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376A -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 Google Patents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376A
KR20140138376A KR1020127011170A KR20127011170A KR20140138376A KR 20140138376 A KR20140138376 A KR 20140138376A KR 1020127011170 A KR1020127011170 A KR 1020127011170A KR 20127011170 A KR20127011170 A KR 20127011170A KR 20140138376 A KR20140138376 A KR 20140138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molten material
gas
mol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히코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쿠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쿠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쿠요
Publication of KR2014013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7Venting means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40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 B28B7/44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for treating with gases or degassing, e.g. for de-a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65Means for releasing gas trapped between glass and press di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외부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금형 내를 유동하는 용융소재 선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금형 내부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측면개구를 가지고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슬라이딩부재와 기체방출구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에 의해 구성되며, 금형에서의 용융소재 유동로 내지 캐비티의 용융소재 유동로의 말단 부근에 장착되는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 내지 S5)를 형성하고, 또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장하여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켜, 슬라이딩부재 저면을 경사면(SF1)으로 하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 및 슬라이딩부재의 좌우 외측면을 경사면(SF2, SF3, SF4, SF5)으로 하여 각각의 경사면의 기능에 의해 용융소재의 유출을 저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바닥이 있는 구멍, 측면개구, 기체방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를 취출하기 위한 이젝터핀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IN-MOLD DEGASSING STRUCTURE, AND MOLD HAV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각종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계 소재, 유리계 소재 등을 사출성형하거나, 또는 금속 내지 합금류를 다이캐스트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금형의 용융소재 충전공간(이하, 캐비티(cavity)라고도 함) 내부에서, 용융소재로부터의 발생가스 및 공간내부 잔류공기 등(이하, 「가스류」라고도 함)이 성형품에 미치는 악영향을 저감함으로써 성형되는 제품의 외관 성상(性狀)을 개선해 불량품 발생을 큰 폭으로 저감하기 위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가스류의 기체를 확실히 외부로 방출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확실히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플라스틱(합성수지), 세라믹, 고무계 재료, 유리계 재료, 액정 등을 소재로 하는 사출성형, 또는 알루미늄, 아연, 주석, 동 등의 각종 금속을 소재로 하는 다이캐스트 성형에서는 고정·가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의해 성형된다. 플라스틱, 금속 등의 용융소재를 충전공간(이하, 캐비티라고도 함) 내에 가압 충전하고, 그 후 소정의 냉각과정을 거쳐 소망 형상 및 구조의 제품이 얻어진다. 원재료인 플라스틱류, 세라믹, 고무계 재료, 유리계 재료 등이나 금속계 소재를 성형에 적절한 상태까지 용융시키면 일반적으로 각 성분에 따른 가스가 발생한다. 발생가스의 종류나 발생량은 가열온도, 소재의 종류, 첨가되는 부자재 등에 따라서 다르며, 또 캐비티의 용적에 따라서도 다르다.
금형 캐비티는 제품표면의 성상이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밀한 마무리가 실시되며, 고정·가동금형의 접합면도 밀접하도록 가공된 결과, 기밀성이 높아져 있다. 게다가 고정·가동금형의 접합면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탄성체의 패킹 등을 개재시키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는 캐비티 내에는 전술과 같이 용융소재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나 금형 각부 내의 잔류공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체성분이 존재한다. 이들 기체의 존재는 용융체의 압입에 수반하는 압축시에 빠져나갈 곳이 없고, 용융소재의 캐비티 내부의 유동확장이 방해되어, 쇼트 샷(short shot)이나 표면 불균일과 같은 성형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기체성분의 유출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틈새가 있는 경우, 용융소재가 침투하고, 성형품 표면에 버(burr)나 블로우홀(blowhole)(요철)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위를 저하시킨다.
상술과 같은 캐비티 내에 갇힌 가스류에 의한 악영향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자는 특허문헌 1에서 외부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금형 내를 유동하는 용융성형소재 선단부의 가압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금형의 충전공간 내부의 기체방출구조 및 이 기체방출구조를 구비하는 금형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제안된 기체방출구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체(14)에 의한 가압력을 대향면 측으로부터 받는 슬라이딩부재로서, 용융소재의 유동방향(R)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12) 및 이 바닥이 있는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적어도 1개의 측면개구(13)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1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으로 병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13)와 연통하고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폐색되는 기체방출구(21)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로 이루어지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로서,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유동속도가 고속인 저점도 용융소재가 측면개구와 기체방출구가 연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류와 함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체방출구 및 측면개구의 적어도 한쪽의 기체 유통로의 형상을 비직선 모양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제안된 기체방출구조는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의 가압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부재가 이동(작동)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의 슬라이딩면에는 구배가 형성되지 않고, 상단부에는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후, 발명자가 상기 기체방출구조 및 이 기체방출구조를 구비하는 금형에 대해서 더욱 실험, 연구 개발을 거듭한 결과, 특히 유동속도가 고속인 저점도 용융소재(예를 들면, 커넥터 제품에 사용되는 나일론, LCP 등)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의 가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재가 원활히 이동하지 않는 케이스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에 형성된 기체방출구와 연통하고 있어, 가스류와 함께 용융소재가 당해 연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그래서,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의 가압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부재를 원활히 이동(작동)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확실히 저지하기 위해서, 용융소재류의 선단부가 맞닿아 침투하는 부분을 증가하는 구조 및 용융소재가 유입하는 공간(충전공간)의 용적을 확장하는 기체방출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 측면개구 등의 충전공간에 유입한 용융소재를 취출하기 위한 대응책, 또 기체방출구에 용융소재가 만일 침투한 경우의 대응책으로서,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면에 압출핀이라고도 불리는 이젝터핀을 삽입 통과하는 구멍을 개구하고, 충전된 용융소재를 이젝터핀에 의해 압출하여 취출하도록 구성한 기체방출구조를 개발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455676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외부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금형 내를 유동하는 용융성형소재 선단부의 가압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금형의 충전공간 내부의 기체방출구조로서,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의 가압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확실히 저지하도록 구성한 기체방출구조 및 이 기체방출구조를 구비하는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금형은 각종 플라스틱(합성수지)의 사출성형용 금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용융소재를 충전공간(캐비티) 내에 압입하여 성형한다, 예를 들면 세라믹, 고무계 재료, 유리계 재료, 액정 등을 소재로 하는 성형용의 금형 및 알루미늄, 아연, 주석, 동 등의 각종 금속을 소재로 하는 다이캐스트용 금형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탄성체(14)에 의한 가압력을 대향면 측으로부터 받는 슬라이딩부재로서,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12) 및 이 바닥이 있는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방향(R)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적어도 1개의 측면개구(13)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1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용융소재의 유동방향(R)에 병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와 연통하고 있고,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폐색되는 기체방출구(21)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로 이루어진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로서,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장착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22, 23)의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에서의 슬라이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구간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17)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의 슬라이딩면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경사면(SF1)으로 하고,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틈새(S1)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14)에 저항하는 방향 D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 상기 틈새(S1)가 밀폐되도록 구성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탄성체(14)에 의한 가압력을 대향면 측으로부터 받는 슬라이딩부재로서,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12) 및 이 바닥이 있는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방향(R)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적어도 1개의 측면개구(13)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1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용융소재의 유동방향(R)에 병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와 연통하고 있고,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폐색되는 기체방출구(21)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로 이루어진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로서,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장착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12)의 세로 사이즈를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으로부터 저면(17)에 이르는 구간에 걸친 길이 L로 하고, 용융소재류의 슬라이딩부재에 대한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장하도록 구성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2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체방출구조의 상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22, 23)과 슬라이딩부재의 좌우 외측면(18, 19)의 각각의 면의 사이에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으로부터 저면(17)에 이르는 구간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2, S3)를 형성하며, 또한, 상단부로부터 기체방출구(21)의 형성 위치에 이르는 사이의 임의의 구간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22, 23)의 각각의 면을 내측을 향하여 구배를 형성하는 만곡 모양 또는 직선 모양의 경사면(SF2, SF3)으로 함과 아울러, 슬라이딩부재의 좌우 외측면(18, 19)의 각각의 면을 상기 경사면(SF2, SF3)과 맞물리는 경사면(SF4, SF5)으로 하며, 각각의 양(兩) 경사면(SF2, 3과 SF4, 5)과의 사이에 상기 틈새(S2, S3)와 연통하는 틈새(S4, S5)를 형성하여,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양 틈새(S2, S3)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14)에 저항하는 방향 D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양 경사면(SF2와 SF4, SF3과 SF5)이 긴밀히 맞물려 밀접해 상기 틈새(S4, S5)가 밀폐되도록 구성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22, 23)의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에서의 슬라이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구간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17)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의 슬라이딩면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경사면(SF1)으로 하고,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틈새(S1)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14)에 저항하는 방향 D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 상기 틈새(S1)가 밀폐되도록 구성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부(24)에, 바닥이 있는 구멍(12)에 연통하여 이젝터핀(EP1)이 삽입 통과하는 개구(25) 및/또는 기체방출구(21)에 연통하여 이젝터핀(EP2)이 삽입 통과하는 개구(26)를 형성하고, 삽입되는 이젝터핀에 의해 바닥이 있는 구멍(12), 측면개구(13) 및/또는 기체방출구(21)에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취출하도록 구성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서의 상기 슬라이딩부재(10)를 대향면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4)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고무계 탄성체, 유체압축 액추에이터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서의 슬라이딩부재(10)에 형성되는 측면개구(13)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에 형성되는 기체방출구(21)와의 조합이 복수 조 형성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가 금형 내의 소요 부위에 형성된 장착용 오목부에 끼워넣어 장착 가능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서의 기체방출구(21)가 비(非)직선 모양 또는 구배를 형성한 직선 모양의 기체 유통로로서 형성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가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미리 일체적으로 배치된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는, 사출성형, 다이캐스트 성형 등에 불가결한 금형에 있어서, 게이트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서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에 의해서 가압력을 받는 부위에 장착된다. 구체적인 장착부위의 결정에는 컴퓨터를 원용한 유동해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체방출구조는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딩부재(10)와, 이 슬라이딩부재를 대향면으로부터 용융소재류의 선단 측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나타내는 탄성부재(14)를 구비한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유동하는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와 맞닿는 정면에 바닥이 있는 구멍(세로방향의 바닥이 있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이 바닥이 있는 구멍은 적어도 1개의 측면개구(13)와 연통하고 있다. 이 측면개구(13)는 유동해 오는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에 의해서 슬라이딩부재(10)가 가압될 때까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에 형성된 기체방출구(21)와 연통하고 있어, 캐비티 내의 기체를 외부를 향하여 아무런 저항 없이 자유롭게 방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후 캐비티 내에의 용융소재의 충전이 진행되고, 슬라이딩부재(10)가 용융소재류 선단에 의해서 가압되어, 탄성부재(14)에 저항하여 후퇴하면, 기체방출구(21)가 폐색되어 용융소재류의 유출은 차단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 제품에 사용되는 나일론, LCP 등과 같이 특히 유동속도가 고속인 저점도 용융소재는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가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기체방출구(21)가 폐색되지 않고 가스류와 함께 용융소재가 연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유출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에 의해 슬라이딩부재(10)를 가압하여 확실히 작동시켜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점도인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 금속은 고속이며,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등은 비교적 완만한 속도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 또한, 플라스틱류, 금속류, 고무류라도 기본 소재, 충전되는 부자재, 용도, 제품의 구조, 치수 등에 수반하는 사용량의 상이,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설치위치 등에 의해서도 슬라이딩부재가 작동되는데 필요한 가압력에 각각 차이가 발생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슬라이딩부재의 작동 가압력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에 의해서 직접 결정되는, 이른바 자력 제어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와 같은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저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를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에 형성하고, 또,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12)의 세로 사이즈(L)를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으로부터 저면(17)에 이르는 구간에 걸친 길이로 하여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방출구조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내측면(22, 23)과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면(18, 19)의 각각의 사이의 슬라이딩부재의 전면에서 저면에 이르는 구간에 틈새(S2, S3) 및 이들에 연통하는 틈새(S4, S5)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용융소재류의 유입 부분이 확장되어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틈새를 형성하기 위해서 용융소재가 외부로 유출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슬라이딩부재의 저면(17)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의 슬라이딩면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한 경사면(SF1)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작동함에 따라서 틈새(S1)가 밀폐되어, 용융소재의 유출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 틈새(S4, S5)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양 내측면(22, 23)을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만곡 모양 또는 직선 모양의 경사면(SF2, SF3)으로 함과 아울러 슬라이딩부재의 양 외측면(18, 19)을 상기 경사면(SF2, SF3)과 맞물리는 경사면(SF4, SF5)으로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작동함에 따라서 각각의 양 경사면(SF2와 SF4, SF3과 SF5)이 긴밀히 맞물려 밀접해 상기 틈새(S4, S5)가 밀폐되어, 용융소재의 유출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부(24)에, 바닥이 있는 구멍(12)에 연통하여 이젝터핀(EP1)이 삽입 통과하는 개구(25) 및 기체방출구(21)에 연통하여 이젝터핀(EP2)이 삽입 통과하는 개구(26)를 형성하거나, 또는 개구(25)만 혹은 개구(26)만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이젝터핀에 의해 바닥이 있는 구멍, 측면개구(13) 또는 기체방출구(21)에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압출하여 취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 측면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와 함께 기체방출구 등에 침투한 용융소재를 확실히 취출하여 가스류의 외부로의 방출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품에 대한 쇼트 샷(short shot), 블로우홀, 버 등의 발생에 기인하는 제품 불량의 발생은 큰 폭으로 저감되어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는 전형적인 외형 치수의 표준품으로 하여 미리 준비해 둘 수 있다. 금형 제조시에는 이 표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장착부로서의 오목부를 소요 부위에 형성해 두고, 사후적으로 나사 고정 등에 의해 끼워맞춤 장착할 수 있다. 금형 본체의 제조공정은 장착용 오목부의 형성을 제외하고 재래의 수법에 따라 별도로 실시하면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장착용 오목부에 대해서 상술과 같은 표준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방출구조는 단체(單體)로서 미리 준비해 두고, 장착용 오목부를 구비한 금형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작업효율의 향상, 재료비나 제조공정수의 삭감도 가능하다. 또한, 성형대상이 되는 용융소재의 종류나 특성에 의해 기체방출구조가 불필요하면, 동일 외형으로서 형성된 더미(dummy)(가짜 부재(false member))를 끼워맞춤 고정해 두면 된다.
이러한 착탈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제품의 모델 체인지 등에 의한 신규 금형 제조시에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를 예전 금형으로부터 떼어내어 새로이 제조된 금형 본체의 장착용 오목부에 대해서 장착하여 재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원, 노력,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 효과도 크다. 또한, 이러한 사태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아무런 변경없이 장기간 사용 계속이 예상되는 금형에서는 동일한 구조에 의한 기체방출구조를 처음부터 조립한 금형을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에서의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6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도 A의 중앙 단면도로 이젝터핀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측면개구 및 기체방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를 이젝터핀에 의해 압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충전된 용융소재를 이젝터핀에 의해 압출하여 취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실시예 3에서의 상단부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기체방출상태 및 기체방출구를 비직선 모양으로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기체방출상태 및 기체방출구를 구배를 형성한 직선 모양으로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바닥이 있는 구멍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장착부위의 예 (A), (B), (C), (D)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중앙 단면도, (E)는 (C)의 중앙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금형에 장착 가능한 기체방출구조(이하, 간단히 「기체방출구조」라고도 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은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초기상태에서의 평면도(A),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B),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기체 유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C), 도 B의 중앙 단면도(D) 및 도 C의 중앙 단면도(E)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바닥이 있는 구멍(12) 및 측면개구(13)를 가지고 탄성체(14)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슬라이딩부재(10)와 기체방출구(21)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에 더하여,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이하, 간단히 「틈새(S1)」라고도 말한다.)와 슬라이딩부재 저면(슬라이딩면)(17)에 형성되는 경사면(SF1)(이하, 간단히 「경사면(SF1)」라고도 말한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작성상,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를 종형(縱型)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이 있는 구멍을 세로방향,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화살표 D와 같이 세로방향이라고 표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횡형(橫型), 경사형(傾斜型)으로 하는 경우는 각각 횡방향 또는 기울기 방향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슬라이딩부재(10)의 상단부는 화살표 G, R과 같이 도면 위쪽으로부터 유동해 오는 기체 및 용융소재의 유동선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10)의 상단부에는 용융수지 등의 선단부의 접근에 앞서, 혼재하고 있는 공기 및 발생가스로 이루어진 기체를 통과시켜 흘리기 위한 저부가 반원 형상의 세로방향바닥이 있는 구멍(12)을 가지고, 그 하단의 조금 앞쪽 부근에서 연통하는 측면개구(13)가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세로방향」이나 「위쪽」 등의 표현은 단지 첨부 도면에서의 도시된 상태를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의 자세나 배치와는 관계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개구(13)를 좌우에 각 1개 형성하고 있지만, 용도나 사용성형재료에 의해서는 1개만 혹은 3개 이상으로 하여도 되며, 바닥이 있는 구멍의 저부의 형상은 반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 모양, 사각형 모양 등으로 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0)는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초기상태에서는 탄성체(14)에 의해서 도(B,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 위치되고, 측면개구(13)와 기체방출구(21)는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A)(도 2, 3, 4도 동일)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0) 및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는 임의의 부분에서 분할할 수 있고, 한쪽을 고정금형 측, 다른 쪽을 가동금형 측으로 분할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측면개구(13) 및 기체방출구(21)는 구멍뚫기 가공이 아니고, 개삭(開削)가공에 의한 홈모양체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의 개시에서는 고정금형 측과 가동금형 측이 중첩하여 일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0)의 좌우 외측면 및 저면(17)의 삼방(三方)에 접하는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안내홈이나 탈락방지 프레임 등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10)의 하단보다 아래쪽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도 B, D참조)에는 슬라이딩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이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슬라이딩부재(10)를 위쪽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체(14)가 개재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딩부재(10)를 대향면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4)로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고무계 탄성체, 유체압축 액추에이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1종 또는 복수를 조합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부재(10)에 형성되는 측면개구(13)과,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에 형성되는 기체방출구(21)와의 조합은 1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조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금형 내의 소요 부위에 형성된 장착용 오목부에 끼워넣어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는 슬라이딩부재(10)의 측면개구(1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기체방출구(21)를, 도면에서는 슬라이딩부재(10)의 측면개구(13)에 맞추어 좌우에 각 한 개 마련하고 있다.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의 좌우 각 1개의 기체방출구(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14)의 가압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부재(10)가 상부로 밀어 올려져 있는 동안, 슬라이딩부재(10)의 측면개구(13)와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출성형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노즐로부터 용융소재가 압입될 때의 잔류공기나 용융소재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등의 각종 기체는 화살표 G와 같이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12), 측면개구(13),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의 기체방출구(21)의 경로에 의해 캐비티 외부로 방출된다. 그 결과, 가스류의 존재에 의해 용융소재의 유동이 저해되어 캐비티 말단까지 충분히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쇼트 샷, 그을림 등의 제품 열화, 블로우홀의 발생 등 성형불량 발생이 저감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기체방출구를 측면개구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하고 있지만, 기체방출구를 측면개구와 연통하도록 구성하여 위쪽 또는 아래쪽과 같이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는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의 모든 면에서, 즉, 슬라이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면에서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22와 23)과의 사이에 걸쳐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전면으로부터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 접하는(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의 저면(17)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경사면(SF1)으로 하고 있다. 도(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틈새(S1)는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개구되어 가스류가 기체방출구로부터 방출되고, 그 후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 D에 경사면(SF1)을 슬라이딩되는(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도(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가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틈새(S1)가 밀폐되어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은 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융소재류가 침투하는 부분을 확장하여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확실히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체방출구조의 사이즈의 대소 등에도 하지만, 틈새(S1)의 폭은 1/1000 ~ 7/100 정도가 바람직하고, 2/1000 ~ 5/100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사면(SF1)의 경사각도는 0.5도 ~ 2도 정도가 바람직하고, 0. 1도 ~ 1도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틈새의 간격 및 경사면의 구배량은 수지 등의 용융소재의 종류, 성상 등에 따라 결정된다.
도(C, E)는 도(A, B, D)에 나타낸 기체방출구조에 대해서, 위쪽으로부터 화살표 R과 같이 수지 등의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 결과, 슬라이딩부재(10)가 화살표 D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작동)을 개시하고, 슬라이딩부재(10)의 하면에 배치된 탄성체(14)가 압축되어 눌러 내려지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13)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기체방출구(21)가 연통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이행한다. 따라서, 그 후의 용융소재류의 유동내지 외부로의 누설은 저지되어, 양호한 성형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는 틈새(S1)에도 침투하지만, 그 후 순간적으로 슬라이딩부재는 아래쪽으로 경사면(SF1)을 슬라이딩(이동)하기 때문에 틈새(S1)가 밀폐되어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은 확실히 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를 도(A)(도 2, 3, 4도 동일한)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금형 측, 가동금형 측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 측면개구(13)와 기체방출구(21)와의 개삭홈의 개수, 폭, 깊이 등을, 예를 들면 고정금형 측과 가동금형 측에서 차이를 마련하는 등의 변화를 줌으로써, 용융소재의 성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A)(도 2, 3, 4도 동일한)에서는 위쪽을 고정금형 측, 하측을 가동금형 측으로 하고 있지만, 그 역으로 하는 것은 임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과 마찬가지로, 도(A) ~ (E)는 평면도, 정면도, 단면도이며, 도(C, E)는 도(A, B, D)에 나타낸 기체방출구조에 대해서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위의 참조 부호는 생략한다. 또 도 1의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 1과 상이한 구성, 동작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바닥이 있는 구멍(12) 및 측면개구(13)를 가지고 탄성체(14)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슬라이딩부재(10)와 기체방출구(21)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를 구비하는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특히 도(A,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12)의 세로 사이즈(세로폭)를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으로부터 저면(17)에 이르는 구간에 걸친 길이 L로 하여 용융소재류가 침투하는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용융소재류가 침투하는 부분을 확장함으로써, 용융소재류의 가압력을 높여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과 마찬가지로, 도(A) ~ (E)는 평면도, 정면도, 단면도이며, 도(C, E)는 도(A, B, D)에 나타낸 기체방출구조에 대해서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위의 참조 부호는 생략한다. 또 도 1의 실시예 1와 동일한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 1와 상이한 구성, 동작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닥이 있는 구멍의 세로폭을 넓혀 용적을 확장한 구성의 실시예 2의 구성에, 또한,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2, S3) 및 이것에 연통하는 틈새(S4, S5)를 형성함과 아울러 경사면(SF2, SF3, SF4, SF5)을 형성하는 구성을 부가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틈새(S2, S3)는, 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방출구조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내측면(22)과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면(18)과의 사이 및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내측면(23)과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면(19)과의 사이에 각각 슬라이딩부재의 전면(16)으로부터 저면(17)에 이르는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틈새(S4, S5)는,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틈새(S2, S3)와 각각 연통하여, 경사면 SF2와 SF4와의 사이 및 SF3와 SF5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융소재류가 침투하는 부분이 되는 틈새를 증가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SF2)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한쪽의 내측면(22)의 상단부로부터 기체방출구(21)의 형성 위치까지의 임의의 구간에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여 만곡 모양 또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경사면(SF3)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다른 쪽의 내측면(23)의 상단부로부터 기체방출구(21)의 형성 위치까지의 임의의 구간에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여 만곡 모양 또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SF2, 3)은 만곡 모양 또는 직선 모양에만 한정되지 않고, 수직면과 평탄면을 접합한 면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경사면(SF4)은 슬라이딩부재의 한쪽의 외측면(18)에 슬라이딩부재가 방향 D를 향하여 이동했을 때에 경사면(SF2)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사면(SF5)은 슬라이딩부재의 다른 쪽의 외측면(19)에 슬라이딩부재가 방향 D를 향하여 이동했을 때에 경사면(SF3)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초기상태에서 양 틈새(S2, S3)는 개구되어 있으며, 그 후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틈새(S2, S3)로부터 유입하여 슬라이딩부재가 방향 D로 이동함에 따라서 각각의 경사면(SF2와 SF4, SF3과 SF5)이 긴밀히 맞물려 밀접해 틈새(S4, S5)가 밀폐되어,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후술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 상단부의 틈새(S2, S3)는 형성하지 않고, 틈새(4, 5)를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4, 5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4, 5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과 마찬가지로, 도(A) ~ (E)는 평면도, 정면도, 단면도이며, 도(C, E)는 도(A, B, D)에 나타낸 기체방출구조에 대해서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위의 참조 부호는 생략한다. 또 도 1의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 1과 상이한 구성, 동작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장한 구성의 실시예 2에, 또한 틈새(S1) 및 경사면(SF1)을 부가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틈새(S2 ~ 5) 및 경사면(SF2 ~ 5)을 형성한 실시예 3에 또한 틈새(S1) 및 경사면(SF1)을 부가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2, 3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했으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융소재류가 침투하는 부분을 더욱 증가하여 슬라이딩부재를 확실히 작동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확실히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6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작동 후의 용융소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도(A)의 중앙 단면도이며 이젝터핀(EP1, EP2)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측면개구 및 기체방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이젝터핀에 의해 압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이젝터핀에 의해 압출하여 취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위의 참조 부호는 생략한다. 또 실시예 1 내지 5의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5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측면개구 및 기체방출구에 충전되는 용융소재를 취출하기 위한 이젝터핀(EP1, EP2)을 배치한 구성을 더 부가한 것이다.
이젝터핀(EP1)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부(24)에 형성되어 바닥이 있는 구멍(12)에 연통하는 개구(25)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바닥이 있는 구멍(12) 및 측면개구(13)에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압출하여 취출하는 것이고, 이젝터핀(EP2)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부(24)에 형성되어 기체방출구(21)에 연통하는 개구(26)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기체방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압출하여 취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젝터핀(EP1, EP2)에 의해,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측면개구 또는 기체방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를 확실히 취출하어 그 후의 사출시에 가스류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되는 사태를 방지함과 아울러 슬라이딩부재의 원활한 작동을 확보한다. 또한, 통상은 기체방출구에는 용융소재가 침투하는 사태는 대부분 없지만, 이젝터핀(EP2)은 용융소재가 틈새를 통하여 기체방출구에 만일 침투한 경우에 취출하기 위한 수단이며, 기체방출구에의 용융소재의 충전이 없는 경우에는 이젝터핀(EP2)은 개구(26)로부터 삽입 통과될 뿐이며 취출처리는 행하지 않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실시예 7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실시예 3에서의 상단부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다른 구성 예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 및 기체방출구를 비직선 모양으로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초기상태에서의 기체방출상태 및 기체방출구를 구배를 형성한 직선 모양으로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5과 동일 부위의 참조 부호는 생략한다. 또 실시예 1 내지 5의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기체방출구조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의 상단부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확실히 슬라이딩부재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20)에 형성되는 기체방출구(21)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직선 모양, 또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구배를 형성한 직선 모양의 기체 유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 모양의 구배는 아래쪽으로 향한 것 이라도 된다. 금형이나 기체방출구조의 사이즈, 기체방출구조의 장착 장소 등에 의해서, 기체방출구조를 금형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구멍의 위치를 그때마다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기체방출구의 형상은 평탄한 직선 모양, 구배를 형성한 직선 모양, 비직선 모양 그 외의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체방출구의 이와 같은 형상은 실시예 1 내지 5에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측면개구(13)와 기체방출구(21)와의 폐색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서, 측면개구 및 기체방출구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으며, 또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의 기체의 방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유동속도가 고속인 저점도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류의 선단부에 의해서 가압되어 탄성부재(14)에 저항하여 후퇴하면, 기체방출구(21)가 폐색되어 용융소재류의 유출은 차단되게 되며, 용융소재가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등은 유동속도가 비교적 완만한 속도이고 외부로의 유출은 생기지 않지만, 저점도인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 금속은 유동속도가 고속이기 때문에, 측면개구(13)와 기체방출구(21)가 연통하여 용융소재의 압입에 수반하는 잔류공기나 용융소재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등의 각종 기체가 외부로 방출될 때에, 이들 기체와 함께 외부로 유출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기체방출구(21)로부터의 기체방출효과를 용융소재의 점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방출구(21) 및 측면개구(13) 중 적어도 한쪽의 기체 유통로의 형상을 비직선 모양, 예를 들면, 열쇠 형상, 앞쪽이 테이퍼 모양인 대략 삼각형 모양 등으로 함으로써 외부로의 기체의 방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유동속도가 고속인 저점도 용융소재의 외부로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체방출구(21)와 측면개구(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의 단면적을 슬라이딩부재(10)의 이동량에 따라 경시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개구(13)를, 다른 내경의 대유량 개구와 소유량 개구의 2개의 복수 개구로 하거나, 혹은 대유량 개구, 중유량 개구, 소유량 개구와 같이 3개의 복수 개구로 하여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량에 따라 복수 개구 중 어느 하나의 개구가 대향하는 기체방출구와 연통함으로써, 외부와의 도통 상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체의 방출량이 경시적으로 변화하여, 최종적으로 개구가 없는 폐색구역에 이르러 완전하게 폐색되게 된다. 개구의 개수, 각각의 치수, 인접 개구와의 간격 등은, 가열온도, 체류시간 등의 성형 조건을 고려한 용융소재의 점도, 발생가스량 등을 감안해서 결정하면 된다.
또, 기체방출구(21)와 측면개구(13) 중 어느 한쪽을 치수가 다른 복수의 개구로서 형성하고, 당해 시점에서 다른 쪽의 개구부와 연결하는 개구의 치수 및/또는 비율에 의해서 정해지는 실질적 개구부 면적이 슬라이딩 부재(10)와 슬라이딩 부재 수용체(20)와의 상대적 이동량에 따라 경시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기체방출량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경시적 방출량 조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구의 치수 등은 각 용융소재의 성형조건에서의 용융소재의 점도, 발생가스량 등을 감안해서 결정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재(10)에 형성된 측면개구(13)와 기체방출구(21)와의 슬라이딩면에서의 개구부의 접리에 의해서 기체의 유동 및 폐색을 제어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 측에 내경에 단차 내지 조임부가 있는 둥근 구멍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부재 수용체(20)의 아래쪽으로부터 둥근 봉을 돌출시켜 방출·폐색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슬라이딩 부재(10)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는 슬라이딩 부재 수용체(20) 측의 둥근 봉의 선단은 둥근 구멍의 대경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체성분의 유동은 자유롭다. 그러나, 용융소재의 유동선단(R)이 도 2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0)를 가압하게 되면, 하강하는 슬라이딩 부재(10) 측의 둥근 구멍의 협소(狹小)부 내지 조임부와 슬라이딩부 수용체 측에서 돌출하고 있는 둥근 봉이 긴밀하게 걸어맞춤한 경우에 폐색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금형 내부로부터의 기체방출은 슬라이딩 부재(10)의 운동방향에 따라서 유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의 바닥이 있는 구멍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과 마찬가지로, 도(A) ~ (E)는 평면도, 정면도, 단면도이며, 도(C, E)은 도(A, B, D)에 나타낸 기체방출구조에 대해서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위의 참조 부호는 생략한다. 또 도 1의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 1과 상이한 구성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구성예에 관한 바닥이 있는 구멍은 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 상단부에서의 가스류 및 용융소재가 맞닿는 바닥이 있는 구멍 부분을 중앙에 협소하게 하여 슬라이딩부재 수용체로부터 구획하여 형성하고, 그리고 도(C, 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아래쪽 부분에서의 용융소재가 유입하는 공간(ES)을 실시예 2과 동일한 세로폭으로 하여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이 구성예에서도 실시예 1의 틈새(S1) 및 경사면(SF1)을 부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슬라이딩부재의 원활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어,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A)의 금형 내부로의 배치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면 중, 실선 화살표는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을, 파선 화살표는 기체의 유동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A)는 싱글 게이트인 좌단 게이트로부터 용융소재를 압입하는 예이다. 용융소재의 유동방향도 단일의 가장 간단한 구성예이며, 용융소재의 흐름 방향의 말단 측에 기체방출구조(A)를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B)는 싱글 게이트에서 좌우 2방향으로 분기하여 용융소재를 유동시키는 실시예로서, 각각의 용융소재 유동 말단 부근에 기체방출구조(A)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도(C)은 주로 대형 성형품의 성형을 다점(2) 게이트에서 성형하는 예로서, 좌우의 게이트 1 및 게이트 2로부터 유동하는 용융소재의 합류점 부근에 1개의 기체방출구조(A)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D)는 싱글 게이트로부터 분기로에 이르러 용융소재 유동로를 2분하여, 2방향에서 캐비티에 충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2개의 기체방출구조(A)를 용융소재 유동로의 굴곡 부위에서의 용융소재의 유동방향 선단에 배치하고 있다. 좌우로 분기한 용융소재 유동부 선단이 기체방출구조(A)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용융소재 유동로 및 캐비티 내부의 기체성분을 유동방출시킨다. 용융소재의 유동선단이 바닥이 있는 구멍(12)에 충돌할 때까지의 동안, 용융소재가 저점도로 유동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강력한 방출작용을 나타내어, 벤츄리(venturi) 효과에 의해 잔여의 유동로 및 캐비티 내부를 저압(부압(負壓))으로 감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캐비티 내부로의 유동소재 압입이 용이하게 되어, 성형작용에 양호한 영향을 가져온다. 용융소재의 유동선단이 바닥이 있는 구멍(12)에 충돌하여 슬라이딩 부재(1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체방출구(21)는 폐색되어 용융소재는 캐비티 내에 충전된다.
이들 전형적인 실시예와 같이, 용융소재를 압입하는 게이트로부터의 유동방향을 확인하고, 바람직하게는 컴퓨터를 원용하는 유동해석 등을 구사하여, 유동 말단에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A)를 배치하여, 용융소재의 유동을 원활하고 또한 이상적인 형태로 유지함으로써 성형불량을 크게 저감하고, 성형작업의 효율 향상, 시간 및 자재, 노력, 에너지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 및 그 외의 구성예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를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미리 일체적으로 배치한 금형으로 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는,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 수용체로 이루어진 간결한 구성에 더하여, 용융소재가 침투하는 틈새, 틈새에 맞물려 밀폐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구성이므로, 용융소재의 유동부 선단이 이 기체방출구조에 도달했을 때에 시간 지연도 없고 확실히 자력 작동하여 용융소재의 외부 유출을 저지한다. 이 금형 내부의 기체방출구조에서는 슬라이딩체 자체가 작동 타이밍을 결정하는 센서가 되며, 동시에 제어기구로서 기능하는, 이른바 자력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현상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는 물론 밸브류를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수단, 유압실린더 등의 조작구동부 등은 불필요하다. 그 때문에, 사용재료, 가공시간, 제작비용 등의 점에서 유리하며, 작동상의 시간 지연도 거의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캐비티의 내부가스에 기인하는 성형불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 수용체의 양자에 대한 개삭가공 및 슬라이딩을 원활히 하기 위한 슬라이딩부 가공이 초기의 정밀도로 행해지는 한, 고정밀도이고 또한 시간적인 지연 없이 자력작동에 의해 기체방출이 행해진다. 또한, 금형 내에서의 정확한 배치 부위는 캐비티의 형상, 크기, 게이트수, 사용용융소재 등의 소요조건을 정하고, 컴퓨터를 원용한 용융소재의 유동해석에 의해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과 같이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를 단체로 준비 가능하게 한 결과, 신규 금형은 물론, 종래의 금형의 적당 부위에 설치부로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개조를 행하여 장착함으로써 성형가공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기체방출구조의 단체를 배치한 금형이 불필요하게 된 때에는 본 기구만을 떼어내어 다른 금형에 유용할 수도 있다. 특히 계절품이라고 불려 유행을 도입하거나, 혹은 단기간만의 수요를 만족하기 위한 금형 등은 가능한 한 염가로 완성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기체방출구조가 유용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제작시간 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 장기간 사용 계속이 가능한 금형에서는 동일한 구조에 의한 기체방출구조를 당초부터 조립한 금형을 일체적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여 경제성이 상승한다.
10 슬라이딩부재 12 바닥이 있는 구멍
13 측면개구(측면구멍) 14 탄성체(압축 스프링)
16 슬라이딩부재의 전면 17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슬라이딩면)
18, 19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면 20 슬라이딩부재 수용체
21 기체방출구 22, 23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내측면
24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부 25, 26 이젝터핀 삽통 개구
S1, S2, S3, S4, S5 틈새 SF1, SF2, SF3, SF4, SF5 경사면
L 바닥이 있는 구멍의 세로 사이즈 EP1, EP2 이젝터핀
RF 충전용융소재 G 기체유동방향
R 용융소재 유동방향 D 슬라이딩부재의 이동방향
ES 확장공간 A 기체방출구조

Claims (10)

  1.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을 대향면 측으로부터 받는 슬라이딩부재로서,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이 바닥이 있는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적어도 1개의 측면개구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으로 병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와 연통하고 있고,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폐색되는 기체방출구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로 이루어진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로서,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장착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의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면에서의 슬라이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구간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의 슬라이딩면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경사면(SF1)으로 하고,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틈새가 개구되고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 상기 틈새가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2. 탄성체에 의한 가압력을 대향면 측으로부터 받는 슬라이딩부재로서,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 및 이 바닥이 있는 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적어도 1개의 측면개구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용융소재의 유동방향으로 병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개구와 연통하고 있고,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폐색되는 기체방출구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 수용체로 이루어진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로서,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장착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바닥이 있는 구멍의 세로 사이즈를 슬라이딩부재의 전면에서 저면에 이르는 구간에 걸친 길이 L로 하고, 용융소재류의 슬라이딩부재에 대한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바닥이 있는 구멍의 용적을 확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구조의 상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과 슬라이딩부재의 좌우 외측면의 각각의 면의 사이에 슬라이딩부재의 전면에서 저면에 이르는 구간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2, S3)를 더 형성하고,
    또한, 상단부로부터 기체방출구의 형성 위치에 이르는 사이의 임의의 구간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의 각각의 면을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만곡 모양 또는 직선 모양의 경사면(SF2, SF3)으로 함과 아울러, 슬라이딩부재의 좌우 외측면의 각각의 면을 상기 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SF4, SF5)으로 하고, 각각의 양 경사면과의 사이에 상기 틈새와 연통하는 틈새(S4, S5)를 형성하여,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양 틈새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양 경사면이 긴밀히 맞물려 상기 틈새(S4, S5)가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좌우 내측면의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면에서의 슬라이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구간에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가 침투하는 틈새(S1)를 더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에서의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와의 슬라이딩면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내측을 향한 구배를 형성하는 경사면(SF1)으로 하고,
    상기 용융소재의 유동압을 받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틈새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용융소재의 유동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탄성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 상기 틈새가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의 저부에, 바닥이 있는 구멍에 연통하여 이젝터핀(EP1)이 삽입 통과하는 개구 및/또는 기체방출구에 연통하여 이젝터핀(EP2)이 삽입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삽입되는 이젝터핀에 의해 바닥이 있는 구멍, 측면개구 및/또는 기체방출구에 충전된 용융소재(RF)를 취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대향면으로 가압하는 탄성체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고무계 탄성체, 유체압축 액추에이터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되는 측면개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수용체에 형성되는 기체방출구와의 조합이 복수 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구조가 금형 내의 소요 부위에 형성된 장착용 오목부에 끼워넣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구가 비직선 모양 또는 구배를 형성한 직선 모양의 기체 유통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가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공간 또는 이 충전공간에 연결되는 용융소재 유동로의 도중 내지 말단 부근에 미리 일체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KR1020127011170A 2012-03-22 2012-03-22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KR20140138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7370 WO2013140580A1 (ja) 2012-03-22 2012-03-22 金型内の気体放出構造及び当該構造を備えた金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376A true KR20140138376A (ko) 2014-12-04

Family

ID=4922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170A KR20140138376A (ko) 2012-03-22 2012-03-22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09477B2 (ko)
KR (1) KR20140138376A (ko)
WO (1) WO20131405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92A1 (ko) * 2022-02-14 2023-08-17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속 금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4408B2 (ja) * 2014-02-03 2018-02-07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金型内ガス排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適用した成形用金型
JP6014949B2 (ja) * 2015-05-14 2016-10-26 Ecovent株式会社 金型内の気体放出構造及び当該構造を備えた金型
CN115091170B (zh) * 2022-06-23 2023-04-07 浙江万丰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复合式带导气的射销安装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112A (ja) * 1983-12-14 1985-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成形金型のエア抜き装置
JPS6390552U (ko) * 1986-12-04 1988-06-11
JPH0620800B2 (ja) * 1989-12-01 1994-03-23 豊田合成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JP2004299085A (ja) * 2003-03-28 2004-10-28 Mitsubishi Materials Corp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5716B1 (ko) * 2008-01-28 2011-03-30 가부시키가이샤 사이토 가나가타 세이사쿠쇼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92A1 (ko) * 2022-02-14 2023-08-17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속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09477B2 (ja) 2014-06-04
WO2013140580A1 (ja) 2013-09-26
JPWO2013140580A1 (ja)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716B1 (ko)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CN101497117B (zh) 模具和制造铸造制品的方法
US103636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supply member
KR20140138376A (ko) 금형 내의 기체방출구조 및 당해 구조를 구비한 금형
US9359013B2 (en) Resin vehicle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8119917A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1699939B1 (ko) 곡선 튜브 사출 성형 금형
US9028244B1 (en) Lifter for an injection molding tool
JP5808503B1 (ja) 金型内の気体放出構造
JP2007517690A (ja) 射出圧縮成形
JP6014949B2 (ja) 金型内の気体放出構造及び当該構造を備えた金型
US5869105A (en) Mold for use in a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adjustable overflow pin assembly for use therein
US20090321034A1 (en) Di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t product
JP6274408B2 (ja) 金型内ガス排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適用した成形用金型
US6042356A (en) Mold for use in a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ejector pin subsystem including a blocking pin assembly for use therein
KR20190044035A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JP5703084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2083827B1 (ko) 사출금형의 가스빼기장치
JP5059807B2 (ja) 射出成形型
JP2017109471A (ja) シリンダ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ンダ成形方法
JP2007152655A (ja) 射出成形装置並びに射出成形装置に用いられる型内ノズル及び成形型
WO2017075754A1 (en) Mold, molding method and product produced through molding process
JP5797521B2 (ja) 射出圧縮成形機
JP2003025384A (ja) 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射出圧縮成形方法
JP2005271496A (ja) 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