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152B1 -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152B1
KR100896152B1 KR1020070120814A KR20070120814A KR100896152B1 KR 100896152 B1 KR100896152 B1 KR 100896152B1 KR 1020070120814 A KR1020070120814 A KR 1020070120814A KR 20070120814 A KR20070120814 A KR 20070120814A KR 100896152 B1 KR100896152 B1 KR 10089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
reinforcing plate
hole
operating rod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2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5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vacuum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8Using spring tension to drive movable machin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실수로 보강플레이트를 인서트하지 않는 경우라도 에어흡입통로로 수지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보강플레이트가 캐비티에 인서트되지 않더라도 시사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강플레이트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공간인 캐비티(S1)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흡입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흡입통로(112)가 관통형성된 제1 사출금형(110); 상기 제1 사출금형(110)과의 형합에 의해서 캐비티(S1)를 형성하고, 동작관통홀(122)이 캐비티(S1)에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사출금형(120); 및 상기 동작관통홀(122)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P1a)의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봉(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강플레이트가인서트되지 않은 경우라도 에어흡입통로(112)로 성형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형,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 보강플레이트

Description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Mold Device for Mobile Front Case Insert Molding SUS Plate}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실수로 보강플레이트를 인서트하지 않는 경우라도 에어흡입통로로 수지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보강플레이트가 캐비티에 인서트되지 않더라도 시사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강플레이트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폰 등을 지칭하는 소위 핸드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형케이스는 전면케이스(front case)와 후면케이스(rear case)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케이스는 주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생산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보강플레이트를 전면케이스에 일체로 장착되어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강플레이트를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에 일체로 장착하는 이유는 전면케이스의 소형화 추세에 따른 것으로, 이 보강플레이트는 키패드를 지지 및 홀딩하고 전면케이스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보강플레이트는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이하에서는 간단히 전면케이스라고도 칭한다)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보강플레이트를 사출금형에 인서트 몰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일반적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성형공간인 캐비티(S1)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흡입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흡입통로(10a)가 캐비티(S1)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고정금형(10)과, 수지주입구(20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금형(10)과의 형합에 의해서 상기 수지주입구(20a)를 통해서 주입된 성형 수지가 충진되는 성형공간인 캐비티(S1)를 형성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P1)를 사출성형하는 가동금형(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강플레이트(P1a)를 인서트 몰딩하기 위해서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하기 위해서 에어흡입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에어흡입통로(10a)에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하기 위한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에어흡입장치(미도시)가 호스(H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성형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캐비티(S1)에 보강플레이트(P1a)를 인서트한 후 융융된 성형 수지를 캐비티(S1) 내부로 주입하면, 보강플레이트(P1a)가 인서트 몰딩된(즉, 보강플레이트가 일체로 인서트 몰딩된) 전면케이스(P1)가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첫째, 작업자의 실수로 보강플레이트(P1a)를 인서트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보강플레이트(P1a)가 금형 내에 인서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에어흡입통로(10a)로 성형 수지가 주입되어서 금형을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금형온도, 수지온도, 제품의 외관 스펙 등 사출 조건을 잡기 위해서 시사출을 하는 경우에도, 에어흡입통로(10a)로 수지가 흡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는 반드시 보강플레이트(P1a)를 인서트한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따라서 시사출품에 사용된 보강플레이트(P1a)는 고스란히 소모된 비용으로 되므로 보강플레이트(P1a)의 손실에 따른 비용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에어흡입장치에 의한 강제 에어 흡입만으로는 보강플레이트(P1a)를 잡아주기 위한 것이 약했기 때문에, 인서트된 보강플레이트의 위치가 조금씩 변경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목적은, 작업자의 실수로 보강플레이트를 인서트하지 않는 경우라도 고정금형의 에어흡입통로로 수지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다른 목적은, 보강플레이트를 금형 캐비티에 인서트하지 않더라도 금형온도, 수지온도 등 사출 조건을 잡기 위한 시사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인서트몰딩되는 보강플레이트의 위치가 변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 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성형공간인 캐비티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플레이트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흡입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흡입통로가 관통형성된 제1 사출금형; 상기 제1 사출금형과의 형합에 의해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동작관통홀이 캐비티에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사출금형; 및 상기 동작관통홀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흡입통로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동작봉이 상기 에어흡입통로의 입구에 밀착되어서 폐쇄하도록, 상기 동작봉을 상기 에어흡입통로 쪽인 전방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동작봉은, 상기 동작관통홀에 삽입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에서 외향 단차지게 형성된 머리부로 구성되되, 상기 머리부의 전면은 상기 에어흡입통로의 입구를 원활하게 폐쇄하도록 에어흡입통로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동작봉이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후퇴될 때, 상기 머리부가 수용될 수 있는 '머리부 수용공간'이 상기 동작관통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전면의 대향면인 단차면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관통홀의 내면에는 단차지지부(12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제2 사출금형이 상기 제1 사출금형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이 상기 동작관통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장착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상기 제2 사출금형이 상기 제1 사출금형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이 상기 동작관통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머리가 상기 동작관통홀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동작봉과 나사체결되는 이탈방지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상기 동작봉의 후단에서 동작봉과 나사체결되는 이탈방지볼트; 상기 이탈방지볼트에 외삽되고, 외경이 상기 동작관통홀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이탈방지볼트와 함께 상기 제2 사출금형이 상기 제1 사출금형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이 상기 동작관통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와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캐비티에 보강플레이트가 없어서 상기 동작봉이 에어흡입통로를 폐쇄 하는 경우, 상기 동작관통홀의 '머리부 수용공간'을 통해서 성형 수지가 상기 동작관통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의 전단에는 수직면이 상기 머리부의 전면에 대하여 수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동작봉의 머리부에는, 상기 머리부의 수직면에서 몸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자의 실수로 보강플레이트를 인서트하지 않는 경우라도 금형의 에어흡입통로로 수지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에어흡입통로로 수지가 유입됨으로써 금형이 못쓰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동작봉이 에어흡입통로를 탄성에 의해서 막아주기 때문에, 온도, 수지온도 등 사출 조건을 잡기 위한 시사출을 수행하는 경우에 보강플레이트를 금형 캐비티에 인서트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금형조건을 잡기 위한 시사출시에 보강플레이트의 손실이 없게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에어흡입장치에 의한 흡입에어로 보강플레이트를 홀딩하는 외에, 본 발명에 의한 동작봉이 보강플레이트를 탄성에 의해서 이중으로 잡아주므로 보강플레이트를 더욱 확실하게 위치를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의한 금형장치에 성형 수지가 주입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에 의한 금형장치에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4에 의한 금형장치에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성형 수지가 주입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100)는, 성형공간인 캐비티(S1)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흡입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흡입통로(112)가 캐비티(S1)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사출금형(110)과, 수지주입구(120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출금형(110)과의 형합에 의해서 상기 수지주입구(120a)를 통해서 주입된 성형 수지가 충진되는 성형공간인 캐비티(S1)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동작관통홀(122)이 캐비티(S1)에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사출금형(120)과, 상기 동작관 통홀(122)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P1a)의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봉(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작봉(130)이 보강플레이트(P1a)의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폐쇄한다 함은, 보강플레이트(P1a)가 캐비티(S1)에 없는 경우에는 동작봉(130)이 에어흡입통로(112)를 폐쇄한다는 의미이고, 보강플레이트(P1a)가 있는 경우에는 보강플레이트(P1a) 자체가 에어흡입통로(112)를 막고 있기 때문에 동작봉(130) 자체가 에어흡입통로(112)를 막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이 경우에는 동작봉은 보강플레이트(P1a)를 에어흡입통로(112) 쪽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여 보강플레이트(P1a)가 에어흡입통로(112)를 더욱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사출금형(110)은 고정금형으로 구성되고 제2 사출금형(120)은 가동금형으로 구성된다.
에어흡입통로(112)에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하기 위한 에어를 강제흡입하는 에어흡입장치(미도시)가 호스(H1)를 통하여 연결됨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100)는,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에 밀착되어서 폐쇄하도록, 상기 동작봉(130)을 상기 에어흡입통로(112) 쪽인 전방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전방 즉, 에어흡입통로(112)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동작봉(130)이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완벽하게 막도록 하며, 예컨대 스프링으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상기 전면(132a)의 대향면인 단차면(132b)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하기하는 단차지지부(122b)에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봉(130)은, 상기 동작관통홀(122)에 삽입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전단에서 일체로 외향 단차지게 형성된 머리부(132)로 구성되되, 상기 머리부(132)의 전면(132a)은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원활하게 폐쇄하도록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관통홀(122)에는 '머리부 수용공간'(12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머리부 수용공간'(122a)은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후퇴될 때, 상기 머리부(1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머리부(132)의 단차면(132b)에 탄성 지지된 상기 탄성부재(140)의 타단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내면에는 단차지지부(12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100)는, 상기 제2 사출금형(120)이 상기 제1 사출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동작관통홀(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탈방지볼트(150)와 이탈방지와셔(16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볼트(150)는 동작봉(130)의 후단에서 동작봉(130)과 나사체결되고, 상기 이탈방지와셔(160)는 이탈방지볼트(150)에 외삽되고 외경이 상기 동작 관통홀(122)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이탈방지볼트(150)와 함께 상기 제2 사출금형(120)이 상기 제1 사출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동작관통홀(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동작봉(130)의 머리부(13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캐비티(S1)에 보강플레이트(P1a)가 없어서 상기 동작봉(130)이 에어흡입통로(112)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머리부 수용공간'(122a)을 통해서 성형 수지가 상기 동작관통홀(122)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132)의 전단에는 수직면(132c)이 상기 머리부(132)의 전면(132a)에 대하여 수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머리부(132)의 전단에 형성된 수직면(132c)의 구성은 캐비티(S1)와 '머리부 수용공간'(122a)을 완전히 분리하여 캐비티(S1) 내의 수지가 동작관통홀(122)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한다.
또한, 상기 동작봉(130)의 머리부(132)에는, 상기 머리부의 수직면(132c)에서 몸체부(131)로 갈수록 하향 경사 형성된 경사면(132d)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132d)의 구성에 의해서 보강플레이트(P1a)가 인서트된 경우 동작봉(130)이 원활하게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머리부(132)가 원활하게 '머리부 수용공간'(122a)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동작봉(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탈방지볼트(150)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볼트(150)는 상기 제2 사출금형(120)이 상기 제1 사출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동작관통홀(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머리(150a)가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동작봉(130)과 나사체결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온도, 수지온도, 제품의 외관 스펙 등 사출 조건을 잡기 위해서 시사출을 하는 경우에도, 동작봉(130)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흡입에어통로(112)를 막고 있기 때문에 수지가 흡입에어통로(1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그 결과 보강플레이트(P1a)를 캐비티(S1) 내부로 인서트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시사출시에 보강플레이트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시사출이 종료되고 본격적으로 사출 공정이 시작된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실수에 의해서 보강플레이트(P1a)가 캐비티(S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라도 동작봉(130)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흡입에어통로(112)를 막고 있기 때문에 수지가 흡입에어통로(1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서 금형이 못쓰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P1a)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수지가 주입되면 전면케이스(P1)이 완료되는데, 이 때 에어흡입장치(미도시)에 의한 흡입에어로 보강플레이트를 홀딩하는 외에, 상기 동작봉(130)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보강플레이트(P1a) 이중으로 잡아주므로 보강플레이트(P1a)를 더욱 확실하게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한 금형장치에 성형 수지가 주입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의한 금형장치에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4에 의한 금형장치에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성형 수지가 주입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장치
110 ; 제1 사출금형 112 ; 에어흡입통로
120 ; 제2 사출금형 120a; 수지주입구
122 ; 동작관통홀 122a; 머리부 수용공간
122b; 단차지지부 130 ; 동작봉
131 ; 몸체부 132 ; 머리부
132a; 머리부의 전면 132b; 단차면
132c; 수직면 132d; 경사면
140 ; 탄성부재 150a; 나사머리
150 ; 이탈방지볼트 160 ; 이탈방지와셔
S1 ; 캐비티 P1a; 보강플레이트
P1 ;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

Claims (8)

  1. 성형공간인 캐비티(S1)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플레이트(P1a)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흡입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흡입통로(112)가 관통형성된 제1 사출금형(110);
    상기 제1 사출금형(110)과의 형합에 의해서 캐비티(S1)를 형성하고, 동작관통홀(122)이 캐비티(S1)에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사출금형(120); 및
    상기 동작관통홀(122)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P1a)의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봉(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에 밀착되어서 폐쇄하도록, 상기 동작봉(130)을 상기 에어흡입통로(112) 쪽인 전방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봉(130)은, 상기 동작관통홀(122)에 삽입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전단에서 외향 단차지게 형성된 머리부(132)로 구성되되, 상기 머리부(132)의 전면(132a)은 상기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를 원활하게 폐쇄하도록 에어흡입통로(112)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후퇴될 때, 상기 머리부(132)가 수용될 수 있는 '머리부 수용공간'(122a)이 상기 동작관통홀(12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상기 전면(132a)의 대향면인 단차면(132b)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타단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내면에는 단차지지부(12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출금형(120)이 상기 제1 사출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동작관통홀(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131)의 후단에 장착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2 사출금형(120)이 상기 제1 사출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동작관통홀(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머리(150a)가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동작봉(130)과 나사체결되는 이탈방지볼트(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동작봉(130)의 후단에서 동작봉(130)과 나사체결되는 이탈방지볼트(150);
    상기 이탈방지볼트(150)에 외삽되고, 외경이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이탈방지볼트(150)와 함께 상기 제2 사출금형(120)이 상기 제1 사출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동작봉(130)이 상기 동작관통홀(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와셔(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캐비티(S1)에 보강플레이트(P1a)가 없어서 상기 동작봉(130)이 에어흡입통로(112)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동작관통홀(122)의 '머리부 수용공간'(122a)을 통해서 성형 수지가 상기 동작관통홀(122)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132)의 전단에는 수직면(132c)이 상기 머리부(132)의 전면(132a)에 대하여 수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작봉(130)의 머리부(132)에는, 상기 머리부의 수직면(132c)에서 몸체부(131)로 갈수록 하향 경사 형성된 경사면(132d)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1020070120814A 2007-11-26 2007-11-26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10089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814A KR100896152B1 (ko) 2007-11-26 2007-11-26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814A KR100896152B1 (ko) 2007-11-26 2007-11-26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152B1 true KR100896152B1 (ko) 2009-05-11

Family

ID=4086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814A KR100896152B1 (ko) 2007-11-26 2007-11-26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1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78B1 (ko) 2011-03-21 2011-09-27 엠앤드엠 주식회사 전기전자기기 케이스의 강도보강을 위한 인서트 장착금형
CN114393784A (zh) * 2021-12-28 2022-04-26 江苏新雷模塑有限公司 一种汽车前保险杠注塑模具
KR20230063930A (ko) 2021-10-29 2023-05-10 (주)대광G&M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인서트물의 인서트 몰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20230063931A (ko) 2021-10-29 2023-05-10 (주)대광G&M 인서트 몰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20240027237A (ko) 2022-08-23 2024-03-04 (주) 와이. 엠. 피 자동차 후드캐치 어셈블리의 피봇 성형용 인서트 정렬 공급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471Y1 (ko) * 1992-02-27 1996-05-31 강진구 사출금형의 에어흡입력을 이용한 인서트 모울딩장치
KR0130971Y1 (ko) * 1996-01-15 1998-12-15 이길상 유리삽입금형
KR20030077664A (ko) * 2001-12-28 2003-10-01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알루미늄합금과 수지의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471Y1 (ko) * 1992-02-27 1996-05-31 강진구 사출금형의 에어흡입력을 이용한 인서트 모울딩장치
KR0130971Y1 (ko) * 1996-01-15 1998-12-15 이길상 유리삽입금형
KR20030077664A (ko) * 2001-12-28 2003-10-01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알루미늄합금과 수지의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78B1 (ko) 2011-03-21 2011-09-27 엠앤드엠 주식회사 전기전자기기 케이스의 강도보강을 위한 인서트 장착금형
KR20230063930A (ko) 2021-10-29 2023-05-10 (주)대광G&M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인서트물의 인서트 몰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20230063931A (ko) 2021-10-29 2023-05-10 (주)대광G&M 인서트 몰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CN114393784A (zh) * 2021-12-28 2022-04-26 江苏新雷模塑有限公司 一种汽车前保险杠注塑模具
CN114393784B (zh) * 2021-12-28 2023-08-18 江苏新雷模塑有限公司 一种汽车前保险杠注塑模具
KR20240027237A (ko) 2022-08-23 2024-03-04 (주) 와이. 엠. 피 자동차 후드캐치 어셈블리의 피봇 성형용 인서트 정렬 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152B1 (ko)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US869521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ush-button switch
EP2100716A1 (en) Injection mold and method for making a housing using the injection mold
EP3573190A1 (en) Dummy pin
DK1380400T3 (da) Spröjtestöbedyse med nålelukning og udtrædelsesåbninger i siden
JP2000015668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10069511A (ja) ガス抜き装置ユニット、鋳造用金型、及び鋳造法
KR20120041915A (ko) 인서트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코어 작동구조
JP4887084B2 (ja) 樹脂メッキ部品付き中空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中空樹脂成形品
KR20080030412A (ko) 사출금형
KR20140138376A (ko)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JP2006205605A (ja) 金型装置
KR200431364Y1 (ko) 휴대폰 폴더부 개폐용 슬라이드 조립체
JP2008168307A (ja) 摺動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被摺動部材
CN210999825U (zh) 模具
KR101405375B1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가스 배출장치
JP2013082011A (ja) ガス抜き装置ユニット
KR20080009440A (ko) 코어용 유압 실린더
KR100934639B1 (ko) 체결너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102039017B1 (ko) 개량된 가스 자동 배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CN113874186A (zh) 分离锁定装置和使用它的注塑成形模具组件
KR100946847B1 (ko) 자동차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파워아울렛 소켓
JP2007050553A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ゲート方式
JP2001047187A (ja) 金型鋳造用ガス抜き装置
CN217802978U (zh) 一种三板模合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