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579B1 -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579B1
KR100898579B1 KR1020057005073A KR20057005073A KR100898579B1 KR 100898579 B1 KR100898579 B1 KR 100898579B1 KR 1020057005073 A KR1020057005073 A KR 1020057005073A KR 20057005073 A KR20057005073 A KR 20057005073A KR 100898579 B1 KR100898579 B1 KR 10089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raveling
window glass
unit
wip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4826A (ko
Inventor
도루 미야케
히데노리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도루 미야케
히데노리 이시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루 미야케, 히데노리 이시하라 filed Critical 도루 미야케
Priority to KR102005700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5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창 유리 구석까지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창 유리의 유리면을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곧바로 주행할 수 있으며, 창 유리에 닦이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을 제공한다.
창 유리(W)에 흡착하는 흡착부(10)와, 이 흡착부(10)에 설치되어, 창 유리(W)를 청소하는 청소유닛(20)과, 흡착부(10)에 설치된 주행부(30)로 구성되어 있고, 흡착부(10)에, 주행부(30)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흡착부(10)에 주행부(30)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부(30)의 주행방향을 바꾸어도, 청소유닛(20)의 자세를 바꾸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청소유닛(20)의 와이핑부(wiping part; 22)를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함으로써, 창 유리(W) 구석까지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Window wiping system}
본 발명은,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부에 의해서 창 유리에 흡착하면서, 주행부에 의해서 창 유리의 유리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주행방향을 바꾸면서, 윈도우 와이핑부에 의해서 창 유리를 청소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08-0101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08-010190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에는, 이하의 (ⅰ)∼(ⅴ)에 나타낸 문제가 있다.
(ⅰ) 종래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업무용의 것이고 대형이라서 무겁기 때문에, 이것을 창 유리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인력을 얻기 위해서, 대형의 진공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만약, 대형의 진공펌프를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에 탑재하여 낙하한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므로, 진공펌프와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사이를 튜브 로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창 유리의 유리면 위를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튜브가 방해가 되어,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의 주행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ⅱ) 종래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주행부와 윈도우 와이핑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창 유리 위에서 선회하여 주행방향을 바꾸면, 윈도우 와이핑부도 선회한다. 이 때문에, 창 유리의 구석에서 선회 가능하게 되도록, 윈도우 와이핑부가 평면에서 볼 때 둥근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창 유리의 구석에 닦이지 않은 부분이 발생한다. 역으로, 윈도우 와이핑부를 창 유리의 형상에 맞춰서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으로 하면, 창 유리의 구석에서 선회할 수가 없다. 어떻게 하더라도, 종래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에서는, 창 유리의 구석에 닦이지 않은 부분이 생기는 것이다.
(ⅲ) 종래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업무용의 것이고, 배기용 모터나 배기용 팬 등이 필요하고, 게다가 제어방식이 복잡해지면 제어부분의 설계 실장비(實裝費)가 높아져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없다.
(ⅳ) 흡착부에 의해서 창 유리에 흡착한 상태에서, 그 유리면을 따라서 주행부에서 주행시키고 있으므로, 창 유리과 흡착부 사이의 마찰력이, 창 유리과 주행부 사이의 마찰력에 대하여 밸런스가 나쁘면, 창 유리에 흡착한 상태에서, 그 유리면을 따라서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ⅴ) 창 유리의 유리면은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주행차륜이 똑바로 주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창 유리에 닦이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 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주행의 제한을 배제할 수 있고, 창 유리의 구석까지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창 유리의 유리면을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 곧바로 주행할 수 있고, 창 유리에 닦이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창 유리에 흡착하는 흡착부와, 이 흡착부에 설치되어, 창 유리를 청소하는 청소유닛과, 상기 흡착부에 설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에, 흡착용 부압(負壓)발생장치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창 유리에 흡착하는 흡착부와, 이 흡착부에 설치되어, 창 유리를 청소하는 청소유닛과, 상기 흡착부에 설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에, 상기 주행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창 유리에 흡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청소유닛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선회중심보다 하부가 되는 부분에, 전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창 유리에 흡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의 상단 및 하단이 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창틀을 검출하는 한 쌍의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와, 이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에 의해서 창틀 검출신호가 송신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이 제어부가, 상기 주행부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주행시키면서, 상기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로부터 송신된 창틀 검출신호를 검지할 때마다, 주행부의 수직주행로를 횡(橫)시프트시키는 주행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橫)시프트의 거리가, 청소유닛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가 흡반(吸盤)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가 차륜을 구비하고 있으며, 창 유리에 대한 상기 흡반의 마찰저항을, 창 유리에 대한 상기 차륜의 마찰저항에 비하여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가 차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차륜의 구동용 모터가,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에, 이탈검출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탈검출센서로 검출한 이탈량이 0에 가까워지도록, 주행방향을 피드백 보정하는 주행방향 보정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이, 상기 흡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에 의한 창 유리(W)의 청소상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단일체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A)는 도 2(A)의 ⅢA-ⅢA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B)는 도 2(A)의 ⅢB-Ⅲ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C)는 도 2(A)의 ⅢC-ⅢC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B)의 Ⅴ-Ⅴ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청소유닛(20B)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어부(50)의 블럭도이다.
도 9는, 주행처리부(51)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사용순서 설명 플로차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에 의한 창 유리(W)의 청소상 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은, 창 유리(W)에 흡착하면서, 그 유리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창 유리(W)를 청소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단일체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A)는 도 2(A)의 ⅢA-ⅢA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B)는 도 2(A)의 ⅢB-Ⅲ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C)는 도 2(A)의 ⅢC-ⅢC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은, 흡착부(10), 청소유닛(20), 주행부(30), 검출부(40) 및 제어부(50)로 구성된 것이다.
우선, 흡착부(1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저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부(10)는, 흡인력에 의해서 창 유리(W)에 흡착하는 것으로서, 흡인 노즐(11), 흡반(12) 및 부압(負壓)발생기(13)로 구성된 것이다.
흡인 노즐(11)은, 노즐 본체의 중공(中空)부분에 흡인구멍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흡인 노즐(11)의 선단부에는, 흡반(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흡반(12)은, 마찰저항이 작은 소재, 예컨대 4불화에틸렌의 중합체나 폴리아세탈, 아세탈수지 등을, 흡반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흡인 노즐(11)의 기단부에는, 연결튜브(14)의 일단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튜브(14)의 다른 쪽 끝은, 진공펌프나 블로어 등의 부압발생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압발생기(13)는, 후술하는 내측프레임(31)에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전원(28)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흡착부(10)에 의하면, 부압발생기(13)로 흡인함으로써, 흡반(12)을 창 유리(W)에 흡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부압발생기(13)는 흡착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진공펌프가 필요없어서,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을 자주식(自走式)으로 할 수 있어서, 주행의 제한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10)에 의하면, 흡인력으로 창 유리(W)에 흡착시키고 있으므로, 두꺼운 유리나 이중유리의 창 유리(W)이더라도 흡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착부는, 흡인력에 의해서 창 유리(W)에 흡착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석을 이용하여 자력(磁力)으로 창 유리(W)에 흡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자석 혹은 자석과 철판 등의 자성체의 사이에서, 창 유리(W)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자석 등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시켜 놓으면, 창 유리(W)의 유리면이 흠집이 생기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청소유닛(20)을 설명한다.
상기 흡착부(10)의 흡인 노즐(11)에는, 외측 틀 프레임(21)의 상면 중앙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틀 프레임(21)은, 상면부 및 네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네 코너를 가지는 형상의 프레임이다. 외측 틀 프레임(21)의 하단 둘레부에는, 와이핑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틀 프레임(21)의 상면에는, 원호형상의 장공(長孔)(21h)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21h)에는 튜브(14)가 통하고 있다. 이 장공(21h)은, 주행부(30)가 선회했을 때에 선회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와이핑부(22)를 설명한다.
상기 외측 틀 프레임(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복수의 회전축(23)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축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회전축(23)의 선단에는, 스펀지나 브러시 등의 청소도구(2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3)의 기단에는 풀리(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풀리(25, 25)끼리의 사이에는 벨트(26)가 감겨 있기 때문에, 하나의 풀리(25)를 청소용 모터(27)로 주행시킴으로써, 모든 청소도구(24)를 일제히 선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청소도구(24)에 의해서, 창 유리(W)의 유리면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도구(24)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는, 풀리와 벨트의 조합뿐만 아니라, 기어의 조합이어도 좋고, 다양한 기구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도구(24)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운즈 투스 체크(hound's-tooth check)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열(前列)의 청소도구(24, 24) 사이의 간극에 의한 닦이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후열(後列)의 청소도구(24)에 의해서 닦아낼 수 있어서, 닦이지 않은 부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그리고, 와이핑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낸 와이핑부(22B)이어도 좋다. 이 와이핑부(22B)는, 네 코너를 가지는 형상의 외측 틀 프레임(21)의 둘레 끝부분에, 스펀지나 브러시 등의 청소도구(24)가 직접 설치된 것이다. 이 경우,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틀 프레임(21)에는, 예컨대 건전지 등의 전원(28)이 내장되어 있다. 이 전원(28)에 의해서, 상기 청소용 모터(27)나 후술하는 주행용 모터(3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전원(28)은, 상기 청소유닛(20)의 외측 틀 프레임(21)에 있어서, 주행부(30)의 선회중심보다 하부가 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주행부(30)를 설명하다.
상기 흡인 노즐(11)에는, 주행부(30)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부(30)는, 내측프레임(31), 주행용 모터(32) 및 차륜(33)으로 구성된 것이다.
내측프레임(31)은, 상면 및 네 측면을 구비한 프레임이다. 상기 흡착부(10)의 흡인 노즐(11)에는, 내측프레임(31)의 상면중앙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내측프레임(31)의 끝 둘레부에는, 한 쌍의 주행용 모터(3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주행용 모터(32)의 구동축에는, 차륜(33)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차륜(3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용 모터(32)는, 스테핑 모터로서, 원하는 회전각도로 차륜(33)을 회전할 수 있고, 정확한 주행거리로 정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30)의 수직 주행로를 원하는 주행거리만큼 정확하게 횡(橫)시프트시킬 수 있어서, 창 유리(W)의 닦이지 않은 부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용 모터(32)는, 스테핑 모터뿐만 아니라, 통상의 모터이더라도 좋다.
한 쌍의 차륜(33, 33)을 정회전시키면, 전진시킬 수 있고, 한 쌍의 차륜(33, 33)을 역회전시키면,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한쪽 차륜(33)을 정회전시키고 다른 쪽 차륜(33)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주행부(30)를 좌우로 선회시켜서 횡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주행부(30)에 의하면, 주행용 모터(32)를 구동시키서 차륜(33)을 회전시킴으로써, 창 유리(W)의 유리면을 전진 후퇴시키거나, 선회하여 횡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주행부(30)의 선회시에는, 청소유닛(20)의 전원(28)이 추(錘)가 되고, 청소유닛(20)의 하부가 항상 하측을 향하므로, 청소유닛(20)이 따라 선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청소유닛(2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차륜(33)은, 고무제이고, 그 마찰저항은 높다. 상기 흡착부(10)에 있어서의 흡반(12)은, 그 마찰저항은 낮다.
주행부(30)에 있어서의 차륜(33)의 마찰저항에 비하여, 흡착부(10)에 있어서의 흡반(12)의 마찰저항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창 유리(W)에 흡착한 상태에서, 그 유리면을 따라서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검출부(40)를 설명한다.
상기 외측 틀 프레임(21)의 상하좌우의 각 끝면에는, 상부 센서(41), 하부 센서(42), 좌부(左部) 센서(43) 및 우부(右部)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센서(41∼44)는,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이고, 창 유리(W)의 창틀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센서(41∼44)는, 접촉식 리미트 스위치뿐만 아니라, 비접촉식의 근접스위치나 위치검출소자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주행부(30)의 적절한 장소에는, 예컨대 자이로 센서나 각속도 검 출센서, 경사 검출센서 등의 이탈검출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탈검출센서(45)에 의해서, 주행부(30)의 이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를 설명한다.
도 8은 제어부(50)의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부(40)의 검출신호는, 제어부(50)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50)는, 주행처리부(51) 및 주행방향 보정 처리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처리부(51)는, 센서(41∼44)의 창틀 검출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주행부(3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차륜(33, 33)의 회전을 제어하는 처리부이다.
도 9는, 주행처리부(51)의 플로차트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주행처리부(51)는 이하와 같이 처리를 행한다. 우선, 스타트 스위치가 ON되면(S1), 주행부(30)를 수직방향 상방 또는 하방으로 주행시킨다(S2). 상부 센서(41) 또는 하부 센서(42)에 의해서 창틀 검지신호가 검지되면(S3), 주행부(30)를 횡방향으로 선회시켜서 이동시킨다(S4). 그리고, 좌부 센서(43) 또는 우부 센서(44)에 의해서 창틀 검지신호가 검지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5). 그 창틀 검지신호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되면 처리종료가 되지만, 이 창틀 검지신호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주행부(30)를 수직방향으로 되돌리고, 스텝 1의 주행방향과 수직방향 역방향으로 주행시킨다(S6). 이 때문에, 주행부(30)의 수직주행로를 가로로 시프트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2)∼(S6)이 반복된다.
이 결과, 청소유닛(20)에 의해서, 창 유리(W)의 전체 유리면을 청소할 수 있다.
주행처리부(51)의 횡(橫)시프트의 거리를, 청소유닛(2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수직주행로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청소유닛(20)에 의해서 창 유리(W)를 닦은 청소궤적의 테두리 부분을 거듭 닦을 수 있기 때문에, 창 유리(W)의 닦이지 않고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창 유리(W)의 전 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주행방향 보정 처리부(52)는, 상기 이탈 검출센서(45)로 검출한 이탈량을 수신하여, 이탈량이 0에 가까워지도록 피드백 보정하여, 주행부(30)의 주행방향을 보정하게 하는 보정치를 주행처리부(51)에 송신하는 처리부이다.
이 주행방향 보정 처리부(52)에 의하면, 주행부(30)의 주행방향이 이탈되면, 이탈된 만큼 피드백 보정되므로, 주행부(30)를 곧바로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은, 자동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리모콘에 의한 원격조작으로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은, 가정용이지만, 업무용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사용순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사용순서 설명 플로차트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전원스위치를 넣는다. 그리고, 진공펌프를 시동시키고 나서,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을 창 유리(W)에 흡착시킨다. 주행용 스위치를 넣으면,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에 의해서 창 유리(W)를 닦을 수 있다.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은 창 유리(W)를 상하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창틀의 상단 및 하단에 도달할 때마다, 수직주행로를 횡(橫)시프트하면서 주행하므로, 창 유리(W)의 전체 유리면을 닦을 수 있다.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이 창 유리(W)의 측단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소리나 표시에 의해서 창닦기 완료를 알게 된다. 그래서,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의 전원스위치를 끄고 나서 진공펌프를 정지하여, 창 유리(W)으로부터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을 떼어내면 된다.
그리고, 이상(異常)시나 창닦기 완료의 통지는, 소리나 표시뿐만 아니라, 휴대전화나 퍼스널컴퓨터 등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에 의하면, 이하 (1)∼(9)의 작용효과를 거둔다.
(1) 흡착부(10)에, 흡착용 부압발생장치(13)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진공펌프가 필요없어서,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1)을 자주(自走)식으로 할 수 있어서, 주행의 제한을 배제할 수 있다.
(2) 흡착부(10)에 주행부(30)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소유닛(20)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 주행부(30)의 주행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청소유닛(20)의 와이핑부(22)를, 네 코너를 가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창 유리(W)의 구석까지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3) 청소유닛(20)에 있어서, 주행부(30)의 선회중심보다 하부가 되는 부분에 전원(2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부(30)의 선회시에 청소유닛(20)이 따라 선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청소유닛(2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4) 주행처리부(51)에 의해서, 주행부(30)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주행시키면서, 상부 센서(41) 및 하부 센서(42)에 의해서 창틀 상단 및 창틀 하단을 검출할 때마다, 주행부(30)의 수직 주행로를 횡(橫)시프트시킬 수 있으므로, 창 유리(W)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게다가, 저렴한 센서와 간단한 제어방식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5) 주행처리부(51)의 횡(橫)시프트의 거리가 청소유닛(20)의 폭보다 작으므로, 수직주행로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청소유닛(20)에 의해서 창 유리(W)를 닦은 청소궤적의 테두리 부분을 거듭 닦을 수 있기 때문에, 창 유리(W)의 닦이지 않고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창 유리(W)의 전체 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6) 차륜(33)의 마찰저항에 비하여, 흡반(12)의 마찰저항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창 유리(W)에 흡착한 상태에서 낙하시키지 않고, 차륜(33)에 의해서 창 유리(W)의 유리면 위를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7) 차륜의 구동용 주행용 모터(32)가 스테핑 모터이므로, 원하는 회전각도로 차륜(33)을 회전할 수 있고, 정확한 주행거리로 정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30)의 수직주행로를 원하는 주행거리만큼 정확하게 횡(橫)시프트시킬 수 있어서, 창 유리(W)의 닦이지 않고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8) 주행방향 보정 처리부(52)에 의해서, 이탈검출센서(45)로 검출된 이탈량이 0에 가까워지도록, 주행방향을 피드백 보정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곧바로 주행시킬 수 있다.
(9) 청소유닛(20)을 흡착부(10)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청소유닛(20)의 유지보수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에, 흡착용 부압발생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진공펌프가 필요없어서,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을 자주(自走)식으로 할 수 있어서, 주행의 제한을 배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에 주행부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소유닛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 주행부의 주행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청소유닛의 와이핑부를, 네 코너를 가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창 유리의 구석까지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청소유닛에 있어서, 주행부의 선회중심보다 하부가 되는 부분에 전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부의 선회시에 청소유닛이 따라 선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청소유닛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주행처리부에 의해서, 주행부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주행시키면서,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에 의해서 창틀 상단 및 창틀 하단을 검출할 때마다, 주행부의 수직주행로를 횡(橫)시프트시킬 수 있으므로, 창 유리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게다가, 저렴한 센서와 간단한 제어방식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주행처리부의 횡(橫)시프트의 거리가 청소유닛의 폭보다 작으므로, 수직주행로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청소유닛에 의해서 창 유리를 닦은 청소궤적의 테두리 부분을 거듭 닦을 수 있으므로, 창 유리의 닦이지 않고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창 유리의 전 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차륜의 마찰저항에 비하여, 흡반의 마찰저항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창 유리에 흡반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낙하시키지 않고, 차륜에 의해서 창 유리의 유리면 위를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차륜의 구동용 모터가 스테핑 모터이므로, 원하는 회전각도로 차륜을 회전할 수 있고, 정확한 주행거리로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의 수직주행로를 원하는 주행거리만큼 정확하게 횡(橫)시프트시킬 수 있어서, 창 유리의 닦이지 않고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주행방향 보정 처리부에 의해서, 이탈검출센서로 검출된 이탈량이 0에 가까워지도록, 주행방향을 피드백 보정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곧바로 주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창 유리의 닦이지 않고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청소유닛을 흡착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청소유닛의 유지보수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창 유리에 흡착하는 흡착부와, 사각형의 외측 틀 프레임에 설치된 청소 청소유닛과, 상기 외측 틀 프레임 내에서 선회가능한 내측 프레임에 설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틀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이, 각각의 중앙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에, 흡착부를 구성하는 부압발생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창 유리에 흡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측 틀 프레임의 선회 중심보다 하방(下方)이 되는 부분에, 전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창 유리에 흡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의 상단 및 하단이 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창틀을 검출하는 한 쌍의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와,
    이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가 송신한 창틀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이 제어부가, 상기 주행부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주행시키면서, 상기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로부터 송신된 창틀 검출신호를 검지할 때마다, 주행부를 횡(橫)시프트시키는 주행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횡(橫)시프트 주행의 거리가, 상기 청소유닛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가 흡반(吸盤)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가 차륜을 구비하고 있으며, 창 유리에 대한 상기 흡반의 마찰저항이, 창 유리에 대한 상기 차륜의 마찰저항에 비하여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가 차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차륜의 구동용 모터가,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에, 이탈검출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탈검출센서로 검출한 이탈량이 0에 가까워지도록, 주행방향을 피드백 보정하는 주행방향 보정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이, 상기 흡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KR1020057005073A 2005-03-24 2002-09-24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KR10089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5073A KR100898579B1 (ko) 2005-03-24 2002-09-24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5073A KR100898579B1 (ko) 2005-03-24 2002-09-24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826A KR20050084826A (ko) 2005-08-29
KR100898579B1 true KR100898579B1 (ko) 2009-05-19

Family

ID=3726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073A KR100898579B1 (ko) 2005-03-24 2002-09-24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174A (ko) * 2012-09-26 2015-05-29 이코벡스 로보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공기-환기 장치를 구비한 유리-닦기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26B1 (ko) * 2011-12-09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 청소용 로봇 청소기
CN112471955B (zh) * 2020-11-24 2021-09-24 美晟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高空幕墙清洗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936A (ja) * 1993-09-30 1995-04-11 Suzuki Motor Corp 壁面移動ロボット用吸盤構造
KR950005408B1 (ko) * 1993-02-03 1995-05-24 진병국 자동 청소기
KR100203553B1 (ko) 1997-07-08 1999-06-15 최현규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KR100342029B1 (ko) 1999-06-07 2002-06-27 탁승호 표면 주행체 및 그를 이용한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408B1 (ko) * 1993-02-03 1995-05-24 진병국 자동 청소기
JPH0795936A (ja) * 1993-09-30 1995-04-11 Suzuki Motor Corp 壁面移動ロボット用吸盤構造
KR100203553B1 (ko) 1997-07-08 1999-06-15 최현규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KR100342029B1 (ko) 1999-06-07 2002-06-27 탁승호 표면 주행체 및 그를 이용한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174A (ko) * 2012-09-26 2015-05-29 이코벡스 로보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공기-환기 장치를 구비한 유리-닦기 로봇
KR102078238B1 (ko) * 2012-09-26 2020-02-17 이코벡스 로보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공기-환기 장치를 구비한 유리-닦기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826A (ko) 200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2462B2 (ja) 窓拭き装置
JP5224447B2 (ja) 洗浄装置
US10213084B2 (en) Mobile apparatus, chassis of mobile apparatus, and angle change method for chassis
CN110876578A (zh) 一种自动翻面和跨越障碍的玻璃清洁机器人及其工作方法
JPH07313417A (ja) 自走式作業車
KR100898579B1 (ko)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CN102830700A (zh) 擦玻璃机器人的直角区域移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922020B (zh) 行进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411742B1 (ko) 로봇 청소기
KR100662625B1 (ko) 로봇청소기의 구동장치
JP3079686B2 (ja) 移動作業ロボット
KR20150025243A (ko) 로봇 청소기
JPH063251U (ja) 掃除ロボット
JP2004017791A (ja) 移動体
CN202083958U (zh) 擦玻璃机器人的贴边控制系统
JP3632618B2 (ja) 移動作業ロボット
KR20000002317A (ko) 로봇청소기용 주행로봇
CN215838661U (zh) 一种万向轮及清洁机器人
CN113796770B (zh) 一种自动擦窗设备
KR20000002306A (ko) 로봇청소기용 주행로봇의 뒷바퀴설치구조
KR940004847Y1 (ko) 자주식 청소기의 구동장치
KR20230002218A (ko)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JP3627851B2 (ja) 移動棚
JP3003260B2 (ja) じゅうたん目検出装置とこれを有する移動作業ロボット
JP3002302U (ja) 卓上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