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281B1 -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281B1
KR100891281B1 KR1020080093743A KR20080093743A KR100891281B1 KR 100891281 B1 KR100891281 B1 KR 100891281B1 KR 1020080093743 A KR1020080093743 A KR 1020080093743A KR 20080093743 A KR20080093743 A KR 20080093743A KR 100891281 B1 KR100891281 B1 KR 10089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aste
waste resin
parts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한
Original Assignee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9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loor Finish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피도면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0.05 내지 0.3㎜ 두께로 도포하여 마련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폐수지를 함유한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는 단계(S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8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60 내지 90분 동안 균일하게 반응시키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제2의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2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입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할 때,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상기 바닥재가 제조이후에 겔화되지 안아 저장안정성이 개선되어 작업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폐수지, 바닥재, 시공방법

Description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floor material by using used resin}
본 발명은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상기 바닥재가 제조이후에 겔화되지 안아 저장안정성이 개선되어 작업성이 우수한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지 파우다(Powder)는 순수하게 고형분만(100%)으로 된 도료로서 고품질의 원료로 제조되어 지고, 자연적으로 상온하에서 건조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온도에서 소부시켜 건조된 도막을 형성한다. 유기화합물인 용제가 전혀 사용되지 않으므로 유해한 화합물에 의한 인체의 중독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도장작업 역시 용이하여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폐수지 파우다는 사용되는 수지(resin)의 주성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 에폭시 분체도료,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분체도료로 나눌 수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것들이다.
상기 파우다는 제조시에는 여러 색의 혼합으로 다양한 색상이 표현될 수 있 으나, 제품으로 완성된 후에는 다른 색상으로의 제조가 불가능하며 사용되고 남은 도료나 도장시 생산되는 것은 전량 특정 폐기물로 소각되고 있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에폭시계 액상도료는 도장시 별도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자연경화 시키지만 성분중에 경화제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용제에 녹여 사용시에는 용제안에서 수지와 경화제 간의 반응이 진행되어 겔화되기 때문에 에폭시 중도 코팅제에 적용하여 상품화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폭시도료는 에폭시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폴리아마이드 경화형 2액형 도료로서 자연경화 시키지만 폐수지의 성분중에 고온 에폭시경화제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용제에 녹여 사용시에는 용제안에서 에폭시수지와 고온 에폭시경화제 간의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겔화되기 때문에 에폭시 중도 코팅제에 적용하여 상품화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상기 바닥재가 제조 이후에 겔화되지 안아 저장안정성이 개선되어 작업성이 우수한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도면에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0.05 내지 0.3㎜ 두께로 도포하여 마련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폐수지를 함유한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는 단계(S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8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60 내지 90분 동안 균일하게 반응시키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제2의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2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입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폭시수지는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Cycloaliphatic Epoxy) 수지, 고무 개질 에폭시(Rubber Modified Epoxy), 알리파틱 폴리글리시틸 타입 에폭시(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및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Glycidyl Amine Type Epox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폭시수지는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26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면조절용첨가제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면조절용첨가제는 하이드로카본 레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질안료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6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포제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습윤분산제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폐수지는 폐타이어, 폐폴리우레탄칩, 재생 PE칩 및 재생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10 내지 80㎛의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폐수지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7 내지 23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화도료는 폴리아마이드계수지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BF3와 아미노(모노에틸아민)의 부가물인 지방족폴리아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화도료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3 내지 27 중량부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상기 바닥재가 제조 이후에 겔화되지 안아 저장안정성이 개선되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피도면에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도포되어 마련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폐수지를 함유한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는 단계(S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균일하게 교반하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제2의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2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입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먼저, S1단계를 보면, 피도면에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도포되어 마련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통의 건축물의 바닥면이 상기 피도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피도면은 프라이머층 형성 이전에 깨끗한 상태로 청소하고 건조시킨다.
이어서, 상기 피도면의 전면에 걸쳐 롤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그 표면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0.05 내지 0.3 ㎜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만일 0.05 ㎜ 미만이면 도막형성이 어려워 은폐가 덜 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0.3㎜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실제 시공후에 도막이 갈라지는(crack)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도포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2단계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폐수지를 함유한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8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60 내지 90분 동안 균일하게 반응시키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제2의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2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입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폐수지를 함유한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도포하게 된다.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균일하게 교반하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준비된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하는 형태에 따라 비스페놀 A와 반응, 브롬화 비스페놀A(TBBA: Teraboromo- Bisphnol A)와 반응, 페놀 또는 O-크레졸 노블락과 반응하여 얻어진다.
이외에도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Cycloaliphatic Epoxy) 수지, 고무 개질 에폭시(Rubber Modified Epoxy), 알리파틱 폴리글리시틸 타입 에폭시(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및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Glycidyl Amine Type Epox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수지는 상기 피도면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부착성이 큰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는 당량이 180 내지 2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스페놀 A 와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DGEBA)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도막의 굽힘 강도와 경도, 가연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상기 에폭시수지의 함량은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26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20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작아 접착성이 저감될 수 있고, 반대로 26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이 줄어들어 재활용의 효과가 감소하고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시공후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면조절용첨가제는 주제도료의 점도(viscosity)가 증가하여 함유할 수 있는 체질안료의 양이 제한됨에 따라 점도를 저하시키고, 유연성을 제공하여 작업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벤질알코올, 에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또는 하이드로카본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절용첨가제는 과도한 양이 사용되면 시공후 피도면 상의 도막이 유연해져서 표면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소량으로 사용되면 유연성 발현 효과가 미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2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질안료로서는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카올린, 클레이, 규조토, 탈크, 황산바륨, 침강성 황산바륨, 탄산바륨, 탄산마그네슘, 실리카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질안료는 주제도료의 저장 안정성을 고려하여 그 평균 입자직경이 0.5 내지 100㎛일 수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체질안료가 침강하여 균일한 조성을 조절하기 어렵거나 입자의 미세화에 따르는 고비용으로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질안료는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6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며, 그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거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피도면의 도막이 열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포제는 주제도료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미세한 기포를 제거하거나 그 발생의 방지를 위하여 사용한다. 만일 기포가 발생하면 주제도료의 점도가 떨어질 수 있고, 이후 실제로 피도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도포성능이 저하되며, 기포에 의해 도막 표면에 틴트(tint), 핀홀(pin-hole)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소포제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생성된 기포를 소멸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소포제는 실리콘계소포제일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는데,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소포제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 더 이상 효과의 증대가 없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균일하게 교반하는데, 여기서 상기 교반탱크에서 교반하는 조건은 800 내지 1000 rpm의 속력으로 60 내지 90분 동안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균일한 교반이 되지 않거나 미세한 기포가 발생할 수 있고 생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탱크에는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투입하게 된다.
상기 제2의 에폭시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에폭시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분산제는 상기 폐수지와의 계면장력을 감소시켜 확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습윤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구조, 예를 들어 한 분자에 극성인 친수기와 비극성인 소수기를 동시에 갖고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분산제는 폴리카르복시산 폴리에스테르계습윤제일 수 있다.
상기 습윤분산제는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습윤 효과가 제한되어 습윤 작용이 거의 없거나 경제적이지 못하며, 시공후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한 조성 이외에 레벨링제, 안료 분산제 등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 및 선택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및 변형될 수 있고, 적용하고자 하는 피도면의 종류에 따라 바람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수지는 폐타이어, 폐폴리우레탄칩, 재생 PE칩 및 재생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수지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입자의 형태로 준비되며 그 크기는 10 내지 80㎛일 수 있다.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입자간에 서로 뭉쳐 덩어리(cluster)가 되거나 겔화될 수 있으며 또는 침강하여 저장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지는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항 17 내지 23 중량부 일 수 있는데,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재활용율이 떨어져 원가상승에 따른 경제성이 문제될 수 있고 과하면 겔(gel)화되거나 도막상 갈라짐(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색안료로는 내알카리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되 카본블랙, 산화티탄, 산화철 적색, 산화 철 황색 또는 크롬옥사이드 녹색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용제는 톨루엔, MIBK 및 EC로 구성되는데, 그 조성비는 중량기준으로 6:3:1이다. 상기의 용제는 점도를 조절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은 200 내지 500 rpm의 속력으로 1 내지 2 시간동안 교반하여 준비한다.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균일한 교반이 되지 않거나 미세한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제도료를 경화도료와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는데,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균일한 교반이 되지 않거나 미경화되거나 미세한 기포가 발생할 수 있고 오랜시간 혼합하면 경화에 따른 점도 상승으로 흐름성이 저하되어 도막표면이 거칠기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경화도료는 폴리아마이드계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수지는 에폭시수지를 경화시키고, 동시에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수지는 경화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주제도료가 경화도료보다 많아서 주제도료의 일부가 반응하지 않을 수 있고 미경화에 따른 도막의 물성이 열악해지고 반대로 경화도료가 많아서 경화도료의 일부가 미반응하는 경우에는 도막 상부층에 기름띠가 발생하여 끈적거리고 대기중 습기와 반응하여 백화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경화도료는 지방족아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아민은 디에 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BF3와 아미노(모노에틸아민)의 부가물과 같은 지방족 폴리아민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아민은 경화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5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경화제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 과도한 경화로 인하여 도막이 딱딱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경화도료에는 레벨링제, 경화촉진제, 안료분산제, 방수제, 방유제, 발수제, 안정제, 증점제, 방부제, 녹제거제, 대정방지체 또는 커플링제와 같은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 및 선택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및 변형될 수 있고, 적용하고자 하는 피도면의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는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도료 23 내지 27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경화도료가 23 중량부 미만이면 미경화가 발생할 수 있고, 27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도료가 도막 상층부로 기름띠를 형성하여 끈적거리고 울퉁불퉁해져 거칠기가 커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분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실제 시공시의 필요에 따라 상도를 더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도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술한 S2단계일 수도 있으나, 통상 건설업계에서 행하는 방법으 로 상도를 도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실제로 시공하는 경우에 도장 및 경화시 주위온도는 10℃이상이 적합하며, 수분의 응축을 피하기 위하여 표면 온도는 이슬점보다 2.7℃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바닥을 깨끗이 한 후 폴리우레탄수지로 0.3㎜ 두께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200 rpm으로 4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였는데,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로 하이드로카본 레진, 소포제 및 체질안료로 수산화알루미늄을 투입후에 800rpm의 속도로 70분 동안 균일하게 반응시키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제2의 에폭시수지로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 습윤분산제로 폴리카르복시산 폴리에스테르, 착색안료로 크롬옥사이드 녹색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400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입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를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저장안정성 실험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주제도료에 대하여 1ℓ들이 10개의 샘플을 준비하여 항온조(30℃)에서 6개월간 점도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 다.
시 험 항 목 경과시간(일) 항온온도 실시예1 점도(ku) 비  고
저장안정성시험 초 기 30℃ 72
10 72
30 73
90 76
180 76
위 (표 1)을 참조하면, 초기에서 30일까지는 점도변화가 거의 없으며 그 이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으나, 더 이상 점도가 증가되지 아니함을 볼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상기 바닥재가 제조 이후에 겔화되지 안아 저장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피도면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0.05 내지 0.3㎜ 두께로 도포하여 마련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폐수지를 함유한 주제도료와 경화도료를 1000 내지 1500 rpm으로 4 내지 5 분동안 교반하여 도포하는 단계(S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도료는 교반탱크에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Cycloaliphatic Epoxy) 수지, 고무 개질 에폭시(Rubber Modified Epoxy), 알리파틱 폴리글리시틸 타입 에폭시(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및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Glycidyl Amine Type Epox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에폭시수지, 표면조절용첨가제, 소포제 및 체질안료를 투입후에 8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60 내지 90분 동안 균일하게 반응시키고, 여기에 별도의 용기에 마련된 제2의 에폭시수지, 습윤분산제, 착색안료 및 폐수지의 혼합물을 2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입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절용첨가제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절용첨가제는 하이드로카본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지는 폐타이어, 폐폴리우레탄칩, 재생 PE칩 및 재생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10 내지 80㎛의 크기로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지는 상기 주제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7 내지 2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093743A 2008-09-24 2008-09-24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089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43A KR100891281B1 (ko) 2008-09-24 2008-09-24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43A KR100891281B1 (ko) 2008-09-24 2008-09-24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281B1 true KR100891281B1 (ko) 2009-04-03

Family

ID=4075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743A KR100891281B1 (ko) 2008-09-24 2008-09-24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16B1 (ko) 2009-03-18 2009-08-18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주차장바닥의 시공방법
CN102585659A (zh) * 2012-02-20 2012-07-18 丁响亮 环氧地坪涂料
KR101961868B1 (ko) * 2018-08-17 2019-07-17 김현유 고분자 에폭시(Resin MMA) 및 세라믹 골재를 이용한 육교, 도로교, 인도, 보도, 철도 플랫폼용 패턴프레임 바닥재,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58B1 (ko) 1998-06-16 2001-06-01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열전사기록매체
KR100574182B1 (ko) 2003-07-07 2006-04-27 손경례 숯 기능성 도로 포장용 폐합성수지몰탈 제조방법
KR100848812B1 (ko) * 2008-03-04 2008-07-28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에폭시계 엠보싱 무용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20080088049A (ko) * 2007-03-28 2008-10-02 최성갑 바닥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적층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58B1 (ko) 1998-06-16 2001-06-01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열전사기록매체
KR100574182B1 (ko) 2003-07-07 2006-04-27 손경례 숯 기능성 도로 포장용 폐합성수지몰탈 제조방법
KR20080088049A (ko) * 2007-03-28 2008-10-02 최성갑 바닥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적층체
KR100848812B1 (ko) * 2008-03-04 2008-07-28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에폭시계 엠보싱 무용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16B1 (ko) 2009-03-18 2009-08-18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주차장바닥의 시공방법
CN102585659A (zh) * 2012-02-20 2012-07-18 丁响亮 环氧地坪涂料
KR101961868B1 (ko) * 2018-08-17 2019-07-17 김현유 고분자 에폭시(Resin MMA) 및 세라믹 골재를 이용한 육교, 도로교, 인도, 보도, 철도 플랫폼용 패턴프레임 바닥재,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48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바닥재 시공방법
KR102042801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CN1207692A (zh) 制备多层涂层的方法
CN106833272A (zh) 一种高强无味耐磨纯水性环氧漆及其制备方法
KR102028103B1 (ko)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0848812B1 (ko) 에폭시계 엠보싱 무용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791136B1 (ko) 무취형 도장을 위한 무용제 라이닝 코팅용 조성물
KR101392471B1 (ko) 친환경 기능성 2액형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91281B1 (ko) 폐수지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US6329460B1 (en) Polysiloxane composition and rubb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KR101625410B1 (ko) 내약품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바닥재 코팅조성물
KR102024067B1 (ko) 목질 바닥재 부착용 친환경 물유리계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2244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00590B1 (ko) 무용제 에폭시 바닥재 도료 조성물
KR101405133B1 (ko) 친환경 수분산성 폴리 아크릴우레탄 에멀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아크릴우레탄 고무계 방수 도료 조성물
AU2022200977B2 (en) Glycerol-based epoxy resins
KR100965548B1 (ko) 무용제 폴리우레탄 도막재용 폴리올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무용제 폴리우레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
JP5721199B1 (ja) シーラー塗料組成物
JP2021042362A (ja) 硬化剤、及び水性被覆材
JP2019173008A (ja) 水性被覆材
JP2019183159A (ja) 水性被覆材
JPH05247161A (ja) 硬化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
CN1209422C (zh) 底层涂料组合物
CN110885661B (zh) 一种石材背胶及其制备方法
KR102574505B1 (ko) 일액형 세라믹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