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297B1 -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297B1
KR100896297B1 KR1020070138162A KR20070138162A KR100896297B1 KR 100896297 B1 KR100896297 B1 KR 100896297B1 KR 1020070138162 A KR1020070138162 A KR 1020070138162A KR 20070138162 A KR20070138162 A KR 20070138162A KR 100896297 B1 KR100896297 B1 KR 10089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transport
folding chair
transport vehicle
seat plat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목재균
윤희택
박영곤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60Y2200/1432Low floor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대중 교통 차량의 객실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의 등받이 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차량, 객실, 접이식 의자, 좌판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 Collapsible chai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중 교통 차량 내부에 승객의 혼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상버스, 바이모달 트램(Bimodal Tram), 도시철도와 같은 대중 교통 차량은 제한된 실내 공간에 통로를 중심으로 객실 의자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다. 대중 교통 차량은 출퇴근이나 통학 따위로 교통이 몹시 혼잡한 러시아워(rush hour) 시간대나 유동 인구가 많은 도심 지역에서 승객 수가 많아 객실 의자뿐만 아니라 통로에 서서 이동하는 승객도 많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도시철도, 한국고속철도(KTX) 등에 주로 설치되는데, 객실에 설치되는 등받 이부재(2)와, 상기 등받이부재(2)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평상시 좌판부재(1)가 등받이 부재(2)에 밀착 고정되어 있지만, 승객이 좌판부재(1)의 상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해 내리면 등받이 부재(2)와 직각 상태가 유지되도록 펼쳐져 좌석 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승객이 좌판부재(1)에 앉아있다가 하차시 좌판부재(1)에서 일어나게 되면, 좌판부재(1)는 화살표 반대방향인 등받이 부재(2) 쪽으로 밀착 고정되어 접힌 상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입석 승객이 많을 경우에 좌석 의자로 펼친 후 승객이 착석하면 입석 승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접이식 의자에 앉아 있는 승객도 다른 입석 승객의 이동이나 움직임 등에 의해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중 교통 차량은 유모차, 휠체어, 각종 카트나 여행용 가방 등을 고정할 수 있는 벨트나 고정 수단 등이 설치되지 않아 무게나 부피가 있는 짐을 가지고 승차한 승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승객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 교통 차량의 혼잡시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고, 비교적 한산한 시간대에는 좌석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석 의자로 이용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대중 교통 차량의 객실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좌판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너비만큼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는 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부재는 소정 두께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측면에 유동축과 지지축이 설치되는데, 상기 유동축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이동홈에 결합되고, 지지축은 고정프레임의 하부 상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입석 승객을 편안한 자세로 받칠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인 돌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외부 압력에 의해 외형이 변하지 않도록 일정 강도를 갖고, 상기 좌판부재가 접거나 펼쳐지는 회동 궤적에 부합되면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완만한 경사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C'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홈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는 제1로울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축의 단부에는 제2로울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 객실 벽면에는 고정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벨트는 고정되는 물품이 유동되지 않도록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재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부재 및 좌판부재는 1인용 또는 2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따르면,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따르면, 기존의 등받이 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실내 공간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수단을 확대 도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입석 승객이 기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대중 교통 차량의 실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00)와, 상기 고정부재(100)에 의해 하단부가 지지축(26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부가 유동축(250)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좌판부재(200)가 지지되는 내측면에 이동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는 너비만큼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은 외부의 힘에 의해 외형이 변하지 않도록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이고, 상기 좌판부재(200)가 접거나 펼쳐지는 회동 궤적에 부합되면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완만한 경사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판부재(200)는 하단부에는 고정부재(100)의 하부 상면을 따라 전/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축(260)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지지축(260)의 단부에 제2로울러(2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로울러(262)는 좌판부재(200)의 지지축(260)이 고정프레임(120)의 하부 상면을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 로울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로울러(262)는 고정프레임(120)의 내측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재(200)의 일측면은 벽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평면부(210)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입석 승객이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0)의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은 객실 벽면의 소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좌판부재(200)의 높이가 결정되므로, 승객의 신장이나 편안한 지지 및 착석을 고려하여 좌판부재(200)의 높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승객이 이동중에 부딪치거나 입석 승객이 고정프레임에 기대고 있을 경우, 또는 기타 외부 압력에 의해 외형이 변하지 않도록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승객의 안전을 위해 모서리 부분을 없애고 완만한 경사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으로 형성되는데, 좌판부재(2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회동 궤적에 부합되도록 고정프레임(120)의 하부는 거의 수평 상태가 된다.
다음, 좌판부재(200)는 크게 소정 두께의 몸체부(230), 상기 몸체부(230)의 일면에 형성되어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평면부(210), 상기 몸체부(23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입석 승객이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부(220)로 구성되고, 승객의 편의나 안전을 위해 다른 부품이 설치되거나 외관의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30)는 측면이 긴 타원형의 입방체로 형성되고, 승객이 앉거나 가방이나 소정 물품을 올려놓을 경우에도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적정한 강도와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30)의 일측면, 즉 상면에는 평면부(210)가 형성되고, 타측면, 즉 하면에는 돌출부(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30)의 측면에는 유동축(250)과 지지축(260)이 설치되어 고정부재(10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유동축(250)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내측에 형성된 이동홈(1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지지축(260)은 고정프레임(120)의 하부 상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축(250)이 고정프레임(120)의 이동홈(110)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축(260)은 고정프레임(120)의 이동홈(1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데, 좌판부재(20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23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240)에 유동축(250)이 지지되고, 상기 유동축(250)은 일측에 1개 이상의 탄성수단(245)으로 지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245)은 일단부가 홈부(240)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는 유동축(250)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판부재(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최대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좌판부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유동축(250)의 단부에 설치된 제2로울러(252)가 이동홈(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을 압축된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탄성수단(245)은 승객이 앉는 하중에 의해 압축 상태가 유지되면서 좌판부재(200)는 펼쳐지게 되고, 승객이 일어서면 하중이 제거되어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좌판부재(200)는 자동으로 접힌 상태가 된다.
한편, 탄성수단은 고정부재(100)의 이동홈(110)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유동축(250)은 몸체부(23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동축(250)의 단부에 설치된 제2로울러(252)가 이동홈(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됨에 탄성수단으로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해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좌판부재(20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접힌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좌판부재(200)의 평면부(210)와 돌출부(220)는 승객이 편안하게 앉거나 기댈 수 있도록 쿠션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무엇보다도, 돌출부(220)는 입석 승객이 가장 편안한 자세로 등이나 허리, 엉덩이 등의 신체 일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인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230)는 좌판부재(200)를 펼치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손잡이(235)가 더 설치된다.
한편, 고정부재(100)의 하단부나 고정부재(100)의 근접 위치에 유모차, 휠체어, 각종 카트나 여행용 가방 등의 소정 물품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벨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벨트(300)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와 유사한 것으로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물품이 유동되지 않도록 벨트를 잡아당겨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수단(31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수단(310)을 이용하여 물품의 크기에 맞게 벨트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를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교통혼잡이 우려되지 않는 시간대에는 승객이 대중 교통의 차량에 탑승하더라도 객실 내부의 승객 밀집도가 낮아 승객의 원하는 고정식 객실의자에 앉거나 좌판부재(200)를 펼쳐 좌식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좌판부재(200)의 상단부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유동축(250)은 고정프레임(120)의 이동홈(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지지축(260)의 고정프레임(120) 하부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좌판부재(200)가 펼쳐지게 되고, 좌판부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승객은 평면부(210)에 앉아 편안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승객의 하중에 의해 좌판부재(200)가 눌려지더라도 좌판부재(200)의 유동축(250)이 고정프레임(100) 내측에 형성된 이동홈(110)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좌판부재(20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홈(110)은 상기 좌판부재(200)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까지만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승객의 하차시 좌판부재(200)에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면, 좌판부재(200)는 홈부(240) 또는 이동홈(110)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수단(245)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한편, 교통이 혼잡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많은 승객이 대중 교통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좌판부재(200)는 접힌 상태가 된다. 이때, 좌판부재(200)의 돌출부(220)가 인체공학적으로 승객이 편안한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은 좌판부재(200)에 등이나 허리, 엉덩이 등을 기대고 책이나 신문을 읽으면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어 승객들이 좌판부재(200)에 기대될 경우에 쿠션감을 주어 보다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입석 승객의 경우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승객의 경우 팔걸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휠체어, 각종 카트 등의 물품을 가지고 승차하는 승객의 경우 에, 해당 물품을 고정벨트(300)에 단단히 조여 고정시킬 수 있어 물품의 고정이나 보관 등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승객의 안전이나 편안함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로서 2인용을 나타낸 것으로 차량의 공간을 고려하여 적절히 배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는 기존의 등받이 부재가 없어 차량의 객실 벽면에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차량의 실내 공간에 적합하게 1인용 또는 2인용을 적절히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의 등받이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실내 공간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입석 승객이 기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로서 2인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부재 200: 좌판부재
210: 평면부 220: 돌출부
300: 고정벨트

Claims (15)

  1. 차량의 객실 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는 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측면에 유동축과 지지축이 설치되는데, 상기 유동축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이동홈에 결합되고, 지지축은 고정프레임의 하부 상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입석 승객을 편안한 자세로 받칠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인 돌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외부 압력에 의해 외형이 변하지 않도록 일정 강도를 갖고, 상기 좌판부재가 접거나 펼쳐지는 회동 궤적에 부합되면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완만한 경사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C'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는 제1로울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축의 단부에는 제2로울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 객실 벽면에는 고정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벨트는 고정되는 물품이 유동되지 않도록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14. 제 1항, 제 3항, 제 5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좌판부재는 1인용 또는 2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KR1020070138162A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KR10089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62A KR100896297B1 (ko)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62A KR100896297B1 (ko)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297B1 true KR100896297B1 (ko) 2009-05-07

Family

ID=4086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162A KR100896297B1 (ko) 2007-12-27 2007-12-27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545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우창 차량 승객용 벽면 접이식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Y2 (ja) * 1987-12-22 1994-01-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折畳みシート
JPH09118158A (ja) * 1995-10-25 1997-05-06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補助座席
KR20070004299A (ko) * 2005-07-04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Y2 (ja) * 1987-12-22 1994-01-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折畳みシート
JPH09118158A (ja) * 1995-10-25 1997-05-06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補助座席
KR20070004299A (ko) * 2005-07-04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545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우창 차량 승객용 벽면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433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JP3586300B2 (ja) 立姿勢用シート
US7044267B2 (en) Portable adjustable sleep support device
US7472921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5358263A (en) Travel-air chair
US9428932B2 (en) Portable personal seating barrier
KR100896296B1 (ko)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US20070057557A1 (en) Bed sea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JP5823816B2 (ja) 腰掛の起立補助装置
US20070035169A1 (en) Portable back support for a car seat or other seat
US7887085B2 (en) Folding and fixing structure of a people-carrying vehicle
GB2449451A (en) Folding passenger seat
US6170908B1 (en) Convertible foot stool
US10980349B2 (en) Portable head support
KR100896297B1 (ko)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KR102165278B1 (ko) 접이식 휠체어
KR200450572Y1 (ko)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객차용 의자
KR101078268B1 (ko) 노약자용 변기 겸용 의자
KR102025523B1 (ko) 전동형 이승강기
JP5414229B2 (ja) シートのレッグレスト
KR101458988B1 (ko) 휠체어
CA2948514A1 (en) Chair systems and method
CN220363260U (zh) 一种商务车隐藏式吧台
KR200360675Y1 (ko) 철도차량용 범 레스트
JPH08669A (ja) 車両用多目的座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