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299B1 - 벨트 크리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크리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299B1
KR100892299B1 KR1020070103523A KR20070103523A KR100892299B1 KR 100892299 B1 KR100892299 B1 KR 100892299B1 KR 1020070103523 A KR1020070103523 A KR 1020070103523A KR 20070103523 A KR20070103523 A KR 20070103523A KR 100892299 B1 KR100892299 B1 KR 10089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plate
belt
adjustm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to KR102007010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벨트 크리너를 설치위치로 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과, 팁이 벨트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력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가늠자를 마련하여 벨트에 대한 팁의 가압력을 외부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과, 팁간의 충돌로 인해 팁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갖는 벨트 크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너장치로서,
저면에 한 쌍의 앙카볼트가 구비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한 쌍의 앙카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한 관통공은 일측 개방형으로 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에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심재와, 상기 중공부의 벽면과 심재와의 사이에 압입되는 탄성체와, 상기 심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장볼트로 이루어진 각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주에 끼워지며, 일측에 연장아암을 갖는 조절링체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핀 결합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 상에 나사결합된 채 상기 조절링체의 연장아암과 결합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조절나사부와; 상기 장볼트에 체결고정되며, 일면부에는 상기 심재의 선단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가지고, 이면부에는 지지환봉의 일단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갖는 지지캡으로 이루어진 텐션수단;
상기 지지환봉 상에 구비된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입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판과 지지부재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는 쿠션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팁바디와; 상기 팁바디의 선단에 결합되는 팁으로 이루어진 크리너 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텐션수단, 크리너 수단

Description

벨트 크리너장치{belt clenner device}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벨트 크리너를 설치위치로 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과, 팁이 벨트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력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가늠자를 마련하여 벨트에 대한 팁의 가압력을 외부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과, 팁간의 충돌로 인해 팁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갖는 벨트 크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표면에는 이송물에 포함된 수분 등에 의해 이송물이 고착되는데, 이러한 고착물은 벨트의 회전을 방해하여 벨트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이송물이 낙광하여 작업장 주변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바,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벨트 크리너에 의해 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을 제거하고 있다.
종래의 벨트 크리너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풀리(2)에 감긴 채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3)의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1)의 슈트(4) 부근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 서포트(10)와, 상기 양 서브 서포트에 가로질러 지지되는 지지환봉(12)과, 상기 지지환봉 상에 입상설치되 는 브라켓(14)과, 상기 브라켓(14)에 나사 결합된 채 상기 지지환봉(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밀하게 나열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홀더(16)와, 상기 지지홀더(16)의 상단에 결합된 채 상기 벨트(3)의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을 스크레이핑 방식으로 긁어서 제거하는 다수의 초경합금제 팁(18)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벨트 크리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 째, 종래의 벨트 크리너장치는 대부분의 구성부품이 슈트(4)내에 설치되는 관계로 팁(18)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슈트(4)의 외부로 팁(18)을 빼낸 후에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적어도 한 쪽의 서브 서포트(10), 양쪽의 고정링(19)을 해체한 후에 해체된 서브 서포트 쪽으로 지지환봉(12)을 슈트(4)의 내부로 부터 인출한 후라야 비로소 팁(18)을 슈트의 외부에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팁(18)의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적 낭비가 많다.
둘 째, 종래의 벨트 크리너장치에는 팁(18)과 벨트(3)의 접촉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벨트(3)에 대한 팁(18)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면 고착물의 제거효율을 좋을지는 모르나 벨트(3)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팁(18)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면 고착물의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적절히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에는 가압력을 슈트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숙련자의 경험칙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셋 째, 종래의 벨트 크리너장치는 팁(18)에 의해 고착물을 스크레이핑 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팁 끼리 부딪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알려져 있듯이 팁은 초경 합금으로 되어 취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강도는 강하나 충격에는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팁과 팁이 부딪쳤을 때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벨트 크리너를 설치위치로 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한 벨트 크리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팁이 벨트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력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눈금자를 마련하므로써 벨트에 대한 팁의 가압력을 외부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크리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팁간의 충돌로 인해 팁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크리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①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너장치로서,
저면에 한 쌍의 앙카볼트가 구비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한 쌍의 앙카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한 관통공은 일측 개방형으로 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에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심재와, 상기 중공부의 벽면과 심재와의 사이에 압입되는 탄성체와, 상기 심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장볼트로 이루어진 각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주에 끼워지며, 일측에 연장아암을 갖는 조절링체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핀 결합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 상에 나사결합된 채 상기 조절링체의 연장아암과 결합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조절나사부와; 상기 장볼트에 체결고정되며, 일면부에는 상기 심재의 선단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가지고, 이면부에는 지지환봉의 일단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갖는 지지캡으로 이루어진 텐션수단;
상기 지지환봉 상에 구비된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입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판과 지지부재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는 쿠션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팁바디와; 상기 팁바디의 선단에 결합되는 팁으로 이루어진 크리너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이다.
② 상기 클램프의 표면에 상기 조절링체의 조절정도를 가늠하기 위한 가늠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이다.
③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의 폭보다 큰 폭의 팁 보호판이 상호 밀착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이다.
④ 상기 팁 보호판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로 부터 직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된 이물질 차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 크리너를 설치위치로 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어서 슈트의 내부에 있는 부품을 교체할 때나 설치가 손쉽다.
또한, 팁이 벨트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력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눈금자를 마련하여 벨트에 대한 팁의 가압력을 외부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고착물을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팁 보호판에 의해 팁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서 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텐션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조립상태도(일측 텐션수단만 도시됨)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조립상태도(양측 텐션수단이 모두 도시됨)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에 편심아암이 설치된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의 벨트 풀리(2)측에 벨트(3)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장치로서, 지지구조물(3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벨트(3)에 대한 접촉 텐션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텐션수단(100)과, 상기 텐션수단(100)과 결합된 채 상기 벨트(3)에 집적 접촉되어 고착물을 긁어주는 스크레이퍼 역할을 하는 크리너 수단(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수단(10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저면에 한 쌍의 앙카볼트(111,113)가 구비된 제 1 플레이트(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의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앙카볼트(111,113)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한 관통공은 일측 개방형의 장공(121)이고 다른 하나의 관통공은 통상의 원형공(123)으로 된 제 2 플레이트(120)가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110) 상에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바디(130)가 결합된다. 상기 바디(13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10) 상에 클램프(132)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131a)를 갖는 각형의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의 중공부(131a)에 삽입되는 각형의 심재(133)와, 상기 중공부(131a)의 벽면과 심재(133)와의 사이에 압입되는 고무제의 탄성체(135)와, 상기 심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장볼트(137)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심재(133)의 중앙홀(133a) 주변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편심아암(1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나사홀(13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132)의 표면에는 상기 조절링체(140)의 텐션력 조절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늠자(132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31)의 외주에는 일측에 연장아암(141)을 갖는 조절링체(140)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에 핀(p) 결합되는 조절볼트(151)와, 상기 조절볼트 상에 나사 결합된 채 상기 조절링체(140)의 연장아암(141)과 결합되는 조절너트(153)로 이루어진 조절나사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장볼트(137)에 체결고정되며, 일면부에는 상기 심재(133)의 선단 에 끼워지는 끼움부(161)를 가지고, 이면부에는 지지환봉(12)의 일단이 인입되는 인입부(163)를 갖는 지지캡(160)을 구비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165는 인입부(163)에 끼워진 지지환봉(1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이다.
그리고, 상기 크리너 수단(200)은, 상기 지지환봉(12)을 따라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의 브라켓(210)과;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판상의 고정판(220)과; 상기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며, 길이방향 중간부위가 절곡된 형태의 지지부재(230)와; 상기 고정판(220)과 지지부재(230)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는 고무제의 쿠션부재(240)와;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는 ㄱ자 형상의 팁바디(250)와; 상기 팁바디의 선단에 결합되어 벨트(3)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초경합금제의 팁(2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지지부재(23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팁바디(130)가 결합되는 반대편에 팁 보호판(270)이 설치된다. 상기 팁 보호판(270)은 상기 지지부재(230)의 폭(b) 보다 약간 긴 폭(b')을 가지고 있어서 팁(260) 끼리 부◎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팁 보호판(270)은 상기 지지부재(230)에 고정되는 고정부(271)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로 부터 직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된 이물질 차단부(273)로 세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273)는 벨트(3)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이물질이 벨트 크리너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 크리너장치를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풀리(2) 부분의 벨트(3)에 팁(260)이 접촉되게 설치하고 컨베이어 벨트를 운행하게 되면 팁(260)에 의해 벨트(3)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a)을 긁어서 탈락시키게 되는 크리닝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팁(260)은 벨트(3)의 진동이나 고착물에 의해 충격력이 전달되는데, 팁(260)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쿠션부재(240)에 의해 흡수되고 아울러, 상기 크리너 수단(200)은 상기 텐션수단(10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텐션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탄성체(135)에 의해 재차 흡수되어 팁(260)에 대한 완충작용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151)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조절너트(153)가 조절볼트(151)의 아래위로 나사이동하게 되면서 조절링체(140)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이 조절링체와 결합되어 있는 바디(130)와 지지캡(160), 지지환봉(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아울러 지지환봉(12)에 고정된 크리너 수단(2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크리너 수단(200)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벨트(3)와의 접촉력을 강하게 하여 크리닝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반대로, 크리너 수단(200)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벨트(3)와의 접촉력을 약하게 하여 크리닝 효과를 약하게 하는 대신 벨트(3)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트 크리너장치의 크리너 수단(200)은 벨트 컨베이어(1)의 양측에 설치되는 슈트(4)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슈트(4)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로서는 팁(260)과 벨트(3)와의 접촉강도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클램프(132) 표면에는 접촉강도를 가늠자(132a)로 표식해 놓았 고 상기 조절링체(140)의 표면에는 지침(132b)을 표식해 놓았기 때문에 조절링체(140)의 회전각도에 따라 지침(132b)이 이동되면서 지침과 일치되는 가늠자(132a)에 의해 현재의 접촉강도를 가늠할 수 있어서 벨트(3)와 팁(260)의 접촉강도를 슈트(4)의 외부에도 손쉽게 할 수 있다(도 4참조).
또한, 팁(260)에 의해 벨트(3) 표면을 크리닝 하는 과정에서 벨트의 진동이나 표면상태, 고착물의 크기에 따라 각 팁(260)은 진퇴운동을 하면서 크리닝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인접한 팁과 팁이 서로 충돌할 수 있는 상황이 되기도 하나 팁(260)의 후방에 설치된 팁 보호판(270)에 의해 팁간의 충돌이 방지되어 팁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상기 팁(26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230)의 폭(b) 보다 팁 보호판(270)의 폭(b')이 길기때문에 팁(260)이 충돌하기 이전에 팁 보호판(270)이 먼저 충돌하여 팁(260)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기 때문에 팁(2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팁(260)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팁(260)의 노화로 인해 교체하고자 할 때는 도 6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10)의 앙카볼트(111,113)와 제 2 플레이트(120)의 앙카너트(115)의 체결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제 1 플레이트(110) 및 그 위에 장착된 부품을 제 2 플레이트(120)로 부터 회전시켜서 위치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지지환봉(12)을 도면상 좌측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플레이트(110) 및 그 위에 장착된 부품을 제 2 플레이트(120)로 부터 이탈시킬 때는 원통공(123)을 축으로 하여 제 1 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키되 일측의 앙카볼트(111,113)가 장공(121)의 개구부를 통해 이탈될 때 까지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환봉(12)을 도면상 좌측으로 빼 낼 때 간섭없이 빼낼 수 있으므로 부품들을 모두 분해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슈트(4) 내의 부품을 교체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벨트 크리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텐션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조립상태도(일측 텐션수단만 도시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조립상태도(양측 텐션수단이 모두 도시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크리너장치에 편심아암이 설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텐션수단
110 : 제 1 플레이트 120 : 제 2 플레이트
130 : 바디 140 : 조절링크
150 : 조절나사부 160 : 지지캡
200 : 크리너 수단
210 : 브라켓 220 : 고정판
230 : 지지부재 240 : 쿠션부재
250 : 팁바디 260 : 팁
270 : 팁 보호판

Claims (4)

  1.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벨트 크리너장치로서,
    저면에 한 쌍의 앙카볼트가 구비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한 쌍의 앙카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한 관통공은 일측 개방형으로 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에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심재와, 상기 중공부의 벽면과 심재와의 사이에 압입되는 탄성체와, 상기 심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장볼트로 이루어진 각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주에 끼워지며, 일측에 연장아암을 갖는 조절링체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핀 결합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 상에 나사결합된 채 상기 조절링체의 연장아암과 결합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조절나사부와; 상기 장볼트에 체결고정되며, 일면부에는 상기 심재의 선단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가지고, 이면부에는 지지환봉의 일단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갖는 지지캡으로 이루어진 텐션수단;
    상기 지지환봉 상에 구비된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입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판과 지지부재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는 쿠션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팁바디와; 상기 팁바디의 선단에 결합되는 팁으로 이루어진 크리너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표면에 상기 조절링체의 조절정도를 가늠하기 위한 가늠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의 폭보다 큰 폭의 팁 보호판이 상호 밀착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보호판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로 부터 직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된 이물질 차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크리너장치.
KR1020070103523A 2007-10-15 2007-10-15 벨트 크리너장치 KR10089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23A KR100892299B1 (ko) 2007-10-15 2007-10-15 벨트 크리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23A KR100892299B1 (ko) 2007-10-15 2007-10-15 벨트 크리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299B1 true KR100892299B1 (ko) 2009-04-08

Family

ID=4075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523A KR100892299B1 (ko) 2007-10-15 2007-10-15 벨트 크리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2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30B1 (ko) 2010-04-27 2011-04-12 주식회사 라우텍 벨트 스크레이핑 장치
KR101170829B1 (ko) 2011-08-16 2012-08-09 주식회사 라우텍 벨트 크리너 가압 및 충격 완충장치
KR200464094Y1 (ko) * 2012-04-10 2012-12-10 용현폴리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너
CN103569634A (zh) * 2013-10-14 2014-02-12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输送机上行段胶带非工作面刮料装置
CN103662743A (zh) * 2013-12-06 2014-03-26 南通剑桥输送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清洁传送带
CN104085663A (zh) * 2014-07-14 2014-10-08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在线可更换刀头的皮带头轮刮料装置
KR20200075968A (ko) * 2018-12-18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정도 검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926A (ja) 1986-07-23 1988-02-10 Nippon Tsusho Kk ベルトクリ−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08020A (ja) * 1995-01-31 1996-08-13 Tokai Rubber Ind Ltd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3102461U (ja) * 2003-12-24 2004-07-08 東京都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0431392Y1 (ko) 2006-06-30 2006-1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별기용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청소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926A (ja) 1986-07-23 1988-02-10 Nippon Tsusho Kk ベルトクリ−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08020A (ja) * 1995-01-31 1996-08-13 Tokai Rubber Ind Ltd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3102461U (ja) * 2003-12-24 2004-07-08 東京都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0431392Y1 (ko) 2006-06-30 2006-1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별기용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청소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30B1 (ko) 2010-04-27 2011-04-12 주식회사 라우텍 벨트 스크레이핑 장치
KR101170829B1 (ko) 2011-08-16 2012-08-09 주식회사 라우텍 벨트 크리너 가압 및 충격 완충장치
KR200464094Y1 (ko) * 2012-04-10 2012-12-10 용현폴리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너
CN103569634A (zh) * 2013-10-14 2014-02-12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输送机上行段胶带非工作面刮料装置
CN103662743A (zh) * 2013-12-06 2014-03-26 南通剑桥输送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清洁传送带
CN104085663A (zh) * 2014-07-14 2014-10-08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在线可更换刀头的皮带头轮刮料装置
KR20200075968A (ko) * 2018-12-18 2020-06-29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정도 검출장치
KR102131671B1 (ko) * 2018-12-18 2020-07-09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정도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99B1 (ko) 벨트 크리너장치
EP1395508B1 (en) Scraping and cleaning device for conveyor belts
US7083040B2 (en) Tensioner, as for a belt cleaner
US7549532B2 (en) Conveyor belt cleaning system and mounting method
EP2474488A2 (en) Constant angle and pressure conveyor belt cleaner and tensioner
AU2002254229B2 (en) Conveyor belt cleaning system
CA2295337A1 (en) Differential wear conveyor belt scraper blade
KR101954329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US9376264B1 (en)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JP4149479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101128375B1 (ko)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EP0574600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elt cleaners
KR101371395B1 (ko)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CN220484500U (zh) 传送带清扫装置
JP2007268396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JP2829498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100633541B1 (ko) 벨트 콘베이어 클리너의 간격 조절장치
GB2184084A (en) Conveyor belt scraper and mounting therefor
KR102039679B1 (ko) 벨트 컨베이어 풀리 클리닝 장치
CN217349556U (zh) 用于带床的传送带清洁装置
KR101170829B1 (ko) 벨트 크리너 가압 및 충격 완충장치
CN106477275B (zh) 从带式输送机输送带剥除物质的装置及其安装方法
CN220596117U (zh) 一种计量称重机
JP3102461U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080004192U (ko) 컨베이어 벨트용 이송 측 벨트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