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599B1 - 게임 매체 투입 기구 - Google Patents

게임 매체 투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599B1
KR100898599B1 KR1020087001320A KR20087001320A KR100898599B1 KR 100898599 B1 KR100898599 B1 KR 100898599B1 KR 1020087001320 A KR1020087001320 A KR 1020087001320A KR 20087001320 A KR20087001320 A KR 20087001320A KR 100898599 B1 KR100898599 B1 KR 10089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wall
medal
game medium
inle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747A (ko
Inventor
미츠시게 타케우치
히토시 아리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45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1695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45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1696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8001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02Dispensing or collecting devices for tokens or chips
    • A63F2011/0006Dispensing or collecting devices for tokens or chips adapted f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메달의 투입이 용이하고, 장시간에 걸치는 메달의 연속 투입을 행하여도, 플레이어가 지치지 않고 게임에 열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제공한다. 게임 매체 투입 기구(100)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M)를 저류(貯留)하는 저류부(101)와,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上方向)으로 경사하면서 연재(延在)하는 제1 경사벽(104, 106)과, 당해 제1 경사벽(104, 106)에 근접하는 위치에 당해 게임 매체(M)의 제1 투입구(108-1)를 가지는 제1 투입부(108)와, 당해 게임 매체(M)를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투입구(108-1)로 슬라이드 전입(轉入)시키도록,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113)를 구비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101)에 저류하고 있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M)를,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104, 106)에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여, 당해 게임 매체(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M)가 제1 경사벽(106)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113)에 계지된다. 그리고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게임 매체(M)를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투입구(108-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게임 매체, 게임 장치, 경사벽, 가이드부, 투입부

Description

게임 매체 투입 기구{GAME MEDIUM INJECTION MECHANISM}
본 발명은, 게임 매체 투입 기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메달 등의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 매체 투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등의 대체로 구형상(球形狀)의 게임 매체나, 메달 등의 대체로 원반(圓盤) 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본원에 있어서, 용어 「게임 매체」란, 게임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유체물(有體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로서 메달을 이용하는 게임 장치의 전형예로서, 푸셔 게임(pusher game)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게임 장치는,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통하여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으로 게임을 행하는 것이며,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타이밍이나 투입하는 방향 혹은 투입하는 게임 매체의 양이 게임의 결과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당해 게임 장치가 게임 플레이어를 매료하여, 게임 장치의 앞에 꼼짝 못하게 하려면, 게임성 즉 게임 자체의 재미에 더하여, 게임 매체를 투입하기 쉬운 것이 중요해진다.
종래의 메달을 사용한 푸셔 게임기에 있어서의 기존의 메달 투입 기구에 의하면, 메달 저류부(貯留部)로부터 메달 투입구까지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을 손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을 계속 투입하는 것은, 게임 플레이어를 지치게 하는 결과로 된다. 또한, 메달의 투입에 신경을 쓰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하지 못하여 충분히 즐길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달 투입을 자동화한 경우,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이 약하고, 게임성이 아무리 뛰어난 것이어도, 게임 플레이어를 충분히 매료할 수 있을 가능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가 없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달의 투입이 용이하고, 장시간에 걸치는 메달의 연속 투입을 행하여도, 플레이어가 지치지 않고 게임에 열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달의 투입이 용이하고, 장시간에 걸치는 메달의 연속 투입을 행하여도, 플레이어가 지치지 않고 게임에 열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上方向)으로 경사하면서 연재(延在, 어느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존재함)하는 제1 경사벽과, 상기 제1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1 투입구를 가지는 제1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轉入)시키도록, 상기 제1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는,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면 되고, 이를 위해서는, 제1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1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총체적으로 하강」이란, 바꾸어 말하면, 제1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1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투입구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보다 제1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게임 매체는, 지금까지의 전동(轉動)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1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게임 매체는, 나중에 전동하여 온 다른 게임 매체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문제없다. 또한, 제1 가이드부는, 예를 들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직선적, 만곡(彎曲)적, 혹은 계단상(階段狀)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에 저류하고 있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에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여,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가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된다. 그리고 당해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에 당해 게임 매체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고, 다음은,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가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고, 그 후,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투입구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상기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구르면,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제1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여, 손을 떼면 되어, 종래와 같이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제1 투입구까지 잡아서 옮길 필요가 없다. 즉, 중력을 잘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당해 게임 매체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다음,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가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투입구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즉, 게임 매체의 투입을 자동화하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을 가지면서, 게임 플레이어를 연속하여 장시간 충분히 매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가이드부는, 당해 제1 경사벽에 형성된 제1 단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단차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당해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경사벽을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 떨어지는 상기 게임 매체를 계지하는 기능과,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투입구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위의 위치까지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 당해 제1 가이드부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는, 당해 제1 경사벽에 형성된 제1 단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은, 당해 제1 경사벽의 당해 제1 단차보다 위의 영역을 향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당해 제1 단차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일단 미끄러져 올라간 당해 게임 매체가 게임 플레이어의 손을 떠나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에서 계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이, 당해 제1 경사벽의 당해 제1 단차보다 아래의 영역을 향한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 당해 게임 매체를 저지하고, 또한, 게임 매체를 계지하면서, 당해 제1 투입구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킬 수 없다.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경사벽에 있어서 당해 제1 단차보다 아래의 영역을, 당해 제1 단차보다 위의 영역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과, 당해 아래 영역으로만 연재하는 제2 평판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 중 당해 위 영역만을 얇게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당해 제1 단차를 가지는 당해 제1 경사벽은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당해 제1 투입구로 연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제1 단차에 의하여 계지된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투입구로 당해 제1 단차를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하강하도록 연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당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곡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당해 제1 단차의 어느 위치에서 게임 매체를 계지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하는데 최저한 필요한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종단(終端)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1 단차의 종단부를 당해 제1 투입구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종단부가 당해 제1 투입구에 접해 있지 않고, 간극(間隙)을 가지고 있어도, 당해 제1 단차를 구른 당해 게임 매체가 최종적으로 당해 제1 투입구로 굴러 들어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당해 제1 투입부의 당해 제1 투입구는, 당해 제1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 바꾸어 말하면, 당해 제1 단차의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에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당해 제1 단차의 최소한 필요한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와, 당해 게임 매체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은 보다 커질 것이다. 나아가, 당해 게임 매체의 두께와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이 너무 작으면,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를 계지하지 못하여,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단차를 넘어 당해 저류부까지 미끄러져 떨어져 버려,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투입구에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해 게임 매체의 두께와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를 계지할 수 있는 최저한의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이 필요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단차는 상기 게임 매체 단체(單體, 단일의 물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적으로는, 당해 게임 매체의 주위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모퉁이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경우, 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이상의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이 있으면, 당해 게임 매체를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반드시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 상을 전동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직각 혹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가,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둔각인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이 큰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이 수직에 가까운 경우,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이 작은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이 수평에 가까운 경우,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뗀 후,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당해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를 따라 구르면서 당해 제1 경사벽을 슬라이드할 때에도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도중에 멈추어 버려, 상기 제1 투입구까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직에 너무 가깝지 않고 또한 수평에도 너무 가깝지 않은 각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은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은 전형적으로는 약 45도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당해 제1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당해 제1 경사벽의 측부로부터 총체적으로 하강하면서 당해 제1 투입구까지 연재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 영역에 걸쳐 당해 제1 가이드부가 연재하기 때문에,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게임 매체를 확실히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당해 제1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당해 제1 경사벽의 측부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離間)한 내측(內側) 위치로부터 총체적으로 하강하면서 당해 제1 투입구까지 연재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에 있어서 당해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게임 매체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넘어 게임 매체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저류부와 상기 제1 경사벽의 경계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저류부에 저류하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곡면의 바람직한 곡률(曲率)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에 의존하지만, 대체로 당해 곡면의 곡률 반경(半徑)이,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바람직한 곡률은 경험적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제1 경사벽과 당해 게임 매체의 마찰 저항은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이하에 서술하는 구성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당해 게임 매체와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게임 매체는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진다. 이 때문에, 당해 제1 경사벽은,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경우, 당해 게임 매체의 측면의 전 영역이, 당해 제1 경사벽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한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려면,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하여, 당해 제1 경사벽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당해 게임 매체와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게임 매체의 측면은,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와 접촉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된다.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는,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나아가 당해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를 때의 장해가 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의 전형예는, 당해 제1 가이드부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上方)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르는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고,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는, 단일의 능선 형상 돌기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혹은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의 전형예는, 전술의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를 대신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點在)하는 복수의 돌기여도 무방하다.
인접하는 돌기의 간격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돌기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르는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고,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복수의 돌기는, 마찰력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그 정부(頂部)가 라운드(round)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제1 진동 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경사벽에 부여하는 진동이 너무 커서,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구를 때에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너무 큰 진동은, 게임 플레이어에게도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제1 진동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기존의 진동 모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이,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의 이측(裏側)으로부터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여 송풍하도록 구성한 제1 송풍 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여 송풍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으로부터 띄우는 방향의 부력을 당해 게임 매체에 부여하여,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력을 저감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통풍 구멍의 간격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통풍 구멍은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송풍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송풍 팬을 당해 제1 경사벽의 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르는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는 송풍에 의하여 부여되는 부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력이 저감된 상태로,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구르기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을, 망상(網狀)의 경사벽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을 망상의 경사벽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망의 격자 간격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이 망상의 경사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3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제1 투입부의 당해 제1 투입구는, 당해 게임 매체가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당해 게임 매체가 동시에 당해 제1 투입구로 들어간 경우, 당해 제1 투입구에 이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의 안내 홈에 당해 게임 매체가 막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14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의 적어도 표면은, 자기윤활성(自己潤滑性)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면만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 경사벽의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제1 경사벽에 더하여, 저류부의 표면 혹은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전형예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함유(含油) 소결(燒結) 금속(상품예 : 오일레스 메탈 플레이트(oilless metal plate)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5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전술한 구성 요소에 더하여, 상기 저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벽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2 경사벽과, 상기 제2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제2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상기 제2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는,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면 되고, 이를 위해서는, 제2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2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총체적으로 하강」이란, 바꾸어 말하면, 제2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2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투입구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보다 제2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게임 매체는,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2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2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게임 매체는, 나중에 전동하여 온 다른 게임 매체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2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제2 가이드부는, 예를 들면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직선적, 만곡적, 혹은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저류부의 편측(片側)만 경사벽을 설치하여 다른 편 방향으로부터만 당해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당해 저류부의 양측에 경사벽을 설치하여 양 방향으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양 방향으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게임 매체 투입 기구는, 당해 저류부를 통하여 당해 제1 경사벽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당해 저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2 경사벽과, 당해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당해 게임 매체의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제2 투입부와, 당해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당해 제2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전술의 제1 경사벽과 동일한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고, 혹은 다른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의 구조는, 투입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술한 구조에 관한 사항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의하면,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상 저류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제1 하 저류부와, 상기 상 저류부와 상기 제1 하 저류부의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것과 함께, 상기 상 저류부로부터 하방향(下方向)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제1 하 저류부까지 연재하는 제1 경사벽과, 상기 제1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1 투입구를 가지는 제1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상기 제1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는,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면 되고, 이를 위해서는, 제1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1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총체적으로 하강」이란, 바꾸어 말하면, 제1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1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투입구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보다 제1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게임 매체는,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1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게임 매체는, 나중에 전동하여 온 다른 게임 매체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제1 가이드부는, 예를 들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직선적, 만곡적, 혹은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상 저류부에 저류하고 있는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당해 상 저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제1 하 저류부까지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가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된다. 그리고 당해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상 저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제1 하 저류부까지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의 상부 영역까지 당해 게임 매체를 이동시키고, 다음은,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가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어, 그 후,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투입구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상기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구르면,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상 저류부로부터 제1 경사벽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손을 떼면 되어, 종래와 같이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상 저류부로부터 제1 투입구까지 잡아서 옮길 필요가 없다. 즉, 중력을 잘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있다.
나아가,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넘어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당해 제1 하 저류부에 이르러, 여기에 저류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에 저류된 당해 게임 매체는, 상 저류부로 옮겨 이용할 수 있다. 혹은,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제1 하 저류부에 저류된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그 후,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어, 그 후,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투입구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이 메커니즘은, 전술의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상 저류부로부터 제1 경사벽의 상부 영역까지 당해 게임 매체를 이동시키고, 다음은,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가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어, 그 후,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투입구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나아가,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지 않고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하 저류부에 저류된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다음,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당해 제1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어, 그 후, 상기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투입구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즉, 게임 매체의 투입을 자동화하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을 가지면서, 게임 플레이어를 연속하여 장시간 충분히 매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17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가이드부는 당해 제1 경사벽에 형성된 제1 단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단차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당해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경사벽을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 떨어지는 상기 게임 매체를 계지하는 기능과,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투입구에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당해 제1 가이드부에 계지되지 않고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하 저류부에 저류된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위의 위치까지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경우에는, 당해 게임 매체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 당해 제1 가이드부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는, 당해 제1 경사벽에 형성된 제1 단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단차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단,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은, 당해 제1 경사벽의 당해 제1 단차보다 위의 영역을 향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당해 제1 단차를 넘어 미끄러지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일단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당해 게임 매체가 게임 플레이어의 손을 떠나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에서 계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이, 당해 제1 경사벽의 당해 제1 단차보다 아래의 영역을 향한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 당해 게임 매체를 저지하고, 또한, 게임 매체를 계지하면서, 당해 제1 투입구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킬 수 없다.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경사벽에 있어서 당해 제1 단차보다 아래의 영역을, 당해 제1 단차보다 위의 영역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과, 당해 아래 영역으로만 연재하는 제2 평판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 중 당해 위 영역만을 얇게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당해 제1 단차를 가지는 당해 제1 경사벽은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당해 제1 투입구로 연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제1 단차에 의하여 계지된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투입구로 당해 제1 단차를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하강하도록 연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당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당해 제1 경사벽 상을 곡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당해 제1 단차의 어느 위치에서 게임 매체를 계지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하는데 최저한 필요한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는, 당해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종단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1 단차의 종단부를 당해 제1 투입구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종단부가 당해 제1 투입구에 접해 있지 않고, 간극을 가지고 있어도, 당해 제1 단차를 구른 당해 게임 매체가 최종적으로 당해 제1 투입구로 굴러 들어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당해 제1 투입부의 당해 제1 투입구는 당해 제1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 바꾸어 말하면, 당해 제1 단차의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에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당해 제1 단차의 최소한 필요한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와 당해 게임 매체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은 보다 커질 것이다. 나아가, 당해 게임 매체의 두께와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이 너무 작으면,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를 계지하지 못하고,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제1 단차를 넘어 당해 저류부까지 미끄러져 떨어져 버려,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투입구에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해 게임 매체의 두께와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를 계지할 수 있는 최저한의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이 필요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8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단차는, 상기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적으로는, 당해 게임 매체의 주위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모퉁이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경우, 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이상의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이 있으면, 당해 게임 매체를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보다 크게,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반드시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 상을 전동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직각 혹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가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둔각인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이 큰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이 수직에 가까운 경우,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이 작은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이 수평에 가까운 경우,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저류부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게임 매체로부터 손을 뗀 후,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당해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를 따라 구르면서 당해 제1 경사벽을 슬라이드할 때에도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도중에 멈추어 버려, 상기 제1 투입구까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직에 너무 가깝지 않고 또한 수평에도 너무 가깝지 않은 각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은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의 경사각은 전형적으로는 약 45도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9 측면에 의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당해 제1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당해 제1 경사벽의 측부로부터 총체적으로 하강하면서 당해 제1 투입구까지 연재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 영역에 걸쳐 당해 제1 가이드부가 연재하기 때문에,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게임 매체를 확실히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0 측면에 의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당해 제1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당해 제1 경사벽의 측부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총체적으로 하강하면서 당해 제1 투입구까지 연재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에 있어서 당해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게임 매체를 잡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넘어 게임 매체를 잡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제21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상 저류부와 당해 제1 경사벽의 제1 경계 및 당해 하 저류부와 당해 제1 경사벽의 제2 경계의 각각은,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당해 상 저류부에 저류하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떨어뜨리려면, 혹은, 당해 하 저류부에 저류하는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떨어뜨리려면, 당해 상 저류부와 당해 제1 경사벽의 제1 경계 및 당해 하 저류부와 당해 제1 경사벽의 제2 경계의 각각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곡면의 바람직한 곡률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에 의존하지만, 대체로 당해 곡면의 곡률 반경이,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바람직한 곡률은 경험적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제1 경사벽과 당해 게임 매체와의 마찰 저항은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이하에 서술하는 구성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제22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당해 게임 매체와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게임 매체는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진다. 이 때문에, 당해 제1 경사벽은,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경우, 당해 게임 매체의 측면의 전 영역이, 당해 제1 경사벽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한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려면,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하여, 당해 제1 경사벽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당해 게임 매체와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게임 매체의 측면은,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와 접촉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제23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2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는, 당해 제1 가이드부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는,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나아가, 당해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를 때의 장해가 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의 전형예는, 당해 제1 가이드부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르는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고,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는, 단일의 능선 형상 돌기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혹은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4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2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는, 전술의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를 대신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인접하는 돌기의 간격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돌기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르는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복수의 돌기는 마찰력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그 정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5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제1 진동 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제1 진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당해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을 저감하여,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경사벽에 부여하는 진동이 너무 커서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구를 때에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너무 큰 진동은, 게임 플레이어에도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제1 진동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기존의 진동 모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6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이,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의 이측으로부터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여 송풍하도록 구성한 제1 송풍 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이, 당해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의 이측으로부터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여 송풍하도록 구성한 제1 송풍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여 송풍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를 당해 제1 경사벽으로부터 띄우는 방향의 부력을 당해 게임 매체에 부여하여,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력을 저감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통풍 구멍의 간격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통풍 구멍은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송풍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송풍 팬을 당해 제1 경사벽의 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를 구르는 당해 게임 매체는,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는 송풍에 의하여 부여되는 부력에 의하여,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력이 저감된 상태로,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구르기 때문에,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7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을, 망상의 경사벽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을 망상의 경사벽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망의 격자 간격은, 당해 게임 매체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이 망상의 경사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당해 게임 매체와 당해 제1 경사벽과의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8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투입부의 당해 제1 투입구는, 당해 게임 매체가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당해 게임 매체가 동시에 당해 제1 투입구로 들어간 경우, 당해 제1 투입구에 이어지는 당해 게임 매체의 안내 홈에 당해 게임 매체가 막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9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당해 제1 경사벽의 적어도 표면은 자기윤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면만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 경사벽의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경사벽에 더하여, 저류부의 표면 혹은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전형예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함유 소결 금속(상품예 : 오일레스 메탈 플레이트)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30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 더하여, 상기 상 저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하 저류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제2 하 저류부와, 상기 상 저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벽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 저류부와 상기 제2 하 저류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상 저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제2 하 저류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2 경사벽과, 상기 제2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제2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상기 제2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는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면 되고, 이를 위해서는, 제2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2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총체적으로 하강」이란, 바꾸어 말하면, 제2 가이드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 제2 투입구를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게임 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투입구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보다 제2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게임 매체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게임 매체는,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2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2 가이드부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게임 매체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게임 매체는, 나중에 전동하여 온 다른 게임 매체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2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제2 가이드부는, 예를 들면,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직선적, 만곡적, 혹은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상 저류부의 편측만 경사벽을 설치하여 편 방향만으로부터만 당해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당해 상 저류부의 양측으로 경사벽을 설치하여 양 방향으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양 방향으로부터 당해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게임 매체 투입 기구는, 당해 상 저류부를 통하여 당해 제1 하 저류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당해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제2 하 저류부와, 당해 상 저류부를 통하여 당해 제1 경사벽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상 저류부와 당해 제2 하 저류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과 함께, 당해 상 저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당해 제2 하 저류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2 경사벽과, 당해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당해 게임 매체의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제2 투입부와, 당해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당해 제2 경사벽 상에 연재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전술의 제1 경사벽과 동일한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고, 혹은 다른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의 구조는 투입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술한 구조에 관한 사항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포함하는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의 전형예로서 메달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달 투입 기구를 포함하는 메달 게임 장치의 전형예로서 푸셔 게임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적용이 가능한 게임 장치의 스테이션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5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5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메달의 두께와 당해 제1 단차 및 제2 단차의 스텝면의 폭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제1 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로서 메달을 예로 들어, 당해 메달을 투입하는 메달 투입 기구를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또한, 메달 투입 기구를 적용 가능한 게임 장치로서, 기존의 각종 메달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푸셔 게임 장치를 일부의 구성으로서 포함하는 게임 장치에 메달 투입 기구를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 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설명하기 전에, 당해 투입 기구를 적용하는 게임 장치의 개략에 대하여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적용이 가능한 게임 장치의 스테이션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임 장치의 스테이션부(ST)는 메달 투입 기구(100)와 메달 반송 경로(200)와 리프트 업 호퍼(lift up hopper, 300)와 메달 배출 경로(400)와 플레이 필드(500)와 제어부(600)와 표시부(700)와 케이스(8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케이스(800)의 상부 가장 앞쪽에 배치된다. 여기서, 용어 「가장 앞쪽」이란, 게임 플레이어가 플레이 할 때에 위치하는 쪽을 의미한다. 메달 반송 경로(200) 및 리프트 업 호퍼(300)는 케이스(800) 내에 배치된다. 메달 반송 경로(200)는, 메달 투입 기구(100)와 리프트 업 호퍼(300)를 기계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리프트 업 호퍼(300)까지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플레이 필드(500)는 케이스(8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메달 배출 경로(400)는 케이스(800)의 상측부에 위치한다.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단(排出端)은 플레이 필드(50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한다. 메달 배출 경로(400)의 공급단(供給端)은 리프트 업 호퍼(3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메달은, 리프트 업 호퍼(300)에 의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공급단까지 리프트 업되고, 당해 메달 배출 경로(400)를 통하여 배출단으로부터 플레이 필드(500) 상으로 공급된다.
제어부(600)는 케이스(800) 내에 배치된다. 한편, 표시부(700)는 케이 스(800)의 상부 가장 안쪽에 배치된다. 여기서, 용어 「가장 안쪽」이란, 전술한 「가장 앞쪽」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당해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메달의 상황은,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플레이 필드(500)를 직시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덧붙여, 스테이션부(ST)는 제어부(600)에 의하여 제어되고, 플레이어에게 표시해야 할 정보는 표시부(700)에 의하여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달 투입 기구(100)에 있기 때문에, 이하, 그 구성, 작용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수평 영역(21)과, 당해 수평 영역(2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 영역(22)과 제2 경사 영역(23)과, 당해 제1 경사 영역(22)의 외측(外側)에 위치하는 제1 측부 구조체(117)와, 당해 제2 경사 영역(23)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측부 구조체(118)를 포함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저류부(101)를 포함한다. 당해 저류부(101)는 메달 투입 기구(100)의 수평 영역(21)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저류부(10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0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2)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으로 구성된다. 제1 경계 영역(102)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전술의 제1 측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저류부(101)의 제2 측부에 접하는 제2 경계 영역(10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2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 영역(23)을 형성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구성된다. 제2 경계 영역(103)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제1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1 메달 투입구(108-1)를 가지는 제1 메달 투입부(108)와,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가지는 제2 메달 투입부(109)를 가진다. 제1 경계 영역(102)과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과 제1 메달 투입부(108)는, 메달 투입 기구(100)의 제1 경사 영역(22)을 형성한다. 제2 경계 영역(103)과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메달 투입 기구(100)의 제2 경사 영역(23)을 형성한다.
제1 메달 투입부(108)는, 나아가, 제1 취부 플랜지(110)를 가지고, 당해 제1 취부 플랜지(110)는 제1 경계 영역(102)의 일부로부터 저류부(101)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나아가, 제2 취부 플랜지(111)를 가지고, 당해 제2 취부 플랜지(111)는 제2 경계 영역(103)의 일부로부터 저류부(101)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저류부(101) 상에 연재하는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라운드된 모서리부를 가진다. 제1 취 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는, 메달(M)을 저류하는 메달 저류 영역을 저류부(101) 상에 획정(劃定)한다.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는 서로 이간하고 있고, 당해 2개의 플랜지(110, 111) 사이의 메달 공급측(119)으로부터 메달(M)이 공급된다. 공급된 메달(M)은, 당해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의 크게 라운드된 모서리부에 구속된다. 저류부(101)의 메달 공급측(119)과 반대측의 측부에는, 저류부(101)로부터 플레이어가 있는 가장 앞쪽으로 공급된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메달 구속 플레이트(112)가 설치된다.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경계에는 제1 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경계에 형성된 제1 단차(113)로 구성한다.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를 형성한다.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는 제2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2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 형성된 제2 단차(114)로 구성한다. 제2 단차(114)는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2 가이드부(114)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외측 상단부는 제1 측부 구조체(117)와 결합하고 있다. 제1 측부 구조체(117)는, 변형 L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수평 상부, 수직 벽부 및 수평 하부로 이루어진다. 수평 상부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직 벽부는 수평 상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下向)으로 연재한다. 수평 하부는 수직 벽부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평 상부에는, 메달 배출 경 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 핸들이 취부되고, 플레이어는 당해 조작 핸들을 조작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한다. 수평 하부는 메달 투입 기구(100)를 스테이션부(ST)의 케이스(800)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 플랜지의 역할을 완수한다.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외측 상단부는 제2 측부 구조체(118)와 결합하고 있다. 제2 측부 구조체(118)는, 변형 L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수평 상부, 수직 벽부 및 수평 하부로 이루어진다. 수평 상부는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직 벽부는 수평 상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재한다. 수평 하부는 수직 벽부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평 상부에는,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 핸들이 취부되고, 플레이어는 당해 조작 핸들을 조작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한다. 수평 하부는 메달 투입 기구(100)를 스테이션부(ST)의 케이스(800)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 플랜지의 역할을 완수한다.
당해 저류부(101), 제1 경계 영역(102), 제2 경계 영역(103),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동일 부재로 구성하면, 메달(M)이 가동하는 영역에는 이음매가 없어져 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0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09)의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09-1)는, 당해 메달(M)이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진다. 복수의 당해 메달(M)이 동시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혹은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들어간 경우,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08) 혹은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09)에 당해 메달(M)이 막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는, 당해 제1 및 제2 측부의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적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부분 분해도이다. 제1 메달 투입부(108)와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 제2 메달 투입부(109)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메달 투입부(109)는,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의 종단부에 근접하는 제2 메달 투입구(109-1)와, 당해 제2 단차부(114)의 종단부와 연통(連通)하는 메달 투입 경로(109-7)와,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와 연통하는 메달 낙하 구멍(109-8)과,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와 당해 메달 낙하 구멍(109-8)의 각각의 양 측부를 획정하는 제1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5) 및 제2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6)를 가진다.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는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통하여 투입된 메달(M)을 메달 낙하 구멍(109-8)까지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2 메달 투입부(109)는, 제1 롤러(109-4)를 가지는 제1 중간 플레이트(109-3)를 가진다. 당해 제1 중간 플레이트(109-3)는, 제1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5) 및 제2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6)에 취부된다. 당해 제1 롤러(109-4)는, 메달 낙하 구멍(109-8)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를 통과한 메달(M)이 메달 낙하 구멍(109-8) 상에 다다랐을 때, 당해 제1 롤러(109-4)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고, 당해 메달(M)이 약간 밀려 내려가, 메달 낙하 구멍(109-8)으로부터 낙하한다. 낙하한 메달(M)은, 도 1에 도시하는 메달 반송 경로(200)를 통하여 리프트 업 호퍼(300)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메달(M)은, 리프트 업 호퍼(300)에 의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공급단까지 리프트 업 되어, 당해 메달 배출 경로(400)를 통하여 배출단으로부터 플레이 필드(500) 상으로 공급된다.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나아가 제1 메달 투입부 커버(109-2)를 가진다. 당해 제1 메달 투입부 커버(109-2)는 제1 중간 플레이트(109-3)를 덮는다. 또한, 당해 제1 메달 투입부 커버(109-2)는, 제2 취부 플랜지(1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당해 제2 취부 플랜지(111)가 저류부(101)에 고정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제1 중간 플레이트(109-3)에 대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101)에 저류하고 있는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여,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가이드부(113)를 구성하는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를 구성하는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된다. 그리고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상기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고,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당해 메달(M)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면,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여, 손을 떼면 되어, 종래와 같이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옮길 필요가 없다. 즉, 중력을 잘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달(M)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따라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다음,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상기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즉, 메달(M)의 투입을 자동화하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을 가지면서, 게임 플레이어를 연속하여 장시간 충분히 매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M)을 계지하는 기능과,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보다 위의 위치까지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제1 단차부(113)로 구성되고, 제2 가이드부(114)가 제2 단차부(114)로 구성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단, 당해 제1 및 제2 단차(113, 114)의 스텝면은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당해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일단 미끄러져 올라간 당해 메달(M)이 게임 플레이어의 손을 떠나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이 아래를 향한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 당해 메달(M)을 저지하고, 또한, 메달(M)을 계지하면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킬 수 없다.
당해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2 단차(114)는,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을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과, 당해 아래 영역으로만 연재하는 제2 평판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 중 당해 아래 영역만을 얇게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 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연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의하여 계지된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하강하도록 연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나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곡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어느 위치에서 메달(M)을 계지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하는데 최저한 필요한 경사 각도를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종단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근접시킨다.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가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접하지 않고, 간극을 가지고 있어도, 당해 제1 단 차(113) 및 제2 단차(114)를 구른 당해 메달(M)이 최종적으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굴러 들어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당해 제1 투입부(10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당해 제2 투입부(109)의 제2 메달 투입구(109-1)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바꾸어 말하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크기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최소한 필요한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와 당해 메달(M)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은 보다 커질 것이다.
나아가,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너무 작으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하지 못하고,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당해 저류부(101)까지 미끄러져 떨어져 버려,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당해 제1 경 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는 최저한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필요하게 된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의 2배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2매가 겹친 당해 메달(M)을 함께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너무 크게 하면,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에,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서 당해 메달(M)이 넘어져 버려,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잘 구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1은 메달(M)의 두께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메달(M)의 주변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모서리가 둥그스름함(R)을 띠고 있는 경우, 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R) 이상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W2)이 있으면,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W2)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서로 겹친 상태의 2매의 메달(M)을 함께 계지하려면, 이론상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 단체의 두께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R)의 합 이상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W1)이 있으면,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 중 위에 겹쳐진 쪽의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의 쌍방 모두를 계지하려면,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W1)보다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메달(M)을 단체로 계지하려면,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체로」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R)에 상당하는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직각 혹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가,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둔각인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큰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수직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작은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평평함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러나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뗀 후,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당해 메달(M)이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따라 구르면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도중에 멈추어 버려, 상기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 까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사각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직에 너무 가깝지 않고 또한 수평에도 너무 가깝지 않은 각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사각은,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사각은 전형적으로는 약 45도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저류부(101)에 저류하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려면, 제1 경계 영역(102) 및 제2 경계 영역(103)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곡면의 바람직한 곡률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에 의존하지만, 대체로 당해 곡면의 곡률 반경이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바람직한 곡률은 경험적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은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가 유효하다. 당해 메달(M)은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경우, 당해 메달(M)의 측면의 전 영역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려면,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찰 저항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당해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면만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더하여,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 제1 경계 영역(102), 제2 경계 영역(103) 및 저류부(101)의 표면 혹은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 의 전형예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함유 소결 금속(상품예 : 오일레스 메탈 플레이트)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대신에, 마찰 저항 저감 목적으로 설치한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100)는, 저류부(10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0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2)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전술의 제1 측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저류부(101)의 제2 측부에 접하는 제2 경계 영역(10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2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 영역(23)을 형성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구성된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이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 및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 평면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경사 곡면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을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는,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각각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로 구성하였다. 그렇지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반드시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할 필요가 없다. 즉,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고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위치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보다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메달(M)은,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메달(M)은, 나중에 전동하여 온 메달(M)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 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향하여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1)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형성하는 것에 대신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20)를 형성하는 것은, 당해 메달(M)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데 유효하다. 여기서, 인접하는 돌기(120)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돌기(120)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 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20)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복수의 돌기(120)는 마찰력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그 정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2)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진동 모터(121)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 각각의 이측에 설치하여,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을 저감하여,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부여하는 진동이 너무 커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를 때에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너무 큰 진동은 게임 플레이어에게도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 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3)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3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22)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 각각의 이측에 송풍 팬(123)을 설치한다.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122)을 통하여 송풍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부터 띄우는 방향의 부력을 당해 메달(M)에 부여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접촉력을 저감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마찰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통풍 구멍(122)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통풍 구멍(122)은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 팬(123)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 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22)을 통하는 송풍에 의하여 부여되는 부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력이 저감된 상태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기 때문에,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4)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4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망상의 경사벽(124)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망의 격자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작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망상의 경사벽(12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5)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5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5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각 경사벽은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의 경계를 따라,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당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단차부는 경사벽의 전역에 걸쳐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변경예 5에 의하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차부를,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연재시키는 것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사 평면부를 통하여 메달을 경사벽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제2 단차부(114)는,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한 개의 평면을 형성하고,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구성되는 한 개의 평면 상에 설치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두께가, 전술한 제2 단차부(114)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기 때문에, 당해 두께는 전술한 제2 단차부(114)의 스텝의 폭에 기초하여 정한다. 또한,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의 수평 방향 치수는,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큰 것이, 메달(M)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저류부(101)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키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더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上邊)으로 구성되는 제2 단차부(114)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메달(M)을 제2 단차부(114)를 넘는 일 없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에 대신하여, 대체로 쐐기 형상의 두께가 변화하는 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체로 쐐기 형상의 상변측은, 전술한 제2 단차부(114)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지게 하고, 한편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두께를 감소시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측에서는 두께를 실질적으로 0으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측에서 단차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저류부(101)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측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메달(M)을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으로 구성되는 제2 단차부(114)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2) 제2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상 수평 영역(24)과, 당해 상 수평 영역(24)의 양측 에 위치하는 제1 경사 영역(25)과 제2 경사 영역(26)과, 당해 제1 경사 영역(2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하 수평 영역(27)과, 당해 제2 경사 영역(26)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하 수평 영역(28)을 포함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상 저류부(131)를 포함한다. 당해 상 저류부(131)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상 수평 영역(24)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1 하 저류부(144)를 포함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1 하 수평 영역(27)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2 하 저류부(145)를 포함한다.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2 하 수평 영역(28)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상 저류부(13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3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5)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구성된다. 제1 경계 영역(132)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전술의 제1 측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 저류부(131)의 제2 측부에 접하는 제2 경계 영역(13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2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 영역(26)을 형성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으로 구성된다. 제2 경계 영역(133)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의 외측부에 접하 는 제3 경계 영역(142)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하 저류부(144)를 포함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는 제1 하 수평 영역(27)을 형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의 외측부에 접하는 제4 경계 영역(143)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하 저류부(145)를 포함한다.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는 제2 하 수평 영역(28)을 형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제1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1 메달 투입구(138-1)를 가지는 제1 메달 투입부(138)와,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가지는 제2 메달 투입부(139)를 가진다. 제1 경계 영역(132)과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과 제1 메달 투입부(138)와 제3 경계 영역(142)은,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1 경사 영역(25)을 형성한다. 제2 경계 영역(133)과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 제2 메달 투입부(139)와 제4 경계 영역(143)은,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2 경사 영역(26)을 형성한다.
제1 메달 투입부(138)은 나아가 제1 취부 플랜지(146)를 가지고, 당해 제1 취부 플랜지(146)는 제3 경계 영역(142)의 일부로부터 제1 하 저류부(144)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제2 메달 투입부(139)는 나아가 제2 취부 플랜지(147)를 가지고, 당해 제2 취부 플랜지(147)는 제4 경계 영역(143)의 일부로부터 제2 하 저류부(145)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제1 하 저류부(144) 상에 연재하는 제1 취부 플 랜지(146)와 제2 하 저류부(145) 상에 연재하는 제2 취부 플랜지(147)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라운드된 모서리부를 가진다. 제1 취부 플랜지(146)와 제2 취부 플랜지(147)는, 메달(M)을 저류하는 메달 저류 영역을 제1 하 저류부(144) 상 및 제2 하 저류부(145) 상에 획정한다. 상 저류부(131)의 메달 공급측(152)으로부터 메달(M)이 공급된다. 제1 하 저류부(144)에는,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메달 구속 플레이트(148)와, 인접하는 메달 투입 기구에 저류하는 메달(M)과 격리(隔離)하기 위한 제1 하 저류부 칸막이부(150)가 설치된다. 제2 하 저류부(145)에는,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메달 구속 플레이트(149)와, 인접하는 메달 투입 기구에 저류하는 메달(M)과 격리하기 위한 제2 하 저류부 칸막이부(151)가 설치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 저류부(131)의 가장 앞쪽에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메달 구속 플레이트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는 제1 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 형성된 제1 단차(113)로 구성한다.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을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 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를 형성한다.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계에는 제2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2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계에 형성된 제2 단차(114)로 구성한다. 제2 단차(114)는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2 가이드부(114)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를 형성한다.
당해 상 저류부(131), 제1 경계 영역(132), 제2 경계 영역(133),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제2 경 사벽 상부 영역(135), 제3 경계 영역(142), 제4 경계 영역(143),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는, 동일 부재로 구성하면, 메달(M)이 가동하는 영역에는 이음매가 없어져 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3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39)의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39-1)는, 당해 메달(M)이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진다. 복수의 당해 메달(M)이 동시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혹은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들어간 경우,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38) 혹은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39)에 당해 메달(M)이 막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30)는 당해 제1 및 제2 측부의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대체로 대칭적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제1 메달 투입부(138)와 제2 메달 투입부(139)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메달 투입부(108) 및 제2 메달 투입부(109)와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그들의 내부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상 저류부(131)에 저류하고 있는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가이드부(113)를 구성하는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를 구성하는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된다. 그리고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상기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고,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당해 메달(M)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면,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손을 떼면 되어, 종래와 같이 당해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옮길 필요가 없다. 즉, 중력을 잘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있다.
나아가,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넘어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이르러, 여기에 저류된다.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저류된 당해 게임 매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저류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고, 그 후,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이 메커니즘은, 전술의 제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달(M)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고,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나아가,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지 않고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에 저류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다음,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즉, 메달(M)의 투입을 자동화하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을 가지면서, 게임 플레이어를 연속하여 장시간 충분히 매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M)을 계지하는 기능과,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저류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보다 위의 위치까지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의 존재가 방해가 되 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제1 단차부(113)로 구성되고, 제2 가이드부(114)가 제2 단차부(114)로 구성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단, 당해 제1 및 제2 단차(113, 114)의 스텝면은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당해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일단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당해 메달(M)이 게임 플레이어의 손을 떠나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이 아래를 향한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 당해 메달(M)을 저지하고, 또한, 메달(M)을 계지하면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킬 수 없다.
당해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2 단차(114)는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을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과, 당해 아래 영역으로만 연재하는 제2 평판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 중 당해 아래 영역만을 얇게 가공하여 도 무방하다. 결국,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연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의하여 계지된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하강하도록 연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나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곡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어느 위치에서 메달(M)을 계지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하는데 최저한 필요한 경사 각도를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종단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근접시킨다.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가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접하지 않고, 간극을 가지고 있어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구른 당해 메달(M)이 최종적으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굴러 들어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당해 제1 투입부(13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당해 제2 투입부(139)의 제2 메달 투입구(139-1)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바꾸어 말하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크기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최소한 필요한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와 당해 메달(M)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은 보다 커질 것이다.
나아가,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너무 작으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하지 못하고,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당해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까지 미끄러져 떨어져 버려,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는 최저한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필요하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의 2배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2매가 겹친 당해 메달(M)을 함께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너무 크게 하면,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에,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서 당해 메달(M)이 넘어져 버려,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잘 구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의 주변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모서리가 둥그스름함(R)을 띠고 있는 경우, 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R) 이상인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W2)이 있으면,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 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W2)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서로 겹친 상태의 2매의 메달(M)을 동시에 계지하려면, 이론상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 단체의 두께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R)의 합 이상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W1)이 있으면,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 중 위에 겹쳐진 쪽의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의 쌍방 모두를 계지하려면,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W1)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메달(M)을 단체로 계지하려면,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체로」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R)에 상당하는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직각 혹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가,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둔각인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큰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수직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로부터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작은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평탄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로부터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뗀 후,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당해 메달(M)이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따라 구르면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도중에 멈추 어 버려, 상기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사각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직에 너무 가깝지 않고 한편 수평에도 너무 가깝지 않은 각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사각은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사각은 전형적으로는 약 45도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에 저류하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려면, 제3 경계 영역(142) 및 제4 경계 영역(143)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곡면의 바람직한 곡률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에 의존하지만, 대체로 당해 곡면의 곡률 반경이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바람직한 곡률은 경험적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은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마찰 저항을 저감하 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가 유효하다. 당해 메달(M)은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진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경우, 당해 메달(M)의 측면의 전 영역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려면,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찰 저항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당해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면만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 사벽 상부 영역(135)에 더하여,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 제1 경계 영역(132), 제2 경계 영역(133), 제3 경계 영역(142), 제4 경계 영역(143), 및 상 저류부(131),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의 표면 혹은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전형예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함유 소결 금속(상품예 : 오일레스 메탈 플레이트)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대신에, 마찰 저항 저감 목적으로 설치한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상 저류부(131)를 포함한다. 당해 상 저류부(131)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상 수평 영역(24)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1 하 저류부(144)를 포함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1 하 수평 영역(27)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2 하 저류부(145)를 포함한다.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2 하 수평 영역(28)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상 저류부(13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3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5)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구성된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이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 및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 평면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경사 곡면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M)을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는,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각각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로 구성하였다. 그렇지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반드시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할 필요가 없다. 즉,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고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위치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보다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메달(M)의 운동 에너지가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메달(M)은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메달(M)은 나중에 전동하여 온 메달(M)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향하여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30)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1)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형성하는 것에 대신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53)를 형성하는 것은, 당해 메달(M)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데 유효하다. 여기서, 인접하는 돌기(153)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돌기(153)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53)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복수의 돌기(153)는 마찰력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그 정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2)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진동 모터(154)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 각각의 이측에 설치하고,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 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을 저감하여,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부여하는 진동이 너무 커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를 때에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너무 큰 진동은 게임 플레이어에게도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2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3)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대한 제3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55)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 각각의 이측에 송풍 팬(156)을 설치한다.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155)을 통하여 송풍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으로부터 띄우는 방향의 부력을 당해 메달(M)에 부여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력을 저감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마찰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통풍 구멍(155)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통풍 구멍(155)은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 팬(156)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55)을 통하는 송풍에 의하여 부여되는 부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력이 저감된 상태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기 때문에,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4)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대한 제4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망상의 경사벽(157)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망의 격자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작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 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망상의 경사벽(157)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5)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대한 제5 변경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5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각 경사벽은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의 경계를 따라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당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단차부는 경사벽의 전역에 걸쳐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변경예 5에 의하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차부를,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연재시키는 것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사 평면부를 통하여 메달을 경사벽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과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으로 이루어진다. 제1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제1 단차부(113)는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은 한 개의 평면을 형성하고,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구성되는 한 개의 평면 상에 설치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두께가, 전술한 제1 단차부(113)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기 때문에, 당해 두께는, 전술한 제1 단차부(113)의 스텝의 폭에 기초하여 정한다. 나아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의 수평 방향 치수는,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큰 것이, 메달(M)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시키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더욱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으로 구성되는 제1 단차부(113)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1 단차부(113)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슬라이드 전입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메달(M)을 제1 단차부(113)를 넘는 일 없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에 대신하여, 대체로 쐐기 형상의, 두께가 변화하는 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체로 쐐기 형상의 상변측은, 전술한 제1 단차부(113)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지게 하고, 한편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두께를 감소시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측에서는 두께를 실질적으로 0으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측에서 단차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측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통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메달(M)을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을 미끄러져 떨어져,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으로 구성되는 제1 단차부(113)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1 단차부(113)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Claims (19)

  1.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저류(貯留)하는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上方向)으로 경사하면서 연재(延在)하는 제1 경사벽과,
    상기 제1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1 투입구를 가지는 제1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轉入)시키도록, 상기 제1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벽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2 경사벽과,
    상기 제2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제2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상기 제2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 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2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2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제2 저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경사벽은, 상기 제1 저류부와 상기 제2 저류부의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저류부로부터 하방향(下方向)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제1 저류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저류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게임 매체를 저류하는 제3 저류부와,
    상기 제2 저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벽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저류부와 상기 제3 저류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저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제3 저류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3 경사벽과,
    상기 제3 경사벽에 연속하는 위치에 상기 게임 매체의 제3 투입구를 가지는 제3 투입부와,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3 투입구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상기 제3 경사벽 상에,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3 투입구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3 투입구를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재하는 제3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경사벽에 형성된 제1 단차로 구성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는 상기 게임 매체 단체(單體)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벽의 측부로부터 총체적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제1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벽의 측부로부터 상기 게임 매체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離間)한 내측(內側) 위치로부터 총체적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제1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경사벽의 제1 경계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경사벽의 제1 경계, 및 상기 제2 저류부와 상기 제1 경사벽의 제2 경계의 각각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벽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상기 게임 매체와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지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게임 매체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上方)으로 이간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로 구성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點在)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제1 진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벽은 상기 제1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경사벽의 이측(裏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풍 구멍을 통하여 송풍하도록 구성한 제1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벽은 망상(網狀)의 경사벽으로 구성하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부의 상기 제1 투입구는 상기 게임 매체가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지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벽의 적어도 표면은 자기윤활성(自己潤滑性) 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임 매체 투입 기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포함하는 게임 장치.
KR1020087001320A 2005-08-26 2006-08-04 게임 매체 투입 기구 KR100898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5911A JP3871695B1 (ja) 2005-08-26 2005-08-26 ゲーム媒体投入機構
JPJP-P-2005-00245911 2005-08-26
JPJP-P-2005-00245923 2005-08-26
JP2005245923A JP3871696B1 (ja) 2005-08-26 2005-08-26 ゲーム媒体投入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747A KR20080016747A (ko) 2008-02-21
KR100898599B1 true KR100898599B1 (ko) 2009-05-21

Family

ID=3777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320A KR100898599B1 (ko) 2005-08-26 2006-08-04 게임 매체 투입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22043B2 (ko)
EP (1) EP1938873B1 (ko)
KR (1) KR100898599B1 (ko)
AU (1) AU2006282615B2 (ko)
HK (1) HK1122757A1 (ko)
TW (1) TW200716239A (ko)
WO (1) WO2007023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1162B2 (en) 2002-12-20 2013-10-08 Medtronic, Inc. Biologically implantable prosthesis
WO2007119660A1 (ja) * 2006-04-05 2007-10-25 Kabushiki Kaisha Sega Doing Business As Sega Corporation メダルゲーム装置
JP4741556B2 (ja) * 2007-08-03 2011-08-03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メダルゲーム装置
TW201133397A (en) * 2010-03-19 2011-10-01 xin-da Chen Ticket machine structure
TWI410901B (zh) * 2011-04-07 2013-10-01 Int Games System Co Ltd A storage container with quick delivery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7722B2 (ja) * 2001-11-09 2004-05-17 株式会社ナムコ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2004174127A (ja) 2002-11-29 2004-06-24 Taito Corp メダルプッシュゲームのメダル補給装置
JP2005040592A (ja) 2003-07-04 2005-02-17 Copcom Co Ltd メダル投入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メダルゲーム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4643B (en) 1983-08-09 1986-06-25 Levy Amusement Contractors Har Coinpusher amusement machine
JPH07168969A (ja) * 1993-12-16 1995-07-04 Wataru Tsubaki コイン挿入用受け皿
JPH08153243A (ja) * 1994-11-28 1996-06-11 Yasunori Kido 広口コイン投入口受皿
GB2343849A (en) * 1998-11-17 2000-05-24 K W Machines Ltd Coin pusher machine
US6334612B1 (en) * 1999-11-17 2002-01-01 Wms Gaming Inc. Ergonomically-designed gaming machine
JP2002143390A (ja) 2000-11-08 2002-05-21 Fuji Shoji:Kk 組み合わせ遊技機
GB0229617D0 (en) * 2002-12-19 2003-01-22 Cromptons Leisure Internat Ltd Multiple playing position games machine
JP2005040515A (ja) * 2003-07-25 2005-02-17 Asahi Seiko Kk コイン投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7722B2 (ja) * 2001-11-09 2004-05-17 株式会社ナムコ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2004174127A (ja) 2002-11-29 2004-06-24 Taito Corp メダルプッシュゲームのメダル補給装置
JP2005040592A (ja) 2003-07-04 2005-02-17 Copcom Co Ltd メダル投入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メダルゲーム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8873A1 (en) 2008-07-02
US20090160128A1 (en) 2009-06-25
AU2006282615A1 (en) 2007-03-01
EP1938873B1 (en) 2012-05-16
WO2007023661A1 (ja) 2007-03-01
TWI310320B (ko) 2009-06-01
US7722043B2 (en) 2010-05-25
AU2006282615B2 (en) 2010-04-22
TW200716239A (en) 2007-05-01
KR20080016747A (ko) 2008-02-21
EP1938873A4 (en) 2011-03-30
HK1122757A1 (en) 200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599B1 (ko) 게임 매체 투입 기구
WO2007043258A1 (ja) ゲーム装置
JP3871695B1 (ja) ゲーム媒体投入機構
JP2007185202A (ja) ゲーム装置
JP2006043195A (ja) 遊技機
JP3871696B1 (ja) ゲーム媒体投入機構
JP2006068464A (ja) 遊技機
JP2007185205A (ja) ゲーム装置
JP5715745B2 (ja) マルチ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機
WO2007043259A1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媒体擬似移動演出方法
JP6950782B2 (ja) 遊技機
JP7112094B2 (ja) 流通制御機構
JP6747548B2 (ja) 遊技機
JP2010068831A (ja) メダルゲーム機のメダルエントリー機構
JP2008229397A (ja) 遊技機
JP2006341000A (ja) 遊技機
JP4648988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4253000B2 (ja) ゲーム装置
JP2021007857A (ja) 遊技機
JP2021142404A (ja) 遊技機
JP4224484B2 (ja) メダル供給設備
JP2021065776A (ja) 遊技機
JPH0243432Y2 (ko)
JP5448725B2 (ja) 遊技球搬送装置
JP2008264505A (ja) 操作テーブル及び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