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17B1 -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 Google Patents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17B1
KR101250217B1 KR1020110007478A KR20110007478A KR101250217B1 KR 101250217 B1 KR101250217 B1 KR 101250217B1 KR 1020110007478 A KR1020110007478 A KR 1020110007478A KR 20110007478 A KR20110007478 A KR 20110007478A KR 101250217 B1 KR101250217 B1 KR 101250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ermination
tank
magnetizatio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299A (ko
Inventor
이상원
양기태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11000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299A/ko
Priority to US13/981,525 priority patent/US9480272B2/en
Priority to CN201280006496.2A priority patent/CN103354711B/zh
Priority to PCT/KR2012/000459 priority patent/WO201210251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물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 물 탱크와 연결되어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화시키는 자화수 생성기, 유입구가 자화수 생성기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충전 가능하며, 배출구를 통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물 탱크로 배출하는 발아 탱크, 발아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자화수 생성기와 연결되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발아 탱크 내부에 분사하는 샤워기, 발아 탱크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피 생두가 수용되는 발아 용기, 및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APPARATUS FOR SPROUTING COFFEE GREEN BEANS, WHICH AUGMENT GABA CONTENT EXCEEDINGLY}
본 발명은 커피 생두 발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량의 커피 생두를 신속하게 발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아 제품이 건강에 유리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모든 종자는 발아 순간 최고의 영양가를 지닌다는 것은 독일 막스프랑크 연구소에서 1993년에 발표한 연구 결과로 인하여 세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현미 자체로 밥을 지었을 때 현미의 좋은 성분에 대한 소화 섭취가 어려우나, 이를 발아시켜 발아 현미밥을 하면 다량의 영양 성분이 늘어나며 현미가 가지고 있는 영양분을 사람이 쉽게 섭취할 수 있다.
현미는 발아되면서 가바(GABA, 감마아미노락산) 성분이 5~10배 증가하며, 이는 뇌에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켜 뇌세포 대사 기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막힌 혈관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고혈압을 예방하고 신경계 안정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처럼 종자는 발아 시점에 다량의 영양소가 증가하고 각종의 미량 효소가 생성된다. 커피 생두도 발아시 건조하고 로스팅(roasting)하여 커피 원두를 제조하면 상기 가바 성분이 2~3배 증가하며, 카페인도 줄어든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커피 생두를 세척한 후 발아통 내에 공급된 상온의 물(20℃)에 일정시간 침지시킴으로써 커피 생두의 발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커피 생두가 습윤한 환경에서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세균이 급격하게 증식하고 악취가 발생됨은 물론 발아율도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다량의 커피 생두를 단시간 내에 발아시킬 수 있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물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 물 탱크와 연결되어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화시키는 자화수 생성기, 유입구가 자화수 생성기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충전 가능하며, 배출구를 통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물 탱크로 배출하는 발아 탱크, 발아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자화수 생성기와 연결되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발아 탱크 내부에 분사하는 샤워기, 발아 탱크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피 생두가 수용되는 발아 용기, 및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가 제공된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발아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발아 탱크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발아 탱크의 내부 공간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충전되는 경우, 물을 상하로 혼합하는 유동을 발생시키는 혼합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제1 히터, 샤워기 및 순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물 탱크 및 발아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자화수 생성기와 발아 탱크 사이에 개재되어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이동 경로를 발아 탱크 또는 샤워기로 변경하는 전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발아 탱크와 물 탱크 사이에 개재되어 발아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생두 발아 장치는, 발아 탱크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 공간에는 발아 용기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격벽은 물이 통과하도록 메시(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아 용기는 물이 통과하도록 메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입구는 발아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출구는 발아 탱크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화수 생성기는,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커피 생두를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발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의 자화수 생성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의 발아 탱크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의 발아 탱크 내부에 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의 샤워기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110), 제1 히터(120), 자화수 생성기(130), 발아 탱크(140), 발아 용기(148), 샤워기(150), 제2 히터(160), 순환 펌프(170), 혼합 펌프(172), 필터(180), 제어기(190), 온도 센서(192), 전환 밸브(194), 및 배수 밸브(196) 등을 구비한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화수 생성기(130)에 의해 물이 자화됨으로써 생성된 자화수를 커피 생두(10)에 공급하고, 제1 히터(120) 및 제2 히터(160)에 의해 커피 생두(10)의 발아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다량의 커피 생두(10)를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발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분순물을 필터(180)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커피 생두(10) 표면의 오면 물질과 카페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커피 생두(10) 내의 세균 증식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물 탱크(110)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110) 내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터(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히터(120)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물은 자화수 생성기(130)를 거쳐 발아 탱크(14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물 탱크(110)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9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탱크(110) 내에 제1 히터(120)와 함께 온도 센서(192)가 장착됨으로써, 커피 생두(10)의 발아를 위해 적합하게 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자화수 생성기(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110)와 연결되어 물 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수 생성기(130)는,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하우징(132), 하우징(132)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영구자석(1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의 세기가 6,000~10,000 가우스인 영구자석(134)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구자석(134)으로 예를 들어 네오디윰 자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구자석(134)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32) 내벽의 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구자석(134)의 N극은 하우징(132)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32) 내에 배치된 영구자석(134)에 의해 하우징(132) 내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자기장에 수직하도록 물이 통과하면 물은 자화 처리되면서 입자가 세밀하게 분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은 분자 구조가 변경되어 예를 들어 육각수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자화수 생성기(130)에 의해 생성된 자화수의 경우, 풍부한 용존 산소를 가지게 되고, 물 속의 미네랄 이온들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생명체에 유익한 알칼리성을 띄고, 중금속 제거 및 멸균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물 분자의 구조가 치밀하고 균일한 육각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화수를 이용함으로써, 커피 생두(10)에 원활한 수분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커피 생두(10)의 신속한 발아를 유도함과 동시에, 커피 생두(10)를 효과적으로 세척 및 소독하여 커피 생두(10) 내의 세균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커피 생두(10)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아 탱크(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유입구(142)가 자화수 생성기(130)와 연결되며,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144)를 통해 자화수 생성기(130)로부터 공급된 물을 물 탱크(110)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의 발아 탱크(140)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의 내부 공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격벽(146)에 의해 복수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단위 공간에는 내부에 커피 생두(10)가 수용되는 발아 용기(148)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격벽(146) 및 발아 용기(148)는 발아 탱크(140)로 공급된 물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히터(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 내부에 설치되어 발아 탱크(14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할 수 있으며, 발아 탱크(140) 내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19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제2 히터(160)의 작동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커피 생두(10)의 발아시, 발아 환경의 온도가 높으면 발아 속도는 증가하나 급격히 세균이 증식되고 악취가 발생되며, 반대로 발아 환경의 온도가 낮으면 세균 증식은 저감되나 발아 소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제1 히터(120)와 함께 제2 히터(160)를 이용하여 발아 환경의 온도를 발아에 적합하게 조절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세균 증식 및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발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의 발아 탱크(140) 내부에 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커피 생두(10)에 1차적으로 물을 흡수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의 내부 공간은 자화수 생성기(13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침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출구(144)는 커버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발아 탱크(14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펌프(172)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물의 초기 흡수를 위해 발아 탱크(140) 내에 충전된 물은 이러한 혼합 펌프(172)에 의해 상하로 원활히 혼합될 수 있다.
샤워기(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 내부에 설치되며 자화수 생성기(130)와 연결되어 자화수 생성기(1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발아 탱크(140) 내부에 분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의 충전을 위한 유입구(142)와 연결된 이송관과는 별도로 유입관이 발아 탱크(14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러한 유입관에 샤워기(150)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자화수 생성기(130)로부터 공급된 자화수는 이러한 샤워기(150)에 의해 발아 탱크(140) 내에 분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의 샤워기(150)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 상부의 유입관에 설치된 샤워기(150)는 공급된 자화수를 발아 탱크(140) 내의 커피 생두(10)에 분사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 내에 물을 충전함에 의해 1차적으로 수분이 흡수된 커피 생두(10)를 세척함과 동시에 발아 탱크(140) 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아 용기(148)와 격벽(14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150)에 의해 분사된 물은 발아 용기(148) 내의 커피 생두(10)에 분사된 후 발아 탱크(140) 하부의 배출구(14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전환 밸브(19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수 생성기(130)와 발아 탱크(140) 사이에 개재되어 자화수 생성기(13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이동 경로를 발아 탱크(140) 또는 샤워기(150)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42)를 통해 자화수를 공급 받아 발아 탱크(140)를 물로 충전함으로써 커피 생두(10)에 대한 물의 초기 흡수가 이루어지고, 샤워기(150)를 통해 자화수를 발아 탱크(140) 내부에 분사함으로써, 발아 탱크(140) 내의 습도 유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환 밸브(194)는 상술한 발아 단계에 대응되도록 자화수 생성기(130), 발아 탱크(140)의 유입구(142) 및 샤워기(150) 간의 연결 관계를, "자화수 생성기(130) - 발아 탱크(140)의 유입구(142)"에서 "자화수 생성기(130) - 샤워기(150)"로 전환할 수 있다.
필터(180)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활성탄이 내장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로부터 배출된 물이 물 탱크(110)로 복귀하기 이전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아 탱크(140)의 하류에 필터(180)를 설치함으로써, 고온의 자화수에 의한 침지 및 살수를 통해 커피 생두(10)로부터 분리되는 오염 물질과 카페인 등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으므로, 보다 청정한 발아 커피가 생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물에 포함된 분순물로 인한 자화수의 성능 저감 역시 방지될 수 있다.
필터(180)에는 상술한 활성탄 이외에도 천연제올라이트(zeolite), 합성제올라이트, 다공성 점토 광물, 전기석(tourmarine), 또는 칼슘 광물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배수 밸브(19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 탱크(140)와 물 탱크(110) 사이에 개재되어 발아 탱크(1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아 탱크(140)의 하류에 배수 밸브(196)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함으로써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 내에 청정한 물을 새롭게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 펌프(17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이송 라인 중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물 탱크(110), 자화수 생성기(130), 발아 탱크(140), 샤워기(150) 및 필터(180) 사이에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히터(120), 제2 히터(160), 온도 센서(192), 샤워기(150), 혼합 펌프(172), 순환 펌프(170), 전환 밸브(194) 및 배수 밸브(19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어기(190)를 구비함으로써, 자동화된 커피 생두 발아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커피 생두
100: 커피 생두 발아 장치
110: 물 탱크
120: 제1 히터
130: 자화수 생성기
132: 하우징
134: 영구자석
140: 발아 탱크
142: 유입구
144: 배출구
146: 격벽
148: 발아 용기
150: 샤워기
160: 제2 히터
170: 순환 펌프
172: 혼합 펌프
180: 필터
190: 제어기
192: 온도 센서
194: 전환 밸브
196: 배수 밸브

Claims (13)

  1.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상기 물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을 자화시키는 자화수 생성기;
    유입구가 상기 자화수 생성기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상기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에 의해 충전 가능하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을 상기 물 탱크로 배출하는 발아 탱크;
    상기 발아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화수 생성기와 연결되어 상기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을 상기 발아 탱크 내부에 분사하는 샤워기;
    상기 발아 탱크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피 생두가 수용되는 발아 용기; 및
    상기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발아 탱크의 내부 공간이 상기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에 의해 충전되는 경우, 상기 물을 상하로 혼합하는 유동을 발생시키는 혼합 펌프를 더 포함하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수 생성기와 상기 발아 탱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자화수 생성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물의 이동 경로를 상기 발아 탱크 또는 상기 샤워기로 변경하는 전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007478A 2011-01-25 2011-01-25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KR101250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78A KR101250217B1 (ko) 2011-01-25 2011-01-25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US13/981,525 US9480272B2 (en) 2011-01-25 2012-01-19 Germinating device for raw coffee beans and germinating method using same
CN201280006496.2A CN103354711B (zh) 2011-01-25 2012-01-19 咖啡生豆发芽装置及应用方法
PCT/KR2012/000459 WO2012102515A2 (ko) 2011-01-25 2012-01-19 커피 생두 발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78A KR101250217B1 (ko) 2011-01-25 2011-01-25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299A KR20110031299A (ko) 2011-03-25
KR101250217B1 true KR101250217B1 (ko) 2013-04-03

Family

ID=4393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478A KR101250217B1 (ko) 2011-01-25 2011-01-25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4711B (zh) 2011-01-25 2016-05-04 李相垣 咖啡生豆发芽装置及应用方法
KR101444749B1 (ko) * 2012-06-25 2014-09-30 주식회사메자이텍 자화활성수를 이용한 커피 생두 발아 방법
KR101717880B1 (ko) 2016-05-16 2017-03-17 주식회사 커피농장 커피 생두 발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596A (ko) * 2007-02-02 2008-08-06 김현용 식물성장촉진 자화수기
KR20100015271A (ko) * 2007-05-08 2010-02-12 유겐가이샤 이미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발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596A (ko) * 2007-02-02 2008-08-06 김현용 식물성장촉진 자화수기
KR20100015271A (ko) * 2007-05-08 2010-02-12 유겐가이샤 이미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발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299A (ko)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184B1 (ko) 커피 생두 발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방법
KR101250217B1 (ko)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커피 생두 발아 장치
CN104095207B (zh) 一种发芽糙米自动控制生产装置及糙米制备方法
EP2154114A1 (en) Water treatment unit for beverage production machine
CN207054726U (zh) 一种多功能豆类浸泡器
US9480272B2 (en) Germinating device for raw coffee beans and germinating method using same
JP2007215792A (ja) 洗浄装置
CN102342817A (zh) 带水运行的家用器具、特别是洗碗机
US20150251921A1 (en) Food waste collector system with treatment of recirculating water to reduce bacteria levels
CN109512283B (zh) 分质供水的茶咖一体机
CN104973342A (zh) 一种糖醋生姜保鲜系统
KR200463417Y1 (ko) 청과물세척기
CN207590035U (zh) 一种咸鸭蛋浸盐喷淋系统
KR100893160B1 (ko) 인삼종자의 자동 개갑장치
KR101764223B1 (ko) 즉석밥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880B1 (ko) 커피 생두 발아장치
US20220111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resin solutions
JP2008231319A (ja) キノコ成分抽出方法及びその装置
CN209861975U (zh) 循环水养殖孵化桶
CN203969142U (zh) 一种鱼干咸度调节池
KR101340075B1 (ko) 고온발효조의 폐열을 이용한 퇴비발효장치
KR101359732B1 (ko) 친환경 감 탈삽기
KR102026689B1 (ko) 발아커피 생육용 발아기기
WO2007060719A1 (ja) 循環型活性水生成装置
KR20020089858A (ko) 전두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