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431B1 -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431B1
KR100894431B1 KR1020070030823A KR20070030823A KR100894431B1 KR 100894431 B1 KR100894431 B1 KR 100894431B1 KR 1020070030823 A KR1020070030823 A KR 1020070030823A KR 20070030823 A KR20070030823 A KR 20070030823A KR 100894431 B1 KR100894431 B1 KR 10089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program
broadcast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649A (ko
Inventor
다이스께 기꾸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7009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6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distributo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04H20/14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for monitoring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202)와,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203)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서버(103)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통신부(207)를 구비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TS/CH 정보를 서버(103)에 송신하고, TS/CH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TS 리스트를 서버(103)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TS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서버(103)에 요구하고, 해당 재생 요구에 따라서 서버(103)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재생부(203)에서 재생한다.
Figure R1020070030823
방송국, 중단 시각 정보, 프로그램 특정 정보, TS 리스트, 서버, 이동체 단말기

Description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MOBILE TERMIN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BROADCAST REPLA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1에 따른 서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고, 해당 중단한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에서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5는 실시 형태1에 서버 장치의 기억부 내에 등록된 TS/CH 정보의 일례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TS 리스트의 일례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TS 리스트를 변형한 일례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 형태2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 형태3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방송국
104 : 이동 통신망
105 : 인터넷
106 : 기지국
107 : 이동 통신 센터
108 : 모니터
109 : 프로그램 DB
201 : 제어부
202 : 방송 수신부
203 : 영상 재생부
204 : 표시부
205 : TS/CH 정보 등록부
206 : 기억부
207 : 데이터 통신부
208 : 전파 상태 검출부
209 : 지시 입력부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4-274562호 공보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 출원 2006-093182(2006년 3월 30일)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에 적합한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한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단말 장치(이하, 적절히 「이동체 단말기」라고 함)가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체 단말기에서는, 방송 전파의 권내에서는 프로그램 시청이 확보되지만, 프로그램 시청 중에 방송 전파의 권외로 이행하면 프로그램 시청은 중단되게 된다. 이러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에 대응하기 위해, 방송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것에 의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발생해도, 외출지에서 중단된 개소부터 시청을 가능하게 한 이동체 단말기(디지털 방송 수신 휴대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프로그램 분배국)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이 이동체 단말기에서는, 방송 전파의 수신이 도중에 끊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방송 수신 중단 시각 및 시청 중 프로그램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서버 장치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중단 개소부터의 동화상 데이터를 분배 받음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의 중단 개소부터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체 단말기 등에서는, 방송 전파의 권외로부터 권내로 복귀하면, 복귀 시에 서버 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중단 개소부터의 동화상 데이터가 분배되게 되기 때문에,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이 반대로 방해받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권내로 복귀한 타이밍에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모든 동화상 데이터의 분배를 행하는 경우, 실제로는 불필요한 프로그램의 분배도 통신 경유로 분배 되게 되기 때문에, 서버 장치의 부하가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체 단말기 등에서는, 방송 전파의 권외로 이행한 경우에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동화상 데이터만을 분배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체 단말기의 유저에게 있어서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권내에서도, 일시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하고 후에 시청하고자 한다고 하는 니즈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저해하지 않고,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유저가 바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만을, 서버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시청시킬 수 있는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체 단말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하는 서버 장치에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이동체 단말 장치로서,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상기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하고, 해당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서버 장치에 요구하고, 해당 재생 요구 에 따라서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가 서버 장치에 송신되고, 서버 장치에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가 생성되어, 이동체 단말기 장치에 송신된다. 이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이 서버 장치에 요구되고, 해당 재생 요구에 따라서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재생된다. 이 때문에,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유저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된 타이밍에 따라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송신되므로,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저해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만이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므로, 서버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 사유는, 방송 전파의 상태에 기인하는 사유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중단 사유에 따라서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유저가 바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시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해당 지시 입력부를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 지시를 접수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 지시에 따라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가 서버 장치에 송신되고, 해당 중단 시각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가 생성되므로, 이동체 단말 장치의 유저가 원하는 타이밍에서 프로그램 시청을 중단함과 함께, 해당 중단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후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 전파의 상태를 검출하는 전파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해당 전파 상태 검출부에 의한 방송 전파의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방송 전파의 상태(예를 들면, 권외 또는 권내)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가 서버 장치에 송신되고, 해당 중단 시각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가 생성되므로, 방송 전파의 상태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경우라도, 해당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후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단말기 본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해당 개폐 상태 검출부에 의한 개폐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동체 단말 장치의 개폐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가 서버 장치에 송신되므로, 이동체 단말 장치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중단 시각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개시하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종료하는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와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이 특정되기 때문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중단 개시 시각 정보로부터 중단 종료 시각 정보까지의 경과 시간을 감시하는 경과 시간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해당 경과 시간 감시부는, 상기 경과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중단 종료 시각 정보를 자동적으로 지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중단 종료 시각 정보가 지정되므로,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지시된 후, 그 중단을 해제하는 것을 잊은 경우에도,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계속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서버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 장치로서,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하는 영상 축적부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이동체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된 경우에 송신되는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와,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고, 이동체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해당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축적부로부터 취득하여 이동체 단말기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동체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가 생성된 후에 송신되며, 해당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축적부로부터 취득하여 이동체 단말기 장치에 송신한다. 이 때문에,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유저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된 타이밍에 따라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송신되므로,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저해 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만이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므로, 서버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 사유는, 방송 전파의 상태에 기인하는 사유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중단 사유에 따라서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유저가 바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시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 장치에서, 중단 시각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개시하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종료하는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구성하고, 영상 취득부는, 영상 축적부에 축적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중단 개시 시각 정보 및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특정되는 방송 프로 그램의 영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와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이 특정되기 때문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송 재생 시스템은,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함과 함께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와, 해당 이동체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며,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함과 함께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재생 시스템으로서,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서버 장치에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이동체 단말기 장치에 송신하고,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서버 장치에 요구하고, 서버 장치에서 재생을 요구받은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으로부터 취득하여 이동체 단말기 장치에 송신하고,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가 서버 장치에 송신되고, 서버 장치에서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가 생성되어, 이동체 단말 장치에 송신된다. 이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재생을 희망하 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이 서버 장치에 요구되고, 해당 재생 요구에 따라서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재생된다. 이 때문에,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유저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된 타이밍에 따라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송신되므로,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저해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만이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므로, 서버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 사유는, 방송 전파의 상태에 기인하는 사유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중단 사유에 따라서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유저가 바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시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되는 신규의 다양한 특성들이 본 명세서에 첨부되고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청구 범위에 상세하게 지적되어 있다. 본 발명, 그 동작상의 이점, 및 그 사용에 의해 달성된 구체적인 대상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이 참조될 것이며, 그 안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해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을 분배하는 방송국(101)과,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및 재생을 주로 행하는 이동체 단말기(102)와,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및 축적(녹화)을 주로 행하는 콘텐츠 서버 장치(이하, 「서버」라고 함)(1O3)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체 단말기(102)는, 예를 들면, PDC-P(Personal Digital Cellular-Packet)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이동 통신망(104), 및, 인터넷(105)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103)에 액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 단말기(102)는,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103)에 등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일부(또는 전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이동체 단말기(102)는, 이동 통신망(104) 상에 설치된, 가장 가까운 기지국(106)과 통신을 행하고, 이동 통신망(104) 및 인터넷(105)을 통해서 서버(103)와 통신을 행한다.
이동 통신망(104)에는, 이동 통신 센터(107)가 접속되어 있다. 이동 통신 센터(107)는, 인터넷(105)을 통해서 다른 단말 장치,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 등과 접속되어 있어, 이동 통신망(104)과 인터넷(105)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분배 기능, 메일 송수신 기능, 메일 축적 기능, 계약 고객 관리 기능, 정보 제공자(Information Provider) 관리 기능, 및, 정보료 과금 기능을 갖는다.
방송국(101)은, 예를 들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분배한다.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은, 가정 내에 설치되는 고정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탑재하는 이동체 단말기(102)나 서버(103)에서도 수신된다.
이동체 단말기(102)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탑재하여,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재생(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재생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그 중단 개소의 영상을 후에 시청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단 시각 정보에 상당하는 타임 스탬프 정보(이하, 「TS 정보」라고 함)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상당하는 채널 정보(이하, 「CH 정보」라고 함)를 서버(103)에 송출한다. 또한, 서버(103)로부터 송출 되는,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에 상당하는 타임 스탬프 리스트(이하, 적절히 「TS 리스트」라고 함)에 기초하여 시청을 중단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서 서버(103)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103)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탑재하여,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모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이하, 「프로그램 DB」라고 함)(109)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프로그램 DB(109)에는, 서버(103)에서 수신한 모든 채널 및 모든 시간대의 방송 프로그램이 등록되게 된다. 또한, 서버(103)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모니터 장치(108)에서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103)는, 예를 들면, 이동체 단말기(102)의 유저가 가정 내에서 관리해도 되고, 해당 방송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사업소 내에서 관리하도록 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10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으로, 통상의 이동체 단말기에 탑재되는 구성 요소는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동체 단말기(102)는, 단말기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01)를 구비하고, 해당 제어부(201)에 방송 수신부(202), 영상 재생부(203) 및 표시부(204)가 접속되어 있다. 방송 수신부(202)는,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영상 재생부(203)는, 방송 수신부(202) 및 후술하는 데이터 통신부(207)로부터 수취한 영상을 재생한다. 표시부(20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영상 재생부(203)에 의해 재생 지시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또한, 지시 입력 화면 등의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1)에 타임 스탬프/채널 정보 등록부(이하, 「TS/CH 정보 등록부」라고 함)(205) 및 기억부(206)가 접속되어 있다. TS/CH 정보 등록부(205)는, 후술하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전파 상태의 검출 결과 또는 지시 입력부(209)에서 접수한 지시 입력의 내용에 따라서 TS 정보 및 CH 정보를 지정하고, 기억부(206)에 등록한다. 기억부(206)는, 예를 들면,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지정된 TS 정보 및 CH 정보(이하, 적절히 「TS/CH 정보」라고 함)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206)에 기억되는 TS 정보는, 개시 시각 정보(개시 타임 스탬프 정보 : 개시 TS 정보) 및 종료 시각 정보(종료 타임 스탬프 정보 : 종료 TS 정보) 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201)에 데이터 통신부(207), 전파 상태 검출부(208) 및 지시 입력부(209)가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통신부(207)는, 서버(103)와의 사이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206)에 기억한 TS/CH 정보를 서버(103)에 송신 할 때, TS 리스트를 서버(103)에 요구할 때, 혹은,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서버(103)로부터 수신할 때 등에 필요하게 되는 통신 처리를 행한다. 전파 상태 검출부(208)는, 방송국(101)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전파의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송 전파의 상태가 권외인지, 권내인지를 검출한다. 지시 입력부(209)는, 해당 이동체 단말기(102)의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지시 입력부(209)는, 재생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일시적인 중단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시 입력부(209)에,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일시적인 중단 지시를 행하기 위한 버튼(이하, 「기록 버튼」이라고 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서버(103)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103)는,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301)를 구비하고, 해당 제어부(201)에 방송 수신부(302), 데이터 통신부(303) 및 기억부(304)가 접속되어 있다. 방송 수신부(302)는,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데이터 통신부(303)는, 이동체 단말기(102)와의 사이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TS/CH 정보를 수신할 때,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의 TS 리스트의 요구에 따라서 TS 리스트를 이동체 단말기(102)에 송신할 때, 혹은,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이동체 단말기(102)에 송신할 때 등에 필요하게 되는 통신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304)는,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303)에서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TS/CH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304)에서는,TS/CH 정보가 이동체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에 따라서 등록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를 식별 정보로서 전화 번호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식별 정보의 종별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이동체 단말기(102)의 제조 번호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302)에 타임 스탬프 생성부(이하, 「TS 리스트 생성부」라고 함)(305)가 접속되어 있다. TS 리스트 생성부(305)는, 기억부(304)에 기억된 TS/CH 정보를 이용하여 TS 리스트를 생성한다. TS 리스트 생성부(305)는,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303)에서 TS 리스트 요구를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TS 리스트의 생성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302)에 영상 등록부(306), 영상 재생부(307) 및 영상 취득부(308)가 접속되어 있다. 영상 등록부(306)는, 방송 수신부(302)에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프로그램 DB(109)에 등록한다. 영상 재생부(307)는, 방송 수신부(302)에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모니터(108)에 재생한다. 영상 취득부(308)는, 프로그램 DB(109)에 등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통신부(303)를 통해서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지정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프로그램 DB(109)로부터 취득한다.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는 이동체 단말기(102) 및 서버(103)에서, 방송국(1O1)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중단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 가능하게 한다. 그 때, 이동체 단말기(102)는,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 시에서의 개시 TS 정보, 종료 TS 정보 및 CH 정보를 등록함과 함께 서버(103)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103)에서 이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TS 리스트를 수신하고, 해당 TS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TS/CH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서버(103)로부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수신하고, 이것을 재생한다.
이하,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 방송국(101)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중단한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 방송국(101)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중단한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송국(101)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이 분배되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는, 방송 수신부(202)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스텝(이하, 「ST」로 약칭함)401). 그리고,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재생부(203)에서 재생한다(ST402). 이에 의해,유저는,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방송국(101)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이 분배되면, 서버(103)에서는, 방송 수신부(302)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T403). 그리고,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영상 등록부(306)에서 프로그램 DB(109)에 등록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DB(109)에는,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된 모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등록되어 가게 된다. 또한, 서버(103)에서는, 방송 수신부(302)에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영상 재생부(307)에서 재생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그 내용에 대해서 생략한다.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함과 함께, 서버(103)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등록해 가는 중,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유저에 의한 기록 버튼의 누름 또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전파 상태의 권외 상태의 검출 등의 TS/CH 정보의 등록 사유가 발생하면(ST405), TS/CH 정보 등록부(205)에서 TS/CH 정보를 기억부(206)에 등록한다(ST406). 그 후, 기억부(206)에 등록된TS/CH 정보가, 데이터 통신부(207)에 의해 서버(103)에 대하여 송신된다(ST407). 또한, 이동체 단말기(102)에서의 TS/CH 정보의 등록 사유의 발생에 수반하는 TS/CH 정보의 등록, 및, 서버(103)에의 송신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기억부(206)에 등록된 TS/CH 정보의 서버(103)에의 송신 타이밍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동체 단말기(102) 또는 서버(103)에서 관리되는 타이머값에 의해 송신하도록 해도 되고, 이동체 단말기(102)의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도래하는 TS/CH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3)에서, 해당 TS/CH 정보는 기억부(304)에 등록된다(ST408). 이와 같이 이동체 단말 기(102)에서 발생한 TS/CH 정보의 등록 사유가 발생할 때마다, TS/CH 정보가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서버(103)에 송신되어, 기억부(304)에 등록되어 간다.
예를 들면, 서버(103)의 기억부(206)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S/CH 정보가 등록된다. 도 5는 서버(106)의 기억부(304) 내에 등록된 TS/CH 정보의 일례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로서, 전화 번호 「090-xxxx-yyyy」가 등록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103)의 기억부(304)에는, 이동체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서, TS/CH 정보의 기록일, 개시 시각 정보(개시 TS 정보), 종료 시각 정보(종료 TS 정보) 및 채널 정보(CH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도 5에서, 기록일 「3월 31일」에는, 4개의 TS/CH 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기록일 「4월 1일」에는, 5개의 TS/CH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3월 31일에는, 10:00부터 12분간, 8채널에서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이 중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ST408에서,TS/CH 정보가 기억부(304)에 등록되어 가는 동안, 혹은, ST401∼ST407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하는 동안,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지시 입력부(209)를 이용한 TS 리스트를 요구하는 취지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면(ST409), TS 리스트를 요구하는 커맨드가, 데이터 통신부(207)에 의해 서버(103)에 대하여 송신된다(ST410).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도래하는 TS 리스트의 요구를 접수하면, 서 버(103)에서는,TS 리스트 생성부(305)에서 기억부(304) 내의 TS/CH 정보에 기초하여 TS 리스트를 생성한다(ST411). 그리고, 생성된 TS 리스트는, 데이터 통신부(303)에 의해 이동체 단말기(102)에 대하여 송신된다(ST412).
서버(103)로부터 도래하는 TS 리스트를 수신하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는, 표시부(204)에서 해당 TS 리스트를 표시한다(ST413). 표시부(204)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TS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6은 이동체 단말기(102)의 표시부(204)에 표시되는 TS 리스트의 일례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TS/CH 정보에 기초하여 TS 리스트가 생성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S 리스트에는, TS/CH 정보의 기록일, 개시 시각 정보(개시 TS 정보), 종료 시각 정보(종료 TS 정보), 채널 정보(CH 정보) 및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지시 내용이 등록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기록일 「3/31」에 4개의 TS/CH 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기록일 「4/1」에 5개의TS/CH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지시 내용으로서, 「재생」이 지정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지만, 지시 내용으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지시 내용, 예를 들면 「삭제」등을 지정하도록 해도 된다.
ST413에서, 표시부(204)에서 TS 리스트를 표시한 후, TS 리스트 내의 TS/CH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ST414), 해당 TS/CH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을 지시하는 커맨드가, 데이터 통신부(207)에 의해 서버(103)에 대하여 송신된다(ST415).
이동체 단말기(102)로부터, TS/CH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 지시를 접수하면, 서버(103)에서는, 영상 취득부(308)에서 해당 TS/CH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프로그램 DB(109)로부터 취득한다(ST416).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최상단의 TS/CH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는, 영상 취득부(308)는, 기록일인 「3/31」에서의 「8CH」의 방송 프로그램 중, 개시 시각인 「10:00」부터 종료 시각인 「10:12」까지의 영상을 잘라냄으로써, 해당 TS/CH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취득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데이터 통신부(303)에 의해 이동체 단말기(102)에 대하여 송신한다(ST417).
서버(103)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수신하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는, 영상 재생부(203)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한다(ST418). 이와 같이 하여, 방송국(101)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중단한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할 때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지시 입력부(2O9)에 의해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지시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도 8은,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검출 결 과의 내용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지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t1에서,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이 방송 수신부(202)에 의해 개시되면,이에 따라 시점 t2에서, 영상 재생부(203)에 의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국(101)으로부터 분배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하고 있는 동안에, 유저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이 소망되어, 시점 t3에서, 지시 입력부(209)로부터 기록 버튼이 눌러지면, 이에 따라서 시점 t4에서,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해당 시각 정보가 개시 TS 정보로서 등록됨과 함께, 그 때에 시청되고 있었던 채널이 CH 정보로서 등록된다.
그리고, 유저에게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사유가 해소되어, 시점 t5에서, 지시 입력부(209)로부터 다시 기록 버튼이 눌러지면, 이에 따라서 시점 t6에서,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해당 시각 정보가 종료TS 정보로서 등록된다. 이 종료 TS 정보의 등록까지 완료되면, 시점 t7에서, 데이터 통신부(207)에 의해 서버(103)에 대하여 TS/CH 정보가 송출된다.
그 후, 시점 t8에서, 방송국(101)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이 종료되면, 이에 따라서 시점 t9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서의 유저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TS/CH 정보가 등록됨과 함께, 해당 TS/CH 정보가 서버(103)에 대하여 송출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시점 t3에 대응하는 시점 t3'로부터 영상 재생부(203)에 의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고, 시점 t5에 대응하는 시점 t5'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재개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검출 결과의 내용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지시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t3에서,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해 권외가 검출된 경우에 이에 따라서 시점 t4에서,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해당 시각 정보가 개시 TS 정보로서 등록됨과 함께, 그 때에 시청되고 있었던 채널이 CH 정보로서 등록되는 점, 및, 시점 t5에서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해 권내로의 복귀가 검출된 경우에 이에 따라서 시점 t6에서,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해당 시각 정보가 종료 TS 정보로서 등록되는 점에서 도 7에 도시하는 경우와 상위하다. 이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서의 방송 전파의 전파 상태에 따라서 TS/CH 정보가 등록됨과 함께, 해당 TS/CH 정보가 서버(103)에 대하여 송출되게 된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207)에 의해 TS/CH 정보가 서버(103)에 송출되면, 서버(106)의 기억부(304)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S/CH 정보가 등록되게 된다. 그 후, 도 4의 ST409∼ST418에 나타내는 요령으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개소의 영상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TS/CH 정보가 서버(103)에 송신되고, 서버(103)에서 TS/CH 정보에 기초하여 TS 리스트가 생성되어, 이동체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이 TS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이 서버(103)에 요구되고, 해당 재생 요구에 따라서 서버(103)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된다. 이 때문에, TS 리스트로부터 유저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된 타이밍에 따라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송신되므로,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저해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시청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TS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만이 서버(103)로부터 송신되므로,서버(103)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유저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 사유는, 방송 전파의 상태에 기인하는 사유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중단 사유에 따라서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유저가 바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시청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가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입력부(209)를 구비하고, 해당 지시 입력부(209)를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 지시를 접수하면, TS/CH 정보를 서버(103)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유저로부터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 지시에 따라서 TS/CH 정보가 서버(103)에 송신되고, 해당 TS/CH 정보에 기초하여 TS 리스트가 생성되므로, 이동체 단말기(102)의 유저가 원하는 타이밍에서 프 로그램 시청을 중단함과 함께, 해당 중단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후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가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 전파의 상태를 검출하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를 구비하고, 해당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방송 전파의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TS/CH 정보를 서버(103)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방송 전파의 상태(예를 들면, 권외 또는 권내)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TS/CH 정보가 서버(103)에 송신되고, 해당 TS/CH 정보에 기초하여 TS 리스트가 생성되므로, 방송 전파의 상태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경우에도, 해당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후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TS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을 개시하는 개시 TS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을 종료하는 종료 TS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TS 정보를, 개시 TS 정보 및 종료 TS 정보로 구성함으로써, 개시 TS 정보와 종료 TS 정보로 프로그램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이 특정되기 때문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 서버(103)로부터 이동 체 단말기(102)에 송신되는 TS 리스트에,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 사유를 표시하는 것은 실시 형태로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권외의 검출 또는 유저에 의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 지시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전자를, 권외를 나타내는 안테나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후자를, 인물의 얼굴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아이콘으로 이들을 표시하지만, 문자 정보 등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변경한 경우에는, 유저가 TS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에 그 선택 동작을 보조하는 정보가 제공되므로,유저는 보다 간단하게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TS/CH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이 경우에는, 단속적으로 방송 전파의 상태가 절환되는 경우에 TS/CH 정보가 다수 등록되게 되어, 유저가 후에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특정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 권외로부터 권내로 복귀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한 경우에만 종료 TS 정보를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실시 형태로서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일정 시간을 1분으로 하여 종료 TS 정보의 등록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이와 같이 변경한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에서, 도 5와 마찬가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서는, 시점 t3에서,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해 권외가 검출된 후, 시점 t10에서, 권내로의 복귀가 검출되고, 다시 시점 t11에서, 다시 권외가 검출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시점 t11은, 시점 t10으로부터 45초밖에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시점 t10에 대응하는 시점에서 종료 TS 정보가 등록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0에서는, 시점 t5에서 권내로의 복귀가 검출된 후에는, 권외로의 이행이 1분 이상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시점 t5에 대응하는 시점 t6에서 종료 TS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변경한 경우에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중단할 때, 단속적으로 방송 전파의 상태가 절환되는 경우에서도, TS/CH 정보가 다수 등록되는 사태가 회피되므로, 유저가 후에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특정이 곤란해지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TS/CH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권외로의 이행에 따라서 개시 TS 정보 및 CH 정보가 등록된 후, 유저에 의해 채널이 변경된 경우에는, 유저가 후에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과 상위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102)에서는, 권외로 이행한 후, 채널이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채널에 대응하는 TS/CH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TS/CH 정보를 서버(103)에 송신한다. 도 6에서, 최하방의 2행의 TS/CH 정보는, 이와 같이 등록된 TS/CH 정보에 상당한다. 즉, 변경 전의 CH 정보로서 「1CH」가 지정된 TS/CH 정보(아래로부터 2행째)가 등록되어 있는 한편, 변경 후의 CH 정보로서 「8CH」가 지정된 TS/CH 정보(아래로부터 1행째)가 등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경한 경우에는, 권외로의 이행에 따라서 개시 TS 정보 및 CH 정보가 등록된 후, 유저에 의해 채널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채널에 대응하는 TS/CH 정보가 서버(103)에서 등록되므로,유저가 후에 재생을 희망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과 상위하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2)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전파 상태 검출부(208)에 의한 권외 상태의 검출, 혹은, 지시 입력부(209)를 이용한 유저에 의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 지시에 따라서 TS/CH 정보의 등록을 판단하고 있지만, TS/CH 정보의 등록의 판단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의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 단말기(102)가, 이동체 단말기(10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하는 개폐 상태 검출부(210)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과 상위하다. 개폐 상태 검출부(210)는, 이동체 단말기(102)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오픈 상태)인지, 폐쇄되어 있는 상태(클로즈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이러한 개폐 상태 검출부(210)를 구비하고,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TS/CH 정보의 등록을 판단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실시 형태1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102)의 구성 요소 외에, 개폐 상태 검출부(210)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파 상태 검출부(208)나 지시 입력부(209) 중 어느 한 쪽, 혹은 쌍방과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도, 방송국(101)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중단한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은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도 7 참조).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에서의 TS/CH 정보의 등록 사유가 개폐 상태 검출부(21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1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과 상위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2에서의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12는 개폐 상태 검출부(210)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TS/CH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 도 7과 마찬가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개폐 상태 검출부(210)에 의한 검출 결과의 내용에 따라서 TS/CH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t3에서, 개폐 상태 검출부(210)가 클로즈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이에 따라서 시점 t4에서, 해당 시각 정보를 개시 TS 정보로서 등록함과 함께, 그 때에 시청되고 있었던 채널을 CH 정보로서 등록하는 점, 및, 시점 t5에서, 개폐 상태 검출부(210)가 오픈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이에 따라서 시점 t6에서, 해당 시각 정보를 종료 TS 정보로서 등록하는 점에서 도 7에 도시하는 경우와 상위한다. 이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서의 이동체 단말기(102)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TS/CH 정보가 등록됨과 함께, 해당 TS/CH 정보가 서버(103)에 대하여 송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 따르면, 이동체 단말기(102)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TS/CH 정보가 등록됨과 함께, 해당 TS/CH 정보가 서버(103)에 대하여 송출되므로, 이동체 단말기(102)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TS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3)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 단말기(102)가, TS 정보의 상태를 감시하는 타임 스탬프 감시부(이하, 「TS 감시부」라고 함)(211)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과 상위하다. TS 감시부(211)는, TS/CH 정보의 등록 발생 사유에 의해 개시 TS 정보가 등록된 후, 종료 TS 정보가 소정 시간 이내에 등록되었는지의 여부 를 감시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이내에 종료 TS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TS/CH 정보 등록부(205)에 그 취지를 통지하고, 종료 TS 정보의 등록을 지시한다. 이러한 TS 감시부(211)를 구비하고, 실시 형태3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종료 TS 정보가 소정 시간 이내에 등록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종료 TS 정보의 등록을 판단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실시 형태2에 따른 이동체 단말기(102)의 구성 요소 외에,TS 감시부(211)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파 상태 검출부(208), 지시 입력부(209) 또는 개폐 상태 검출부(210)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 조합과 조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3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도, 방송국(101)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중단한 개소를 후에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은 실시 형태1 또는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도 7 참조). 실시 형태3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이동체 단말기(102)에서의 TS/CH 정보 중, 종료TS 정보가, 일정 시간 이내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자동적으로 해당 종료 TS 정보의 등록을 행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1 또는 실시 형태2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과 상위하다.
도 14는 실시 형태3에서의 이동체 단말기(1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14는 TS 감시부(211)에 의한 검출 결과의 내용에 따라서 종료 TS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 도 7과 마찬가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S 감시부(211)에 의한 검출 결과의 내용에 따라서 종료 TS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t4에서,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해당 시각 정보가 개시 TS 정보로서 등록됨과 함께, 그 때에 시청되고 있었던 채널이 CH 정보로서 등록된 후, TS 감시부(211)가, 일정 시간(예를 들면, 5분) 이내에 종료 TS 정보가 등록되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일정 시간 이내에 종료 TS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시점 t3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시점 t5에서,TS 감시부(211)가 그 취지를 TS/CH 등록부(205)에 통지하고, 이에 따라서 시점 t6에서,TS/CH 정보 등록부(205)에 의해, 해당 시각 정보가 종료 TS 정보로서 등록된다. 이 경우에는, 개시 TS 정보가 등록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종료 TS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종료 TS 정보가 자동적으로 등록됨과 함께, 해당 TS/CH 정보가 서버(103)에 대하여 송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3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 따르면, 개시 TS 정보가 등록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종료 TS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종료 TS 정보가 자동적으로 등록됨과 함께, 해당 TS/CH 정보가 서버(103)에 대하여 송출되므로,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지시된 후, 그 중단을 해제하는 것을 잊은 경우에도, 프로그램 시청의 중단이 계속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3에 따른 방송 재생 시스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시 TS 정보 및 CH 정보의 등록을, 유저로부터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의 중단 지시에 따라서 등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TS/CH 정보의 등록 사유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전파 상태 검출부(208)나 개폐 상태 검출부(211)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TS/CH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저해하지 않고, 시청이 중단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유저가 바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만을, 서버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시청시킬 수 있는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하는 서버 장치에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이동체 단말 장치로서,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상기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상기 서버 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재생 요구에 따라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상기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입력부를 통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 전파의 상태를 검출하는 전파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파 상태 검출부에 의한 방송 전파의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상태 검출부에 의한 개폐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시각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개시하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종료하는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개시 시작 정보로부터 상기 중단 종료 시각 정보까지의 경과 시간을 감시하는 경과 시간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과 시간 감시부는, 상기 경과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중단 종료 시각 정보를 자동적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
  7.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 장치로서,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하는 영상 축적부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된 경우에 송신되는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상기 영상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상기 영상축적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시각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개시하는 중단 개시 시각 정보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의 중단을 종료하는 중단 종료 시각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영상 취득부는, 상기 영상 축적부에 축적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중, 상기 중단 개시 시각 정보 및 중단 종료 시각 정보로 특정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9.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이동체 단말 장치와,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재생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면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 장치에서 상기 중단 시각 정보 및 프로그램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상기 재생 중단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재생을 희망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상기 서버 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서버 장치에서 재생이 요구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축적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이동체 단말 장치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재생 시스템.
KR1020070030823A 2006-03-30 2007-03-29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 KR100894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3182A JP2007267325A (ja) 2006-03-30 2006-03-30 移動体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放送再生システム
JPJP-P-2006-00093182 2006-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649A KR20070098649A (ko) 2007-10-05
KR100894431B1 true KR100894431B1 (ko) 2009-04-22

Family

ID=3828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823A KR100894431B1 (ko) 2006-03-30 2007-03-29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32225A1 (ko)
EP (1) EP1841110A2 (ko)
JP (1) JP2007267325A (ko)
KR (1) KR100894431B1 (ko)
CN (1) CN1010474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672B1 (ko) * 2007-10-15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CN101159847B (zh) * 2007-10-30 2012-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广播式手机电视业务切换到流媒体业务的系统和方法
KR101560626B1 (ko) 2008-06-26 2015-10-15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연동형 동영상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886112B2 (en) 2008-09-24 2014-11-11 Apple Inc. Media device with enhanced data retrieval feature
US20100076576A1 (en) * 2008-09-24 2010-03-25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broadcast media from a selected source
US20100075695A1 (en) * 2008-09-24 2010-03-25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trieving local broadcast source presets
US8452228B2 (en) 2008-09-24 2013-05-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ssociating a contact identifier with a broadcast source
CN102202131B (zh) * 2010-03-26 2014-06-04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的基于振动的应用激活
MX2013008044A (es) * 2011-03-01 2013-08-29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s y aparatos para reiniciar medios pausados.
US10338794B2 (en) 2015-05-15 2019-07-02 Spotify Ab Playback of media streams in dependence of a time of a d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852A (ko) * 2000-08-10 2002-05-30 추후보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동체 서버
JP2005253017A (ja) * 2004-03-08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放送記録再生方法並びに放送記録再生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283A (ja) * 2002-06-04 2004-01-15 Hitachi Ltd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JP4346969B2 (ja) * 2003-06-20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4631392B2 (ja) * 2004-10-27 2011-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放送受信機能付き折畳式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4385934B2 (ja) * 2004-12-01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サー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852A (ko) * 2000-08-10 2002-05-30 추후보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동체 서버
JP2005253017A (ja) * 2004-03-08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放送記録再生方法並びに放送記録再生プログラム
KR20060129521A (ko) * 2004-03-08 2006-12-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방송 기록 재생 방법 및 방송 기록 재생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7458A (zh) 2007-10-03
EP1841110A2 (en) 2007-10-03
JP2007267325A (ja) 2007-10-11
KR20070098649A (ko) 2007-10-05
US20070232225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431B1 (ko) 이동체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방송 재생 시스템
US8955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ntent access
TWI523535B (zh) 耗用內容及元資料之技術
US86551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 programming data management
US79913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JP2002064785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8079139A (ja) 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および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の制御方法
US20080244660A1 (en) Virtual set-top box tuner i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130013737A1 (en) Generation of data concerning reception of media content at a communication device
JP3776033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2077784A (ja) 番組関連情報提供装置、番組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番組関連情報提供方法
JP4320814B2 (ja) サーバー、制御方法、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0951234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シームレスな生放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064832A (ja) コンテンツ案内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案内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35957A (ja) 携帯端末
WO2001093588A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scheduled programs without local recording equipment
JP2004140460A (ja) テレビ放送自動記録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サーバ
KR20100053300A (ko)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2014007702A (ja) 映像受信装置、映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映像受信方法
US20090013355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1459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JP7250061B2 (ja) 映像受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方法
KR20100009352A (ko) 아이피 방송 수신기에서의 광고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762146B1 (ko) 방송 녹화/재생 시스템 및 녹화/재생 방법
JP2013197769A (ja)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