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160B1 -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 Google Patents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160B1
KR100893160B1 KR1020070134621A KR20070134621A KR100893160B1 KR 100893160 B1 KR100893160 B1 KR 100893160B1 KR 1020070134621 A KR1020070134621 A KR 1020070134621A KR 20070134621 A KR20070134621 A KR 20070134621A KR 100893160 B1 KR100893160 B1 KR 10089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ed
brine
ginseng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한국과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과기산업 filed Critical (주)한국과기산업
Priority to KR102007013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5Cyclic ventilation, e.g. alternating air supply volume or reversing flow dir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래방식의 인삼종자 개갑방법에서 탈피하여 모래와 자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인삼종자만을 가지고 개갑처리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삼종자의 부패를 방지하고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설치된 내벽에 의해 마련되며 내부에 열교환 매체인 브라인이 수용되는 브라인 수용부와, 상기 브라인 수용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인의 냉각에 필요한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싸이클과, 상기 내벽의 내측에 다수개로 적층되며 내부에 인삼종자가 저장되는 종자 저장용기와, 상기 종자 저장용기의 외측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종자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인삼종자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자 저장용기의 승강을 반복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싸이클, 세척수단, 진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인삼종자, 개갑, 세척, 진동

Description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Automatic dehisce apparatus for ginseng seed}
본 발명은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래방식의 인삼종자 개갑방법에서 탈피하여 모래와 자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인삼종자만을 가지고 개갑처리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삼종자의 부패를 방지하고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종자의 파종 후 발아까지의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배의 생장을 촉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배의 생장을 촉진시켜 종자 껍질을 벌어지게 하는 개갑처리를 해야한다.
인삼종자의 개갑처리는 7월 하순부터 늦어도 8월 초 이전에 종자를 개갑장에 넣어서 11월 상순까지 처리해야 하며, 인삼 재배과정의 시작이며 100% 재배농가의 노동력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어서 재배농가마다 시설이나 환경과 조건에 따라 개갑율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종래의 재래방식에 의한 인삼종자 개갑처리는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음지 또는 차광시설이 된 곳에 단열이 잘되게 시멘트나 나무로 개갑장을 만든 다음 자갈->굵은 모래->가는 모래->인삼종자->가는 모래->인삼종자->가는 모래->자갈 등의 순 서로 아래부터 적층하여 설치하고 기온이 높은 7-8월에는 1일/2회 9-10월은 1일/1회, 10-11월은 2-3일/1회 지하수를 급수하고 1달/1회 적층된 종자를 뒤집어주기를 약 100일 동안 수동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한편, 인삼종자의 개갑과 관련된 선행문헌들이 다음과 같이 제시되고 있다.
[문헌 1] 개갑인삼종자의 발아 적정 저온감응기간 : 권우생, 이장호, 이명구, 고려인삼학회지, 1226-8453, 제25권4호, pp.167-170, 2001.
[문헌 2] 저온저장중 개갑인삼종자내의 생리활성물질 동정 및 변화 : 권우생, 백남인, 이정명, 고려인삼학회지, 1226-8453, 제21권1호, pp.13-18, 1997.
[문헌 3] 저장기간과 인삼종자 발아력과의 관계 : 이장호, 이성식, 안인옥, 강제용, 이명구, 고려인삼학회지, 1226-8453, 제28권4호, pp.191-195, 2004.
[문헌 4] 종자크기가 묘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김종만, 이성식, 김요태, 고려인삼학회지, 1226-8453, 제5권2호, pp.85-91, 1981.
종래에는 인위적인 촉매제가 인삼종자의 개갑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인삼종자의 개갑장치에 의한 물리적 조건을 충족시켜 개갑을 생력화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 없었다.
따라서 기존 재래방식을 탈피해서 새로운 방식의 개갑처리에 대한 생력화 연구는 전무했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설치된 내벽에 의해 마련되며 내부에 열교환 매체인 브라인이 수용되는 브라인 수용부와, 상기 브라인 수용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인의 냉각에 필요한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싸이클과, 상기 내벽의 내측에 다수개로 적층되며 내부에 인삼종자가 저장되는 종자 저장용기와, 상기 종자 저장용기의 외측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종자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인삼종자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자 저장용기의 승강을 반복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싸이클, 세척수단, 진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는, 재래방식에 의한 개갑처리 시 보다 종자의 부패율을 현저히 줄이고 동일한 기간 내에 개갑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갑기간을 단축시켜 개갑 및 파종까지의 촉박한 일정으로 인해 야기되는 인건비나 파종이후 결주율을 대폭 줄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인삼 수확량을 향상시키므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 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설치된 내벽에 의해 마련되며 내부에 열교환 매체인 브라인이 수용되는 브라인 수용부와, 상기 브라인 수용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인의 냉각에 필요한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싸이클과, 상기 내벽의 내측에 다수개로 적층되며 내부에 인삼종자가 저장되는 종자 저장용기와, 상기 종자 저장용기의 외측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종자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인삼종자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자 저장용기의 승강을 반복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싸이클, 세척수단, 진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자 저장용기는 하우징의 공간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수직대에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본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결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본체의 내측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받침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동싸이클은 상기 브라인 수용부의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브라인 순환관과 연결되며,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필터드라이어, 싸이트그라스, 전자밸브,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수단은 외부 수돗물을 이용하여 인삼종자에 주기적으로 분사 공급 하는 다수의 노즐이 포함된 급수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수단은 외부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는 하우징의 내측벽에 형성된 단턱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방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브라인 수용부의 브라인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출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종자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종자 저장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냉동싸이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는 순수한 인삼종자만을 가지고 개갑처리 과정을 자동화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 브라인 수용부(2), 냉동싸이클(3), 종자 저장용기(4), 세척수단(5), 진동수단(6), 제어부(7)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별 요소에 대한 설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은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 개(12)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덮개(12)는 상기 하우징(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에어실린더에 의해 회동된다. 상기 하우징(1)은 우레탄 단열재가 충진되는 금속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의 온도는 15~2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는 하우징(1)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하우징(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급기관(18)이 설치되고, 하우징(1)의 타측에는 하우징(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관(19)이 설치된다. 따라서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 내부에 수시로 공급함으로써 오염원을 차단하여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브라인 수용부(2)의 브라인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브라인 수용부(2)와 연통되게 배출관(16)이 구비된다. 또한, 일단이 상기 하우징(1)의 단턱(15)을 관통하고 타단이 외부로 통과되는 배수관(17)이 더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17)을 통해 인삼종자를 세척하고 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브라인 수용부(2)는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에 설치된 내벽(13)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 브라인 수용부(2)의 내부에는 열교환 매체인 브라인이 수용된다. 브라인은 열 흡수를 매개하는 어는점이 낮은 용액으로서, 물과 에칠렌그리콜용액이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냉동싸이클(3)은 상기 브라인 수용부(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 인의 냉각에 필요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냉동싸이클(3)은 상기 브라인 수용부(2)의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11)를 포함하는 브라인 순환관(21)과 연결되며, 증발기(31), 압축기(32), 응축기(33), 수액기(34), 필터드라이어(35), 싸이트그라스(36), 전자밸브(37), 팽창밸브(38)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냉동싸이클(3)의 순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브라인 순환관(21)에 연결된 증발기(31)에서 증발된 저온 저압의 기체냉매가 압축기(32)에 유입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된다.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는 응축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응축기(33)는 공랭식 응축기이다. 압축기(32)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가 응축기(33)에 유입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액으로 응축된다.
응축기(33)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액은 수액기(34)에 저장되었다가 수액기(34)를 통과하여 필터드라이어(35)를 거치면서 냉매속의 이물질이 여과된다. 이때 싸이트그라스(36)를 통해 냉매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고, 전자밸브(37)에 의해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여과된 냉매액은 팽창밸브(38)에서 저온 저압의 냉매액으로 팽창되고, 팽창된 냉매액은 증발기(31)를 통하여 저온 저압의 냉매로 증발하면서 냉각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순환 과정을 통해 브라인을 냉각시키며, 냉각된 브라인을 순환시켜 피 냉각물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종자 저장용기(4)는 상기 내벽(13)의 내측에 다수개로 적층되며 내부에 인삼종자가 저장되게 된다. 상기 종자 저장용기(4)는 각형이나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종자 저장용기(4)는 하우징(1)의 공간부(11)에 수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수직대(14)에 삽입되도록 관통홀(411)이 형성된 돌출부(412)를 포함하고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배수구(413)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41)와, 상기 하부 본체(41)의 상부에 구비되는 메쉬망(42)과, 상기 메쉬망(42)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본체(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결합부(43)로 구성된다. 상기 메쉬망(42)은 세척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그물망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본체(41)의 돌출부(412)에 형성된 관통홀(411)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홀(411)에 삽입되는 수직대(14)의 하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장 하측에 위치한 종자 저장용기(4)가 낙하되지 않고 다단 적층 시 기초가 되도록 수직대(14)에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본체(41)의 하부에는 종자 저장용기(4)의 다단 적층 시 결합부(43)가 삽입되도록 결합부(43)의 직경과 동일한 홈(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본체(41)의 내측에는 다수의 홀(414a)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받침판(414)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414)을 통해 인삼종자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세척수단(5)은, 상기 종자 저장용기(4)의 외측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종자 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있는 인삼종자를 세척하는 것으로, 지하수 및 수돗물을 이용하여 인삼종자에 주기적으로 분사 공급하는 다수의 노즐(511)이 포함된 급수관(51)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511)은 종자 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있는 인삼종자를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각각의 종자 저장용기(4)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수단(6)은,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자 저장용기(4)의 승강을 반복하도록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진동이 종자 저장용기(4)에 전달되면서 떨림현상에 의해 인삼종자에 묻어있던 수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단(6)은 외부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에어실린더(61)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진동수단(6)은 공압 외에도 유압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는 상기 하우징(1)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온도조절기에 의해서 냉매용 밸브를 조작하여 브라인의 온도를 제어하며 난방의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고온의 고압가스를 이용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해놓은 시간에 따라 진동수단(6)과 세척수단(5)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로서, 제어부에 대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 하부에는 하우징(1)의 내측벽에 형성된 단턱(15)에 고정되는 고정판(81)과 상기 고정판(81)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방진스프링(82)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8)은 진동수단(6)에 의해 발생된 진동과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의 덮개(12)를 개방시키고 하우징(1)의 공간부(11)에 인삼종자가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종자 저장용기(4)를 적층시킨다.
종자 저장용기(4)의 적층이 완료되면 덮개(12)를 닫고 제어부(7)를 제어하여 세척수단(5)을 작동시킨다. 각 종자 저장용기(4)의 위치에 상응되게 세척수단(5)의 노즐(511)이 배치됨으로써 각 층별로 인삼종자를 청결히 세척할 수 있다.
인삼종자의 세척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해 놓은 시간에 맞추어 작동하다가 시간이 완료되면 자동 종료된다.
인삼종자의 세척이 완료되면, 인삼종자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진동수단(6)을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7)의 신호에 의해 공기 압축기가 작동하여 에어실린더(6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이에 에어실린더(61)가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승강하면서 종자 저장용기(4)에 진동이 전달되어 종자 저장용기(4)에 떨림현상이 발생하므로 인삼종자에 묻어있던 수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적절한 파종시기에 맞춰서 균질하고 우량한 종자를 보급함으로써 농가 소득에 큰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자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자 저장용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동싸이클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1 : 공간부, 12 : 덮개, 13 : 내벽, 14 : 수직대, 15 : 단턱, 16 : 배출관, 17 : 배수관, 18 : 급기관, 19 : 배기관ㅇ
2 : 브라인 수용부
21 : 브라인 순환관
211 : 순환펌프
3:냉동싸이클
31 : 증발기, 32 : 압축기, 33 : 응축기, 34 : 수액기, 35 : 필터드라이어, 36 : 싸이트그라스, 37 : 전자밸브, 38 : 팽창밸브,
4 : 종자 저장용기
41 : 하부 본체
411 : 관통홀, 412 : 돌출부, 413 : 배수구, 414 : 받침판, 414a : 홀
42 : 메쉬망
43 : 결합부
5 : 세척수단
51 : 급수관
511 : 노즐
6 : 진동수단
61 : 에어실린더
7 : 제어부
8 : 완충수단
81 : 고정판
82 : 방진스프링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12)가 설치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에 설치된 내벽(13)에 의해 마련되며 내부에 열교환 매체인 브라인이 수용되는 브라인 수용부(2)와,
    상기 브라인 수용부(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인의 냉각에 필요한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싸이클(3)과,
    상기 내벽(13)의 내측에 다수개로 적층되며 내부에 인삼종자가 저장되는 종자 저장용기(4)와,
    상기 종자 저장용기(4)의 외측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종자 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있는 인삼종자를 세척하는 세척수단(5)과,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자 저장용기(4)의 승강을 반복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수단(6)과,
    상기 하우징(1)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싸이클(3), 세척수단(5), 진동수단(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저장용기(4)는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에 수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수직대(14)에 삽입되도록 관통홀(411)이 형성된 돌출 부(412)를 포함하고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배수구(413)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41)와, 상기 하부 본체(41)의 상부에 구비되는 메쉬망(42)과, 상기 메쉬망(42)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본체(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결합부(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41)의 내측에는 다수의 홀(414a)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받침판(41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싸이클(3)은 상기 브라인 수용부(2)의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11)를 포함하는 브라인 순환관(21)과 연결되며, 증발기(31), 압축기(32), 응축기(33), 수액기(34), 필터드라이어(35), 싸이트그라스(36), 전자밸브(37), 팽창밸브(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5)은 외부 수돗물을 이용하여 인삼종자에 주기적으로 분사 공급하는 다수의 노즐(511)이 포함된 급수관(5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6)은 외부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에 의해 발 생된 압축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에어실린더(6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공간부(11) 하부에는 하우징(1)의 내측벽에 형성된 단턱(15)에 고정되는 고정판(81)과 상기 고정판(81)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방진스프링(82)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인 수용부(2)의 브라인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브라인 수용부(2)와 연통되는 배출관(16)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1)의 단턱(15)을 관통하고 타단이 외부로 통과되는 배수관(17)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하우징(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급기관(18)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하우징(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관(19)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KR1020070134621A 2007-12-20 2007-12-20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KR10089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21A KR100893160B1 (ko) 2007-12-20 2007-12-20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21A KR100893160B1 (ko) 2007-12-20 2007-12-20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160B1 true KR100893160B1 (ko) 2009-04-17

Family

ID=4075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621A KR100893160B1 (ko) 2007-12-20 2007-12-20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1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35B1 (ko) * 2011-03-17 2014-02-11 김갑석 인삼종자 개갑기
KR20200137168A (ko) * 2019-05-29 2020-12-0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종자 개갑장치
US20210392823A1 (en) * 2020-06-18 2021-12-23 David Fortenbacher Mobile trellis, components for use with mobile trellises, and horticultural environments incorporating at least one mobile trellis
KR20220003278A (ko) * 2020-07-01 2022-01-10 성정원 진동기능을 통한 식물의 공기정화 효율성을 높이는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70B1 (ko) 1999-09-16 2002-03-15 황한규 종자 발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71681Y1 (ko) 2004-10-18 2005-01-03 최창기 씨앗 발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70B1 (ko) 1999-09-16 2002-03-15 황한규 종자 발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71681Y1 (ko) 2004-10-18 2005-01-03 최창기 씨앗 발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35B1 (ko) * 2011-03-17 2014-02-11 김갑석 인삼종자 개갑기
KR20200137168A (ko) * 2019-05-29 2020-12-0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종자 개갑장치
KR102290669B1 (ko) * 2019-05-29 2021-08-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종자 개갑장치
US20210392823A1 (en) * 2020-06-18 2021-12-23 David Fortenbacher Mobile trellis, components for use with mobile trellises, and horticultural environments incorporating at least one mobile trellis
KR20220003278A (ko) * 2020-07-01 2022-01-10 성정원 진동기능을 통한 식물의 공기정화 효율성을 높이는 공기정화장치
KR102486666B1 (ko) * 2020-07-01 2023-01-09 성정원 진동기능을 통한 식물의 공기정화 효율성을 높이는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60B1 (ko)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KR101802874B1 (ko) 인삼 수경재배장치
CN105764329A (zh) 植物栽培系统、植物栽培装置及植物栽培方法
JP2007295878A (ja) 催芽種子形成装置及び催芽種子形成方法
CN106659133A (zh) 水耕栽培装置
CN103931297B (zh) 一种促进德国鸢尾种子萌发的方法
JP2012210168A (ja) 水耕栽培装置
KR101268260B1 (ko) 콩나물 재배기
JP2015029423A (ja) 水耕栽培装置及び方法
CN103947533B (zh) 生长环境可控的磁化水工厂化豆芽菜生产系统
JP2003189749A (ja) 縦型養液栽培装置
KR20170088122A (ko) 자동 물 공급 장치를 갖는 새싹 재배기
CN202635272U (zh) 一种家用豆芽机
WO2019140289A2 (en) Organic soil based automated growing enclosure
KR101250217B1 (ko)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JP2000083480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CN203884356U (zh) 生长环境可控的磁化水工厂化豆芽菜生产系统
CN205389614U (zh) 一种种植架
KR101444749B1 (ko) 자화활성수를 이용한 커피 생두 발아 방법
KR200351095Y1 (ko) 침수식 콩나물 재배기
KR102053839B1 (ko) 보일러를 구비하는 아쿠아포닉스(Aquaponics)시스템
KR101589215B1 (ko) 인삼종자 개갑장치
KR20040016631A (ko) 인삼 증숙장치
KR101191161B1 (ko)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KR100348469B1 (ko) 콩나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