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161B1 -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161B1
KR101191161B1 KR1020110073159A KR20110073159A KR101191161B1 KR 101191161 B1 KR101191161 B1 KR 101191161B1 KR 1020110073159 A KR1020110073159 A KR 1020110073159A KR 20110073159 A KR20110073159 A KR 20110073159A KR 101191161 B1 KR101191161 B1 KR 10119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sprout
sprout cultivation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 보 손
Original Assignee
천 보 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 보 손 filed Critical 천 보 손
Priority to KR102011007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정수와 이온수, 한방균사체와 맥반석 파우더를 섞은 영양수를 각각 담은 물탱크를 구비하여 모터와 여과기를 거쳐 공급관을 통해 맥반석과 게르마늄이 포함된 새싹 재배통으로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공급된 영양수는 배출관을 통해 저장탱크에 모여 다시 정수기를 통해 새싹 재배통을 공급하도록 한 것으로 많은 양의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생산하더라도 시설 장치비가 저렴하고 구동이 간편하며 생산에 따른 소모비용이 적어 생산원가가 절감 된고 구동시 소음이 적을 뿐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영양수를 공급함으로써 양질의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재배하여 제공할 수 있고, 영양소가 풍부한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peanut sprout planting systems}
본 발명은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재배하고자 해당 씨앗을 발아시킨 후 그 발아된 싹을 일정크기로 키우는 피넛 약용 새싹채소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와 이온수, 한방균사체와 맥반석 파우더를 섞은 영양수를 각각 담은 물탱크를 구비하여 모터와 여과기를 거쳐 새싹 재배통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피넛 약용 새싹채소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균일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아스파라긴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한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한 피넛 약용 새싹순 새싹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새싹채소는 씨앗을 발아하여 물만으로 10cm 이내가 되게 재배하는 채소를 의미하며, 이는 이미 콩나물, 숙주나물, 무순 등이 재배되고 있는 바, 이의 재배수단은 바구니 간은 곳에 씨앗을 담고 그 위에 빛을 차단하는 커버를 덮어씌운 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켜 재배하는 수단과, 육묘상자에 솜이나 스펀지를 일정한 두께로 깔고 물을공급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려 재배하는 수단과, 비닐하우스 내부에 상토와 모래, 또는 흙을 골고루 뿌린 후, 그 위에 씨앗을 빽빽하게 뿌려 물을 공급하여 재배하는 수단들이 이용되어 왔으며, 관련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 20-0407016호 다층식 육묘재배기와 특허 등록 10-0673967 멀티 새싹 재배기 등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한 종래의 새싹재배 수단들은 예로부터 고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단들인 바, 뿌려진 씨앗위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물 공급주기를 맞추지 못하여 재배속도가 저하되거나 일정하지 못하였으며,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되는 경우에는 씨앗이 부패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재배 시설 및 그 재배과정을 살펴보면 밀폐된 통속에 재배실을 설치하고 급수를 위하여 고압펌프로 물을 분사하며 재배실에 과습 등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 팬으로 재배실의 공기를 순환하며 재배 통을 회전하기 위한 감속 모터를 구동하여야 하며 이들은 결국 새싹채소의 생산 원가를 높이는 결과가 초래되고 또한 새싹채소들이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거나 영양분이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수와 이온수, 한방균사체와 맥반석 파우더를 섞은 영양수를 각각 담은 물탱크를 구비하여 모터와 여과기를 거쳐 공급관을 통해 맥반석과 게르마늄이 포함된 새싹 재배통으로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공급된 영양수는 배출관을 통해 저장탱크에 모여 다시 정수기를 통해 새싹 재배통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생산하더라도 시설 장치비가 저렴하고 구동이 간편하며 생산에 따른 소모비용이 적어 생산원가가 절감 된고 구동시 소음이 적을 뿐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영양수를 공급함으로써 양질의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재배하여 제공할 수 있고, 영양소가 풍부한 피넛 약용 새싹채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중 새싹 재배통 배양대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새싹 재배통의 분리 사시도.
정수 물탱크(1)에서 여과된 정수를 영양수 물탱크(2)로 공급하여 맥반석 파우더와 한방균사체를 영양수 물탱크(2)에 넣어 혼합한 후 펌프(3)를 통하여 공급관(4),(4')에 유입하고, 유입된 영양수는 공급관(4),(4')의 노즐(5),(5'),(5")을 통해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에 상, 하층으로 구분되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새싹 재배통(10),(10'),(10")으로 분사되며,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의 상측으로 예열기(17)를 구비하여 내부온도를 25℃ 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새싹 재배통(10),(10'),(10")에 공급되고,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의 각 층의 하측에 구비된 물저장부(7)에 일차적으로 모이게 되어 배수관(7-1)을 통해 저장탱크(8)에 저장되어 저장탱크(8)와 연결된 정수 물탱크(1)로 유입되어 여과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새싹 재배 과정에서 햇빛을 공급하기 위해 대체수단으로 조명(9)을 구비하고, 균사 예방을 위해 오존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오존수 물탱크(2-1)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정수 물탱크(1)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내부에 맥반석 게르마늄을 하부에 내입하고 그 위로 고운입자 형태로 된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각각 적층하고 있는 것으로 맥반석과 게르마늄의 성분에 포함된 무기물이 포함된 정수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영양수 물탱크(2)의 내부로는 수온을 항상 25℃ 정도로 유지하기 위한 발열기와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새싹 재배통(10),(10'),(10")은 내부에 우레탄 단열재를 충진하여 작물재배 시 온도변화를 예방함과 동시에 토양의 지열온도 효과가 있도록 한 것으로 게르마늄 재배통(11)이나 맥반석 재배통(12)을 내입하기 위해 내입부(13)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닥면에 배수공(14)을 형성하고 배수공(14)에 배수망(16)을 구비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으로 고리(15-1)가 구비된 씨앗 안치대(15)를 안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사용할 때는 새싹 재배통(10),(10'),(10")에 게르마늄 재배통(11)이나 맥반석 재배통(12)을 선택적으로 내입부(13)에 넣고 그 위로 씨앗을 골고루 얹은 씨앗 안치대(15)를 안착하여 상, 하층으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는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후 오존수 물탱크 (2-1)에서 오존수를 공급관(4),(4')을 통해 공급하여 씨앗 안치대(15)에 얹혀있는 씨앗이 잠길정도로 수위를 맞춘 후, 1시간 정도 경과한 뒤 다시 오존수를 씨앗의 3배 높이까지 보충하여 불량싹종자나 위로 뜨는 씨앗을 걸러서 건져낸 후 8~10 시간 정도 지나고 나면 씨앗 안치대(15)를 들어올려 배수망(16)을 꺼내어 배수공(14)으로 오존수를 배수한 후 배수망(16)을 배수공(14)에 끼워넣어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배수망(16)의 상측 마개부분에 의해 배수를 차단하고, 그 위로 다시 씨앗 안치대(15)를 안치한 후 영양수 물탱크(2)에서 공급되는 영양수를 공급관(4),(4')의 노즐(5),(5'),(5")을 통하여 새싹 재배통(10),(10'),(10")에 분사하여 씨앗이 자라도록 6시간 가량 지난 후 씨앗에서 싹이 움트고 나면 3일간 1시간 간격으로 30초 간 영양수를 공급하며, 3일이 지난 후 싹이 5cm 정도 자라게 되면 오존수를 1분 가량 수동 분사하여 재배과정에 곰팡이 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7일이 될 때 까지는 3시간 간격으로 1분간 영양수를 공급하여 출하시점까지 씨앗에서 움튼 싹을 키우는데 이 과정에서 뿌리부분이 서로 얽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 2회씩 오존수를 1분간 분사하여 품질저하를 예방하여 출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배된 새싹순은 새싹 재배통(10),(10'),(10")에서 꺼내어 오존수에 한 번 담궈 살균함으로써 선도 유지를 하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싹 종자 껍질을 걷어내어 출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싹이 자라기 위해 필수요소인 햇빛을 대체하기 위해 조명(9)을 구비하여 일정시간 빛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사용된 영양수와 오존수는 배수관(7-1)을 따라 저장탱크(8)의 내부로 공급되어 사용된 영양수와 오존수 외에 함께 유입된 불순물을 거름부(20)를 통해 거르고 물전달부(21)를 통해 여과부(22)로 공급하여 회수용 보조탱크(23)에 저장하였다가 영양수 물탱크(2)로 공급하여 보충수의 역할을 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영양수는 맥반석 파우더와 토로마늄, 게르마늄을 각각 1:1:1의 중량비로 교반기(도시하지 않았음)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30중량%, 한방 균사체를 20중량%, 물 50중량%의 비율로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24시간~36시간 숙성 후 영양수 물탱크(2)에 공급하여 정수 물탱크(1)에서 여과된 정수와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의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와 공급관(4),(4')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필요한 만큼 설치를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 하층으로 구분되어 있는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에 새싹 재배통(10),(10'),(10")을 4개 1조로 배치하여 공급관(4),(4')의 노즐(5),(5'),(5")로 영양수와 이온수를 분사하고 조명(9)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새싹 재배통(10),(10'),(10")은 게르마늄 재배통(11)이나 맥반석 재배통(12)에서 재배되는 씨앗의 효과가 다르므로 선택적으로 내입부(13)에 넣고 그 위로 씨앗을 골고루 얹은 씨앗 안치대(15)를 안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씨앗 안치대(15)에는 씨앗이 싹을 틔우게 되면 새싹 재배통(10),(10'),(10")에서 새싹을 꺼내기 위해 고리(15-1)에 연결된 끈을 잡고 꺼내어 제품을 포장하여 유통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개작 및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1; 정수 물탱크
2; 영양수 물탱크
2-1; 이온수 물탱크
3; 펌프
4,4'; 공급관
5,5',5"; 노즐
6,6',6"; 새싹 재배통 배양대
7; 물저장부
7-1; 배수관
8; 저장탱크
9; 조명
10,10',10"; 새싹 재배통
11; 게르마늄 재배통
12; 맥반석 재배통
13; 내입부
14; 배수공
15; 씨앗 안치대
15-1; 고리
16; 배수망
17; 예열기
20; 거름부
21; 물 전달부
22; 정수 여과부
23; 보조탱크

Claims (3)

  1. 정수 물탱크(1)에서 여과된 정수를 영양수 물탱크(2)로 공급하여 맥반석 파우더와 한방균사체를 영양수 물탱크(2)에 넣어 혼합한 후 펌프(3)를 통하여 공급관(4),(4')에 유입하고, 유입된 영양수는 공급관(4),(4')의 노즐(5),(5'),(5")을 통해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에 상, 하층으로 구분되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새싹 재배통(10),(10'),(10")으로 분사되며, 새싹 재배통(10),(10'),(10")은 내부에 우레탄 단열재를 충진하여 작물재배 시 온도변화를 예방함과 동시에 토양의 지열온도 효과가 있도록 한 것으로 게르마늄 재배통(11)이나 맥반석 재배통(12)을 내입하기 위해 내입부(13)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닥면에 배수공(14)을 형성하고 배수망(16)을 배수공(14)에 끼워넣어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배수망(16)의 상측 마개부분에 의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으로 고리(15-1)가 구비된 씨앗 안치대(15)를 안착하여서 된 것이며,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의 상측으로 예열기(17)를 구비하여 내부온도를 25℃ 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새싹 재배통(10),(10'),(10")에 공급되고, 새싹 재배통 배양대(6),(6'),(6")의 각 층의 하측에 구비된 물저장부(7)에 일차적으로 모이게 되어 배수관(7-1)을 통해 저장탱크(8)에 저장되어 저장탱크(8)와 연결된 정수 물탱크(1)로 유입되어 여과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싹 재배 시스템.
    `
  2. 제 1 항에 있어서,
    새싹 재배 과정에서 햇빛을 공급하기 위해 대체수단으로 조명(9)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새싹 재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수는 맥반석 파우더와 토로마늄, 게르마늄을 각각 1:1:1의 중량비로 교반기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30중량%, 한방 균사체를 20중량%, 물 50중량%의 비율로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24시간~36시간 숙성 후 영양수 물탱크(2)에 공급하여 정수 물탱크(1)에서 여과된 정수와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새싹 재배 시스템.
KR1020110073159A 2011-07-22 2011-07-22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KR10119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59A KR101191161B1 (ko) 2011-07-22 2011-07-22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59A KR101191161B1 (ko) 2011-07-22 2011-07-22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161B1 true KR101191161B1 (ko) 2012-10-18

Family

ID=4728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159A KR101191161B1 (ko) 2011-07-22 2011-07-22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385B1 (ko) * 2014-12-09 2015-06-25 (주) 남양엔지니어링 공조형 배양대
CN105660134A (zh) * 2016-01-28 2016-06-15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简易的花生品种耐光氧化特性鉴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16Y1 (ko) 2005-08-04 2006-01-24 농업법인한국땅콩나물산업주식회사 다층식 육묘재배기
KR100673967B1 (ko) 2005-11-23 2007-01-30 김영채 멀티 새싹 재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16Y1 (ko) 2005-08-04 2006-01-24 농업법인한국땅콩나물산업주식회사 다층식 육묘재배기
KR100673967B1 (ko) 2005-11-23 2007-01-30 김영채 멀티 새싹 재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385B1 (ko) * 2014-12-09 2015-06-25 (주) 남양엔지니어링 공조형 배양대
CN105660134A (zh) * 2016-01-28 2016-06-15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简易的花生品种耐光氧化特性鉴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814B1 (ko) 수경 인삼재배방법 및 장치
KR100943394B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US20190174690A1 (en) Aeroponic system
KR101802874B1 (ko) 인삼 수경재배장치
CN106857220B (zh) 一种潮汐式无土栽培槽
KR20180057298A (ko) 수경 재배기
JP2023038365A5 (ko)
CN206821576U (zh) 新型无土栽培装置
KR101191161B1 (ko) 피넛 약용 새싹순 재배 시스템
CN110402805A (zh) 一种适合密植型植物的水培系统及水培方法
CN102119650B (zh) 一种花卉水培盆栽方法及装置
CN211129080U (zh) 一种用于蓝莓种植的浇灌装置
KR101740571B1 (ko) 씨감자 생산용 순환식 담액수경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CN105028167B (zh) 太空植物培养柱及安装有该培养柱的太空专用种植系统
CN206760342U (zh) 一种混合式植物培养箱
CN203788783U (zh) 一种多功能园艺盆景栽培装置
RU194725U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205389614U (zh) 一种种植架
CN209002553U (zh) 一种无土栽培装置
CN208370564U (zh) 多功能光照种植托盘装配
RU2535739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зеленой кормовой массы на субстрате
KR101402744B1 (ko)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CN1100887A (zh) 水耕栽培装置
CN109105241A (zh) 具有多色补光灯的植物种植装置
CN103828702B (zh) 菜鱼共养的水晶泥盆景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