전구체, 가상 단백질 DKFZp686C15213, 가상 단백질 DKFZp686N02209, 알파-1-안티키모트립신 전구체의 이소폼 1, 혈소판 베이직 단백질 전구체, SNC66 단백질, Ig lamda chain 단백질, C-반응 단백질 전구체의 이소폼 1 및 아포리포단백질-L1 전구체의 이소폼 2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10개 선택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 검출용 조성물.
  2. 삭제
  3. 보체 성분 C8 감마 쇄 전구체, 가상 단백질 DKFZp686C15213, 가상 단백질 DKFZp686N02209, 알파-1-안티키모트립신 전구체의 이소폼 1, 혈소판 베이직 단백질 전구체, SNC66 단백질, Ig lamda chain 단백질, C-반응 단백질 전구체의 이소폼 1 및 아포리포단백질-L1 전구체의 이소폼 2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10개 선택되는 유전자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 검출용 조성물.
  4. 보체 성분 C8 감마 쇄 전구체, 가상 단백질 DKFZp686C15213, 가상 단백질 DKFZp686N02209, 알파-1-안티키모트립신 전구체의 이소폼 1, 혈소판 베이직 단백질 전구체, SNC66 단백질, Ig lamda chain 단백질, C-반응 단백질 전구체의 이소폼 1 및 아포리포단백질-L1 전구체의 이소폼 2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10개 선택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5. 보체 성분 C8 감마 쇄 전구체, 가상 단백질 DKFZp686C15213, 가상 단백질 DKFZp686N02209, 알파-1-안티키모트립신 전구체의 이소폼 1, 혈소판 베이직 단백질 전구체, SNC66 단백질, Ig lamda chain 단백질, C-반응 단백질 전구체의 이소폼 1 및 아포리포단백질-L1 전구체의 이소폼 2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10개 선택되는 유전자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상기 유전자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6. 보체 성분 C8 감마 쇄 전구체, 가상 단백질 DKFZp686C15213, 가상 단백질 DKFZp686N02209, 알파-1-안티키모트립신 전구체의 이소폼 1, 혈소판 베이직 단백질 전구체, SNC66 단백질, Ig lamda chain 단백질, C-반응 단백질 전구체의 이소폼 1 및 아포리포단백질-L1 전구체의 이소폼 2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 내지 10개 선택되는 유전자의 단백질에 대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절단된 펩타이드의 질량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펩타이드의 질량 스펙트럼을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생성된 펩타이드를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7. 제 4항, 제 5 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시료가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또는 뇨인 방법.
KR1020080070849A 2008-07-21 2008-07-21 폐암 진단용 마커 KR10089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849A KR100899848B1 (ko) 2008-07-21 2008-07-21 폐암 진단용 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849A KR100899848B1 (ko) 2008-07-21 2008-07-21 폐암 진단용 마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690A Division KR100925147B1 (ko) 2009-04-27 2009-04-27 폐암 진단용 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848B1 true KR100899848B1 (ko) 2009-05-27

Family

ID=4086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849A KR100899848B1 (ko) 2008-07-21 2008-07-21 폐암 진단용 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3940A1 (en) * 2012-03-29 2013-10-03 Proyecto De Biomedicina Cima, S.L. New lung cancer molecular mark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62A (ko) * 2007-01-05 2008-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폐암 진단용 마커
KR100846354B1 (ko) * 2007-03-21 2008-07-15 (주) 프로탄바이오 혈청 당단백질부터 분리한 폐암 진단용 마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62A (ko) * 2007-01-05 2008-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폐암 진단용 마커
KR100846354B1 (ko) * 2007-03-21 2008-07-15 (주) 프로탄바이오 혈청 당단백질부터 분리한 폐암 진단용 마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ung, 186, 255-261(online 2008.05.09.)*
Proteomics, 5, 1062-1074(200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3940A1 (en) * 2012-03-29 2013-10-03 Proyecto De Biomedicina Cima, S.L. New lung cancer molecular markers
US10545150B2 (en) 2012-03-29 2020-01-28 Proyecto De Biomedicina Cima, S.L. Lung cancer molecular mark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5309B2 (en) Biomarkers for gastric cancer and uses thereof
KR101073875B1 (ko) 대장암 진단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JP7285215B2 (ja) 大腸がんを検出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
JP4593117B2 (ja) 炎症性疾患および敗血症を診断するための、カルバモイルリン酸シンテターゼ1(cps1)およびその断片の使用
WO2006098464A1 (ja) 前立腺がんの診断方法
KR100925147B1 (ko) 폐암 진단용 마커
JP4515099B2 (ja) Lasp−1免疫反応性の決定によって炎症性疾患および感染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
US20150338412A1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diagnosis kit for lung cancer
KR101527283B1 (ko) 당단백질의 탈당화 검출을 통한 암 마커 스크리닝 방법 및 간세포암 마커
KR101995189B1 (ko) 비침습적 체외진단을 위한 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JP2010014689A (ja) プロテオミクス解析を用いたメラノーママーカーの同定
KR101334123B1 (ko) 소세포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소세포폐암 진단키트
KR100899848B1 (ko) 폐암 진단용 마커
EP2772759B1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ung cancer
JPWO2011138955A1 (ja) Siaα2−8Siaα2−3Galβ−R糖鎖を持つムチン1の分析方法
KR102136643B1 (ko) 신규한 간암 진단 마커 및 이의 용도
CN112415206B (zh) 外泌体中的cd171蛋白作为肿瘤转移诊断标志物的应用
KR102519913B1 (ko)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131860B1 (ko) 아르기닌이 메틸화된 ggt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대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2009519B1 (ko) 당뇨망막병증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054953B1 (ko) 간암을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한 분자인 snx14, 그를 포함하는 키트
KR20110068695A (ko) 난소암에 대한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진단
KR20240009366A (ko) 초기 알츠하이머병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180024107A (ko) 아토피 피부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KR101054951B1 (ko) 간암을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한 분자인 capn12, 그를 포함하는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