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360B1 -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360B1
KR100895360B1 KR1020077017888A KR20077017888A KR100895360B1 KR 100895360 B1 KR100895360 B1 KR 100895360B1 KR 1020077017888 A KR1020077017888 A KR 1020077017888A KR 20077017888 A KR20077017888 A KR 20077017888A KR 100895360 B1 KR100895360 B1 KR 10089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witch
pushbutton
operating body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874A (ko
Inventor
다카유키 사카이
에이지 유아사
Original Assignee
아이뎃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뎃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뎃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1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36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Abstract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아래쪽 이동시에 스위치를 압압하는 압압체가 스위치 케이스내에 배치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케이스내에는 압압시에 압압체에 맞닿음하여 압압체를 아래쪽 이동시키는 조작체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의 주변 테두리에는, 스위치 케이스의 주변 테두리에 걸어 맞추는 복수의 걸어맞춤 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의 압압시에는, 조작체의 압압 부위에 따른 걸어맞춤 개소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의 압압 부위가 하향으로 회전한다.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압압체, 스위치 케이스, 조작체, 걸어맞춤 개소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PUSHBUTTON SWITCH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가 스위치 케이스 내의 중앙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배치 설치된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스위치 케이스 내의 중앙부에 발광소자가 배치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용 등에 적용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 케이스 내의 중앙부에 발광소자가 배치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용에 적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1)의 하면 측에 프린트 기판(3)이 배치 설치되어, 이 프린트 기판(3)의 상면에 발광 다이오드 (이하, LED로 칭한다)(5)가 장착되어, 원추대의 주면상(周面狀)의 반사면을 가지고 이 LED(5)의 광을 상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reflector)(7)가 LED(5)와 함께 스위치 케이스(1) 내의 거의 중앙부에 임하여 배치 설치되어, 프린트 기판(3)의 리플렉터(7)의 우측에, 예를 들면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 구성되는 내장 스위치(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푸시버튼(11)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조작체(13)가 스위치 케이스(1)의 상면을 폐색(閉塞)하도록 배치 설치되어, 푸시버튼(11)의 압압(押壓)에 의해 조작체(13)가 일체적으로 압하(押下)되어, 압하된 조작체(13)에 의해 내장 스위치(9)의 상면 측에 배치 설치된 스위치 편(片)(9a)이 가요성을 가지는 고무(15)를 거쳐서 하방으로 압압되어 내장 스위치(9)가 온(on)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조작체(13)의 좌단(13a)이 스위치 케이스(1)의 좌단의 단차부(段差部)(17)상에 얹혀 놓혀져서 스위치 케이스(1)의 좌상단의 걸림 돌기(lock protrusion)(19)의 하면에 걸리고, 조작체(13)의 우단 하면에 하방으로 수하(垂下)하여 일체 형성된 갈고리 모양부(13b)가, 스위치 케이스(1)의 우단의 단면 L자 모양의 걸어 맞춤부(21)에 하방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걸어 맞춤하고 있다.
그리고, 고무(15)의 탄성에 의해서 조작체(13)에는 상향으로 가압력(付勢力)이 부여되어, 푸시버튼(11)의 압압(押壓)에 의해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체(13)가 압하(押下)되면, 조작체(13)의 좌단(13a)을 지점으로하여 조작체(13)의 우단의 갈고리 모양부(13b)가 도 15중의 화살표와 같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조작체(13)의 우단부 하면이 고무(15)를 압박하여 내장 스위치(9)의 스위치 편(9a)이 압하되어 내장 스위치(9)가 온(on)한다.
그런데, 푸시버튼(11)의 압압을 해제하면, 고무(15)의 탄성에 의해서 조작체(13)의 우단의 갈고리 모양부(13b)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조작체(13)의 우단의 갈고리 모양부(13b)가 다시 스위치 케이스(1)의 걸어 맞춤부(21)에 걸어 맞추어져서, 조작체(13)가 압하 전의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덧붙여, 조작체(13)로의 가압력은 고무(15) 이외의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서 주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의 다른 예로서, 푸시버튼의 압압시에 푸시버튼의 일단이 맞닿음 부재에 맞닿음하여, 그 일단을 지점으로하여 푸시버튼의 타단측이 회전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예로서, 푸시버튼 본체의 하면 측에 한 쌍의 지지축을 설치하고, 이들 양 지지축에 2매 겹침으로 접어 구부러진 스프링 부재를 걸고, 스프링 부재의 되접어 꺽은 편(片)에 의해 스위치를 압압 조작하도록 하고, 이 때 푸시버튼 본체의 어느 부분을 압압하여도 되접어 꺾은 편의 일부분을 지점으로하여 푸시버튼 본체가 눌러 내려지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4-119238호 공보(단락 0012 , 도 2)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5-266754호 공보(단락 0022,0023,0026, 도 8, 도 9)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이들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푸시버튼 혹은 푸시버튼 본체를 압압 조작했을 때의 지점이 1개뿐이기 때문에, 푸시버튼 혹은 푸시버튼 본체의 압압 부위에 의해서 지점으로부터 압압 부위까지의 거리가 크게 달라, 그 결과 지점에서 먼 부위와 가까운 부위에서 조작 하중의 차이가 커져서, 조작자에 대해서 가압 부위의 차이에 의한 조작 하중의 경중에 따른 위화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체 내지 푸시버튼의 압압부위에 관계없이 조작 하중을 거의 균일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가 스위치 케이스 내의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어긋나 배치 설치된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상향으로 가압(付勢)되어 배치 설치되어 아래쪽 이동시에 스위치를 압압하는 압압체와, 스위치 케이스 내의 압압체의 상방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 설치되어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벗어가지 않도록 주변 테두리의 복수의 걸어맞춤 개소(個所)가 스위치 케이스의 주변 테두리에 걸어 맞춤하여, 압압시에 하면 거의 중앙의 맞닿음부가 압압체의 상면 거의 중앙에 맞닿음하여 압압체를 상향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래쪽 이동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조작체의 압압시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에 따른 걸어맞춤 개소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의 압압 부위가 하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 형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절단 평면도이다.
도 5는 일실시 형태의 저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중의 X-X 선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중의 Y-Y 선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중의 Z-Z 선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이다.
도 9는 일실시 형태의 경사진 상방으로 부터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 형태의 경사진 하방으로 부터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의 저면측으로 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의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은 변형예의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은 종래예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도 1은 외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절단 평면도, 도 5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2중의 X-X 선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 도 7은 도 2중의 Y-Y 선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 도 8은 도 2중의 Z-Z 선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 도 9는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 도 10은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이다.
구성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도 1~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보아서 거의 장방형의 평판(50a)과, 모서리부를 피해 평판의 주변 테두리에 따라서 입설(立設)된 입설판(50b)으로 이루어진 수지제 스위치 케이스(50)가 설치되어, 이 스위치 케이스(50)의 우측전방을 제외한 3개의 모서리부에 통과하여 마련된 삽입통과 구멍(52)에 볼트가 삽입통과되어 스위치 케이스(50)가 소정의 설치 위치에 고정된다.
이 스위치 케이스(50)의 입설판(50b)으로 둘러싸인 내측에, 각종의 회로요소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54)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린트 기판(54)의 거의 중앙부에는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로 칭한다)가 장착되어, 이 LED를 둘러싸도록 리플렉터(56)가 스위치 케이스(50)에 고착되어, 리플렉터(56)에 의해서 LED가 발광하는 광이 상향으로 반사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리플렉터(56)의 좌측 주위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걸어맞춤 편(片)(56a), 및 리플렉터(56)의 우측 주위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어맞춤 편(56a)과는 다른 형상의 한 쌍의 걸어맞춤 편(56b)이, 스위치 케이스(50)의 입설판(50b)으로 둘러싸여진 내측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걸어맞춤 보스부에 각각 결합분리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것으로써 리플렉터(56)가 착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또, 삽입 통과구멍(52)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스위치 케이스(50)의 우측 전방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프린트 기판(54)의 각(角)위치에는, 외부 리드선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58)가 장착됨과 동시에, 리플렉터(56)의 우측에 택트 스위치(60)가 배치되어 프린트 기판(54)에 장착되어 있고,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편이 그 상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택트 스위치(60)가 스위치 케이스(50)내의 중앙부로부터 우단부 측으로 벗어나 배치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된 장방형의 틀 모양을 이루는 압압체(62)가 리플렉터(56)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이 압압체(62)의 좌단부에는 한 쌍의 연장편(62a)이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편(62a)의 선단에는 걸림 크로(lock claw)(62b)가 형성됨과 동시에, 스위치 케이스(50)의 좌측의 입설판(50b)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부(50c)가 형성되어, 양 걸림 크로(62b)의 하면이 스위치 케이스(50)의 상면에 맞닿음한 상태에서, 양 걸림 크로(62b)가 양쪽 걸림돌기부(50c)의 하측으로 삽입통과하고, 이것에 의해 양 걸림 크로(62b)가 스위치 케이스(50)에 착탈가능하게 걸리게 되어 있고, 이러한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 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스위치 케이스(50) 내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가압체로서의 스프링(66)의 가압력에 의해, 약간 상향으로 굴곡된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상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체(62)의 우단부가 눌러 내려지면, 압압체(62)의 우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가요성을 가지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인 고무(64)를 거쳐서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편을 압하하고, 이것에 의해 택트 스위치(60)가 온 한다.
그런데, 압압체(62)의 좌단부 중앙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위치 케이스(50)의 상면에는 원주(圓柱) 형상의 보스가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 보스에는 스프링(66)이 외장되어 압압체(62)의 좌단부와 스위치 케이스(50)와의 사이에 스프링(66)이 삽입되어, 이 스프링(66)에 의해 압압체(62)의 가압력이 조정되고 있다.
덧붙여, 걸린 압압체(62)의 양 걸림 크로(62b)의 중간부와 택트 스위치(60)의 중심과 스위치 케이스(50)의 중심이 평면에서 볼 때, 거의 동일 열(列)상에 배열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압압체(62)가 압하될 때에, 택트 스위치(60)의 압하시에 있어서의 압압체(62)의 모멘트를, 후술하는 조작체의 압압 부위에 관계없이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케이스(50)의 입설판(50b)으로 둘러싸여진 내측에 끼어넣기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수지제의 조작체(68)가 스위치 케이스(50)의 내측에 배치 설치되어, 이 조작체(68)의 중앙부에는 정방 형상의 통과 구멍(68a)이 관통형성되어, 이 통과구멍(68a)의 주변 테두리에 따라서 짧은 정사각 통(筒)부(68b)가 조작체(68)에 일체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조작체(68)의 좌단(일단) 및 우단(타단)의 하면에는 각각 외부로 향한 걸어맞춤 크로(engagement claw)(68c)가 한 쌍씩 형성되어, 이들 각 걸어맞춤 크로(68c)가 스위치 케이스(50)의 좌우의 입설판(50b)의 상단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50d)에 하방으로 부터 걸림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하여, 각 걸어맞춤 크로(68c)의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체(68)가 벗어나지 않도록 스위치 케이스(50)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68)의 좌우 단부의 중앙 하방에 위치하는 스위치 케이스(50)의 상면에는 각각 원주(圓柱) 형상의 보스가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들 보스에 다른 가압체로서의 스프링(70)이 외장 되어 조작체(68)와 스위치 케이스(50)와의 사이에 스프링(70)이 삽입되어, 이러한 양쪽 스프링(70)에 의해 조작체(68)가 항상 상향으로 가압 되고 있다.
이 때, 조작체(68)의 전후의 하면에는, 압압체(62)의 전후 단부의 중앙에 일체 형성된 맞닿음 편(片)(62c)에 각각 맞닿음하는 맞닿음 부가 형성되어,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조작체(68)가 압압 되었을 때에 조작체(68)의 양쪽 맞닿음부가 압압체(62)의 양쪽 맞닿음 편(62c)에 각각 맞닿음하여 압압체(62)를 압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인 푸시버튼(72)이 조작체(68)의 정사각 통부(68b)의 외주면 및 상면을 덮도록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정사각 통부(68b)의 각 둘레의 벽 외측의 하부 중앙에는 걸림 홈(68d)이 형성되어, 푸시버튼(72)의 각 둘레의 벽 내측의 하부 중앙에는 각 걸림 홈(68d)에 걸어 맞춤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걸림 돌기(72a)가 일체 형성되어, 각 걸림 돌기(72a)가 각 걸림 홈(68d)에 걸림 분리가능하게 걸려서, 푸시버튼(72)이 조작체(6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덧붙여, 푸시버튼(72)의 압압 조작에 의해 조작체(68)가 푸시버튼(72)과 일체적으로 압압되게 되기 때문에, 이하의 동작 등의 설명에서는, 푸시버튼(72)의 압압 부위를 조작체(68)의 압압 부위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중앙 누름의 동작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용 스위 치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푸시버튼(72)을 압압 조작했을 경우에는, 조작체(68)가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압압되어 압압체(62)가 압하되고, 택트 스위치(60)가 온(on)하여 LED가 점등하고, 도면 바깥쪽의 제어 회로에 의해 LED의 점등 상태가 소정 조건의 성립(엘리베이터의 문의 개방 등)까지 유지되어, 푸시버튼(72)을 통하여 LED의 점등이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금, 도 2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중앙인 B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거의 중앙부에 가해진다. 이 때, 조작체(68)는 각 걸어맞춤 크로(68c)의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의 어느 것을 지점으로 하는 일이 없고, 조작체(68)는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평행이동하고,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양쪽의 맞닿음부에 그대로 전해진다. 이 때, 압압시에 양쪽 맞닿음부를 통하여 조작체(68)가 받는 반력은, 양쪽 스프링(70)과 압압체(62)와 스프링(66)의 각 복원력의 합력이고, 이것이 조작 하중에 상당한다.
그 결과, 조작체(68)의 양쪽 맞닿음부가 압압체(62)의 양쪽 맞닿음 편(62c)에 각각 맞닿음하여 압압체(62)가 압하되어,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아래로 움직이고, 이것에 의해 고무(64)를 통해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편이 압하되어 택트 스위치(60)가 온(on)한다.
단부 누름의 동작(end depressing operation)
다음은, 도 2중에 도시된 푸시버튼(72)의 중앙 B부분의 좌측의 A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좌단부 가까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체(68)을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 중 좌측의 스프링(70)이 우측보다 강하게 압축되고, 그 결과 조작체(68)의 좌단부가 우측의 양쪽 걸어 맞춤 크로(68c)와 양쪽 걸어 맞춤 돌기(50d)와의 걸어 맞춤 개소(P1, P2)를 지점으로하여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체(68)의 좌단부의 아래쪽 이동에 의해, 조작체(68)의 양쪽 맞닿음부가 압압체(62)의 양쪽 맞닿음 편(6c)에 맞닿음하여 압압체(62)에 압압력이 전달되어, 압압체(62)가 압하되어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 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아래로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 고무(64)를 통하여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 편이 압하되어 택트 스위치(60)가 온 한다.
한편, 도 2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중앙 B부분의 우측의 C부분이 압압 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우단부 가까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 중 우측의 스프링(70)이 좌측보다 강하게 압축되어, 그 결과, 조작체(68)의 우단부가 좌측의 양쪽 걸어맞춤 크로(68c)와 양쪽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P3,P4)를 지점으로하여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체(68)의 우단부의 아래쪽 이동에 의해, 조작체(68)의 양쪽 맞닿음부가 압압체(62)의 양쪽 맞닿음 편(62c)에 맞닿음하여 압압체(62)에 압압력이 전달되어, 압압체(62)가 압하되어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아래로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 고무(64)를 통해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 편이 압하되어 택트 스위치(60)가 온 한다.
이 때, 푸시버튼(72)의 A 부분 및 C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을 대비하면, 압압 부위인 A 부분에서 지점(P1,P2)까지의 거리와, 압압 부위인 C 부분에서 지점(P3,P4)까지의 거리는 거의 같게 되어, 게다가 푸시버튼(72)의 A 부분 및 C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체(68)가 받는 반력도 거의 같기 때문에, 푸시버튼(72)의 A 부분 및 C 부분을, 각각 압압 했을 때의 조작 하중에 거의 차이는 없다.
또한,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A(또는 C)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을 대비하여도,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A(또는 C)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체(68)가 받는 반력에 큰 차이가 없게 됨으로써,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A(또는 C)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는 작고, 종래와 같이 푸시버튼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지점이 1 개로, 그 지점으로 부터 먼 부위를 압압했을 때와 가까운 부위를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만큼 커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A(또는 C)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은 사용자가 위화감을 기억할 만큼 커지는 일이 없고, 거의 같은 조작 하중이 된다.
그런데, 도 2중에 나타나는 푸시버튼(72)의 중앙 B 부분의 후측의 E 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후단부 가까이에 가해지지만,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은 똑같이 압축되나, 조작체(68)의 후단부 가까이의 압압으로 인하여, 각 걸어맞춤 크로(68c)와 각 걸어 맞춤 돌기(50d)와의 걸어 맞춤 개소중 앞측, 즉 상기한 P2, P4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68)의 후단부가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체(68)의 후단부의 아래쪽 이동에 의해, 조작체(68)의 적어도 후측의 맞닿음 부가 압압체(62)의 맞닿음 편(62c)에 맞닿음하든가, 또는 양쪽 맞닿음부가 양쪽 맞닿음편(62c) 각각에 맞닿음하여 압압체(62)에 압압력이 전달되어, 이것에 의해 압압체(62)가 압하되어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아래로 이동하여, 고무(64)를 통해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 편이 압하되어 택트 스위치(60)가 온 한다.
또한, 도 2 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중앙 B 부분의 앞측의 H 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전단부 가까이에 가해지지만,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은 똑같이 압축되나, 조작체(68)의 전단부 가까이의 압압으로 인하여 , 각 걸어맞춤 크로(68c)와 각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 중 후측, 즉 상기한 P1, P3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68)의 전단부가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체(68)의 전단부의 아래쪽 이동에 의해, 조작체(68)의 적어도 앞측의 맞닿음 부가 압압체(62)의 맞닿음 편(62c)에 맞닿음하든가, 또는 양쪽 맞닿음부가 양쪽 맞닿음 편(62c) 각각에 맞닿음하여 압압체(62)에 압압력이 전달되어, 이것에 의해 압압체(62)가 압하되어,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고무(64)를 통해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편이 압하되어 택트 스위치(60)가 온 한다.
이 때, 푸시버튼(72)의 E 부분 및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을 대비하면, 압압부위인 E 부분에서 지점(P2,P4)까지의 거리와, 압압 부위인 H 부분에서 지점(P1,P3)까지의 거리는 거의 같게 되고, 게다가 푸시버튼(72)의 E 부분 및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체(68)가 받는 반력도 거의 같기 때문에, 푸시버튼(72)의 E 부분 및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에 거의 차이는 없다.
또한,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E(또는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을 대비해도,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E(또는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체(68)가 받는 반력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부터,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E(또는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는 작고, 종래와 같이 푸시버튼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지점이 1 개로, 그 지점에서 먼 부위를 압압했을 때와 가까운 부위를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정도)만큼 커지는 것은 없다. 따라서,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E(또는 H)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은, 사용자가 위화감을 기억할 만큼 커지는 일이 없고, 거의 같은 조작 하중이 된다.
구석 누름의 동작(corner depressing operation)
더욱, 도 2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좌측 후방측의 D 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좌측 후단부 가까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 중 좌측의 스프링(70)이 우측보다 강하게 압축되어, 우측 전방측의 양쪽 걸어맞춤 크로(68c)와 이것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 P2 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68)의 좌측 후단부를 주(主)로 하여 좌단부가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우측 후방측의 F 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우측 후단부 가까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 중 우측의 스프링(70)이 좌측보다 강하게 압축되어, 좌측 전방측의 걸어맞춤 크로(68c)와 이것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 P4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68)의 우측 후단부를 주로 하여 우단부가 양쪽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한편, 도 2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좌단부의 G 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좌단부 가까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중 좌측의 스프링(70)이 우측보다 강하게 압축되어, 우측 후방측의 양쪽 걸어맞춤 크로(68c)와 이것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 P1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68)의 좌측 전방단부를 주로 하여 좌단부가 양쪽 용수철(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더우기, 도 2중에 나타내는 푸시버튼(72)의 우측 전방측의 I 부분이 압압되면, 푸시버튼(72)으로의 압압력이 조작체(68)의 우측 전단부 가까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체(6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양쪽 스프링(70) 중 우측의 스프링(70)이 좌측보다 강하게 압축되어, 좌측 후방측의 양쪽 걸어맞춤 크로(68c)와 이것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돌기(50d)와의 걸어맞춤 개소 P3를 지점으로하여, 조작체(68)의 우측 전단부를 주로 하여 우단부가 양쪽 용수철(70)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체(68)의 좌단부의 아래쪽 이동에 의해, 조작체(68)의 양쪽 맞닿음부가 양쪽 맞닿음 편(62c) 각각에 맞닿음하여 압압체(62)에 압압력이 전달되어, 이것에 의해 압압체(62)가 압하되어, 압압체(62)의 우단부가 양 걸림 클로(62b)의 걸림부분을 지점으로하여 아래로 이동하여, 고무(64)를 통해 택트 스위치(60)의 스위치 편(片)이 압하되어 택트 스위치(60)가 온 한다.
이 때, 푸시버튼(72)의 D 부분 및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을 비교하면, 압압부위인 D 부분으로부터 지점 P2까지의 거리와, 압압부위인 F 부분에서 지점 P4까지의 거리는 거의 같게 되고, 게다가 푸시버튼(72)의 D 부분 및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체(68)가 받는 반력도 거의 같기 때문에, 푸시버튼(72)의 D 부분 및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에 거의 차이는 없다.
또한,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D(또는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을 대비하여도,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D(또는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체(68)가 받는 반력에 큰 차이가 없게 됨으로써,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D(또는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는 작고, 종래와 같이 푸시버튼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지점이 1개로, 그 지점에서 먼 부위를 압압했을 때와 가까운 부위를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만큼 커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D(또는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은, 사용자가 위화감을 기억할 만큼 커지는 일이 없고, 거의 같은 조작 하중이 된다.
또한, 푸시버튼(72)의 G 부분 및 I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은, 푸시버튼(72)의 D 부분 및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와 같은 이유로부터 거의 같게 되어,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G(또는 I)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의 조작 하중의 차이에 대해서도, 푸시버튼(72)의 B 부분 및 D(또는 F) 부분을 각각 압압했을 때와 동일한 이유로부터, 사용자가 위화감을 기억할 만큼 커지는 일이 없고, 거의 같은 조작 하중이 된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히 푸시버튼(72)의 중앙 이외의 단부나 모서리부를 압압하는 경우에, 푸시버튼(72)의 압압 부위 즉 조작체(68)의 압압 부위와, 거기에 따른 조작체(68)의 아래쪽 이동시의 지점과의 거리가 거의 같게 되어, 조작체(68)의 압압 부위에 관계없이 조작 하중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더우기, 지점(P1, P2)을 우측에, 지점(P3,P4)을 좌측에 배치하여, 지점(P1,P2)사이에 우측의 스프링(70)을, 지점(P1,P2)사이에 좌측의 스프링(70)을 각각 배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조작체(68)의 압압 부위(푸시버튼(72)의 압압 부위)에 따라 적정한 지점에서 조작체(68)를 하향으로 회전(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조작 하중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압압체(62)의 양 걸림 크로(62b)의 걸림 부위와 택트 스위치(60)의 중심과 스위치 케이스(50)의 중심이 평면에서 보아 동렬상에 배열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68)의 압압에 의해서 압압체(62)의 거의 중앙부에 조작체(68)가 맞닿음하여 압압체(62)가 압하될 때에, 조작체(68)의 압압 부위(푸시버튼(72)의 압압 부위)에 관계없이 압압체(62)에 의한 택트 스위치(60)의 압하시에 있어서의 압압체(62)의 모멘트는 거의 같게 되어, 조작 하중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형 예
다음, 도 11 내지 도 14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이며, 도 11은 외관 사시도, 도 12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경사진 상방으로 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4는 경사진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단, 도 11 내지 도 1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혹은 상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변형 예에 있어서의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의 기본 구성은 상기한 실시 형태와 거의 같고, 압압체(62)의 맞닿음 편(62c)을 삭제하여, 조작체(68)의 전후의 하면의 맞닿음 부를 압압체(62)의 전후 단부의 중앙에 각각 직접 맞닿음 시켜 압압체(62)를 압하하도록 한 점이 상위하다.
이렇게 하면, 압압체(62)의 맞닿음 편(62c)을 삭제한 만큼, 압압체(62)를 소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상술한 것 이외로 여러 가지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케이스(50)를 비롯하여, 가압체(62)나 조작체(68)를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들은 원형 그 외의 대칭 형상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체(68)에 푸시버튼(72)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했지만, 조작체(68)가 푸시버튼(72)을 일체화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더우기,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로서, 반드시 LED 나 램프 등의 발광소자를 내장할 필요는 없다. 스위치 케이스(50)에 배치 설치하는 스위치도 상기한 택트 스위치(6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체(62)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스프링(66)을 설치하고 있지만, 가압력에 따라서 스프링(66)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삭제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체의 압압시에 압압체의 상면 거의 중앙에 조작체가 맞닿음 하여 압압체가 상향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 조작체의 압압시에, 조작체의 압압부위에 따른 걸어맞춤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체의 압압 부위가 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체의 압압 부위에 따른 지점이 절환되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가 어디라도 압압 부위와 지점과의 거리가 거의 같게 되어, 종래와 같이 지점이 1 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체의 압압 부위에 관계없이 조작 하중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압압체를 가압체(付勢體)에 의해 가압(付勢)하면, 가압체의 상향으로의 가압에 의해서, 조작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압압체 자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가압체에 의해 가압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우기, 조작체가 상향으로 가압 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의 하중의 격차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압압체를 가압체에 의해 가압하는 것으로, 조작 하중을 조정할 수 있고, 조작체를 다른 가압체에 의해 가압하는 것으로, 조작체의 압압 부위의 하중의 격차를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압압체 자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가압체에 의해 가압 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조작체가 다른 가압체에 의해 가 압 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의 하중의 격차를 저감할 수 있다.
더우기, 압압체의 일단의 걸림 부위와 스위치의 중심과 스위치 케이스의 중심이 평면에서 보아서 동렬상에 배열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에 의해서 압압체의 거의 중앙부에 조작체가 맞닿음하여 압압체가 압하될 때에, 조작체의 조작 부위에 관계없이 압압체에 의한 스위치의 압하시에 있어서의 모멘트는 거의 일정하게 되어, 조작 하중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체의 복수의 걸어 맞춤 개소가, 조작체의 주변 테두리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와 지점과의 거리를 압압 부위에 관계없이 거의 같게 할 수 있어, 조작 하중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의 각 걸어맞춤 개소 중 일부가, 걸려진 압압체의 일단부와 같은 측에 형성되어, 조작체의 각 걸어맞춤 개소의 나머지가 그 반대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와 지점과의 거리를 압압 부위에 관계없이 거의 같게 할 수 있어, 조작 하중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우기, 압압체 및 조작체가 거의 장방형이나 원형 등의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압압 부위와 지점과의 거리의 균일성을 용이하게 담보할 수 있어, 조작 하중의 균일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용에 적용하는데 한정하지 않고, 이른바 복사기의 스타트 스위치를 비롯하여, 특히 발광소자를 내장하여 스위치 조작의 유무를 발광 상태에 의해서 알리는 전자 기기용의 각종 스위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스위치가 스위치 케이스내의 중앙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어긋나 배치 설치된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내에 배치 설치되고, 일단측이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걸리고, 이 걸림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상향으로 가압되어 아래쪽으로 이동시에 상기 스위치를 압압(押壓)하는 압압체(押壓體)와,
    조작체로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의 상기 압압체의 상방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주변 테두리의 복수의 걸어맞춤 개소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주변 테두리에 걸어 맞추어져서, 압압시에 조작체 하면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중앙에 위치하는 맞닿음부가 상기 압압체의 상면에 맞닿음하여 상기 압압체를 상향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의 압압시에, 상기 조작체의 압압 부위에 따른 상기 걸어맞춤 개소를 지점으로하여 상기 조작체의 압압 부위가 하향으로 회전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가 가압체(付勢體)에 의해 가압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압압체의 일단이 상기 스위 치 케이스에 걸리는 것으로 타단 측에 가압력이 부여되고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향으로 가압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는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조작체가 다른 가압체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걸리는 것으로 타단 측에 가압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조작체가 다른 가압체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3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의 일단의 걸림 부위와 상기 스위치의 중심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중심이 평면에서 보아 동렬상에 배열되고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복수의 상기 걸어맞춤 개소가, 상기 조작체의 주변 테두리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상기 각 걸어맞춤 개소 중 일부가, 걸려진 상기 압압체의 일단부와 같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체의 상기 각 걸어맞춤 개소의 나머지가 그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 및 상기 조작체가 장방형이나 원형 등의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KR1020077017888A 2007-08-02 2006-02-02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KR10089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7888A KR100895360B1 (ko) 2007-08-02 2006-02-02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7888A KR100895360B1 (ko) 2007-08-02 2006-02-02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874A KR20070101874A (ko) 2007-10-17
KR100895360B1 true KR100895360B1 (ko) 2009-04-29

Family

ID=3881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888A KR100895360B1 (ko) 2007-08-02 2006-02-02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033A (ja) 1983-09-01 1985-04-22 ルトヴイヒ ホイマン ウント コンパニ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顆粒製造方法
JPS60147033A (ja) 1984-01-11 1985-08-02 Hitachi Ltd ガスタ−ビン予混合燃焼器
KR20030071625A (ko) * 2002-03-01 2003-09-06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누름 버튼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033A (ja) 1983-09-01 1985-04-22 ルトヴイヒ ホイマン ウント コンパニ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顆粒製造方法
JPS60147033A (ja) 1984-01-11 1985-08-02 Hitachi Ltd ガスタ−ビン予混合燃焼器
KR20030071625A (ko) * 2002-03-01 2003-09-06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누름 버튼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874A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0665B2 (en) Pushbutton switch device
US20160322180A1 (en) Microswitch keyboard
WO2008026474A1 (fr) Dispositif commutateur à bouton-poussoir
JP200325727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TW201743362A (zh) 鍵開關裝置
JP2006331813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1659448B1 (ko) 푸시 스위치
JP200633181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養生装置
KR100895360B1 (ko)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685188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JP4629412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US7009127B2 (en) Switch comprising an operating rocker button
JP200503270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20150003315A (ko) 누름 버튼 스위치
CN110828218B (zh) 键盘装置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JP2006024504A (ja) スイッチボタン構造
JP2008305694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保持構造
CN111968873B (zh) 键盘
JP2004538742A (ja) 電子的な端末装置
JP200632404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70013665A (ko) 키버튼 조립체
US6377756B1 (en) Operation button used for portable apparatus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