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170B1 -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170B1
KR100891170B1 KR1020080116290A KR20080116290A KR100891170B1 KR 100891170 B1 KR100891170 B1 KR 100891170B1 KR 1020080116290 A KR1020080116290 A KR 1020080116290A KR 20080116290 A KR20080116290 A KR 20080116290A KR 100891170 B1 KR100891170 B1 KR 10089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lywood
end plate
hot melt
mel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대한콘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콘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콘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 중 잔목재로 합판의 단판을 제조하고, 제조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여 연결단판을 제조하고, 연결단판과 일반단판을 적층한 후 프레싱하여 합판을 제조함으로써, 일반단판을 적층한 후 접착제로 접착시킨 일반합판보다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려지거나 열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잔목재를 이용하여 합판을 제조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은,
목재를 선택하고 단판으로 재단하는 목재 선택 및 단판 재단공정(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재단된 단판을 물에 침지한 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는 단판 강화공정(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강화된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기를 이용하여 타공하는 타공공정(제3공정)과; 고체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선택한 후 상기 3공정에서 단판에 형성된 타공의 직경을 맞추어 재단하는 핫멜트 접착제 재단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3공정의 타공된 단판을 상기 제4공정의 재단된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는 연결단판 제조공정(제5공정)과;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상기 제5공정의 연결단판을 적층하는 적층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6공정에서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적층된 연결단판에 열과 압력을 주어 프레싱하는 프레싱공정(제7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판, 단판, 연결단판, 잔목재, 핫멜트 접착제, 연결, 프레싱, 열, 압력

Description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Method of veneer board useing the small-wood}
본 발명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 중 잔목재로 합판의 단판을 제조하고, 제조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여 연결단판을 제조하고, 연결단판과 일반단판을 적층한 후 프레싱하여 합판을 제조함으로써, 일반단판을 적층한 후 접착제로 접착시킨 일반합판보다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려지거나 열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잔목재를 이용하여 합판을 제조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합판(合板, plywood)은 목재(원목)을 얇게 오려낸 단판(單板:veneer)을 섬유방향으로 직교하도록 겹쳐 붙인 것을 말하는데, 적층되는 단판의 장수가 3, 5 , 7장 등으로 표판과 이판의 섬유방향이 같아지게 홀수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합판의 두께에 따라 단판의 장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단판의 위치에 따라 불려지는 명칭이 다른데, 표면에 위치하는 단판 을 표판이라고 하여 치장을 겸하기에 치장판이라고도 하며, 뒤면에 위치하는 단판을 이판(裏板)이라 하며, 중간에 위치하는 단판을 심판(心板)이라 한다.
이와 같이, 단판은 합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두개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로는 원목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데 따라 종이두루마리를 펴듯이 칼로 원목을 오려내는 로터리법(rotary 法)이고, 두 번째로는 상하로 운동하는 칼로 얇게 오려내는 것으로 최대너비는 원목의 지름까지가 최대이나 아름다운 나뭇결을 생산하는 장점이 있는 슬라이서법(slicer 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단판을 적층한 후 고정하기 위해서는 카세인·비스코스 ·글루타민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특히 내수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요소수지나 석탄산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최종생산품인 합판의 품질 및 현장에서 쓰임에 따라 접착제의 종류와 양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판단과 접착제로 이루어진 합판의 종류에는 표면가공이 없는 보통합판과, 합판 표면에 오버레이(overlay) ·프린트(print) ·도장(painting) 등의 가공된 특수합판이 있으며, 접착강도의 분류로는 1류 ·2류 ·3류 합판으로 구분한다. 용도별로는 내수합판 ·방화합판 ·방충합판 ·방부합판이 있으며 내구성 ·마모성에 따라 카운터용 ·벽면용 ·특수벽면용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판은 주로 미얀마, 말레이시아 등지의 우림지역에서 자생하는 목재를 수입하고, 수입된 목재를 이용하여 단판으로 제조한 후 합판으로 생산하거나 우림지역이 있는 국가에서 합판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우림지역에 자생하는 목재가 고갈될 경우 합판의 품귀현상이 일어나 가격이 폭등함에 따라, 수요공급에 차질을 빚게되는 불가피한 문제가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봄, 여름, 가을, 겨울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계절에 의해 목재의 내구성이 우림지역에서 자생하는 목재의 내구성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는 동남아시아나 남미 등지의 우림지역에서 자생하는 목재에 비해 목재의 둘레 및 목재의 길이가 짧아서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되는 생산품에는 대부분 부적합하고, 특히나 합판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기에 대부분 버려지거나 열에너지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실정 및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 중 잔목재로 합판의 단판을 제조하고, 제조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여 연결단판을 제조하고, 연결단판과 일반단판을 적층한 후 프레싱하여 합판을 제조함으로써, 일반단판을 적층한 후 접착제로 접착시킨 일반합판보다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려지거나 열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잔목재를 이용하여 합판을 제조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은,
목재를 선택하고 단판으로 재단하는 목재 선택 및 단판 재단공정(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재단된 단판을 물에 침지한 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는 단판 강화공정(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강화된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기를 이용하여 타공하는 타공공정(제3공정)과; 고체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선택한 후 상기 3공정에서 단판에 형성된 타공의 직경을 맞추어 재단하는 핫멜트 접착제 재단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3공정의 타공된 단판을 상기 제4공정의 재단된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는 연결단판 제조공정(제5공정)과;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상기 제5공정의 연결단판을 적층하는 적층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6공정에서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적층된 연결단판에 열과 압력을 주어 프레싱하는 프레싱공정(제7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은,
일반합판으로 사용할 수 없어 버려지거나 열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잔목재를 단판으로 재단하고, 재단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여 합판으로 제조함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단판과 연결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함과 동시에 열과 압력을 주어 프레싱을 함에 따라 일반 접착제로 접착한 일반합판보다 내구성, 단열성, 보온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된 단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재 선택 및 단판 재단공정(제1공정)
목재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목재를 단판으로 재단하는 공정으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를 선택하고, 선택된 목재의 껍질을 제거하고 단판으로 재단한다.
상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는 종류에 상관없이 선택하나, 목재의 강도를 고려하여 침엽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목재 중에서 소나무(적송), 잣나무, 섬잣나무, 해송(흑송, 곰솔), 주목, 노간주나무, 솔송나무, 구상나무, 전나무, 이깔나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이상 혼합하여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는 열대우림에서 자생하는 목재에 비해 목재의 둘레 및 길이가 짧기 때문에 잔목재라고 한다.
그리고, 선택된 목재의 껍질을 제거한 후 단판으로 재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임야에서 채취된 목재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함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규격에 맞추기 위함이다.
또한, 단판으로 재단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껍질이 제거된 단판의 재단 규격은 5~30cm×60~180cm×0.1~0.5cm(가로×세로×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껍질이 제거된 목재를 5~30cm×60~180cm×0.1~0.5cm(가로×세로×두께)의 단판으로 재단하는 것은 열대우림에서 자생하는 목재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의 둘레 및 길이가 짧기 때문이다.
2. 단판 강화공정(제2공정)
껍질이 제거되고 재단된 단판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공정으로,
상기 제1공정에서 껍질이 제거되고 재단된 단판을 물에 1~3시간 침지한 후 30~60℃의 2~5시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한다.
재단된 단판을 물에 침지하는 것은 단판에 있는 진(즙)을 용출시켜 제거하기 위함이며, 진이 제거된 단판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것은 침지과정에서 단판에 흡수된 물과 단판에 남아있는 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재단된 단판을 물에 침지한 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는 것은 단판에 남아있는 진과 물을 최대한 제거하여 단판의 강도를 향상하기 위함이다.
3. 타공공정(제3공정)
강화된 단판에 타공하는 공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정에서 강화된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기를 이용하여 타공한다.
이때,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되는 타공의 직경은 0.5~2cm이되, 타공 간의 간격은 2~4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되는 타공의 직경이 0.5~2cm인 것은 타공에 삽입되는 핫멜트 접착제가 원활히 삽입되기 위할 뿐만 아니라 타공으로 인한 단판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타공간의 간격이 2~4cm인 것은 타공간의 간격이 좁아 단판의 균열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타공의 삽입되는 핫멜트 접착제가 열에 의해 녹아 단판의 전반적으로 분포되게 하기 위함이다.
4. 핫멜트 접착제 재단공정(제4공정)
핫멜트 접착제를 선택한 후 재단하는 공정으로,
고체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선택한 후 상기 3공정에서 단판에 형성된 타공의 직경을 맞추되, 직경이 0.5~2cm 미만으로 재단한다.
이때, 핫멜트 접착제는 폴리아마이드(Polyamide)계, 고무(Rubber)계, 스티렌수지(styrene resin), 발포폴리스티렌(Expandable Polystyrene, EPS),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데, 발포폴리스티렌은 재단하기가 원활하고, 적은 압력과 열로 인해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형되기가 쉽고, 고체상태에서 압력과 열로 인해 액체상태로 변경된 후 다시 고체상태로 변형될 때 발생하는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른 핫멜트 접착제보다 단열성이 우수하여 단열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연결단판 제조공정(제5공정)
타공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3공정의 타공된 단판을 상기 제4공정의 재단된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는 방법은 일 타공된 단판의 구멍과 타 타공된 단판의 구멍에 재단된 핫멜트 접착제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관하다.
여기서, 일 타공된 단판과 타 타공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삽입하여 연결한 것을 연결단판이라 한다.
그리고, 연결단판의 크기는 일정하지 아니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에 맞추어 일 타공된 단판과 타 타공된 단판을 핫멜트 접착제로 삽입하여 연결하면 된다.
6. 적층공정(제6공정)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연결단판을 적층하는 공정으로,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상기 제5공정의 연결단판을 적층하되, 다수개로 적층한다.
여기서, 적층되는 연결단판은 최종생산되는 합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연결단판의 갯수를 정한다.
7. 프레싱 공정(제7공정)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적층된 연결단판을 프레싱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6공정에서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적층된 연결단판에 열과 압력을 주어 프레싱한다.
이때, 프레싱에 주어지는 열과 압력은 120~150℃의 온도와 20~30kg/cm2의 압 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싱에 주어지는 열과 압력은 120~150℃의 온도와 20~30kg/cm2의 압력인 것은 핫멜트 접착제가 원활하게 녹이기 위할 뿐만 아니라 열과 압력으로 인해 최종생산되는 합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프레싱에 주어지는 열과 압력이 120℃의 온도와 20kg/cm2의 압력 미만일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가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원활하게 녹여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150℃의 온도와 30kg/cm2의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최종생산되는 합판에 뒤틀림 현상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조된 합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판 단판(11, 11')과, 연결단판(12)과, 핫멜트 접착제(13)로 이루어진 합판(1)으로서, 2개의 일반단판(11, 11')사이에 다수개의 연결단판(12)이 적층된 후 프레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판(12)는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된 목재의 테두리에 타공한 타공목재를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한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 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목재 중에서 소나무(잔목재)를 선택하고, 선택된 소나무의 껍질을 제거하고 15cm×90cm×0.3cm(가로×세로×두께)로 재단하여 소나무 단판으로 재단하고, 재단된 소나무 단판을 물에 2시간 침치한 후 45℃의 3시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소나무 단판을 강화시키고, 강화된 소나무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기를 이용하여 타공하는 데, 타공의 직경은 1.5cm이되, 타공 간의 간격은 3cm로 한다.
한편, 고체상태의 발포폴리스티렌을 선택한 후 직경이 1.3cm로 재단한다.
그리고, 상기 일 타공된 단판의 구멍과 타 타공된 단판의 구멍에 상기 재단된 발포폴리스티렌을 삽입하여 연결하여 연결단판을 제조한다.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상기 제조된 연결단판(2개)을 적층하고, 적층된 일반단판과 연결단판을 130℃의 온도와 25kg/cm2의 압력을 주어 프레싱한다.
비교예 : 일반적인 방법에 따른 일반합판
수입산 나왕나무를 선택하고, 선택된 나왕나무의 껍질을 제거하고 150cm×180cm×0.3cm(가로×세로×두께)로 재단하여 나왕나무 단판으로 재단하고, 재단된 나왕나무 단판을 적층하는데, 적층된 나왕나무 단판 사이에 본드 접착제를 넣어 접착한 후 프레싱한다.
실험 1 : 합판의 내구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실시예)과 일반적인 방법에 따른 일반합판(비교예)의 내구성을 실험하였다.
합판의 내구성에 관한 실험은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고, 5가지 항목은 휨강도(kgf/cm2), 휨영계수(103kgf/cm2), 압축강도(kgf/cm2), 내수접착력(kgf/cm2), 함수율(%)이다.
휨강도 (kgf/cm2) 휨영계수 (103kgf/cm2) 압축강도 (kgf/cm2) 내수접착력 (kgf/cm2) 함수율 (%)
평행 직각 평행 직각 평행 직각
실시예 807 736 96.2 92.4 431 532 15.8 3.9
비교예 715 624 91.8 88.8 376 470 12.4 5.6
상기 표 1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합판의 내구성에 관한 실험은 5가지 항목 중 4가지 항목에서 실시예가 비교예 보다 높게 나타나 있음에 따라,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내구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합판의 내구성에 관한 실험은 5가지 항목 중 함수율(%)에서 실시예가 비교예 보다 낮게 나타나 있는 것은 실시예의 제조방법 중에서 단판 강화공정(제2공정)을 통해 단판에 있는 진 및 수분을 최대한 제거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실시예에서 단판에 있는 진 및 수분을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비교예의 휨강도, 휨영계수, 압축강도 보다 실시예의 휨강도, 휨영계수, 압축강도 높아짐에 따라, 실시예의 내구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2 : 합판의 단열성 및 보온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실시예)과 일반적인 방법에 따른 일반합판(비교예)의 단열성 및 보온성을 실험하였다.
상기 합판의 단열성 및 보온성 실험의 방법은 실시예와 비교예를 각각 사각상자를 만들고 내부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부착한 후 온도의 변화를 3회 반복 측정한다.
여기서, 단열성 실험의 온도 측정방법은 사각상자의 내부 온도를 25℃로 고정하고, 사각상자의 외부 온도를 45℃로 하고, 3시간 후 내부의 온도를 3회 반복 측정한다.
또한, 보온성 실험의 온도 측정방법은 사각상자의 내부 온도를 25℃로 고정하고, 사각상자의 외부 온도를 5℃로 하고, 3시간 후 내부의 온도를 3회 반복 측정한다.
단열성 실험 보온성 실험
초기온도(℃) 변경온도(℃) 온도변화량(℃) 초기온도(℃) 변경온도(℃) 온도변화량(℃)
실 시 예 1 25 28 3 25 22 3
2 25 27 2 25 21 4
3 25 28 3 25 23 2
비 교 예 1 25 36 11 25 15 10
2 25 34 9 25 14 11
3 25 38 12 25 16 9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합판의 단열성 및 보온성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초기온도(℃)에서 변경온도(℃)를 통해 온도의 변화량(℃)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단열성과 보온성을 알 수 있다.
첫번째로, 단열성 실험에서 실시예에서의 온도변화량(℃)을 보게 되면 2~3℃인 것에 비해 비교예의 온도변화량(℃)은 9~12℃로 나타나 있음에 따라 외부온도(45℃)에 의해 온도변화량(℃)이 적은 실시예가 비교예 보다 단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번째로, 보온성 실험에서 실시예에서의 온도변화량(℃)을 보게 되면 2~4℃인 것에 비해 비교예의 온도변화량(℃)은 9~11℃로 나타나 있음에 따라 외부온도(45℃)에 의해 온도변화량(℃)이 적은 실시예가 비교예 보다 보온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된 단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합판 11, 11' : 일반단판
12 : 연결단판 13 : 핫멜트 접착제

Claims (6)

  1. 목재를 선택하고, 선택된 목재의 껍질을 제거하고 단판으로 재단하는 목재 선택 및 단판재단공정(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껍질이 제거되고 재단된 단판을 물에 1~3시간 침지한 후 30~60℃의 2~5시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는 단판 강화공정(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강화된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기를 이용하여 타공하는 타공공정(제3공정)과;
    고체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선택한 후 상기 3공정에서 단판에 형성된 타공의 직경을 맞추되, 직경이 0.5~2cm 미만으로 재단하는 핫멜트 접착제 재단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3공정의 타공된 단판을 상기 제4공정의 재단된 핫멜트 접착제로 연결하는 연결단판 제조공정(제5공정)과;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상기 제5공정의 연결단판을 적층하는 적층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6공정에서 2개의 일반단판 사이에 적층된 연결단판에 열과 압력을 주어 프레싱하는 프레싱 공정(제7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사용되는 목재는 소나무, 잣나무, 섬잣나무, 해송, 주목, 노간주나무, 솔송나무, 구상나무, 전나무, 이깔나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이상 혼합하여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껍질이 제거된 단판의 재단 규격은 5~30cm×60~180cm×0.1~0.5cm(가로×세로×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단판의 테두리에 타공되는 타공의 직경은 0.5~2cm이되, 타공 간의 간격은 2~4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의 핫멜트 접착제는 폴리아마이드(Polyamide)계, 고무(Rubber) 계, 스티렌수지(styrene resin), 발포폴리스티렌(Expandable Polystyrene, EPS),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공정에서 프레싱에 주어지는 열과 압력은 120~150℃의 온도와 20~30kg/cm2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KR1020080116290A 2008-11-21 2008-11-21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KR10089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290A KR100891170B1 (ko) 2008-11-21 2008-11-21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290A KR100891170B1 (ko) 2008-11-21 2008-11-21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170B1 true KR100891170B1 (ko) 2009-04-01

Family

ID=4075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290A KR100891170B1 (ko) 2008-11-21 2008-11-21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1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2056A (zh) * 2013-03-05 2013-05-22 黑龙江华信家具有限公司 环保节能实木复合多层装饰板的制作方法
CN103692506A (zh) * 2013-12-24 2014-04-02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木材气干密度参数的胶合木构件加压制备工艺
CN105291207A (zh) * 2015-09-22 2016-02-03 张建明 一种环保生态板及其生产工艺
CN106891396A (zh) * 2017-04-24 2017-06-27 福州翰扬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无醛热熔胶膜生产低压缩率胶合板的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029A (ja) * 1993-09-30 1995-04-18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単板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2067225A (ja) 2000-08-25 2002-03-05 Tateyama Alum Ind Co Ltd 化粧シート貼り木質材
KR20020053067A (ko) * 2000-08-10 2002-07-04 프레이리 홈즈 인코포레이티드 나무판 및 집성재
KR100638110B1 (ko) 2004-04-23 2006-11-23 홍기호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029A (ja) * 1993-09-30 1995-04-18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単板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20053067A (ko) * 2000-08-10 2002-07-04 프레이리 홈즈 인코포레이티드 나무판 및 집성재
JP2002067225A (ja) 2000-08-25 2002-03-05 Tateyama Alum Ind Co Ltd 化粧シート貼り木質材
KR100638110B1 (ko) 2004-04-23 2006-11-23 홍기호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2056A (zh) * 2013-03-05 2013-05-22 黑龙江华信家具有限公司 环保节能实木复合多层装饰板的制作方法
CN103692506A (zh) * 2013-12-24 2014-04-02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木材气干密度参数的胶合木构件加压制备工艺
CN105291207A (zh) * 2015-09-22 2016-02-03 张建明 一种环保生态板及其生产工艺
CN106891396A (zh) * 2017-04-24 2017-06-27 福州翰扬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无醛热熔胶膜生产低压缩率胶合板的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8549A (en) Laminated material made of annual lignocellulosic stalks
CN101934538B (zh) 一种无甲醛竹材集成材及其制造方法
WO2008010602A1 (fr) Matériau composite pour une âm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dit matériau, contreplaqu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dit contreplaqué
CN201141192Y (zh) 一种实木复合地板
KR100891170B1 (ko) 잔목재를 이용한 합판제조방법
JP2011068015A (ja) 合板、パーム合板、合板製造方法、およびパーム合板製造方法
CN103072161A (zh) 一种木单板胶合方法
CN109571670A (zh) 一种适应大规模生产的竹规格材的制备方法
JP5358402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CN102601828A (zh) 一种大幅面拼接材料及其制造方法
CN105479558A (zh) 展平竹层积材拼板及其制造方法
CN204955040U (zh) 竹集成材增强胶合木
CN107803910A (zh) 一种防裂家具加工工艺
JP2944792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US2010023982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mboo Decorative Sheet and Bamboo Decorative Sheet thereof
KR100893304B1 (ko) 잔목재를 이용한 난연합판제조방법
CN201456131U (zh) 复合阻燃细木工板
JP5052435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JP2008155431A (ja) 床材の製造方法
CN201428366Y (zh) 一种实木百叶窗片
CN103286840B (zh) 定向刨花板箱板
CN202208047U (zh) 包装箱桉木型材
CN102909761B (zh) 匀质集装箱底板生产方法
KR20100086276A (ko) 종이를 이용한 판재 제조 방법 및 그 판재
CN201505967U (zh) 三层复合集成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