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459B1 -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459B1
KR100897459B1 KR20047008403A KR20047008403A KR100897459B1 KR 100897459 B1 KR100897459 B1 KR 100897459B1 KR 20047008403 A KR20047008403 A KR 20047008403A KR 20047008403 A KR20047008403 A KR 20047008403A KR 100897459 B1 KR100897459 B1 KR 10089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washer
band
tab
clamp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700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634A (ko
Inventor
리골레니꼴라
프레보파브리스
로엥트뤼토니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05004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0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41Tangential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arth Drill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튜브(20, 22)를 기밀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는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튜브의 실린더형 외측면에 돌출된 유지면( bearing surfaces)(16, 18)을 갖는 튜브의 서로 대면하는 끝단을 기밀하게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칼라(10)와 워셔(28)로 구성되고, 상기 칼라는 셋백(setback)을 한정하는 내측 외주연을 통해 상기 유지면과 함께 작동하기에 적절한 밴드(12) 및 상기 밴드를 단단하게 죠이기 위한 수단(2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셔는 고정수단(32, 34, 36)에 의해 칼라(10)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A clamping system for making a leaktight connection between two tubes having bearing surfaces}
본 발명은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튜브의 실린더형 외측면에 돌출된 유지면(bearing surface)을 갖는 튜브의 1 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튜브와 함께 작동하기에 적절한 칼라와 워셔 및 셋백(setback)으로 구성되고, 그의 내측 외주연을 통해서 상기 유지면과 함께 작동하는 밴드를 갖는 칼라 및 이 밴드를 단단하게 죄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타잎의 클램핑 시스템은 미국특허 3,964,773호에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칼라의 밴드 단면은 실질적으로 V-형상 또는 U-형상이고, 단면의 형상에 의해서 형성된 각 플렌지는 각 튜브의 하나의 일단 유지면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칼라를 단단히 죄어주는 것은 튜브의 하나가 다른 것에 의해 유지되 는 경향이 있다. V-형상의 단면은 칼라가 단단히 죄어질 때, 이것이 튜브를 함께 눌러주게 되어 더욱 유리하다.
예로써, 밴드를 단단히 죄어주기 위한 수단은 너트 및 볼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밴드의 일단은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孔)이 제공된 베어링 탭을 형성하기 위해 뒤집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너트는 탭의 뒤에 배치되고,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칼라가 단단히 죄어지게 된다.
미국특허 3,964,773호는 두 튜브의 끝단에 실링워셔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 실링워셔는 튜브의 꼬깔형 단부와 서로 합치게 되고, 다른 튜브의 끝단에 대해 유지되는 꼬깔형 워셔로, 다른 튜브의 끝단은 상기 꼬깔형 단부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호상적인 형상을 갖게 된다.
미국특허 3,964,773호 문헌에서 한가지 예시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링을 제공하기 위해 작용하는 워셔는 클램핑 칼라와 완전히 구별되는 부분을 가지며, 이들과는 별도로 조작되어야 한다. 이 결과, 조작자가 많은 부분을 조작하여야 하고, 이들 중 각 하나를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클램핑 시스템은 장착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부적합하고 또한 복잡하다.
따라서, 미국특허 3,964,773호에서는, 먼저 워셔가 제 1 튜브의 말단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시켜야 하고, 제2 튜브의 말단은 워셔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시켜야 하며, 두 개의 튜브와 워셔로 구성된 이 어셈블리는 함께 유지되어야 하고, 그리고 칼라가 이 어셈블리의 일정 위치에 놓여지고 나서 단단히 죄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상에서 간단히 조작되고, 칼라와 워셔를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을 제안함에 의해 그 기술을 개선시킴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워셔가 고정수단에 의해 칼라에 지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클램핑 칼라와 워셔를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은 튜브 상 소정위치에 위치되고, 조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클램핑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 두 개의 튜브를 함께 클램핑하고자 하는 조작자의 작업을 단순화시키고, 장착 실수의 위험을 제거하거나,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익하기로는, 고정수단은 밴드가 죄어질 때 변형되기에 적절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같은 고정부재는 칼라의 단단한 죔을 방해함이 없이 칼라에 워셔를 확실히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고정수단은 워셔와 일체로 되거나, 또는 워셔에 지지되고, 그리고 칼라의 밴드와 함께 작동하기에 적절한 자유단을 갖는 탭(tab)을 포함한다.
상기 탭은 형성하기가 간단한 고정수단이고, 이들의 말단은, 예를들어 칼라의 밴드 상에 걸릴 수 있게 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탭은 유익하기로는 예를들어 단단한 죔의 효과로 이들 자유단의 형상을 수정하여 구성된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자유단이 칼라로 부터 해제가 가능하다.
유익하기로는, 본 발명의 클램핑 시스템은 특히, 칼라 밴드가 죄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칼라를 튜브의 하나에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예비 장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익한 변형형태는 특히, 튜브 상에 클램핑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핑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서 튜브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예비- 장착수단을 사용함에 의해 상기 클램핑 시스템을 튜브 상의 위치에 단순히 위치시키고, 그리고 나서 다른 튜브를 근접시켜 칼라의 밴드를 죄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익하기로는, 예비- 장착수단은 워셔에 유지되거나 또는 워셔와 일체로 되는 경우이다. 칼라는 튜브 상에 큰 스트레스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 클램핑 부를 구성한다. 특히, 이것은 금속 예를들면, 페라이트 또는 오스테나이트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고, 유익하기로는 높은 온도에 내성을 가지도록 티타늄으로 안정화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워셔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변형할 수 있고, 칼라의 두께보다 적은 두께인 부(部)를 구성한다. 단단히 죈 후, 튜브의 끝단에서큰 스트레스를 발휘하는 것은 워셔의 원 기능이 아니다. 예를들어, 이것은 페라이트 또는 오스테나이트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또, 칼라 및 워셔 밴드는 각각 1.5㎜ 및 0.4㎜의 두께를 갖는다.
워셔는 그 자체로 특히,제작에 필요한 원료물질의 양의 관점에서 칼라보다 저렴하다. 따라서, 예비- 장착 수단을 칼라에 직접 유지하거나 또는 칼라와 일체로 제작함에 의해 예비- 장착 수단을 형성하는 것보다 워셔에 유지되거나 선택적으 로 워셔와 일체로 형성된 예비- 장착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워셔에 유지되거나 워셔와 일체된 예비- 장착 수단은 두 장착 가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하나는 예비- 장착 수단을 사용함에 의해 클램핑 시스템을 일 튜브의 끝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나서 다른 튜브를 근접시켜 칼라의 밴드를 죔에 있어 클램핑 시스템을 전체로서 조작하기 위해 워셔를 칼라에 유지하도록 한다.
두 번째 가능성은 워셔를 예비- 장착 수단을 사용함에 의해 일 튜브의 끝단 위치에 두고, 그리고 나서 칼라에 워셔를 보유 유지함에 의해 상기 워셔에 칼라를 연결시키고, 마지막으로 다른 튜브를 근접시켜 칼라의 밴드를 조이게 된다.
이들 가능성의 어느 하나로, 바람직한 용도가 워셔가 칼라에 유지될 뿐 아니라 예비- 장착 수단이 제공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예비- 장착 수단은 유익하기로는 두 튜브 중 제 1의 것 상에 걸리기에 적절한 예비- 장착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유익하기로는 워셔와 일체로 형성된 예비- 장착 탭은 형성이 단순한 요소를 구성하게 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은 유익하기로는 제 1튜브의 외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하게 된다.
대안적인 또는 상보적인 형상에 있어서, 예비- 장착 수단은 워셔의 축상부에 형성되고, 두 튜브 중 제 1의 것의 내측 외주연 상에 파지하기에 적절한 파지면을 갖게 한다.
상기 파지면은 워셔의 축상부가 튜브의 안으로 힘에 의해 삽입되는 것을 가 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워셔가 찢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워셔가 상기 튜브에 대해 유지된다. 워셔는 적어도 일 부분의 실질적으로 꺽인 원뿔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꺽인 원뿔꼴의 형상은 유익하기로는 튜브의 끝단의 형상과 매치된다.
유익하기로는, 워셔는 실링 기능을 가진다. 예를들어, 이 기능은 일정한 단면의 그리고 튜브의 말단의 기하학적 형상에 맞도록 된 기하학적 형상, 특히 상술한 꺽인 원뿔꼴의 기하학적 형상의 워셔에 의해 미국특허 3,964,773호에서와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유익하기로는 워셔의 표면은 실링 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의 비드(bead)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가 함께 죄어질 때, 통상의 제조 허용치에 기인한 튜브의 끝단에 기하학적 형상의 결함을 보상하기 위해, 환상의 비드는 축상으로 어느정도 평평하게 되어 질 수 있음에 의해 실링 가스켓 같은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워셔는 따라서 칼라에 이것을 보지(保持)하기 위한 수단, 선택적으로 튜브의 하나에 칼라를 미리 장착하기 위한 수단과 실링 가스켓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함에 의해 일 편(片)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형상에 의하여, 워셔는 또한 칼라 장착에 앞서 튜브에 대해 미리 위치되어지도록 할 수 있게 단순히 작용한다. 워셔가 예비- 장착 수단을 가질 때, 이것은 튜브의 하나에 대해 소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워셔가 칼라에 지지되는 한, 전체로서 클램핑 시스템이 튜브에 대해 바르게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형태의 자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고, 그 효과 또한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핑 시스템의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튜브의 끝단이 도시된 클램핑 시스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클램핑 시스템에 속하는 워셔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 방향으로 관찰된 워셔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튜브의 한 끝단 상에 장착된체 도 3 의 반경 VI 및 VII 각각에서 취해진 클램핑 시스템의 부분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함께 연결된 두 튜브의 끝단 위에 단단하게 죄여진 상태로 클램핑 시스템의 부분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클램핑 시스템의 워셔의 사시도이다.
클램핑 시스템은 EP 특허출원 0 305 232호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타잎의 칼라(1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칼라(10)는 도 2 및 도 6 내지 도 8 에 의해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튜브 각각 (20) 및 (22)에 속하는 유지면, 각각 (16) 및 (18)이 그 안으로 삽입되는 셋백(14)를 한정하는 내측 외주연을 한정된 밴드(12)로 구성되어 있다. 셋백 및 유지면은 칼라의 밴드를 죔이 튜브의 끝단과 함께 밀접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밴드는 유익하기로는 단면이 V-형상이고, 각 유지면의 직경은 튜브의 자유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상 기 유지면은 예를들면, 꺽인 원뿔꼴 형상을 하게 된다.
밴드(12)는 유지탭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나타나는 끝단, 각각 랩(12A) 및 (12B)를 갖게 되며, 유지탭에는 볼트(24)의 긴축(24A)가 상기 탭을 관통하여 지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의 헤드(24B)는 유지탭 (bearing
tabs)[ 이 예에서 탭(12B)]의 하나에 대해 쐐기될 수 있고, 볼트축의 자유단은 너트(26)과 함께 작동한다.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너트는 유지탭 (12A )및 (12B)를 상호 서로 압압하고, 따라서 칼라의 내측 직경을 감소시킨다. 즉, 밴드를 단단히 죄일 수 있도록 한다. 유지탭은 유익하기로는 접혀진- 백 립(folded-back lip; 12')과 같은 적절한 변형에 의해 강화된다.
클램핑 시스템은 더욱이 칼라(10)에 유지된 워셔(28)를 포함한다. 워셔(28)는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클램핑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 두개의 튜브 (20) 및 (22)가 죄어질 때 두개의 튜브 (20) 및 (22)이 서로 면하는 끝단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형상에 있어 꺽인 원뿔형인 부분(30)을 가지게 된다.
튜브(20)의 끝단은 자성 끝단이고, 그의 내측 외주연은 플레어(flare)를 형성한다. 튜브(22)의 끝단은 유지면(18)을 넘어 그의 직경이 자유단으로 향할수록 감소하는 외측 외주연부(23)를 갖는 웅성 끝단이다. 따라서 자유단 (23)은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튜브(20)의 자유단에 형성된 플레어(17)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28)의 꺽인 원뿔형 부분(30)은 플레어(17)와 자유단(23)사이에 형성된다.
클램핑 시스템이 튜브 상에 장착될 때, 칼라의 V-형 단면의 브랜치(13A)는 튜브(20)의 유지면(16)과 함께 작용한다. 이때 와셔(28)는 상기 브랜치(13A)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브랜치(13A)에 상응하는 칼라 부분은 거의 전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려 진다. 칼라가 죄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와셔가 상기 칼라에 유지됨으로, 상기 와셔는 실질적으로 칼라의 단면의 브랜치(13A) 및 (13B) 사이의 연결점, 즉 상기 브랜치에 의해 형성된 V의 정점으로 칼라 내측으로 신장하게 된다.
워셔를 칼라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워셔에 연결되고, 그 자유단은 칼라의 밴드와 함께 작용하기에 적절한 고정탭으로 구성된다. 실제로, 상기 탭은 와셔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고정 탭은 다양한 타입의 탭을 포함한다.
이들은 따라서 칼라의 밴드가 죄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밴드의 내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하는 내부 탭(32)와 칼라의 밴드가 죄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밴드의 엣지 또는 이들의 외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하는 외부 탭을 형성하게 된다.
내부 탭(32)은 외부 탭보다 짧고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방사상으로 완만하게 상승하여 이들의 자유단이 칼라의 단면의 브랜치(13A)의 내측에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내부 탭은 칼라의 축(A)으로 부터 외부탭보다 크게 신장한다. (즉, 이들은 칼라의 축(A)에 대해 약 10°의 각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탭은 두 가지 다른 타입의 경우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탭(34)은 내부 탭(32) 보다 길고, 이 들은 실질적으로 축(A) 에 평행하게 신장하여 이들이 칼라의 밴드의 엣지(13'A)와 함께 작용한다는 점에서 상기 내부 탭(32)와 다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엣지는 브랜치(13A)의 엣지이다. 외부 탭(34)의 외측면은 상기 엣지에 대해 단순히 기댄 상태이다. 자유단(34A)은 그러나 어느 정도 들려 진다. 외부 탭(34)이 워셔의 주위로 분산하는 한, 상기 워셔는 칼라의 밴드에 대해 중심이 된다. 내부 탭(32)은 워셔가 밴드의 브랜치(1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F 로 칼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외부 탭(34)은 더욱이 칼라의 외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하는 탭(36)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탭(36)이 함께 작동하는 것은 브랜치(13A)의 외측 외주연이다. 탭(36)은 고리- 형상으로 브랜치(13A)의 외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함에 의해 칼라의 밴드의 엣지(13'A) 상에 걸리는 자유단(36A)를 가진다. 탭(36)의 중간부는 탭(34)와 같이 축(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이들의 자유단(36A)는 뒤로 접혀진다.
따라서, 탭(36)은 워셔가 칼라의 밴드의 브랜치(13B)를 향해 가는 G 방향으로 상기 칼라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칼라가 죄어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 7을 죄여진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 8과 비교함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탭(36)의 고리- 형상 자유단(36A)은 워셔 (28)가 칼라 단면의 브랜치(13A)의 내측 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죄여지는 동안 "싸여지지 않는" 또는 "접혀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동시에, 탭(32) 및 (34), 그리고 탭(36)의 중간부는 변형하는 경향이 있어 이들의 외측 말단이 축 A 를 향해 이동한다. 즉, 이들은 최종적으로 유지면(1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탭의 변형은 정확하게 조절되고 이것은 워셔, 칼라, 및 튜브 사이에 만족할 만한 조임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밴드가 비-조임 상태일 때, 상술한 유지 탭(12A) 및 (12B) 사이에 배치된 워셔(28)의 일 부분 만이 후킹(hooking) 탭에 자유롭다. 이 후킹 탭은 워셔의 외주연의 잔여부에 걸쳐 분산된다. 이들은 칼라에 대한 워셔 이동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규칙적인 각 간격으로 분산된다. 예를들어, 워셔에는 그 외주연에 걸쳐 배치된 적어도 3 또는 4 내부 탭(32), 적어도 3 또는 4 외부 탭(34) 및 적어도 3 또는 4 탭(36)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4 탭(36), 각각 탭(36)에 인접한 6 내부 탭(32), 내부 탭(32)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탭(34)으로 선택된다. 예를들면, 전체적으로 9 외부 탭(34)이 제공된다.
칼라의 밴드가 비-조임 상태일 때, 튜브의 하나에 칼라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예비- 장착 수단에 대해 다음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이 실시예에서, 칼라는 튜브(20)[ 또는 이들의 끝단에 ]에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변형 형태에서, 예비- 장착 수단은 튜브(20) 상에 걸리기에 적절한 예비- 장착 탭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예비- 장착 탭에 상술한 바와 같은 탭(36)이 제공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탭(36)의 방식으로 칼라 상에 걸리지 않는 다른 탭일 수 있다.
특히,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예비-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외부 탭(34)을 장착하는데 아주 적당하다.
이 예비- 장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예비- 장착 탭은 탭으로부터 잘려지 고, 그것이 그 위에 걸리는 튜브의 외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하기에 적절한 자유단을 갖는 혀(38)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윈도우(39)가 예비- 장착 탭 내에서 단지 세 면에 걸쳐 잘려지고, 반면 혀(38)는 윈도우의 제4면에 연결되고, 이를 수반하는 탭에 대해 어느 정도 뒤로 접혀진 잘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혀(38)는 그의 자유단이 칼라의 브랜치(13B)를 향하는 방향으로 축(A)을 향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유지면 상에 이것을 거는 튜브(20)의 유지면(16)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고 있다. 튜브는 그의 주름진 내측 외주연부(17)가 워셔(28)의 부분의 외측 외주연부 상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주름진 외주연부(17)는 상기 외측 외주연과 접촉되고, 따라서 워셔에 대해 도 7 에 도시된 G 방향으로 더이상 진행하지 않을 수 없다.
튜브(20)의 끝단이 칼라에 삽입될 때, 혀(38)는 축 방향 이동에 의해 탄성적으로 어느 정도 변형되고, 그리고 나서 이것은 표면 유지면(16) 상에 걸려지며, 이에 의해 튜브가 칼라에 대해 F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워셔, 클램핑 칼라 및 튜브(20)는 축 방향 F 및 G 에서 상호에 대해 쐐기된다. 그 자유단(36A)이 후크를 형성하는 탭(36)이 칼라의 유지 탭(12A) 및 (12B)의 대략 근처에 배치되기만 하면, 워셔는 또한 조임에 앞서 상기 칼라에 대해 환상적으로 쐐기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탭(36)에는 혀(38)가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혀는 대안적 또는 상보적인 방식으로 외부 탭(34) 상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혀(38)의 자유단이 유지면(16)의 최대 반경보다 적은 반경의 원으로 제한함 을 고려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최대 반경은 유지면(16)의 자유단의 반경이 된다.
상술한 내부 탭(32)의 자유단이 조임에 앞서 칼라의 밴드의 최소 반경보다 큰 반경의 원으로 제한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최소 반경은 엣지(13'A)의 반경에 의해 제한된다. 워셔(28)가 칼라 내에 위치되어 질 때, 내부 탭(32) 또한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리고 나서 이들은 뒤로 이동하여 칼라 단면의 브랜치(13A)의 내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한다. 외부 탭(34) 및 탭(36)의 중간부는 엣지(13'A)에 의해 한정된 원의 반경에 실질적으로 같은 반경의 원으로 한정된다.
유익하기로는, 예비- 장착 수단은 클램핑 시스템을 제일 튜브에 대해 축으로 쐐기돼는 것 뿐 아니라, 환상적으로 쐐기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장착 탭은 제일 튜브의 외측 외주연과 함께 작동하기에 적당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엣지를 갖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3 및 도 5 에서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탭(36)의 축의 엣지(36B)는 축(A)을 향해 접혀 진다. 예를들어, 탭(36)의 두 축의 엣지는 이런 방법으로 접혀져 이들은 이들 사이를 약 60°의 각 영역으로 제한한다. 이 경사 엣지(36B)는 튜브(20)의 유지면(16) 상에 걸리게 된다. 이들의 경사 때문에 이들은 튜브(20)에 대해 회전하는 워셔(28)를 작동시킨다. 혀(38)에 대해서 같은 방식으로, 탭(36) 상 외에 탭(34) 상에 이렇게 접혀진 축상 엣지를 제공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의 표면은 실링 링을 형성하는 환상의 비드를 갖는다. 정확하게는 워셔는 실린더형 또는 환상의 부분을 연속적으로 변형함과 자름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부분이다. 팽창 또는 수축은 워셔에 그 꺽인 원뿔형상을 부여하고, 탭은 잘려진다. 축의 영역을 고려하면 워셔(28)[그 꺽인 원뿔부분 30.]은 참고번호 40으로 표시된 상기 환상의 비드를 한정하는 폴드를 갖는다.
비드(40)는 튜브와 기밀하게 함께 작동하는 실링 가스켓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워셔가 그 내측 외주연에 걸쳐, 튜브(22)의 끝단(23)과 함께 작동하도록 하는 비드(40) 및 튜브(20) 내의 플레어(17)과 함께 작용하기 위해 그 외측 외주연 상에 위치된 비드(4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드들은 폴드로 형성되고, 그 두축 말단 사이 워셔(30)의 내측 외주연을 고려할 때, 먼저 셋백 [워셔의 외측 외주연 상에서 비드(42)를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고, 그리고 나서 비드(40)가 관찰된다. 실질적으로, 비드(40) 및 (42)는 축 A 에 평행을 이루고, 두 숄더에 의해 한정된 워셔(31)의 부분 어느 끝단에 형성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죄는 동안 비드(40) 및 (42)는 튜브와 기밀한 방식으로 함께 작용하도록 어느 정도 평평하게 될 수 있다.
그 내측 말단( 그 직경이 보다 적은 말단 )에서, 워셔(30)의 부분은 축상 확장부(30A)를 갖는다. 축상 영역에서 워셔는 따라서 확장부(30A)가 만나는 연결부와 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결과로 워셔는 강화되는 것이다.
비드(40) 및 (42)를 형성함에 의해 형성된 폴드 또한 워셔를 강화하는데 기 여한다. 이 강화는 죄는 동안 여기에 작용된 스트레스에 기인한 워셔의 비틀림에 대한 경향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여기서 탭(32), (34), 및 탭(36)이 전달하는 스트레스의 분산은 탭이 어떻게 배치되는 가에 의존하게 된다.
제 1 튜브에 클램핑 시스템을 미리 장착하기 위한 예비- 장착 수단의 변형 형태를 도시한 도 9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도면의 변형 형태와 같이, 도 9 에 도시된 변형형은 예비- 장착 수단이 워셔 상에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9의 워셔(128)은 상술한 워셔(28)에, 이 워셔와 같이 이것이 꺽인 원뿔 부분(30), 상술한 비드(40) 및 (42) 및 밴드의 내측 외주연과 함께 작용하기에 적절한 탭(32), 칼라의 밴드의 엣지(13'A)와 함께 작용하기에 적절한 탭(34) 및 상기 밴드 상에 걸리기에 적절한 탭(136)을 포함하는 장착 탭을 가진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탭(136)은 이들이 예비- 장착 혀 (38)가 없다는 점에서 상술한 탭(36)과 어느 정도 다르다. 이들은 선택적으로 탭 (36)의 위로 접혀진 엣지(36B)를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에, 탭(136)의 자유단 (136A)은 탭(36)의 자유단(36A)과 같이 후크를 형성하기 위해 뒤로 접혀진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비- 장착 수단은 워셔(128)의 축상 부분
(135)에 형성되고, 제 1 튜브의 내측 외주연 상에 파지를 위해 적당한 파지면을 갖게 된다. 예비- 장착을 수행하기 위해, 축상 부분(135)은 따라서 제 1튜브 안으로 힘에 의해 삽입된다. 자연적으로 도 9의 파지면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기술한 예비- 장착 수단과 공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워셔(128)의 축상 부분(135)이 부분적으로 그 반경의 차원이 증가하 고, 따라서 상술한 파지면을 형성하는 참고 번호(138)로 지적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변형부를 가지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변형부는 단순히 축상 부분(135)의 자유 엣지에서 또는 실질적으로 상기 부분의 전체 길이에 신장하는 일정한 굽이침에 의해 형성된다.














Claims (13)

  1. 두 개의 튜브(20, 22)를 기밀한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의 실린더형 외측면에 돌출된 유지면(16, 18)을 갖는 튜브의 끝단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클램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칼라(10) 와 워셔(28, 128)로 구성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유지면에 대해 셋백(setback)을 한정하는 밴드(12) 내측 외주연과 상기 밴드(12)를 단단하게 조이기 위한 수단(12A, 12B, 24, 26)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워셔(28, 128)가 밴드(12)가 조여질 때 변형될 수 있는 고정수단(32, 34, 36, 136)에 의해 칼라(10)로 지지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워셔와 일체로 되거나 또는 워셔에 지지되며, 그리고 칼라(10)의 밴드(12)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자유단을 갖는 고정수단(32, 34, 36, 136)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내부 탭과 외부 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내부 탭(32)은 칼라(10)의 밴드(12)가 비-조임 상태일 때 밴드(12)의 내측 외주연과 함께 작용하고, 그리고 외부 탭(34, 36, 136)은 칼라(10)의 밴드(12)가 비-조임 상태일 때 상기 밴드의 외측 외주연부 또는 밴드(12)의 엣지(13'A)와 함께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칼라(10)의 밴드(12)가 비-조임 상태일 때, 상기 칼라(10)를 튜브(20, 22)의 하나에 지지되도록 작용하는 예비- 장착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장착 수단은 워셔(28, 128)에 지지되거나, 또는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장착 수단은 두 튜브(20, 22)의 어느 하나의 것에 걸리는 예비- 장착 탭(3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장착 탭(36)은 상기 탭에 잘려지고, 제 1 튜브(20)의 외측 외주연(16)과 함께 작용하할 수 있는 자유단을 갖는 혀(38)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장착 탭(36)은 제 1 튜브(20)의 외측 외주연(16)과 함께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엣지(36B)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장착 탭(36)은 칼라가 비-조임 상태일 때, 칼라(10)의 밴드(12)의 외측 외주연부에 뒤로 접혀진 자유단(36A)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장착 수단은 워셔(28, 128)의 축상 부분(135)상에 형성되고, 두 튜브(20, 22)의 제1의 것의 내측 외주연 상에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28, 128)의 축상 부분(135)은 그 반경 차원이 지엽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파지면을 형성하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변형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28, 128)의 축상 부분(135)은 파동부(138)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2.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28, 128)는 실질적으로 깍인 원뿔모양의 적어도 일 부분(3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28, 128)의 표면은 실링 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 비드(40, 4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KR20047008403A 2001-12-05 2002-12-04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KR100897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5737 2001-12-05
FR0115737A FR2833065B1 (fr) 2001-12-05 2001-12-05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ayant des surfaces d'appu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634A KR20050044634A (ko) 2005-05-12
KR100897459B1 true KR100897459B1 (ko) 2009-05-14

Family

ID=887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08403A KR100897459B1 (ko) 2001-12-05 2002-12-04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99005B2 (ko)
EP (1) EP1451498B1 (ko)
JP (1) JP4132050B2 (ko)
KR (1) KR100897459B1 (ko)
CN (1) CN1265115C (ko)
AT (1) ATE321232T1 (ko)
AU (1) AU2002364317A1 (ko)
BR (1) BR0214641B1 (ko)
DE (1) DE60210142T2 (ko)
FR (1) FR2833065B1 (ko)
WO (1) WO2003048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3335B1 (fr) 2003-12-04 2007-11-0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20050264010A1 (en) * 2004-05-27 2005-12-01 Wagner Wayne M V-band clamp
BRPI0609396A2 (pt) * 2005-03-04 2011-10-18 Breeze Torca Products Llc montagem de abraçadeira para tubo
FR2906864B1 (fr) * 2006-10-10 2012-04-20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ayant des surfaces d'appui et assemblage ainsi obtenu
JP5222305B2 (ja) * 2007-02-04 2013-06-26 ノーマ・ユー・エス・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段付き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およびその予め取り付ける構成部品
US7950701B2 (en) * 2007-05-15 2011-05-31 Victaulic Company Pipe coupling having movable gripping bodies
FR2919039B1 (fr) * 2007-07-16 2012-12-28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avec collier de serrage et piece de positionnement
DE102007049996A1 (de) * 2007-10-16 2009-04-30 Vahlbrauk, Wolfgang, Dipl.-Ing. Rohrverbindung
DE102009035674A1 (de) 2009-07-30 2011-02-03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Wärmetauschersystem
US8328243B2 (en) * 2009-08-11 2012-12-11 Daimler Trucks North America Llc Marmon flange to spherical adapter
CN102713395B (zh) * 2009-09-29 2015-05-27 卡明斯Ip公司 球形法兰接头
US20110095520A1 (en) * 2009-10-28 2011-04-28 Eliezer Krausz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US8628095B2 (en) * 2010-05-17 2014-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asket for a pressurized fluid interface
DE102010025031A1 (de) * 2010-06-24 2011-12-2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Wärmetauscher
FR2963404B1 (fr) * 2010-07-27 2014-02-07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 le pre-montage d'un premier et d'un deuxieme tube
EP2474721A1 (en) 2011-01-11 2012-07-11 Etablissements CAILLAU Connection device between tubes and clamping system including such connection device
US8556302B2 (en) 2011-04-05 2013-10-15 Victaulic Company Pivoting pipe coupling having a movable gripping body
DE102011116768A1 (de) 2011-10-22 2013-04-25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Dichtelement
WO2013069030A1 (en) * 2011-11-08 2013-05-16 Salvatore Lardieri Joint assembly, particularly for pipes crossed by substances in fluid and/or granular and/or powdered and/or solid state in general
DE202013001224U1 (de) * 2013-02-07 2013-02-15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Vorpositionierer
FR3008160B1 (fr) 2013-07-03 2015-10-09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un manchon
DE102014002659A1 (de) 2014-02-25 2015-08-27 Daimler Ag Anordnung einer Schelle an einem Rohrflansch
DE102014004831A1 (de) 2014-04-02 2015-10-08 Daimler Ag Verbindungsanordnung eines ersten Leitungselements an einem zweiten Leitungs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FR3025581B1 (fr) * 2014-09-04 2017-03-24 Caillau Ets System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USD784498S1 (en) * 2015-11-17 2017-04-18 Kelso Technologies Inc. Locking ring
DE102016103687A1 (de) 2016-03-01 2017-09-07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Dichtelement, Dichtelement für eine Profilschelle und Leitungsverbindungs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Profilschelle
FR3048468B1 (fr) 2016-03-07 2018-04-06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des clips individuels de pre-montage
FR3049997B1 (fr) * 2016-04-12 2018-05-04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et un manchon
GB2550933B (en) * 2016-06-01 2019-01-16 Taylor Kerr Couplings Ltd Self-aligning pipe coupling
FR3057047B1 (fr) * 2016-10-04 2019-05-10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a position angulaire controle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FR3057918B1 (fr) * 2016-10-26 2018-11-23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a temoin de positionnement
DE102017121994A1 (de) * 2017-09-22 2019-03-28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Dichtelement
DE102018109617A1 (de) 2018-04-20 2019-10-24 Elringklinger Ag Spannvorrichtung zum Abdichten und Verbinden zweier Rohre
DE102018109581A1 (de) * 2018-04-20 2019-10-24 Norma Germany Gmbh Schelle
FR3080666B1 (fr) 2018-04-26 2020-05-08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a pattes rabattables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CN112752920A (zh) * 2018-09-28 2021-05-04 泰康尼克斯有限公司 夹持设备及其使用方法
FR3088097B1 (fr) 2018-11-07 2020-11-2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doigt de retenue rabattable
DE102018010107A1 (de) 2018-12-21 2020-06-25 Daimler Ag Verbindungs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wenigstens zwei Flanschen von Bauelemente für eln Kraftfahrzeug
FR3098881B1 (fr) * 2019-07-15 2021-07-23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doigts de retenue
FR3098883B1 (fr) * 2019-07-15 2021-07-30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organe externe de retenue
FR3098882B1 (fr) * 2019-07-15 2021-07-30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boucle de retenue
FR3098884B1 (fr) 2019-07-15 2021-07-23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barre de retenue
DE102019126484A1 (de) * 2019-10-01 2021-04-01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Verrastlasche
FR3103233B1 (fr) 2019-11-20 2021-11-26 Caillau Collier de serrage
FR3108961B1 (fr) * 2020-04-03 2022-08-26 Caillau Systè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comprenant un collier et un joint d’étanchéité
ES2937419T3 (es) 2020-04-03 2023-03-28 Caillau Sistema de ajuste para la conexión de tubos, que comprende una abrazadera y una arandela que lleva patillas de soporte
FR3110210B1 (fr) 2020-05-13 2022-06-17 Caillau Système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une agrafe de pré-montage
US11644133B2 (en) 2020-12-18 2023-05-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ka-yoke V-clamp for exhaust systems
FR3123406B1 (fr) 2021-05-28 2023-06-02 Caillau Ensemble de montage comprenant deux embouts maintenus emmanchés par une ceinture
GB2608686B (en) 2021-05-28 2024-02-14 Caillau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two end pieces held fitted by a belt
FR3133423A1 (fr) 2022-03-10 2023-09-15 Caillau Collier de serrage pour tubes et systè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comprenant un coll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75Y1 (ko) * 2001-05-11 2001-10-15 김진명 관 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4589E (en) * 1959-01-13 Smith
US2424436A (en) * 1945-04-13 1947-07-22 Gen Electric Pipe coupling
US2486565A (en) * 1947-04-03 1949-11-01 John J Kojan Clamping ring for metal containers
US2663582A (en) * 1949-03-31 1953-12-22 Houdaille Hershey Corp Clamp arrangement for connecting tubular members
US2697570A (en) * 1951-05-01 1954-12-21 Thompson Prod Inc Quick-attaching device
US2675253A (en) * 1952-10-18 1954-04-13 Wittek Mfg Co Ventilated conduit coupling
US2842383A (en) * 1953-02-03 1958-07-08 M B Skinner Company Sectional gasket ring for bell joint clamp
US2761707A (en) * 1954-12-16 1956-09-04 Aeroquip Corp Tube coupling with impressionable metallic seal
US2941823A (en) * 1954-12-21 1960-06-21 North American Aviation Inc W-band coupling for flanged pipe
US2851758A (en) * 1955-01-17 1958-09-16 Bendix Aviat Corp Clamping ring
US3059947A (en) * 1958-05-12 1962-10-23 Aeroquip Corp Ventilated band clamp
US3499667A (en) * 1968-10-21 1970-03-10 Anton Pfeuffer Hose clamp
US3669474A (en) * 1970-08-26 1972-06-13 Richard M Bode Coupled joint of axially aligned elongated members
CH555022A (de) * 1972-08-10 1974-10-15 Oetiker Hans Rohrverbindung.
US3822075A (en) * 1972-08-15 1974-07-02 Diebold Inc Pneumatic tube coupling
US3964773A (en) * 1974-09-13 1976-06-22 Mercury Metal Products, Inc. Anti-emission exhaust pipe joint and clamp therefor
US4705305A (en) * 1984-06-22 1987-11-10 Ghaly Azmy W Coupling and clamping device
FR2588357B3 (fr) * 1985-10-07 1988-01-22 Urion Daniel Conduit de fumee metallique a simple paroi
DE3819729A1 (de) * 1987-11-30 1989-06-08 Ernst Nock Rohrverbindung
JP3112118B2 (ja) * 1992-05-18 2000-11-2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自動車排気系用の渦巻形ガスケット
US5755466A (en) * 1995-04-10 1998-05-26 Harth; George C. Annular clamping flange
EP0769649B1 (de) * 1995-10-19 2002-06-05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Rohrverbindung mit Spannschelle
SE508749C2 (sv) * 1996-12-20 1998-11-02 Lindab Ab Sätt att hopkoppla två rör
AT4835U1 (de) * 2000-11-13 2001-12-27 Tesma Motoren Getriebetechnik Treibstoffbehälter mit einem rohr
MXPA03004545A (es) * 2000-11-22 2004-12-02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Soporte para unir una abrazadera a una manguera.
US20040075276A1 (en) * 2002-04-03 2004-04-22 Cleaire Advanced Emission Controls Clamped pipe joint, method, and pipe useful therefor
US20040262922A1 (en) * 2003-06-27 2004-12-30 Lindab Ab Assembly system for a pipe coupling
DE102004050302B4 (de) * 2004-10-15 2010-09-30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 zweier Rohre und Dichtring für die Verbindung
BRPI0609396A2 (pt) * 2005-03-04 2011-10-18 Breeze Torca Products Llc montagem de abraçadeira para tub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75Y1 (ko) * 2001-05-11 2001-10-15 김진명 관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9005B2 (en) 2008-07-15
BR0214641A (pt) 2004-11-03
BR0214641B1 (pt) 2011-02-22
DE60210142T2 (de) 2007-03-29
KR20050044634A (ko) 2005-05-12
DE60210142D1 (de) 2006-05-11
FR2833065B1 (fr) 2004-09-03
ATE321232T1 (de) 2006-04-15
EP1451498A1 (fr) 2004-09-01
US20050017510A1 (en) 2005-01-27
WO2003048624A1 (fr) 2003-06-12
EP1451498B1 (fr) 2006-03-22
JP2005511991A (ja) 2005-04-28
CN1599851A (zh) 2005-03-23
JP4132050B2 (ja) 2008-08-13
FR2833065A1 (fr) 2003-06-06
AU2002364317A1 (en) 2003-06-17
CN1265115C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459B1 (ko)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CA2675571C (en) Stepped ball joint pipe clamp and pre-attachment components therefor
CN107893883B (zh) 用于将两个管子连接在一起的角定位受控型夹紧系统
KR101174298B1 (ko) 일체형 래치를 가진 파이프 클램프
US7000953B2 (en) Pipe screw-connection
US20060202480A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v-ring insert
CA2582537C (en) Pipe lap joint with improved sealing slot for increased circumferential closure
US4902048A (en) Joint structure for jointing metal pipes at their ends
CN112228643B (zh) 具有固定环的夹紧套环
JP2019190663A (ja) チューブを接続するための折り畳みタブを有する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US20030107220A1 (en) Strap clamp
CN112228434A (zh) 具有固定指的夹紧套环
JPH04231710A (ja) クランプ
JP2021519897A (ja) クランプ
KR20210139188A (ko) 칼라 및 사전-장착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US6390512B1 (en) Gasket retainer clip
RU2780262C2 (ru) Система зажима со сгибаемыми ушками для взаи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20220381382A1 (en) Mounting assembly including two end pieces held fitted by a belt
JPH058392Y2 (ko)
JP2006077895A (ja) パイプの接続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