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830B1 -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830B1
KR100894830B1 KR1020080113955A KR20080113955A KR100894830B1 KR 100894830 B1 KR100894830 B1 KR 100894830B1 KR 1020080113955 A KR1020080113955 A KR 1020080113955A KR 20080113955 A KR20080113955 A KR 20080113955A KR 100894830 B1 KR100894830 B1 KR 10089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vertical
support body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형
Original Assignee
(주)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11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낙석방지책의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이 기초콘크리트(100)에 매입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12)로 구성되되 후면날개부(13)에는 좌,우 한쌍의 볼트홀(131)이 종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지주체(10)와, 상기 지주체(10)의 수직부(11)와 경사부(12)에 대응되게 수직판(21) 및 경사판(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판(21) 및 경사판(22)의 후면에는 중간에 끼움홈(231)이 형성된 돌출단(23)이 구비되는 한편,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볼트(a)로 체결되도록 돌출단(2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볼트홀(221)이 형성된 보강대(20)와, 상기 보강대(20)의 수직판(21) 및 경사판(22)에 대응되게 수직판(31) 및 경사판(32)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보강대(20)의 돌출단(23)에 형성된 끼움홈(231)에 와이어(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23)이 삽입되도록 고정홈(331)이 구비된 한쌍의 돌출단턱(33) 사이에 삽입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턱(33)의 양측에는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형성된 볼트홀(131)에 보강대(20)에 형성된 볼트홀(221)과 공히 볼트(a)로 고정되도록 볼트홀(321)이 형성된 고정대(30)와, 상기 보강대(20) 및 고정대(3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면개방부(41) 및 유선형의 후면부(42)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의 측면부(43)에는 와이어(200)가 끼움되는 끼움장공(431)이 형성되며, 하단 양측으로는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고정홀(441)이 구비된 측면플랜지(44)가 형성된 하부고정커버(4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대, 고정대, 하부고정커버

Description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A fixing apparatus of wire using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형강의 플랜지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가공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H형강 1개당 제작비와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대 및 고정대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지만 와이어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시켜 자재비 상승분을 상쇄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끝에서 끝으로 삽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현장적용시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낙석방지책의 시공방법 및 구조를 살펴보면, 현재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낙석방지책은 도1 및 도3에서와 같이 낙석위험지역의 차도변에 설치된 기초콘크리트(100) 위에 H형강(1)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운 다음 H형강(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구멍(3)으로 와이어(200)를 삽입하고, 소켓(4)을 이용 와이어의 스플라이스(5)를 고정한 다음 스플라이스(5)를 양단에 위치한 강관지주에 삽입한 후 너트로 팽팽하게 당겨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낙석방지책의 문제점은
첫째,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동하기 전 H형강의 플랜지(7)에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구멍 천공으로 인한 가공비가 상승하게 된다.
둘째, 와이어를 끼우기 위해 H형강에 천공하는 구멍이 H형강의 후면날개부(6)에 접하여 있는 플랜지부분이기 때문에 유압천공기에 의한 신속한 가공이 어려워 고가의 드릴가공에 의해 천공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셋째, 와이어가 H형강의 구멍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낙석이 떨어질 경우 와이어가 받는 하중을 H형강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못하고 와이어의 인장력과 양단에 위치한 강관지주 및 버팀대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적 결함이 있다.
넷째, 와이어의 양단을 낙석방지책의 양쪽 끝에 위치된 강관에 의해 팽팽하게 긴장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름철 기온 상승에 의해 와이어의 열팽창이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누적되어 와이어가 이완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번째, 낙석이 떨어져 와이어에 하중이 전달될 경우 인장력이 양 끝에 위치한 두 개의 강관에 집중되기 때문에 강관지주에 경사방향으로 버팀대를 별도로 설치해 주어야 되는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다.
여섯번째, H형강에 천공된 와이어삽입구멍에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끝부분에 위치한 H형강에 천공된 와이어삽입구멍(3)을 통해 와이어를 반대편 끝으로 순차적으로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어렵고 공기가 길어져 공사비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일곱번째, 낙석이 떨어졌을 때 와이어로부터 H형강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H형강의 후면날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서 전달되기 때문에 H형강의 강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중간에서 전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덟번째, 낙석발생 후 강관지주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H형강이 변형을 일으킨 경우 보수를 위해 모든 와이어를 H형강으로부터 빼낸 다음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보수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형강의 플랜지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가공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H형강 1개당 제작비와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대 빛 고정대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지만 와이어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시켜 자재비 상승분을 상쇄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끝에서 끝으로 삽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현장적용시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옹벽에 인접한 비탈면에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기초콘크리트에 끝단이 매입되어 설치되는 지주체에 와이어로프가 결합되는 구성의 충격흡수용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하단이 기초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되 후면날개부에는 좌,우 한쌍의 볼트홀이 종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지주체와, 상기 지주체의 수직부와 경사부에 대응되게 수직판 및 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판 및 경사판의 후면에는 중간에 끼움홈이 형성된 돌출단이 구비되는 한편, 지주체의 후면날개부에 볼트로 체결되도록 돌출단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볼트홀이 형성된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수직판 및 경사판에 대응되게 수직판 및 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보강대의 돌출단에 형성된 끼움홈에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이 삽입 되도록 고정홈이 구비된 한쌍의 돌출단턱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턱의 양측에는 지주체의 후면날개부에 형성된 볼트홀에 보강대에 형성된 볼트홀과 공히 볼트로 고정되도록 볼트홀이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보강대 및 고정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면개방부 및 유선형의 후면부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의 측면부에는 와이어가 끼움되는 끼움장공이 형성되며, 하단 양측으로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고정홀이 구비된 측면플랜지가 형성된 하부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낙석방지책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H형강의 플랜지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가공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H형강 1개당 제작비와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고정바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지만 와이어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시켜 자재비 상승분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끝에서 끝으로 삽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현장적용시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와이어의 양단에 하중이 집중되는 구조가 아닌 각각의 H형강이 독립적으로 하중으로 전달받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이 분산되어 낙석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된다.
한편, 낙석발생 후 H형강이 변형을 일으킨 경우 기존과 같이 와이어를 일일이 빼낼 필요 없이 H형강의 후면날개부에 부착된 보강대와 고정대 및 하부고정커버 를 제거한 다음 변형된 H형강을 교체한 후 다시 부착하면 보수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보수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로의 낙석방지책의 와이어 고정장치는 그 중요 구성요소가 크게 지주체(10)와 보강대(20)와 고정대(30) 및 하부고정커버(40)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지주체(10)는 하단이 기초콘크리트(100)에 매입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12)로 구성되되 후면날개부(13)에는 좌,우 한쌍의 볼트홀(131)이 종방향으로 다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강대(20)는 상기 지주체(10)의 수직부(11)와 경사부(12)에 대응되게 수직판(21) 및 경사판(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판(21) 및 경사판(22)의 후면에는 중간에 끼움홈(231)이 형성된 돌출단(23)이 구비되는 한편,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볼트(a)로 체결되도록 돌출단(2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볼트홀(221)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대(30)는 상기 보강대(20)의 수직판(21) 및 경사판(22) 에 대응되게 수직판(31) 및 경사판(32)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보강대(20)의 돌출단(23)에 형성된 끼움홈(231)에 와이어(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23)이 삽입되도록 고정홈(331)이 구비된 한쌍의 돌출단턱(33) 사이에 삽입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턱(33)의 양측에는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형성된 볼트홀(131)에 보강대(20)에 형성된 볼트홀(221)과 공히 볼트(a)로 고정되도록 볼트홀(321)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부고정커버(40)는 상기 보강대(20) 및 고정대(3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면개방부(41) 및 유선형의 후면부(42)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의 측면부(43)에는 와이어(200)가 끼움되는 끼움장공(431)이 형성되며, 하단 양측으로는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고정홀(441)이 구비된 측면플랜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부는 와이어(200)를 H형강의 후면날개부(13)에 구멍이 천공되기 때문에 유압천공기에 의한 신속한 가공이 가능하여 가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지주체(10)를 기초콘크리트(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입하여 설치한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보강대(20)를 거치후 와이어(200)를 보강대(20)의 끼움홈(231)에 삽입시키게 되며, 이어서 고정대(30)의 삽입홈(332)에 보강대(20)의 돌출단(23)을 끼우고 동시에 고정대(30)의 고정홈(331)에 와이어(200)가 삽입되도록 한 후 후면날개부(13)와 보강대(20) 및 고정대(30)에 공히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131,221,321)에 볼트(a) 및 너트(b)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1내지 도3은 종래의 낙석방지책을 도시한 도면.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낙석방지책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체 11 : 수직부
12 : 경사부 13 : 후면날개부
20 : 보강대 21 : 수직판
22 : 경사판 23 : 돌출단
30 : 고정대 31 : 수직판
32 : 경사판 33 : 돌출단턱
40 : 하부고정커버 41 : 전면개방부
42 : 후면부 43 : 측면부
44 : 측면플랜지 131,221,321 : 볼트홀
231 : 끼움홈 331 : 고정홈
332 : 삽입홈 431 : 끼움장공
441 : 고정홀
a : 볼트 b : 너트

Claims (1)

  1. 옹벽에 인접한 비탈면에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기초콘크리트(100)에 끝단이 매입되어 설치되는 지주체에 와이어로프가 결합되는 구성의 충격흡수용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하단이 기초콘크리트(100)에 매입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12)로 구성되되 후면날개부(13)에는 좌,우 한쌍의 볼트홀(131)이 종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지주체(10)와;
    상기 지주체(10)의 수직부(11)와 경사부(12)에 대응되게 수직판(21) 및 경사판(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판(21) 및 경사판(22)의 후면에는 중간에 끼움홈(231)이 형성된 돌출단(23)이 구비되는 한편,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볼트(a)로 체결되도록 돌출단(2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볼트홀(221)이 형성된 보강대(20)와;
    상기 보강대(20)의 수직판(21) 및 경사판(22)에 대응되게 수직판(31) 및 경사판(32)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보강대(20)의 돌출단(23)에 형성된 끼움홈(231)에 와이어(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23)이 삽입되도록 고정홈(331)이 구비된 한쌍의 돌출단턱(33) 사이에 삽입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턱(33)의 양측에는 지주체(10)의 후면날개부(13)에 형성된 볼트홀(131)에 보강대(20)에 형성된 볼트홀(221)과 공히 볼트(a)로 고정되도록 볼트홀(321)이 형성된 고정대(30)와;
    상기 보강대(20) 및 고정대(3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면개방부(41) 및 유선형의 후면부(42)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의 측면부(43)에는 와이어(200)가 끼움되는 끼움장공(431)이 형성되며, 하단 양측으로는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고정홀(441)이 구비된 측면플랜지(44)가 형성된 하부고정커버(4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낙석방지책의 와이어 고정장치.
KR1020080113955A 2008-11-17 2008-11-17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KR10089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55A KR100894830B1 (ko) 2008-11-17 2008-11-17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55A KR100894830B1 (ko) 2008-11-17 2008-11-17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830B1 true KR100894830B1 (ko) 2009-04-24

Family

ID=4075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55A KR100894830B1 (ko) 2008-11-17 2008-11-17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8296A (ja) * 2020-05-27 2021-12-13 ディガー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防護施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09Y1 (ko) 1999-04-09 2002-03-27 황상호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KR100343920B1 (ko) 1999-10-26 2002-07-19 (주)평화엔지니어링 가드 케이블 고정장치
KR20030037500A (ko) * 2001-11-01 2003-05-14 채종술 낙석 방지책 조립식 지주
KR20070005112A (ko) * 2005-07-05 2007-01-10 심석래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09Y1 (ko) 1999-04-09 2002-03-27 황상호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KR100343920B1 (ko) 1999-10-26 2002-07-19 (주)평화엔지니어링 가드 케이블 고정장치
KR20030037500A (ko) * 2001-11-01 2003-05-14 채종술 낙석 방지책 조립식 지주
KR20070005112A (ko) * 2005-07-05 2007-01-10 심석래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8296A (ja) * 2020-05-27 2021-12-13 ディガー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防護施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814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CN111379335A (zh) 一种钢筋混凝土柱与钢梁的节点连接装置
CN104005569A (zh) 一种托梁拔柱施工方法
JP6577155B1 (ja) 強度不足のブロック塀のフェンス塀への改築工法およびこの工法で使用する金具
KR100894830B1 (ko) 도로의 낙석방지책에 설치되는 와이어고정장치
CN102026746B (zh) 矫直设备、矫直方法以及用于组装矫直设备的方法
CN203393929U (zh) 可调节式楼梯临时防护栏杆
KR200386881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CN105755942B (zh) 一种铁路线简支t梁及其安装方法
CN213038845U (zh) 一种支撑系统
CN211815589U (zh) 一种公路桥梁安全防护栏结构
KR200430532Y1 (ko) 난간지지봉 결합구조
CN208201597U (zh) 混凝土地面钢模板加固装置及钢模板固定结构
JP6918613B2 (ja) 壁面構造および壁面の構築方法
KR101017894B1 (ko) 가설방음벽용 지주
KR101799237B1 (ko) 기둥 고정 기초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둥 고정 기초석
KR100881021B1 (ko) 지하통행공간의 시공을 위한 유닛강판구조와유닛강판구조를 이용한 굴착장치 및 지하통행공간의시공방법
CN109386167B (zh) 公路挡土墙上方波形护栏的施工方法
CN110847529A (zh) 一种安装方便的拼装式栏杆
CN218147865U (zh) 大桥纵桥向临时锚固结构
CN211572692U (zh) 一种临边防护架
CN219773616U (zh) 一种梁模板安装加固装置
CN220319205U (zh) 一种装配式飘窗施工用支撑体系
CN215469153U (zh) 一种剪力墙定位梯子筋焊接模具
CN213573338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栏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