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343B1 -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343B1
KR100890343B1 KR1020080127201A KR20080127201A KR100890343B1 KR 100890343 B1 KR100890343 B1 KR 100890343B1 KR 1020080127201 A KR1020080127201 A KR 1020080127201A KR 20080127201 A KR20080127201 A KR 20080127201A KR 100890343 B1 KR100890343 B1 KR 10089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cover
food
portions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환
Original Assignee
김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환 filed Critical 김무환
Priority to KR102008012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즉석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식품(라면 등)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식품용기는 장방형 육면체에 식품의 내용물이 들어가는 바닥부와, 조리에 필요한 물이 들어가는 상단부 및 용기의 덮개와, 상단부의 급탕(온수)이 채워지는 부분은 운반 및 보관시에는 접히도록 하고, 조리시에는 상단부의 접힘부분이 확장되어 공간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시에는 덮개로 용기를 밀폐시켜 내용물(인스턴트 식품 등)이 조리되도록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좌, 우측에 위치하는 상부 접힘부와, 상기 상부 접힘부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상면 이음부로 형성되는 상단부와, 중심 측면부 및 좌, 우 측면부와, 측면 이음부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중앙 바닥면 및 하부 접힘부와, 바닥 이음부로 형성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둠과 동시에, 상면부 및 측면부와 측면 보강부, 접힘 보강부로 형성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덮개는 열림부에 의하여 개폐가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는 종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비하여, 장방형 육면체로서 용기가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운송 및 보관시의 소요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와 덮개는, 방수처리된 한장의 재질로 형성 되어 있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닥은 사각형으로서 다중처리되는 구조이므로, 원추형의 종래 용기에 비하여 보온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전복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인스턴트 용기의 특성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품용기, 상단부, 상, 하부 보강테, 중앙이음부, 바닥부, 중앙부, 덮개, 열림부

Description

식품용기{Food containers}
본 발명은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즉석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인스턴트 식품(라면 등)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용기(컵라면 등)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서 바닥부(2)와 측면(3) 및 상단의 보강부(5)로 형성되고, 사용시에는 덮개면(4)을 개방하여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1)에 급탕(뜨거운물)을 공급하여 내장된 식품(1)을 조리하는 용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식품용기는 원추형으로서 내부에 급탕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상부로 이동하여 이로 인한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고, 원통형의 용기이어서 보관 및 운송시에 많은 면적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급탕(온수)을 채운 시점부터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손을 이용하여 덮개를 고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확장면(6)을 갖는 접이식 사발(공개특허공보 10-2006-0132754호)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접이식 사발은 바닥면을 별도로 부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면(4)도 단지 덮는 기능만 가지고 있는 구조이어서, 급탕의 공급 후에 일정시간이 필요한 인스턴트 식품의 특성상 내용물(식품)이 잘 조리되지 않으며, 시식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면(4)을 개방하면 확장면(6)이 접혀져서 내용물을 시식하기가 불편한 점과 함께 뜨거운 물과 혼합된 식품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송 및 보관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운송비와 보관비가 절약되며, 사용이 간편한 식품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이 및 발포스티렌의 내, 외부에 인체에 무해한 비닐로 코팅처리되어 제작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좌, 우측에 위치하는 상부 접힘부와, 상기 상부 접힘부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상면 이음부로 형성되는 상단부와, 중심 측면부 및 좌, 우 측면부와, 측면 이음부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중앙 바닥면 및 하부 접힘부와, 바닥 이음 부로 형성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둠과 동시에, 상면부 및 측면부와 측면 보강부, 접힘 보강부로 형성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덮개는 열림부에 의하여 개폐가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종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비하여, 바닥 등이 다각형(4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운송 및 보관시의 소요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와 덮개는, 방수처리된 한장의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인 식품용기는 불안정한 형태를 가지는 종래 덮개의 구성을 개선하여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뜨거운 물을 채운 후에 일정시간의 조리시간이 필요한 인스턴트 용기의 특성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식품용기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원추형 식품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접이식 식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부의 전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덮개의 전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부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부의 조립완성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조리시의 덮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 및 도 5d는 조리가 완료된 식품을 시식하기 위하여 덮개에 부착된 열림부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덮개가 접혀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c는 운반 및 보관시의 몸체부에 덮개가 장착되는 사시도이며, 도 6d는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부 확장부를 상향시켜 확장된 몸체부를 덮개로 밀폐시키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바닥부에 대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식품용기는, 장방형 육면체에 식품의 내용물이 들어가는 바닥부와, 조리에 필요한 물이 들어가는 상단부 및 용기의 덮개와, 상단부의 급탕(온수)이 채워지는 부분이 접히도록 하고, 조리시에는 상단부의 접힘 부분이 확장되어 공간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시에는 덮개로 용기를 밀폐시켜 내용물(인스턴트 식품 등)이 조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몸체부(100)는, 도 3a의 전개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부(110)와 중앙부(120) 및 바닥부(130)로 이루어져 있으며, 덮개(200)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의 상면부(201)를 중심으로 각각(두쌍)의 측면부(202)와 측면 보강부(203) 및 접힘 보강부(204)가 대칭되는 위치 에 형성되어 있다.
이를 도 3a 내지 도 7b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품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면(111)과, 상기 상부면(1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 이음부(113)와, 상기 상부면(111)과 상면 이음부(11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와, 상기 삼각 접힘부(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확장부(112)로 이루어지는 상단부(110)와,
중심 측면부(121)와, 상기 중심 측면부(121)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좌, 우 측면부(122)와, 상기 좌, 우 측면부(122)와 양단부가 연결되는 측면 이음부(123)로 형성되는 중앙부(120)와,
중앙 바닥면(131)과, 상기 중앙 바닥면(1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닥 이음부(133)와, 상기 중앙 바닥면(131)과 바닥 이음부(13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와, 상기 삼각 접힘부(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접힘부(132)로 형성되는 바닥부(13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를 갖는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중첩부(135)를 갖는 상면 이음부(113)와 측면이음부(123) 및 바닥 이음부(133)들 사이의 상호 접합(접착제 또는 열 융착)에 의하여 장방형 육면체를 형성한다.
상기 중첩부(135)의 폭(b')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면(111)과 중심 측면부(121) 폭(b)의 35% ~ 45% 가 되도록 하되, 중첩 후의 상면 이음부(113)의 폭은 상부면(111)과 중심 측면부(121), 좌, 우 측면부(122)의 폭(b)과 동일하게 한다.
이는 중첩부(135)의 폭(b')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때는, 접합력의 저하로 인하여 운송 및 사용중에 내장물(식품) 등이 외부로 반출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클 때에는 제료비가 상승됨과 동시에, 접착면의 증대로 인하여 제작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탕(온수)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를 밀폐시키는 덮개(200)의 구조는, 상면부(201)와 측면부(202), 측면 보강부(203) 및 접힘 보강부(204)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200)는 열림부(205)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들에 대한 접합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단부에는 상호 접합되는 한쌍의 중첩부(135)가 상면 이음부(113)와 측면 이음부(123) 및 바닥 이음부(133)에 형성된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상면 이음부(113) 및 바닥 이음부(133)와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 확장부(112)와 하부 접힘부(132)는, 도 3a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보강테(114)가 안쪽으로 접어져서 삽입된 상태에서 절곡선(115)을 따라 상기 상부 확장부(112)가 이등 삼각형이 되도록 중첩하여 접어서, 이를 외향 절곡한다.
이때, 상기 상부 보강테(114)와 하부 보강테(134)의 높이(h')는 몸체 높이(h)의 3/1 내지 1/5 이 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 보강테(114, 134)가 접힌 후의 상단부(110)와 중앙부(120) 및 바닥부(130)는 제작 및 사용시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높이(h)가 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보강테(114, 134) 들의 높이가 위 범위보다 작을 때는 강도의 저하로 인하여 조리시 및 운송도중에 식품용기의 변형 등으로 인하여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쌍의 하부 접힘부(13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보강테(134)를 바깥쪽으로 접어서 상호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접힘부(132)를 안쪽(바닥내측)으로 접어서 마주 닿는 면들인 중앙 바닥면(131) 및 바닥 이음부(133)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한다.
식품(1)을 조리하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갖는 덮개(200)의 조립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절취선(208)을 따라 절단하여, 측면부(202)와 측면 보강부(203)를 분리한다.
위와 같이, 측면부(202)와 측면 보강부(203)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각각의 측면부(202)와 접힘 보강부(204)를 상향 직립시킨다.
직립된 접힘 보강부(204) 들을 안쪽으로 90°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접힘 보강부(204)의 외측면과 이와 대응되는 측면부(202)의 내측면들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접힘 보강부(204)를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180°접어서 측면부(202)와 고정되어 있는 보강부(204)에 부착한다.
상기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접힘 보강부(H')의 높이는 상기 덮개부(200) 높이(H)의 1/2 내지 1/3 되도록 한다. 이는 접힘 보강부의 높이가 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덮개의 변형 또는 제작비의 상승 등의 문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위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사용은, 먼저 도 5a 및 6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접힘부(112)를 상향 확장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저장된 식품(1)에 급탕(온수)을 집어넣어 조리한다.
이때, 몸체부의 용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와 동일평면을 이루면서 상부로 확장되는 구성은, 상부면(111)과, 상기 상부면(111)과 마주보는 상면 이음부(113)와,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확장부(112)와, 상기 상부 확장부(112)의 이면과 접촉상태에 있던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 들이다.
급탕(온수)이 삽입된 후의 덮개(200)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끼워서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덮개(200)의 모서리부(207)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열림부(205)를 손잡이(206)를 이용하여 젖히거나, 덮개(200)로부터 분리하여 내부에 있는 식품에 대하여 시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관 및 운반시에는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삼각 접힘부(119)로 이루어지는 상부 확장부(112)는 외측으로 접어서 좌, 우 측면부(122)에 밀착시키고, 덮개(200)를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보관 및 운반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종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비하여, 바닥 등이 다각형(4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운송 및 보관시의 소요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와 덮개는, 방수처리된 한장의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바닥은 다각형으로서 다중처리(절첩)되는 구조이므로, 원추형의 종래 용기에 비하여 보온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잘 전복되지 않는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야 하는 인스턴트 용기의 특성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인 식품용기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예 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재는 종이 또는 발포스티렌 재질에 한정하지 않고, 가볍고 보온성과 내습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목재 또는 인체에 무해한 프라스틱 등을 사용해도 좋다.
도 1은 일반적인 원추형 식품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접이식 식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부의 전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덮개의 전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부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몸체부의 조립완성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조리시의 덮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 및 도 5d는 조리가 완료된 식품을 시식하기 위하여 덮개에 부착된 열림부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의 덮개가 접혀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c는 운반 및 보관시의 몸체부에 덮개가 장착되는 사시도이며,
도 6d는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부 확장부를 상향시켜 확장된 몸체부를 덮개로 밀폐시키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인 식품용기에 대한 바닥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품 100 : 몸체부 110 : 상단부 120 : 중앙부
130 : 바닥부 200 : 덮개 205 : 열림부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건조된 인스턴트 식품이 보관되며, 종이 및 발포스티렌의 내, 외부에 무해한 비닐로 코팅처리되어 제작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면(111)과, 상기 상부면(1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 이음부(113)와, 상기 상부면(111)과 상면 이음부(11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와, 상기 삼각 접힘부(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확장부(112)로 이루어지는 상단부(110)와,
    중심 측면부(121)와, 상기 중심 측면부(121)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좌, 우 측면부(122)와, 상기 좌, 우 측면부(122)와 양단부가 연결되는 측면 이음부(123)로 형성되는 중앙부(120)와,
    중앙 바닥면(131)과, 상기 중앙 바닥면(1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닥 이음부(133)와, 상기 중앙 바닥면(131)과 바닥 이음부(13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와, 상기 삼각 접힘부(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접힘부(132)로 형성되는 바닥부(13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를 둠과 동시에,
    상면부(201) 및 측면부(202)와 측면 보강부(203), 접힘 보강부(204)로 형성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덮개(200)는 열림부(205)에 의하여 개폐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상단부(110)와 바닥부(130) 에는 변형을 방지하는 상부 보강테(114)와 하부 보강테(13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건조된 인스턴트 식품이 보관되며, 종이 및 발포스티렌의 내, 외부에 무해한 비닐로 코팅처리되어 제작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면(111)과, 상기 상부면(1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 이음부(113)와, 상기 상부면(111)과 상면 이음부(11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와, 상기 삼각 접힘부(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확장부(112)로 이루어지는 상단부(110)와,
    중심 측면부(121)와, 상기 중심 측면부(121)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좌, 우 측면부(122)와, 상기 좌, 우 측면부(122)와 양단부가 연결되는 측면 이음부(123)로 형성되는 중앙부(120)와,
    중앙 바닥면(131)과, 상기 중앙 바닥면(1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닥 이음부(133)와, 상기 중앙 바닥면(131)과 바닥 이음부(13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삼각 접힘부(119')와, 상기 삼각 접힘부(119')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접힘부(132)로 형성되는 바닥부(13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를 둠과 동시에,
    상면부(201) 및 측면부(202)와 측면 보강부(203), 접힘 보강부(204)로 형성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덮개(200)는 열림부(205)에 의하여 개폐가 되도록 하며, 상기 열림부(205)는 개폐용 손잡이(206)가 장착됨과 동시에, 덮개부(200)의 모서리부(207)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KR1020080127201A 2008-12-15 2008-12-15 식품용기 KR100890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01A KR100890343B1 (ko) 2008-12-15 2008-12-15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01A KR100890343B1 (ko) 2008-12-15 2008-12-15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343B1 true KR100890343B1 (ko) 2009-03-25

Family

ID=4069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201A KR100890343B1 (ko) 2008-12-15 2008-12-15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3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9713U (ja) 1983-02-17 1984-08-31 田中 紳一 段ボ−ル箱
JPH0450613U (ko) * 1990-09-07 1992-04-28
JP2002347740A (ja) 2001-05-23 2002-12-04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紙容器
KR200437122Y1 (ko) * 2007-02-05 2007-11-08 김정환 종이 컵라면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9713U (ja) 1983-02-17 1984-08-31 田中 紳一 段ボ−ル箱
JPH0450613U (ko) * 1990-09-07 1992-04-28
JP2002347740A (ja) 2001-05-23 2002-12-04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紙容器
KR200437122Y1 (ko) * 2007-02-05 2007-11-08 김정환 종이 컵라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US4284205A (en) Foldable cup
KR101010243B1 (ko) 용기 및 용기 제조용 블랭크
ES2209500T3 (es) Contenedor articulable.
JP3232373U (ja) 生鮮商品運送用で、優れた熱絶縁性と水密性を有し、箱の最終シール工程用の粘着テープの貼り付けを容易にし、以下を特徴とする段ボール箱
CN103359398B (zh) 容器装方便食品、该食品的烹饪方法及方便食品用容器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KR20230031484A (ko) 일회용 식품 포장상자
KR101136527B1 (ko) 삼각형상의 조립식 포장가방
KR100890343B1 (ko) 식품용기
US3430841A (en) Tri-cornered bag
KR102225367B1 (ko)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CN105752464A (zh) 食物包装袋
JP2006347627A (ja) 折畳み椀
JP4135336B2 (ja) 電子レンジ用紙容器
KR101057823B1 (ko) 접이식 용기 및 즉석식품
KR101484036B1 (ko) 접이식 인스턴트 식품 용기
KR100898981B1 (ko)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JP2022076960A (ja) 紙製容器
KR20130084497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100869672B1 (ko) 종이용기
JP4929482B2 (ja) 持帰り梱包箱
KR200476971Y1 (ko) 잠금부를 갖는 원터치 방식의 덮개를 구비한 접이식 용기
KR101388256B1 (ko) 컵라면 뚜껑의 고정장치
JP2001315750A (ja) 起立可能な紙製湾曲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