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296B1 -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296B1
KR100896296B1 KR1020070138133A KR20070138133A KR100896296B1 KR 100896296 B1 KR100896296 B1 KR 100896296B1 KR 1020070138133 A KR1020070138133 A KR 1020070138133A KR 20070138133 A KR20070138133 A KR 20070138133A KR 100896296 B1 KR100896296 B1 KR 10089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transport
folding chair
plate member
seat plate
transpo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목재균
문경호
장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002/24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o support passengers in a half-stand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60Y2200/1432Low flo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대중 교통 차량의 실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이루어지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의 일면은 승객이 착석하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입석 승객이 신체의 일부를 기대어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차량, 객실, 접이식 의자, 좌판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 Collapsible chai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중 교통 차량 내부에 승객의 혼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상버스, 바이모달 트램(Bimodal Tram), 도시철도와 같은 대중 교통 차량은 제한된 실내 공간에 통로를 중심으로 객실 의자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다. 대중 교통 차량은 출퇴근이나 통학 따위로 교통이 몹시 혼잡한 러시아워(rush hour) 시간대나 유동 인구가 많은 도심 지역에서 승객 수가 많아 객실 의자뿐만 아니라 통로에 서서 이동하는 승객도 많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도시철도, 한국고속철도(KTX) 등에 주로 설치되는데, 객실에 설치되는 등받 이부재(2)와, 상기 등받이부재(2)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평상시 좌판부재(1)가 등받이부재(2)에 밀착 고정되어 있지만, 승객이 좌판부재(1)를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해 내리면 등받이부재(2)와 직각 상태가 유지되도록 펼쳐져 좌석 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승객이 좌판부재(1)에 앉아있다가 하차시 좌판부재(1)에서 일어나게 되면, 좌판부재(1)는 화살표 반대방향인 등받이부재(2) 쪽으로 밀착 고정되어 접힌 상태가 된다.
이때, 좌판부재(1)는 승객이 착석하는 상면, 및 상면의 반대면인 하면이 모두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입석 승객이 많을 경우에 좌석 의자로 펼친 후 승객이 착석하면 입석 승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접이식 의자에 앉아 있는 승객도 다른 입석 승객의 이동이나 움직임 등에 의해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중 교통 차량은 유모차, 휠체어, 각종 카트나 여행용 가방 등을 고정할 수 있는 벨트나 고정 수단 등이 설치되지 않아 무게나 부피가 있는 짐을 가지고 승차한 승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승객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 교통 차량의 혼잡시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고, 비교적 한산한 시간대에는 좌석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고정벨트로 인해 특정 물품을 객실 벽면 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대중 교통 차량의 실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이루어지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의 일면은 승객이 착석하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입석 승객이 신체의 일부를 기대어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입석 승객의 신체 일부를 받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
Figure 112007093550373-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부재는 측면에 좌판부재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부재의 하부 벽면에는 물품을 고정하는 고정벨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벨트는 벨트를 잡아당겨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부재는 1인용 또는 2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따르면,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따르면, 대중 교통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입석 승객이 기대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펼친 후 승객이 착석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대중 교통 차량의 실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등받이부재(10)와, 등받이부재(10)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재(10)와 좌판부재(2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30)는 상기 좌판부재(20)의 후측에 연장부가 구비되고, 그 연장부에는 힌지핀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핀은 등받이부재(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좌판부재(20)는 항상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며, 등받이부재(10)의 하측에는 상기 좌판부재(20)가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핑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재(10)의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좌판부재(2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연장부가 걸쳐지게 되어 더 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평상시에는 좌판부재(20)가 접혀있다가 필요한 경우 승객이 좌판부재(20)를 펼치게 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펼쳐지게 되어 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과 스토핑수단은 종래의 접이식 의자에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을 그대로 적용하기로 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상기한 탄성수단과 스토핑수단 외에 좌판부재의 자동 접힘 구조, 좌판부재의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등이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재(20)의 일측면은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평면부(21)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입석 승객이 기대어 지지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좌판부재(20)의 평면부(21)는 승객의 승차감이나 편안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좌석 쿠션(cushion)이 구비되고, 돌출부(22)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받침 쿠션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쿠션과 받침쿠션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차량의 화재 예방 등을 위해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돌출부(22)는 입석 승객이 가장 편안한 자세로 등이나 허리를 기댈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인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재(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입석 승객이 돌출부(22)에 엉덩이 부분을 기댈 경우에, 돌출부(22)는 좌판부재(20)의 중심부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위는 엉덩이 부분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로 돌출되고, 그 끝단은 라운딩(rounding)지게 형성되어 “
Figure 112007093550373-pat00002
”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돌출부(22)는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승객의 유동에 방해되지 않고, 객실의 실내 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최소화되도록 돌출 폭과 넓이가 결정되는데 돌출 폭과 넓이는 승객이 신체 일부, 특히 엉덩이 부분을 걸터앉을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판부재(20)는 승객이 펼치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좌판부재(20)의 일측 면 또는 양측면에 손잡이(2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좌판부재(20)의 하단부에는 유모차, 휠체어, 각종 카트나 여행용 가방 등의 소정 물체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벨트(40)가 설치된다. 이때, 고정벨트(40)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와 유사하게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물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벨트를 잡아당겨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수단(4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수단(42)을 이용하여 물체의 크기에 맞게 벨트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교통혼잡이 우려되지 않는 시간대에는 승객이 대중 교통의 차량에 탑승하더라도 객실 내부의 승객 밀집도가 낮아 승객의 원하는 고정식 객실의자에 앉거나 좌판부재(20)를 펼쳐 접이식 의자에 앉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 좌판부재(20)를 펼치게 되면 좌판부재(20)는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고, 승객은 좌판부재(20)의 평면부(21)에 앉아 편안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승객이 좌석에서 일어서게 되면 좌판부재(20)에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게 되어 좌판부재(20)는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한편, 교통이 혼잡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많은 승객이 대중 교통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좌판부재(20)는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때, 승객은 좌판부재(20)의 돌출부(22)에 등이나 허리, 엉덩이 부분 등을 기대고 책이나 신문을 읽으면서 목적 지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좌판부재(20)의 돌출부(22)는 인체공학적으로 승객이 편안한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승객이 돌출부(22)에 걸터앉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댈 경우에 승객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돌출 폭과 넓이를 갖고 있다.
또한, 유모차, 휠체어, 각종 카트 등의 물품을 가지고 승차하는 승객의 경우에, 해당 물품을 고정벨트(40)에 단단히 조여 고정시킬 수 있어 물체의 고정이나 보관 등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승객의 안전이나 편안함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2인용의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나타낸 것으로 대중 교통 차량의 공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차량의 객실 벽면에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차량의 실내 공간에 적합하게 1인용 또는 2인용을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입석 승객이 기대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펼친 후 승객이 착석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2인용의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부재 20: 좌판부재
21 : 평면부 22 : 돌출부
30 : 고정벨트 40 : 고정벨트

Claims (7)

  1. 대중 교통 차량의 실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이루어지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의 일면은 승객이 착석하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입석 승객이 신체의 일부를 기대어 지지거나 받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
    Figure 112009004689707-pat00003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는 측면에 좌판부재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의 하부 벽면에는 물품을 고정하는 고정벨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벨트는 벨트를 잡아당겨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는 1인용 또는 2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KR1020070138133A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KR10089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33A KR100896296B1 (ko)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33A KR100896296B1 (ko)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296B1 true KR100896296B1 (ko) 2009-05-07

Family

ID=4086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133A KR100896296B1 (ko)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2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95B1 (ko) * 2016-02-03 2018-02-21 곽채현 자전거 거치대
CN110522225A (zh) * 2018-05-23 2019-12-03 丰田纺织株式会社 座椅存储系统和座椅姿势改变系统
CN112319334A (zh) * 2020-11-13 2021-02-0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扶手杆及公交车
CN114987567A (zh) * 2022-06-29 2022-09-02 河南科技大学 一种节约空间的智能带状地铁座椅
CN115179985A (zh) * 2022-07-29 2022-10-14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车辆的折叠式腰靠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089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KR200309173Y1 (ko) 2002-12-17 2003-03-31 김철수 차량용 보조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089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버스의 승하차용 손잡이
KR200309173Y1 (ko) 2002-12-17 2003-03-31 김철수 차량용 보조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95B1 (ko) * 2016-02-03 2018-02-21 곽채현 자전거 거치대
CN110522225A (zh) * 2018-05-23 2019-12-03 丰田纺织株式会社 座椅存储系统和座椅姿势改变系统
CN112319334A (zh) * 2020-11-13 2021-02-0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扶手杆及公交车
CN114987567A (zh) * 2022-06-29 2022-09-02 河南科技大学 一种节约空间的智能带状地铁座椅
CN115179985A (zh) * 2022-07-29 2022-10-14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车辆的折叠式腰靠及车辆
CN115179985B (zh) * 2022-07-29 2023-09-26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车辆的折叠式腰靠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267B2 (en) Portable adjustable sleep support device
JP3007149B2 (ja) 拡張可能かつ収容可能な幼児用車両シート
US11034268B2 (en) In-vehicle bed assembly
JP3586300B2 (ja) 立姿勢用シート
US6305749B1 (en) Headrest
KR100896296B1 (ko)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CN107914884A (zh) 隐私间隔物及用于飞机的隐私间隔物系统
US5358263A (en) Travel-air chair
KR20180132594A (ko) 휴대용 쿠션 지지부
US6776433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9522618B2 (en) Seat comprising a structure for arm support
US20070057557A1 (en) Bed sea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JP2004131044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ート組立体
GB2449451A (en) Folding passenger seat
KR100896297B1 (ko)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GB2527137A (en) Inflatable child booster cushion/seat for use with a vehicle
KR200450572Y1 (ko)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객차용 의자
CA2948514A1 (en) Chair systems and method
GB2622397A (en) Portable support
KR102218314B1 (ko)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GB2518016A (en) Travel comfort Aid
US20180132622A1 (en) Chair systems and method
KR200382634Y1 (ko) 애완동물용 카시트
JP2001322471A (ja) バリアフリ−用アシストグリップ
WO2011125068A1 (en) Suitcase with integrated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