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590B1 - 멀티-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멀티-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590B1
KR100895590B1 KR1020067018327A KR20067018327A KR100895590B1 KR 100895590 B1 KR100895590 B1 KR 100895590B1 KR 1020067018327 A KR1020067018327 A KR 1020067018327A KR 20067018327 A KR20067018327 A KR 20067018327A KR 100895590 B1 KR100895590 B1 KR 100895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transmission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408A (ko
Inventor
산지브 난다
란가나단 크리쉬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based on age of data to be s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 관한 시스템 및 기술이 개시된다. 그 시스템 및 기술은 무선 통신을 포함하며, 여기서, 모듈 또는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및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며, 그 제 1 단말기 쌍은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고 그 제 2 단말기 쌍은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가지고, 그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제 1 신호 송신은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되고,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중간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제 1 및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
스케줄링, 멀티-홉

Description

멀티-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내에서 직접 통신 및 멀티-홉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 및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무선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채용된다. 통상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는 지리적 영역 전반에 산재된 다중의 고정된 사이트 기지국으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지리적 영역은 셀로서 공지된 더 작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각각의 기지국은 그 각각의 셀내의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를 서빙 (serve)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이한 셀룰러 영역에 걸친 다양한 트래픽 수요가 존재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는 용이하게 재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종래의 액세스 네트워크와는 달리, 애드-혹 네트워크는 동적이다. 종종 단말기로서 지칭되는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인하는 경우, 애드-혹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는 호스트 또는 라우터 중 하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애드-혹 네트워크는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존 트래픽 수요를 충족하도록 용이하게 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애드-혹 네트워크는 종래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인프라구조를 요구하지 않으며, 애드-혹 네트워크를 미래를 위해 매력적으로 선택하게 한다.
울트라-광대역 (UWB) 은, 애드-혹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는 통신 기술의 일 예이다. UWB는 매우 넓은 대역폭을 통해 고속 통신을 제공한다. 동시에, UWB 신호는 매우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매우 짧은 펄스로 송신된다. UWB 신호의 출력 전력이 매우 낮으므로, 다른 RF 기술에 대해 노이즈처럼 보이며, 더 적게 간섭하게 한다.
많은 다중 접속 기술이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동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한다. 예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DMA) 방식이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FDMA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2개의 단말기 사이의 개별 통신에 총 대역폭의 상이한 부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런 방식은 방해받지 않는 통신에 대해 효과적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일정하고 방해받지 않는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총 대역폭의 더 양호한 사용이 달성될 수도 있다.
다른 다중 접속 방식은 시간 분할 다중 접속 (TDMA) 을 포함한다. 이 TDMA 방식은, 방해받지 않는 통신을 요구하지 않는 다수의 단말기들 사이로 제한된 대역폭을 할당함에 있어서 특히 효과적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TDMA 방식은 지정된 시간 간격에 2개의 단말기 사이에서 각각의 통신 채널에 전체 대역폭을 제공한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기술은, 각각의 시간 간격동안 다중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TDMA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지정된 시간 간격에서 상이한 코드로 각각의 통신 또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신호의 스팩트럼을 확산한다. 송신된 신호는, 원하는 신호를 역확산하기 위해 대응하는 코드를 사용한 복조기에 의해 수신 단말기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코드가 매칭하지 않는 원하지 않는 신호는, 대역폭에서 역확산되지 않고, 오직 노이즈에 기여한다.
동시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확산-스팩트럼 통신을 사용하는 TDMA 시스템에서, 강인하고 효과적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소망된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과도한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통신의 데이터 레이트 (rate) 및 전력 레벨뿐만 아니라 직접 통신 및 멀티-홉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은,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는 단계,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된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각각의 중간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신호 송신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통신 단말기는 제 1 및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 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러를 포함하며, 그 제 1 단말기 쌍은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고, 그 제 2 단말기 쌍은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가지며, 또한, 그 스케줄러는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고, 그 제 1 신호 송신은 그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되며,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각각의 중간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전력 레벨을 만족하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신호 송신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통신 단말기는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는 수단,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된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그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및 각각의 중간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전력 레벨을 만족하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신호 송신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의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그 방법은,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는 단 계,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된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제 1 송신과 동시에,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각각의 중간 단말기 및 제 2 신호 수신 단말기에 대한 전력 레벨을 만족하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송신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할 것이라는 것을 당업자는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지 않고, 다른 및 상이한 실시형태가 가능하며, 그의 여러 세부사항은 다양한 다른 점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양태는, 첨부된 도면에서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시된다.
도 1은, 피코넷 (piconet) 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인트라-피코넷 (intra-piconet)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MAC)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피코넷내에서 동작이 가능한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피코넷의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일 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에서 스케줄러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피코넷 토폴로지 (topology) 맵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피코넷의 멤버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일 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 설명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발명이 실행될 수도 있는 실시형태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 또는 예시로서만 제공되며,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통해 제공하는 목적에 대한 특정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세부사항없이도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시에서, 널리 공지된 구조 및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개념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아크로님 (acronym) 및 다른 설명적인 전문용어는, 편의 및 명확함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UWB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콘텍스트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이들 발명의 양태들은, 이러한 애플리케이 션과의 사용에 대해 매우 적합될 수도 있지만, 당업자는, 이들 발명의 양태들이 다양한 다른 통신 환경에서의 사용에 대해 유사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UWB 통신 시스템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발명의 양태를 예시하는 것으로만 의도되며, 이러한 발명의 양태들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코넷에 대한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피코넷"은, 애드-혹 방식에서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접속된 단말기 또는 통신 디바이스의 집합이다. 단말기는, 도보, 또는 차량, 비행기 또는 배에서 유저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기와 같이, 고정 또는 이동중일 수도 있다. "단말기"라는 용어는, 셀룰러, 무선 또는 유선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랩탑, 외장 또는 내장 모뎀, PC 카드, 및 임의의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피코넷은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와 그 마스터 단말기에 종속된 (slave) 임의의 수의 멤버 단말기를 갖는다. 도 1에서, 피코넷 (102) 은 수 개의 멤버 단말기 (106)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마스터 단말기 (104) 와 함께 도시된다. 마스터 단말기 (104) 는, 피코넷에서 각각의 멤버 단말기 (106) 와 통신할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멤버 단말기 (106) 는, 마스터 단말기 (104) 의 제어하에 또 다른 멤버 단말기 (106) 와 직접 통신할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기 (104) 는, TDMA, FDMA, CDMA, 또는 임의의 다른 다중 접속 방 식과 같은 임의의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멤버 단말기 (106)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TDMA 와 CDMA 기술 양자를 채용한 하이브리드 다중 접속 방식의 콘텍스트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러한 다중 접속 방식에 제한된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피코넷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단말기가 처음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다양한 피코넷 마스터 단말기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탐색할 수도 있다. 각각의 피코넷 마스터 단말기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파일럿 신호는 무변조 확산-스펙트럼 신호, 또는 임의의 다른 기준 신호일 수도 있다. 확산-스펙트럼 구성에서, 각각의 피코넷 마스터 단말기에 고유한 의사-랜덤 노이즈 (PN) 코드는 파일럿 신호를 확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관 (correlation)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말기는, 가장 강한 파일럿 신호를 가진 마스터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PN 코드를 탐색할 수도 있다. 그 가장 강한 파일럿 신호가 최소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한 충분한 신호 강도로 수신된다면,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에 등록함으로써 피코넷에 조인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에서, 단말기는 최소 레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한 충분한 신호 강도의 파일럿 신호를 발견할 능력이 없을 수도 있다. 이것은 많은 원인에 기인할 수도 있다. 예로서,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너무 많이 이격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파 (propagation) 환경이 필수의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해 불충분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 단말기는, 기존 피코넷에 조인할 능력이 없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그들 자신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고립된 단말기로서 동작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그 고립된 단말기는 신규한 피코넷을 위한 마스터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충분한 강도를 갖는 고립된 단말기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는, 그 파일럿 신호를 획득하고 이러한 고립된 단말기의 피코넷에 조인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기 (104) 는, 인트라-피코넷 통신을 조정하기 위해 주기적인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단말기에 대한 통신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에, 당업계에서, 이러한 프레임은 종종 매체 액세스 제어 (MAC) 프레임이라고 지칭된다. 그 프레임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에 의존하는 임의의 지속 기간일 수도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5㎳의 프레임 지속 기간이 사용될 것이다. 5㎳ 프레임은, 650Mcps의 높은 칩 레이트 및 19.2Kbps로 강하된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는 요구를 수용하기에 합당하다.
MAC 프레임 구조의 일 예는 n개의 프레임 (202) 과 함께 도 2에 도시된다. 각각의 프레임은, 160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시간 슬롯 (204) 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슬롯 지속 기간은, 650Mcps에서 20,312.5 칩에 대응하는 31.25㎲ 일 수도 있다. 프레임은 오버헤드 (overhead) 를 위해 자신의 슬롯 중 일부를 전용할 수도 있다. 예로서, 프레임 (202) 의 제 1 슬롯 (206) 은, 확산-스펙트럼 파일럿 신호를 모든 멤버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신호는 전체 슬롯 (206) 을 점유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채널과 공유된 시간일 수도 있다. 제 1 슬롯 (206) 의 엔드 (end) 를 점유하는 제어 채널은, 파일럿 신호와 동일한 전력 레벨로 모든 멤버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한 확산-스펙트럼 신호일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기는 MAC 프레임의 구성을 정의하기 위해 이러한 제어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기는 인트라-피코넷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2의 시간 슬롯 (208 및 210) 과 같이, 프레임내에서 다양한 시간 슬롯을 점유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확산-스펙트럼 제어 채널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들 부가적인 제어 채널은, 마스터 단말기에 의해 모든 멤버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그 스케줄링 정보는, 피코넷내에서의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시간 슬롯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시간 슬롯은 프레임 (202) 의 데이터 슬롯 부분 (212) 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들 사이의 각각의 통신에 대한 전력 레벨 및 데이터 레이트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슬롯에서, 마스터 단말기는 CDMA 방식을 사용하여 임의의 수의 단말기 쌍에 송신 기회를 허여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스케줄링 정보는 단말기들 사이의 개별 통신을 위해 사용될 확산 코드를 할당할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기는 피어-투-피어 (peer-to-peer) 송신을 위한 시간의 일부를 주기적으로 예비할 수도 있다. 이 시간동안, 마스터 단말기 (104) 는, 하나 이상의 고립된 단말기 및/또는 인접한 피코넷과 통신하기 위해 멤버 단말기 (106) 중 하나를 할당할 수도 있다. 이들 송신은, 높은 송신 전력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일부 예시에서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서 단지 유지될 수 있다. 높은 전력 송신이 고립된 단말기 및/또는 인접한 피코넷과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마스터 단말기는 동시에 임의의 인트라-피코넷 통신을 스케줄링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단말기의 하나의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정확한 구성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에 의존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명확화 및 완벽화를 위해, 다양한 발명의 개념이 확산-스펙트럼 능력을 가진 UWB 단말기의 콘텍스트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발명의 개념은 다양한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에도 유사하게 적합하다. 따라서, 확산-스펙트럼 UWB 단말기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예시하는것으로만 의도되며, 이러한 양태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단말기는 안테나 (304) 에 커플링된 전단 트랜시버 (front end transceiver; 302) 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는 트랜시버 (302)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는 소프트웨어 기반 구조,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것들 중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피코넷에서 단말기가 마스터 또는 멤버 단말기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 시스템 관리 기능 및 실행적 제어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구동 시키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프로세싱 요구를 감소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특정 알고리즘을 구동하는 삽입된 통신 소프트웨어 레이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DSP는, 파일럿 신호 획득 (acquisition), 시간 동기화, 주파수 트래킹 (tracking), 확산-스펙트럼 프로세싱, 변조, 및 복조 기능, 및 순방향 에러 정정과 같은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에 커플링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3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키패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링거 (ringer), 진동기, 오디오 스피커, 마이크로 폰, 카메라 및/또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가 트랜시버 (302) 와 함께 도시된다. 트랜시버 (302) 는 수신기 (4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기 (402) 는 노이즈 및 간섭의 존재시에 원하는 신호의 검출을 제공한다. 수신기 (402) 는 원하는 신호를 추출하고,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는 레벨로 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트랜시버 (302) 는 송신기 (4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404) 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로부터의 정보를 캐리어 주파수상으로 변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변조된 캐리어는 RF 주파수로 상향변환되고, 안테나 (304) 를 통해 자유 공간으로의 방출 (radiation) 을 위해 충분한 전력 레벨로 증폭될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는 스케줄러 (406) 를 인에이블 (enable) 할 수도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의 소프트웨어 기반 구현에서, 스케줄러 (406)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케줄러 (406) 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스케줄러 (406) 는, 피코넷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인트라-피코넷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스케줄러 (406) 는 동시 통신에 관여할 단말기 쌍을 신중히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통신은 그 단말기 쌍들 사이에서의 직접 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거나, 다른 방법으로, 통신은 피코넷에서의 하나 이상의 중간 단말기를 통해 라우팅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단말기를 통해 라우팅된 통신은 "멀티-홉" 통신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각각의 동시 통신은,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송신 전력 레벨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그 타겟 품질 파라미터는 수신단에서의 캐리어-대-간섭 (C/I) 비,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품질 파라미터일 수도 있다.
도 5는, 스케줄러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502에서, 스케줄러는, 다음의 MAC 프레임동안, 통신에 관여할 단말기 쌍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스케줄러는, 현재의 MAC 프레임이후에, 통신에 현재 관여된 각각의 단말기 쌍 사이에서 송신될 데이터 잔류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러는, 다음의 MAC 프레임에 대한 단말기 쌍 사이의 신규한 콜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예시에서, 기존 콜 뿐만 아니라 신규한 콜을 지원하기 위해 송신될 데이터의 총량은, 단일 MAC 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초과할 것이다. 이 경우, 스케줄러는, 다음의 MAC 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일부만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다음의 MAC 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무선 매체의 품질과 함께 지원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레이트에 의존할 것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는, MAC 프레임으로 시-분할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는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또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는, 최소 QoS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 높은 캐리어-대-간섭 (C/I) 비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행해질 수 있는 병렬 송신의 수를 제한한다. 스케줄러는, 피코넷의 전체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이들 2개의 경쟁 인자들 사이의 밸런스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케줄러는 각각의 신규한 콜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레이트는 요구된 서비스 타입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로서, 멤버 단말기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또 다른 멤버 단말기에 관한 콜을 개시하면, 스케줄러는 콜이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요구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멤버 단말기가 또 다른 멤버 단말기 에 대한 음성 콜을 개시하면, 스케줄러는 콜을 지원하기 위해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기존의 콜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는 공지되고, 따라서, 재계산할 필요가 없다.
일단 각각의 인트라-피코넷 통신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가 결정되면, 스케줄링 결정들이 행해질 수 있다. 이들 스케줄링 결정들은, 임의의 공지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임의의 수의 고려사항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로서, 스케줄링 결정은, 음성 통신이, 낮은 레이턴시 (latency) 통신 보다 우선 순위를 받는 우선 순위 시스템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스루풋 (throughput) 을 최대화하려는 노력에서 높은 데이터 레이트 송신에 우선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쌍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양, 및 이러한 단말기 쌍에 의해 이미 경험된 딜레이를 고려하는 공평성 기준이 고려될 수도 있다. 다른 인자들이 고려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당업자는, 기존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임의의 특정 피코넷 애플리케이션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스케줄러는, 병렬 송신을 스케줄링함으로써, 다음의 MAC 프레임에서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병렬 송신은, 과도한 간섭을 야기하지 않고 데이터 스루풋을 최대화하도록 스케줄링되어야 한다.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C/I 비를 유지하는 동안, 이것은 다중 시간 슬롯에서 병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기반한 우선 순위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타겟 C/I 비는, 원하는 QoS를 만족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C/I 비이다. 신규한 콜에 대한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C/I 비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수단에 의해 최대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로부터 계산될 수도 있다. 기존 콜에 대한 타겟 C/I 비는 공지되고, 따라서 재계산될 필요는 없다.
스케줄러는, 소정의 MAC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서 타겟 C/I 비를 만족하는 방식으로 동시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피코넷 토폴로지 맵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피코넷 토폴로지 맵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피코넷 토폴로지 맵은, 멤버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송신으로부터의 마스터 단말기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계산 모듈 (408) 은 멤버 단말기의 수신된 신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멤버 단말기 송신의 타이밍 및 전력 레벨이 스케줄러 (406) 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정보는 계산 모듈 (408) 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와 함께, 스케줄러 (406) 는 각각의 멤버 단말기에 대한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멤버 단말기는, 피코넷에서 다른 멤버 단말기에 대한 경로 손실 측정치를 마스터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측정치들은 멤버 단말기들 사이의 스케줄링된 송신에 기초할 수도 있다. 경로 손실 측정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송신될 수도 있다. 수신 엔드상의 신호 프로세서 (412) 는, 제어 채널으로부터 이들 측정치를 추출하고 메모리 (410) 에 이들을 저장하기 위해, 확산-스펙트럼 기술을 채용할 수도 있 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2개의 단말기 사이의 일련의 파선은 2개의 단말기 사이의 공지된 거리를 표현한다. 맵상의 거리는 마스터 단말기에서 수행될 뿐만 아니라, 멤버 단말기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에 재통보된 경로 손실 측정치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훨씬 더 상세히 간략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맵상의 거리는 병렬 송신 스케줄링 결정을 위해 사용된 거리가 아니라 측정된 경로 손실이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기가 피코넷에서 단말기 쌍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한 경로 손실 정보를 갖는다면, 병렬 송신은 마스터 단말기에 관해 각각의 멤버 단말기의 각 좌표 (angular coordinate) 를 알아야만 하는 것 없이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각 좌표를 갖는 피코넷 토폴로지 맵은 병렬 송신을 스케줄링할 시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도 있다.
각 좌표를 가진 피코넷 토폴로지 맵은, 예로서, 네브스타 글로벌 측위 (Navstar Global Positioning; GPS) 위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단말기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수단에 의해 자신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장비할 수도 있다. 멤버 단말기에 대한 좌표는 적절한 확산-스펙트럼 제어 채널을 통해 마스터 단말기로 송신될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기에서, 신호 프로세서 (412) 는, 멤버 단말기 좌표를 추출하고 그것을 스케줄러 (406) 에 제공하기 위해, 확산-스펙트럼 프로세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 (406) 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코넷 토폴로지 맵을 구성하기 위 해, 그 자신의 좌표와 함께 이들 좌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 (406) 는, 그렇지 않으면 경로 손실 정보가 이용가능하지 않는 단말기 쌍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기 위해 피코넷 토폴로지 맵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경로 손실은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 및 환경 조건의 함수이다. 많은 단말기들 사이의 경로 손실이 공지되고, 또한, 동일한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도 공지되므로, 신호 전파에 대한 환경 조건의 영향이 스케줄러 (406) 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환경 조건이, 피코넷 전반에서 비교적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스케줄러 (406) 는, 그렇지 않으면 어떠한 경로 손실 정보도 이용가능하지 않는 단말기들 사이의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경로 손실 계산의 결과는 이후의 사용을 위해 메모리 (410) 에 저장될 수도 있다. UWB와 같은 단거리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정확한 경로 손실 추정은, 환경 조건이 피코넷 전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일단 피코넷 토폴로지 맵이 스케줄러 (406) 에 의해 구성되고 경로 손실 정보가 메모리 (410) 에 저장되면, 스케줄링 결정이 행해질 수도 있다. 스케줄러 (406) 는, 다음의 MAC 프레임에 대해 스케줄링된 인트라-피코넷 통신이 서로 과도하게 간섭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스케줄링 결정과 관계가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인자와 함께 피코넷 토폴로지 맵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병렬 송신 환경에서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서의 타겟 C/I 비를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도 6과 관련하여 병렬 송신의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설명적이다. 피코넷 전반에서 적당한 타겟 C/I 요건을 가정하면,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송신은,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e) 까지의 송신과 아마도 동시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의 송신이 멤버 단말기 (106e) 에서 과도한 간섭을 야기하지 않아야 하고,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의 송신이 멤버 단말기 (106g) 에서 과도한 간섭을 야기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스케줄링 결정은 타겟 C/I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좀 더 적극적인 스케줄링 결정은,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타겟 C/I 요건이 멤버 단말기 (106d) 에서 충분히 낮다면, 이러한 스케줄링 결정은 과도한 상호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멤버 단말기 (106d) 에서의 타겟 C/I 비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레이트 애플리케이션때문에 높다면,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송신된 신호 전력이 충분하게 높을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며, 결과로서, 멤버 단말기 (106g) 에서 과도한 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간섭은, 멤버 단말기 (106g) 에서 실제의 C/I 비를 타겟 아래로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수용가능하지 않은 레벨로 성능을 열화시킨다. 이 경우,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d) 까지의 송신은 상이한 시간에 스케줄링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예가 멤버 단말기 (106h)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d) 까지의 펜딩한 (pending)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피코넷 토폴로지 맵을 고려하는 경우, 멤버 단말기 (106b) 에서의 타겟 C/I 비가 극도로 낮을 지라도, 이러한 송신이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송신과 함께 아마도 동시에 스케줄링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멤버 단말기 (106b) 에 대한 경로 손실을 극복할 필요가 있는 멤버 단말기 (106f) 에서의 송신 전력은, 멤버 단말기 (106g) 에서의 수신에 아마도 과도하게 간섭할 것이다.
상이한 시간에서 멤버 단말기 (106h)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으로서, 통신은 멀티-홉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중간 단말기를 통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예로서, 멤버 단말기 (106h)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통신은 멤버 단말기 (106i) 를 통해 라우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멤버 단말기 (106h) 에서의 송신 전력은 멤버 단말기 (106i) 로의 단거리 송신을 수용하기 위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멤버 단말기 (106h) 에서 송신 전력의 이러한 감소는 멤버 단말기 (106g) 에서 C/I 비의 증가로 전환한다. 맴버 단말기 (106g) 에서의 타겟 C/I 비에 의존하여, 멤버 단말기 (106h)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i) 까지의 송신은,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송신과 동시에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또한, 멤버 단말기 (106i)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의 제 2 레그 (leg) 는 다음의 MAC 프레임에서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송신과 동시에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멤버 단말기 (106i) 에서의 송신 전력이, 멤버 단말기 (106b) 로의 거리로부터 기인하는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송신의 제 2 레그 (leg) 에 대해 증가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지만, 멤버 단말기 (106i) 와 멤버 단말기 (106g) 사이의 거리는, 멤버 단말기 (106g) 의 타겟 C/I 비를 충족하는 레벨까지로 결과적인 간섭을 감쇠시키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각각의 MAC 프레임에 대해, 단계504에서, 직접 통신 및, 단계 506에서, 멀티-홉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설계자 선호도 및 전체 설계 제약에 의존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스루풋을 최대화하는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도로 피코넷 토폴로지 맵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동시에, 피코넷 단말기 중에서 일정한 공평도에 부착될 수도 있다.
직접 통신 및 멀티-홉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절차가 순차적으로 직접 통신을 스케줄링하고, 그 후, 멀티-홉 통신을 스케줄링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그 순서가 반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직접 통신 및 멀티-홉 통신의 스케줄링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508에서,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서 타겟 C/I 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통신에 대한 송신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로서,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서의 타겟 C/I가 충족될 수 있다면, 직접 통신은 각각의 시간 슬롯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서의 타겟 C/I가 단말기 쌍들 사이에서 동시의 직접 통신에 대한 소정의 시간 슬롯에서 충족될 수 없다면, 하나 이상의 통신은 멀티-홉 방식으로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단말기 쌍들 사이에서의 송신을 완료하기 위해 총 전력의 최소 합계를 요구하는 통신 경로에 기초하여 집적적인 통신 또는 멀티-홉 통신 사이에서 결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멀티-홉 통신들은, MAC 프레임의 후속 타임슬롯에서 다양한 중간 단말기로 안내되고 그들 각각의 목적지 단말기로 포워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시간 슬롯에 대한 직접 통신 및 멀티-홉 통신의 스케줄링은, 타겟 C/I 비가 모든 수신 단말기에 대해 충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송신 전력 계산의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산의 일 예가 3개의 동시 송신을 갖는 MAC 프레임에서의 단일 시간 슬롯에 대해 아래에서 제공될 것이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3개의 동시 수신은,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송신,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e) 까지의 송신, 및 마지막으로,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을 포함한다. 멤버 단말기 (106g) 에서의 C/I 비 (C/IG) 는, 다음에서와 같이, 마스터 단말기에서 스케줄러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멤버 단말기 (106g) 에서의 신호 강도는,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경로 손실 (LA -G) 보다 작은, 멤버 단말기 (106a) 에서의 송신 전력 (PA) 와 동일하다. 멤버 단말기 (106g) 에서의 간섭은, 멤버 단말기 (106c 및 106f) 에 의한 신호 송신에 기인하며,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경로 손실 (LF -G) 보다 작은 멤버 단말기 (106f) 에서의 송신 전력 (PF) 에 더하여,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경로 손실 (LC -G) 보다 작은 멤버 단말기 (106c) 에서의 송신 전력 (PC) 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들 관계들에 기 초하여, C/I 비는,
C/IG dB = PA - LA -G - (PC - LC -G + PF - LF -G + M)
와 같이 로그 도메인 (domain) 에서 계산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M은, 아웃-오브 피코넷 간섭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간섭 마진과 동일하다.
또한, 2개의 유사한 식이, 멤버 단말기 수신기 (106e 및 106b) 에서 C/I 비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멤버 단말기 (106e) 에서 C/I 비 (C/IE) 는,
C/IE dB = PC - LC -E - (PA - LA -E + PF - LF -E + M)
와 같이 로그 도메인에서 계산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LC -E는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e) 까지의 경로 손실이고, LA -E는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e) 까지의 경로 손실이며, LF -E는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e) 까지의 경로 손실이다. 멤버 단말기 (106b) 에서의 C/I 비 (C/IB) 는,
C/IB dB = PF - LF -B - (PA - LA -B + PC - LC -B + M)
와 같이 로그 도메인에서 계산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LF -B는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경로 손실이고, LA -B는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경로 손실이며, LC -B는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경로 손실이다.
각각의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C/I 비 및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손실 정보를 수학식 (1) 내지 (3) 에 대입하여, 대수적으로 풀 수도 있는, 3개의 식 및 3개의 미지수 (PA, PC, PF) 가 남겨진다. 3개의 식이 만족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멤버 단말기 (106a, 106c 및 106f) 로부터의 동시 송신은 계산된 전력 레벨에서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한편, 전력 레벨의 조합이 모든 3개의 식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거나, 임의의 요구된 전력 레벨이 단말기의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한다면,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하나 이상의 송신을 멀티-홉 통신에 대한 중간 단말기에 재할당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임의의 조합의 전력 레벨이 3개의 모든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송신 전력 (PF) 가 너무 낮다면, 신호가 경로 손실 (LF -B) 로 인해 너무 약할 수도 있기 때문에, 타겟 C/I 비는 수신 단말기 (106b) 에서 충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송신 단말기 (106f) 에서의 송신 전력 (PF) 이 수신 단말기 (106b) 에서 타겟 C/I 비를 충족하기 위해 증가된다면, 송신은 그의 타겟 C/I 비를 충족하기 위해 멤버 단말기 (106g) 의 능력에 간섭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멤버 단말기 (106d) 와 같은 중간 단말기를 통해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을 재스케줄링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결정이, 멀티-홉 방식에서 적어도 임계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단말기들 사이에서의 모든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전력 레벨 계산을 수행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전력 레벨을 계산하기 이전에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이 멀티-홉 통신으로서 스케줄링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결정은 멤버 단말기 (106d) 를 통한 통신을 라우팅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후, 멤버 단말기 (106g, 106e 및 106d) 에 대한 타겟 C/I 비를 충족하는 동안, 임의의 조합의 전력 레벨이 멤버 단말기 (106a, 106c 및 106f) 로부터의 동시 송신을 지원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피코넷 토폴로지 맵은 전력 레벨 계산이 수행되기 이전에 참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이점은, 바로 멤버 단말기 (106f 및 106b) 사이의 거리 때문에, 이들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이 멀티-홉 통신을 자동적으로 보증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로서,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b) 까지의 송신이, 멤버 단말기 (106c)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e) 까지의 송신과 동시에 발생해야 한다고 판정되었다면, 이들 양자의 송신은 직접 통신으로서 지원될 수도 있다. 멤버 단말기 (106a) 로부터 멤버 단말기 (106g) 까지의 송신이 또한 동시에 스케줄링되는 경우에만, 멤버 단말기 (106f) 로부터의 송신 전력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알고리즘은, 전력 레벨을 계산하기 이전에 멀티-홉 통신에 관한 초기 스케줄링 결정을 수행할 시에 송신 단말기의 근방의 단말기에 관한 통신에 관여된 2개의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발명될 수 있다.
일단 스케줄링 결정이 수행되면, 다음의 MAC 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통해, 그 결정이 피코넷의 멤버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멤버 단말기로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트랜시버 (302) 로 제공되기 전에, 송신 엔드상의 신호 프로세서 (416) 는 스케줄 할당을 확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멤버 단말기로서 구성된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갖는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스케줄러 (406) 는, 멤버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동안에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에 의해 인에이블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가상선으로 도시된다. 트랜시버 (302) 의 구성은,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가 마스터 또는 멤버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중인지를 불문하고 동일하며, 따라서,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트랜시버 (302) 는 완벽화를 위해 도 7에 도시된다.
마스터 단말기로서 구성된 기저대역 프로세서 (306) 와 함께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할당은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통해 피코넷의 모든 멤버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수신 엔드상의 신호 프로세서 (412) 는, 제 어 채널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추출하고 그것을 제어기 (418) 에 제공하기 위해, 확산-스펙트럼 프로세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멤버 단말기로 부터의 및 멤버 단말기로의 다양한 송신에 대한 시간 슬롯 할당뿐만 아니라,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 및 데이터 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정보는, 단말기가 멀티-홉 통신을 지원하는 중간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메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또한, 멤버 단말기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고 또 다른 멤버 단말기로 통신을 재송신하는 시간 슬롯은 대응하는 전력 레벨 및 데이터 레이트와 관련될 수도 있다.
제어기 (418) 는, 멤버 단말기로의 스케줄링된 송신을 위해, 수신 엔드상에서 데이터 레이트 및 확산 정보를 신호 프로세서 (412) 에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신호 프로세서 (412) 는 적절한 횟수로 다른 멤버 단말기로부터의 통신을 복원하며, 그 복원된 통신을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308)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멀티-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재송신을 위해 의도된 통신은 재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때까지 메모리 (410)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 (418) 는, 또 다른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송신에 대한 계산 모듈 (408) 에 전력 레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계산 모듈 (408) 은, 스케줄링된 송신동안 트랜시버 (302) 로부터의 신호 강도 측정치를 사용함으로써, 송신 단말기로부터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계산 모듈 (408) 에 의해 계산된 경로 손실 정보는 메모리 (410) 에 저장되고,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스케줄링된 시간 동안 송신 엔드상에서 신호 프로세 서 (416) 에 제공된다. GPS 수신기 (도시되지 않음) 를 채용한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그 단말기는, 신호 프로세서 (416) 및 트랜시버 (302) 를 경유하여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좌표 정보를 마스터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신호 프로세서 (416) 는 피코넷내의 다양한 멤버 단말기로 통신을 확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신은 스케줄링된 송신 동안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308) 로부터 발신되고 버퍼 (420) 에 저장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시간에서, 제어기 (418) 는, 확산-스펙트럼 프로세싱을 위해, 버퍼 (420) 로부터 신호 프로세서 (416) 으로 통신을 릴리스 (release)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프로세서 (416) 는 적절한 시간에 멀티-홉 방식으로의 재송신에 대한 다양한 통신을 메모리 (410) 로부터 인출할 수도 있다. 통신의 데이터 레이트, 확산 코드 및 송신 전력 레벨은, 제어기 (418) 에 의해 신호 프로세서 (416) 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송신 전력 레벨은 트랜시버 (302) 의 송신기 (404) 에서 제어기 (418) 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신호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도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도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유저 단말기내에, 또는 다른 곳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기 내에, 또는 다른 곳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 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서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33)

  1.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신호 송신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를 도착지로 하는, 상기 스케줄링 단계;
    상기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송신의 상기 스케줄링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양자를 만족하지 않는 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 지의 판정은,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2 신호 송신의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계산하도록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사이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지의 판정은,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의 함수인, 통신 스케줄링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지의 판정은,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사이의 경로 손실 정보 및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사이의 경로 손실 정보의 함수인, 통신 스케줄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쌍 및 상기 제 2 단말기 쌍은 단말기의 피코넷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피코넷 토폴로지 맵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 손실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코넷 토폴로지 맵으로부터 유도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송신 단말기 및 제 3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3 단말기 쌍을 선택하고, 그들 사이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재송신과 동시에 제 3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3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 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3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1 신호 송신의 재송신의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해 상이한 확산 코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캐리어-대-간섭 비를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상기 제 2 신호 송신을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간 단말기까지의 상기 제 1 신호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스케줄링 방법.
  13.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를 도착지로 하는,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상기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양자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2 신호와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직접적인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2 신호 송신의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계산하도록 시도함으로써, 상 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사이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의 함수로서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상기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사이의 경로 손실 정보 및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사이의 경로 손실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상기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단말기의 피코넷으로부터 상기 제 1 단말기 쌍 및 상기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피코넷 토폴로지 맵을 구성하고 상기 피코넷 토폴로지 맵으로부터 상기 경로 손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제 3 송신 단말기 및 제 3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3 단말기 쌍을 선택하고, 이들 사이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재송신과 동시에, 제 3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3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3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1 신호 송신의 재송신의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또한,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해 상이한 확산 코드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캐리어-대-간섭 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4.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통신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로 통신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수신기 및 송신기에 통신적으로 커플링되는, 통신 단말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와 상기 스케줄러 사이의 통신물을 역확산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스케줄러와 상기 송신기 사이의 통신물을 확산하도록 구성된 송신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및 송신기에 통신적으로 커플링된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제 1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통신물을 역확산하도록 구성된 수신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들 중 제 2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송신기 사이의 통신물을 확산하도록 구성된 송신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8. 제 1 송신 단말기와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와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된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상기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및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양자를 만족하지 않는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해 상이한 확산 코드를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31.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의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제 1 송신 단말기 및 제 1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1 단말기 쌍, 및 제 2 송신 단말기 및 제 2 수신 단말기를 갖는 제 2 단말기 쌍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중간 단말기까지의,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에 예정된 제 1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2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까지의 제 2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 터를 만족하는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송신의 상기 스케줄링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제 1 송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까지의 직접적인 신호 송신이, 상기 제 1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수신 단말기에 대한 타겟 품질 파라미터 양자를 만족하지 않는 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신호 송신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 각각에 대해 상이한 확산 코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67018327A 2004-02-09 2005-02-09 멀티-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 KR100895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75,971 US7519371B2 (en) 2004-02-09 2004-02-09 Multi-hop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10/775,971 2004-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408A KR20070026408A (ko) 2007-03-08
KR100895590B1 true KR100895590B1 (ko) 2009-05-06

Family

ID=3482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327A KR100895590B1 (ko) 2004-02-09 2005-02-09 멀티-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519371B2 (ko)
EP (2) EP2375653B1 (ko)
JP (1) JP4426593B2 (ko)
KR (1) KR100895590B1 (ko)
CN (2) CN1947386B (ko)
AU (1) AU2005213166B2 (ko)
BR (1) BRPI0507534A (ko)
CA (1) CA2555528A1 (ko)
IL (1) IL177312A0 (ko)
RU (1) RU2322764C1 (ko)
TW (1) TW200605575A (ko)
WO (1) WO2005079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5280D0 (en) * 2004-07-07 2004-08-11 Nokia Corp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DE102005019105A1 (de) * 2005-04-25 2006-11-02 Siemens Ag Kommunikationssystem
ATE525830T1 (de) * 2005-05-12 2011-10-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teiltes lernverfahren für drahtlose maschennetze
JP4664127B2 (ja) * 2005-06-16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通信切替方法
US8605579B2 (en) * 2005-10-17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of data in a mesh network
TWI293000B (en) * 2005-11-03 2008-01-2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detection of environmental light
WO2007055544A2 (en) 2005-11-11 2007-05-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relay communication
WO2008011718A1 (en) * 2006-07-28 2008-01-31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network synchronization and monitoring
WO2008011717A1 (en) * 2006-07-28 2008-01-31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network topology system and method
US9246711B2 (en) * 2006-08-3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mesh networking with multiple simultaneous transmissions by nearby network nodes
US20080075094A1 (en) * 2006-09-26 2008-03-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d relaying frames over mobile multi-hop relay systems
WO2009036391A2 (en) 2007-09-12 2009-03-19 Proximetr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wireless data and multimedia content to aircraft
US8346238B2 (en) * 2007-10-30 2013-01-01 Cisco Technology, Inc. Mesh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s
CN101159471B (zh) * 2007-11-05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中继网络的中继组的确定方法
US8458345B2 (en) 2008-03-07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reuse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US8228838B2 (en) * 2008-04-03 2012-07-2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by use of a low power wireless link
US8208459B2 (en) * 2008-11-10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Partitioned traffic segment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8774105B2 (en) 2008-11-10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artitioned traffic segments
US8885551B2 (en) * 2009-07-06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scheduling in WLAN systems
US8344948B2 (en) * 2010-03-29 2013-01-01 Xsens Holding B.V. Positioning system calibration
US9049695B2 (en) * 2010-11-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Association rules based on channel quality for peer-to-peer and WAN communication
KR101740371B1 (ko) 2010-11-22 2017-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셀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할당 장치 및 방법
WO2012134320A1 (en) * 2011-03-30 2012-10-0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ircuits
JP2014016906A (ja) * 2012-07-10 2014-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ー、端末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US9036603B2 (en) 2012-08-03 2015-05-19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an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US9526022B2 (en) * 2012-08-03 2016-12-20 Intel Corporation Establishing operating system and application-based routing policies in multi-mode user equipment
WO2014022797A1 (en) 2012-08-03 2014-02-06 Intel Corporation Device trigger recall/replace feature for 3gpp/m2m systems
US8913518B2 (en) 2012-08-03 2014-12-16 Intel Corporation Enhanced node 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US9078276B2 (en) * 2012-11-13 2015-07-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cheduling and rate control coordination accounting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at a mobile terminal
US10237770B2 (en) 2013-03-15 2019-03-1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databases and automated report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8750156B1 (en) 2013-03-15 2014-06-10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for identifying open space
US10257728B2 (en) 2013-03-15 2019-04-0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8798548B1 (en) * 2013-03-15 2014-08-05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databas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1646918B2 (en) 2013-03-15 2023-05-09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for identifying open space
US10299149B2 (en) 2013-03-15 2019-05-21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0257729B2 (en) 2013-03-15 2019-04-0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databas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0122479B2 (en) 2017-01-23 2018-11-06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with temporal feature extraction within a spectrum
US9537586B2 (en) 2013-03-15 2017-01-03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with remote access to data in a virtual computing network
US9622041B2 (en) 2013-03-15 2017-04-11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0244504B2 (en) 2013-03-15 2019-03-26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geolocation with deployable large scale arrays
US10231206B2 (en) 2013-03-15 2019-03-12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for identifying signal-emitting devices
US10219163B2 (en) 2013-03-15 2019-02-26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0271233B2 (en) 2013-03-15 2019-04-23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with temporal feature extraction within a spectrum
US10257727B2 (en) 2013-03-15 2019-04-0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databases and automated report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WO2015138585A1 (en) * 2014-03-11 2015-09-17 Convida Wireless, Llc Multi-hop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187285B2 (en) * 2015-06-02 2019-01-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time slot allocation to reduce latency and power consumption in a time slotted channel hopp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5827282A (zh) * 2016-05-24 2016-08-03 卧槽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蓝牙设备组网方法、装置及蓝牙设备
US10459020B2 (en) 2017-01-23 2019-10-2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based on power distribution by frequency over time within a spectrum
US10700794B2 (en) 2017-01-23 2020-06-30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based on power distribution by frequency over time within an electromagnetic spectrum
US10498951B2 (en) 2017-01-23 2019-12-03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nmanned vehicle detection
US10529241B2 (en) 2017-01-23 2020-01-07 Digital Global Systems, Inc. Unmanned vehicle recognition and threat management
FR3074632B1 (fr) * 2017-12-04 2019-11-15 E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ees Procede et ensemble permettant a des terminaux utilisateurs finaux d'echanger par l'intermediaire d'un reseau multi-sauts sans fil de proximite de communication a architecture dynamique
US10943461B2 (en) 2018-08-24 2021-03-09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based on power distribution by frequency over ti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1268A1 (en) * 2002-02-22 2003-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ross-layer integrated collision free path routing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021A (ja) * 1984-09-12 1986-04-09 Sharp Corp 光学装置
US4850019A (en) 1985-11-08 1989-07-1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ata randomization equipment
US4754482A (en) 1985-11-26 1988-06-28 Samco Invest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encrypting and decrypting systems
JP2683022B2 (ja) 1988-04-13 1997-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秘匿方式
US5077793A (en) 1989-09-29 1991-12-31 The Boeing Company Residue number encryption and decryption system
JPH09508773A (ja) 1994-05-20 1997-09-02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信頼性のあるハンドオーバ方式を持つ移動通信システム
US5511123A (en) 1994-08-04 1996-04-23 Northern Telecom Limited Symmetric cryptographic system for data encryption
US6044062A (en) 1996-12-06 2000-03-28 Communique, Llc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US6072990A (en) 1997-05-08 2000-06-06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mitter-receiver pair for wireless network power-code operating point is determined based on error rate
US6154659A (en) 1997-12-24 2000-11-28 Nortel Networks Limited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R100326320B1 (ko) 1998-07-13 2002-03-08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패킷데이터 통신장치 및 방법
US6483808B1 (en) * 1999-04-28 2002-11-19 3Com Corporation Method of optimizing routing decisions over multiple parameters utilizing fuzzy logic
JP2001045534A (ja) 1999-07-28 2001-02-16 Ntt Docomo Inc クラスタ構造形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クラスタ統括局、回線制御局及び移動局
US6690657B1 (en) * 2000-02-25 2004-02-10 Berkeley Concept Research Corporation Multichannel distributed wireless repeater network
US7181424B1 (en) * 1999-09-23 2007-02-20 The Nasdaq Stock Market, Inc. Montage for automated market system
US6975613B1 (en) 1999-12-06 2005-12-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n ad-hoc network
US7164704B1 (en) 1999-12-09 2007-01-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eam forming for transmit using bluetooth modified hopping sequences (BFTBMH)
EP1134939A1 (en) 2000-03-14 2001-09-19 Lucent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routing for mobile ad-hoc networks
US20020044549A1 (en) 2000-06-12 2002-04-18 Per Johansson Efficient scatternet forming
US6834192B1 (en) 2000-07-03 2004-12-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effectuating handover of communications in a bluetooth, or othe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610992B1 (en) 2000-07-19 2003-08-26 Clasmet Rotating beam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art edges and openings
BE1013814A3 (nl) * 2000-10-26 2002-09-03 Werkhuizen Demeyere In Het Kor Handpers.
US7058050B2 (en) 2000-12-01 2006-06-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lexible inter-network communication scheduling
JP3426218B2 (ja) * 2001-01-19 2003-07-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符号化/変調方法
DE10107850A1 (de) 2001-02-16 2002-09-05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Netzwerk mit einer Anpassung des Modulationsverfahrens
US7113745B2 (en) 2001-02-21 2006-09-26 Ericsson Inc. Method to achieve diversity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151769B2 (en) * 2001-03-22 2006-12-19 Meshnetworks, Inc. Prioritized-routing for an ad-hoc, peer-to-peer, mobile radio access system based on battery-power levels and type of service
GB0112017D0 (en) * 2001-05-17 2001-07-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master-slave distributed communications network
EP1395942A4 (en) * 2001-06-14 2009-07-22 Meshnetworks Inc EMBEDDED ROUTING ALGORITHMS UNDER THE INTERNET PROTOCOL ROUTING LAYER OF A SOFTWARE ARCHITECTURAL LOG STACK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6917581B2 (en) 2001-07-17 2005-07-12 Ipr Licensing, Inc. Use of orthogonal or near orthogonal codes in reverse link
US7333514B2 (en) 2001-08-09 2008-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frame scheduler for simultaneous circuit-and packet-switched communication
JP3838487B2 (ja) 2001-08-10 2006-10-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7085532B2 (en) 2001-10-26 2006-08-01 Nokia Corporation Accelerating a set-up procedure for wireless connections between devices
RU2207724C1 (ru) 2001-11-01 2003-06-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горитм"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CN100433673C (zh) 2001-11-28 2008-11-12 自由度半导体公司 在多点协同无线网络之间通信的系统和方法
JP4014893B2 (ja) * 2002-03-01 2007-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ホップ接続用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これに用いる無線局
US6904021B2 (en) * 2002-03-15 2005-06-07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control of transmit power and data rate in an ad-hoc communication network
KR100492849B1 (ko) 2002-06-12 2005-06-03 윈스로드 주식회사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균형을 위한 데이터전송 노드 변경 방법
US6904055B2 (en) 2002-06-24 2005-06-07 Nokia Corporation Ad hoc networking of terminals aided by a cellular network
WO2004023668A1 (en) 2002-09-05 2004-03-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cheduling methods for wireless networks
US7190678B2 (en) 2002-10-28 2007-03-13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router attachments between roaming mobile routers in a clustered network
US7366185B2 (en) * 2003-02-07 2008-04-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 for evolutionary service migration
EP1631916A1 (en) * 2003-06-06 2006-03-08 Meshnetworks, Inc. A method to provide a measure of link reliability to a routing protocol in an ad hoc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1268A1 (en) * 2002-02-22 2003-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ross-layer integrated collision free path rou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13166A1 (en) 2005-08-25
JP4426593B2 (ja) 2010-03-03
CA2555528A1 (en) 2005-08-25
EP1728365B1 (en) 2016-04-13
JP2007522773A (ja) 2007-08-09
WO2005079027A1 (en) 2005-08-25
CN101895979A (zh) 2010-11-24
US7519371B2 (en) 2009-04-14
EP2375653A1 (en) 2011-10-12
KR20070026408A (ko) 2007-03-08
BRPI0507534A (pt) 2007-07-03
US20050176401A1 (en) 2005-08-11
US20090201907A1 (en) 2009-08-13
TW200605575A (en) 2006-02-01
IL177312A0 (en) 2006-12-10
AU2005213166B2 (en) 2009-03-12
CN101895979B (zh) 2012-09-05
US8019351B2 (en) 2011-09-13
EP1728365A1 (en) 2006-12-06
CN1947386B (zh) 2010-09-15
CN1947386A (zh) 2007-04-11
RU2322764C1 (ru) 2008-04-20
EP2375653B1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590B1 (ko) 멀티-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
KR10086438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줄링 통신
AU2005234376B2 (en) Synchronous inter-piconet routing
US7907898B2 (en) Asynchronous inter-piconet routing
KR100835191B1 (ko) 동기식 피코넷-간 라우팅
MXPA06009044A (en)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