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412B1 - 줄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줄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412B1
KR100895412B1 KR1020080065205A KR20080065205A KR100895412B1 KR 100895412 B1 KR100895412 B1 KR 100895412B1 KR 1020080065205 A KR1020080065205 A KR 1020080065205A KR 20080065205 A KR20080065205 A KR 20080065205A KR 100895412 B1 KR100895412 B1 KR 10089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ed housing
pair
rotar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소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서 filed Critical 소윤서
Priority to KR102008006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412B1/ko
Priority to JP2011517342A priority patent/JP2011527227A/ja
Priority to PCT/KR2009/003660 priority patent/WO2010005210A2/ko
Priority to CN2009801261805A priority patent/CN10208333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의 판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의 통공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과 결합되는 회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줄은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줄통과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에 형성된 권취부에 권취된 후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줄통과공으로 취출되되, 상기 회전하우징이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권취부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의복, 핸드폰, 줄, 길이, 조절, 길이 조절

Description

줄 길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a line}
본 발명은,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퍼나 운동복, 모자 등에는 착용한 후에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허리둘레나 머리둘레 등을 조절하는 조절끈(이하, 줄이라고 함)이 구비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줄은 통상적으로 줄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끝단에 줄을 따라 움직이는 고정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클립은 중앙부로 줄이 관통되어 통과되면서 줄에 밀착되어 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밀착이 해제되면서 다시 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복 및 모자의 둘레 및 형상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클립은 줄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줄의 전제적인 길이는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여분의 줄이 걸리적거리거나, 뒤엉키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줄과 클립을 분리하기가 힘들어 의복을 세탁할 경우에는 클립이 세탁기의 내부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세탁기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6011호로서 줄 길이 조절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등록된 기술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의류에 부착된 줄이 자동으로 감겨지면서 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의 경우, 태엽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여 등록번호 제10-0828906호로서 등록받은 바 있다.
다만, 상기의 기술은 부품이 3개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지난번 등록 받은 등록번호 제10-0828906호의 기술을 개선하여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앙의 판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 정하우징의 통공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과 결합되는 회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줄은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줄통과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에 형성된 권취부에 권취된 후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줄통과공으로 취출되되, 상기 회전하우징이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권취부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는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은 판면에 다수의 절취공이 형성된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회전 허용 걸쇠는,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한 쌍의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통공의 인접면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크는 상기 한 쌍의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로 마련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줄통과공은 각각 상기 고정하우징의 스커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결합 영역에는,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가, 그리고 다른 하나에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면이 다른 하나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의 '줄' 이란 점퍼, 운동복, 모자, 신발 등에 마련된 '줄' 일 수도 있고, 혹은 헤드폰 줄, 이어폰 줄, MP3 줄, 목걸이 줄, 컴퓨터 전선 줄 등일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한고 '줄' 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각각 회전하우징 및 고정하우징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는 크게,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을 구비한다.
이처럼 줄 길이 조절장치가 두 개의 부품인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번호 20-0436011호 및 등록번호 제10-0828906호에 비해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고장률도 낮아지게 된다.
물론, 부품의 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L)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고정하우징(10)에 대해 살펴보면, 고정하우징(10)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제1 판체(11)와, 제1 판체(11)의 둘레면에서 제1 판체(11)에 대해 가로로 형성되는 제1 스커트부(1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하우징(10)의 제1 판체(11)의 중앙 판면에는 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스커트부(15)에는 줄(L)이 통과하는 제1 및 제2 줄통과공(15a,15b)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및 제2 줄통과공(15a,15b)은 반드시 고정하우징(10)의 제1 스커트부(15)에 마련될 필요는 없다.
즉, 제1 및 제2 줄통과공(15a,15b) 중 어느 하나 혹은 두 개 모두는 고정하우징(10)의 제1 판체(11)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제1 및 제2 줄통과공(15a,15b) 중 하나는 고정하우징(10)에 나머지는 회전하우징(30)에 형성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다만, 제1 및 제2 줄통과공(15a,15b)이 고정하우징(10)의 제1 스커트부(15)에 마련되면서 상호대칭되게 위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줄통과공(15a,15b)을 통해 노출된 줄(L)을 당기는 조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고정하우징(10)이 소정의 탄성력, 다시 말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이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신축, 혹은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고정하우징(10)의 제1 판체(11)의 판면에는 다수의(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님) 절취공(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판체(11)와 제1 스커트부(15)는 두께가 얇은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면서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회전하우징(30)에 대해 살펴보면, 회전하우징(30) 역시 고정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제2 판체(31)와 제2 판체(31)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 스커트부(35)를 구비한다. 제2 판체(31)에도 4개의 절취공(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2 판체(31)와 제2 스커트부(35)는 전술한 제1 판체(11)와 제1 스커트부(15)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고정하우징(10)에 형성된 통공(13)과 대응되는 위치의 회전하우징(30)에는 통공(13)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는 줄(L)이 실질적으로 권취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즉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는 도시 않은 권취부를 구비하여 줄(L)이 권취 및 권취해제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고정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우징(30)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축심을 형성하기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는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는, 통공(13)을 통과하는 한 쌍의 로드(41)와, 한 쌍의 로드(41)의 단부에 마련되어 통공(13)의 인접면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후크(42)로 이루어진다.
이에, 한 쌍의 로드(41)를 좁히면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 전체는 통공(13)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삽입된 후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한 쌍의 로드(41)가 상호간 벌어지면서 한 쌍의 후크(42)가 통공(13)의 인접면에 걸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은 상호간 결합될 수 있는데, 특히 회전하우징(30)은 고정하우징(10)에 대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부품인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에서, 줄(L)은 고정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줄통과공(15a)으로 삽입되어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권취부, 다시 말해 한 쌍의 로드(41) 사이의 공간인 권취부를 경유한 후 고정하우징(1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줄통과공(15b)으로 취출되게 장착된다.
참고로, 위에서는 권취부를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라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권취부는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40) 사이의 공간과 한 쌍의 로드(41)를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줄(L)의 설치 시 줄(L)이 통과하는 부분은 한 쌍의 로드(41) 사이의 공간이지만, 추후에 줄(L)이 권취되는 부분은 한 쌍의 로드(41)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에 한 쌍의 로드(41)에 별도의 권취용 돌기(미도시)를 더 마련하는 경우라면 이 권취용 돌기가 권취부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된 후, 고정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우징(3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줄(L)이 한 쌍의 로드(41)의 외면에 권취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줄(L)의 길이는 짧아지게 되며, 반대로 회전하우징(3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아니면 양측으로 노출된 줄(L)의 양쪽을 잡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자동으로 회전하우징(30)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줄(L)이 풀려 줄(L)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또한 제1 및 제2 판체(11,31)의 판면에 다수의 절취공(12,32)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은 도 2의 점선과 같이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양 손가락으로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을 잡고 누르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인 도 2의 점선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힘이 제거되고 나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에 원래의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탄성이 작용함에 따라 줄(L)이 견고하게 권취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 당시에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의 접근 거리, 혹은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의 탄성 정도 등을 적절하게 설계할 경우, 줄(L)의 권취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하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을 단순히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서 권취된 줄(L)이 임의로 권취해제(풀리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고정하우징(10)이나 회전하우징(30) 중 어느 하나가, 아니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 모두가 전술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면서 이들을 결합시키게 되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이 결합된 후에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이 상호간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계속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 허용 걸쇠(40)에 권취된 줄(L)이 아무런 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권취해제(풀리는)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이 상호 결합되는 결합 영역을 살펴보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의 제1 및 제2 스커트(15,35)에는 상호 맞물리는 돌기부(16)와 돌기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6)는 고정하우징(10)에, 그리고 돌기홈(36)은 회전하우징(30)에 형성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고정하우징(10)의 제1 스커트부(15)는 회전하우징(30)의 제2 스커트부(35)의 내측에 위치된다. 즉 회전하우징(30)의 제2 스커트부(35)가 고정하우징(10)의 제1 스커트부(15)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형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보면 돌기부(16)를 고정하우징(10)에 4개 마련하고 있으나, 돌기부(16)는 1개 마련되어도 좋으며, 이러한 경우 회전하우징(30)에 마련되는 돌기홈(36)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16)는 1개, 그리고 돌기홈(36)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마련되는 경우, 돌기부(16)와 돌기홈(36)이 맞물리는 위치에 따라 회전하우징(30)의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하우징(30)의 회전각에 따라 줄(L)이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를 알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부(16)와 돌기홈(36)의 결합력에 의해 줄(L)이 임의로 풀리는 현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와 같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을 상호간 결합시키기 전에 줄(L)을 미리 해당 위치에 끼우고, 도 3과 같이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을 상호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우징(3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줄(L)이 한 쌍의 로드(41)의 외면에 권취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줄(L)의 길이는 짧아지게 되면서 줄(L)의 길이가 조절된다.
반대로, 회전하우징(3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아니면 양측으로 노출된 줄(L)의 양쪽을 잡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자동으로 회전하우징(30)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줄(L)이 풀려 줄(L)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서 줄(L)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한 쌍의 로드(41)에는 한 쌍의 로드(41)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42) 외에, 한 쌍의 로드(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후크(42a)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다수의 후크(42a)가 더 마련되는 경우, 고정하우징(10)에 대한 회전하우징(30a)의 접근 거리를 조절하면서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a) 간에 발생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줄(L)의 권취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고정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우징(30a)을 더 깊숙이 눌러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30a)을 결합시키게 되면 탄성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줄(L)이 임의로 권취해제되는 현상을 보다 더 방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수의 후크(42a)의 개수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도시된 것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반대로, 돌기부(36a)가 회전하우징(30b)에, 그리고 돌기홈(16a)이 고정하우징(10b)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구성하더라도 동작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다만, 도 6과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하우징(10b)이나 회전하우징(30b)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서 덧살부(17)가 더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며 그래야만 고정하우징(10b)과 회전하우징(30b) 간에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덧살부(17)를 고정하우징(10b)에 형성하고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인용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조적으로 도시된 것일 뿐 도면의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시된 판체들의 두께나 형상, 스커트부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돌기부 및 돌기홈의 형상 및 위치, 개수 등은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고정 및 회전하우징 모두에 절취공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고정 및 회전하우징에 탄성력이 부여될 수만 있다면 절취공은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절취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 및 회전하우징에 탄성력을 부여하기에 좀 더 바람직할 수는 있을 것이고, 또한 그만큼 무게와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 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의 측면도,
도 4의 (a) 및 (b)는 각각 회전하우징 및 고정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하우징 11 : 제1 판체
12 : 절취공 13 :통공
15 : 제1 스커트부 16 : 돌기부
30 : 회전하우징 31 : 제2 판체
35 : 제2 스커트부 36 : 돌기홈
40 : 회전 허용 걸쇠

Claims (8)

  1. 중앙의 판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의 통공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하우징과 결합되는 회전하우징을 포함하며,
    줄은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줄통과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에 형성된 권취부에 권취된 후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줄통과공으로 취출되되, 상기 회전하우징이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권취부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며,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결합 영역에는,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가, 그리고 다른 하나에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허용 걸쇠는 상호간 접근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은 판면에 다수의 절취공이 형성된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허용 걸쇠는,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한 쌍의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통공의 인접면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는 상기 한 쌍의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로 마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줄통과공은 각각 상기 고정하우징의 스커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고정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면이 다른 하나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080065205A 2008-07-07 2008-07-07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89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205A KR100895412B1 (ko) 2008-07-07 2008-07-07 줄 길이 조절장치
JP2011517342A JP2011527227A (ja) 2008-07-07 2009-07-04 紐長さ調節装置
PCT/KR2009/003660 WO2010005210A2 (ko) 2008-07-07 2009-07-04 줄 길이 조절장치
CN2009801261805A CN102083336B (zh) 2008-07-07 2009-07-04 绳长度调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205A KR100895412B1 (ko) 2008-07-07 2008-07-07 줄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412B1 true KR100895412B1 (ko) 2009-05-06

Family

ID=4086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205A KR100895412B1 (ko) 2008-07-07 2008-07-07 줄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527227A (ko)
KR (1) KR100895412B1 (ko)
CN (1) CN102083336B (ko)
WO (1) WO2010005210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831U (ko) 1979-10-29 1981-06-05
JPS5969354A (ja) 1982-10-08 1984-04-19 Tsurayuki Suzuki コ−ド類巻取装置
JPH11246126A (ja) 1998-03-06 1999-09-14 Katsutoshi Osako コード巻取り装置
JP2002029663A (ja) * 2000-07-12 2002-01-29 Lec Inc コード巻き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831A (en) * 1979-11-07 1981-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Preparation for screen
JPH073050Y2 (ja) * 1988-07-21 1995-01-30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JPH10316315A (ja) * 1997-05-21 1998-12-02 Sadao Nagumo ひも、コード類の巻取り器
JP2986458B1 (ja) * 1998-08-07 1999-12-06 緑電子株式会社 コード余長巻取り器
JP2002260405A (ja) * 2001-03-02 2002-09-13 Fuji Ereaato:Kk 装飾照明
US7387272B2 (en) * 2005-03-03 2008-06-17 Nike, Inc. Hidden drawstring assembly
KR100828906B1 (ko) * 2008-01-02 2008-05-09 소윤서 끈 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831U (ko) 1979-10-29 1981-06-05
JPS5969354A (ja) 1982-10-08 1984-04-19 Tsurayuki Suzuki コ−ド類巻取装置
JPH11246126A (ja) 1998-03-06 1999-09-14 Katsutoshi Osako コード巻取り装置
JP2002029663A (ja) * 2000-07-12 2002-01-29 Lec Inc コード巻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5210A2 (ko) 2010-01-14
WO2010005210A3 (ko) 2010-03-04
CN102083336B (zh) 2013-06-19
JP2011527227A (ja) 2011-10-27
CN102083336A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800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US7305996B2 (en) Elastic band
KR100797639B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100929587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884486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89541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US20070226875A1 (en) Headwear capable of maintaining shape of crown
JP3803910B2 (ja) イヤホーンコード絡み防止具
KR100828906B1 (ko) 끈 길이 조절장치
KR100888149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800450B1 (ko) 끈 조절 마스크
US2580477A (en) Adjustable fastening device
KR102186262B1 (ko) 무늬가변형 루어 유닛
KR101204777B1 (ko) 넥워머 및 넥워머의 제조방법
JP3130457U (ja) イヤホンコード保持具及びそれを有する衣服
KR10088946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JP2001299791A (ja) 顎バンド
JP4773323B2 (ja) 釣り用指サック
KR102660808B1 (ko) 탄성 손실 방지 기능을 갖는 헤어 액세서리
KR200384145Y1 (ko) 단추걸림고리를 구비한 넥타이
KR200389919Y1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TWM545621U (zh) 泳鏡邊扣結構
KR200387769Y1 (ko) 목걸이줄 겸용 코드를 가진 이어폰
US20190125053A1 (en) Decorative article of apparel
JP5590749B2 (ja) 防寒用耳当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