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497A - 접이식 컵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497A
KR20130084497A KR1020120005320A KR20120005320A KR20130084497A KR 20130084497 A KR20130084497 A KR 20130084497A KR 1020120005320 A KR1020120005320 A KR 1020120005320A KR 20120005320 A KR20120005320 A KR 20120005320A KR 20130084497 A KR20130084497 A KR 2013008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body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4497A/ko
Publication of KR2013008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롭게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둘레면에 접이식 주름부를 형성하여 상하로 부피가 가변되는 용기본체; 및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용기본체의 부피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용기본체의 가변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따르면, 박스포장시 부피를 최소화시켜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수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컵라면 용기{The Folded Bowl For Instant Noodle}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유롭게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용기는 용기본체 내부에 면과 분말 수프가 내장되며 상부에는 용기뚜껑으로 밀봉된 상태로써, 사용시 용기뚜껑을 개방하여 뜨거운 물을 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리가 완료된다. 즉 뜨거운 물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이다.
이러한 컵라면 용기는 간편한 한끼 식사로 충족시킬 수 있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가 용이하므로 야외 활동시 많이 이용하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1)는 스티로폼 또는 종이 재질로 성형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마감하는 용기뚜껑(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1)는 용기본체(10)가 그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 즉, 라면 및 분말스프에 비하여 차지하는 부피가 크다. 이는 라면을 익혀 먹을 때 용기본체(10)에 충분한 양의 물을 부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용물에 비해 부피가 큰 종래의 컵라면 용기에 따르면 용기의 큰 부피로 인해 포장, 운송, 보관에 많은 물류비용이 들게 되며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수량에 있어서도 제한적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컵라면 용기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박스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343589호, 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상기와 같은 박스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 라면을 먹을 때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즉, 주름진 용기를 편 상태에서 용기에 물을 부으면 주름진 부분 때문에 용기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경우에 따라 용기가 기울어지면서 용기에 담겨 있는 물이 쏟아져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특히, 컵라면 용기를 손으로 들고 먹는 경우에 이런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포장이나 운송, 보관시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라면을 먹을 때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부을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릴 수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뜨거운 물을 부은 상태에서도 안정성이 보장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둘레면에 접이식 주름부를 형성하여 상하로 부피가 가변되는 용기본체; 및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용기본체의 부피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용기본체의 가변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접이식 주름부는 둘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된다.
지지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둘레면에 이격되게 고정된다.
지지부재는 둘레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체; 및 하부 지지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둘레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지지체가 상부 지지체 내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하부 지지체의 상단부에는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부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하부 지지체의 확대부가 걸림으로써 하부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소부가 형성되며, 상부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하부 지지체가 빠진 후 다시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따르면, 박스포장시 부피를 최소화시켜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수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부피 가변시 함께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부재를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용기본체의 부피를 늘린 후 뜨거운 물을 붓고 라면을 익혀 먹을 때 지지부재를 이용해 용기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용기본체의 둘레면이 접이식 주름부로 형성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정성을 지지부재를 이용해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본체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용기본체의 부피가 늘어난 모습을 횡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용기본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길이가 줄어든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길이가 늘어난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본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용기본체의 부피가 늘어난 모습을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용기본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100)는 면과 분말스프를 내장하는 공간부를 갖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용기뚜껑(120), 및 용기본체(110)에 고정되어 용기본체(11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0)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재질로 제작되는데 그 형상이 컵, 대접 또는 도시락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둘레면에 접이식 주름부(111)를 형성함으로써 상하로 부피가 가변된다. 이 때, 접이식 주름부(111)는 도 3과 같이 둘레면 중 하부에 치우쳐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둘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접이식 주름부(111)는 상하방향으로 가변이 용이하고 펴진 상태에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다면 둘레면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3과 같이 둘레면 중 상부에 접이식 주름부(1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지지부재(130)뿐만 아니라 이 부분으로 인해 용기본체(110)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용기본체(110)의 둘레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30)는 용기본체(110)의 부피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져 용기본체(110)의 가변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접이식 주름부(111)가 접혀져 용기본체(110)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10)와 함께 길이가 축소되고, 접이식 주름부(111)가 펴지면서 용기본체(110)의 부피가 늘어나게 되면 길이가 늘어나 용기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길이가 줄어든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길이가 늘어난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지지부재(130)는 하단부가 용기본체(110)의 둘레면 하부에 열융착되는 튜브형상의 하부 지지체(131)와, 하부 지지체(131)의 외측 또는 내측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상단부가 용기본체(110)의 둘레면 상부(접이식 주름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열융착되는 튜브형상의 상부 지지체(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지지체(131)가 상부 지지체(132) 내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었다.
하부 지지체(131)의 상단부에는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확대되는 확대부(131a)가 형성되며, 하부 지지체(131)의 하단부에는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하부 지지체(131)의 확대부(131a)가 걸림으로써 하부 지지체(131)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소부(132a)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지체(132)의 상단부에는 하부 지지체(131)가 빠진 후 다시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132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130)의 구성에 의하면, 용기본체(11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하부 지지체(131)가 도 7에서와 같이 걸림턱부(132b)를 관통하여 상부 지지체(132) 내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130)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에 있다가, 용기본체(110)가 펴진 상태에서는 하부 지지체(131)가 도 8에서와 같이 걸림턱부(132b)로부터 이탈되어 걸림턱부(132b)의 하부에 걸림으로써 지지부재(130)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 상태에서는 걸림턱부(132b)에 하부 지지체(131)의 상단이 걸리기 때문에 위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지지부재(130)의 길이가 줄어들지 못한다. 따라서, 지지부재(130)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용기본체(110)도 펴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접이식 컵라면 용기(100)에 따르면 접이식 주름부(111)를 완전히 접은 후 내용물을 용기본체(110) 내에 넣고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의 상면에 부착하거나 조립하여 용기본체(110)의 상면을 닫은 후 포장용 필름(미도시)으로 외표면을 완전히 감싸므로써 개별포장이 완료된다.
개별포장이 완료된 컵라면은 운송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재차 소정크기의 박스 내에 정해진 수량을 수납시켜 박스 포장한다.
본 발명 접이식 컵라면 용기(100)에 따르면 개별포장 및 박스포장시 포장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포장시 사용되는 포장용 필름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박스포장시 요구되는 박스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체적의 창고나 운반용 차량에 보다 많은 컵라면을 적재할 수 있어 포장비용뿐만 아니라 물류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된 컵라면을 소비자가 구입하여 먹을 때에는 먼저 포장용 필름 및 용기뚜껑(120)을 제거한 후 용기본체(110)의 상하단부를 잡고 상하방으로 동시에 당기면 접이식 주름부(111)가 펴지면서 용기본체(110)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컵라면 조리법에 따라 조리하여 별다른 불편 없이 라면을 먹을 수 있다.
라면을 먹을 때 용기본체(110)를 지지부재(130)가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용기본체(110)가 기울어질 염려가 없다. 특히 용기본체(110)를 손으로 들고 먹더라도 기울어질 염려가 없기 때문에 뜨거운 물이 쏟아져 손에 화상을 입을 염려가 전혀 없다.
라면을 다 먹은 후에는 용기본체(110)로부터 지지부재(130)를 모두 분리한 후 접이식 주름부를 접어서 버림으로써 쓰레기의 부피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0 : 컵라면 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접이식 주름부 120 : 용기뚜껑
130 : 지지부재 131 : 하부 지지체
132 : 상부 지지체

Claims (5)

  1. 둘레면에 접이식 주름부를 형성하여 상하로 부피가 가변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부피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가변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주름부는 상기 둘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둘레면에 이격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둘레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체; 및
    상기 하부 지지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상기 둘레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체가 상기 상부 지지체 내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상기 하부 지지체의 상단부에는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하부 지지체의 확대부가 걸림으로써 하부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소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지지체가 빠진 후 다시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1020120005320A 2012-01-17 2012-01-17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20130084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320A KR20130084497A (ko) 2012-01-17 2012-01-17 접이식 컵라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320A KR20130084497A (ko) 2012-01-17 2012-01-17 접이식 컵라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97A true KR20130084497A (ko) 2013-07-25

Family

ID=4899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320A KR20130084497A (ko) 2012-01-17 2012-01-17 접이식 컵라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44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358A (ko) * 2014-02-25 2015-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주름 용기
CN112938192A (zh) * 2021-01-27 2021-06-11 四川农业大学 一种方便面碗复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358A (ko) * 2014-02-25 2015-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주름 용기
CN112938192A (zh) * 2021-01-27 2021-06-11 四川农业大学 一种方便面碗复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257B2 (en) Collapsible shape-retaining containers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JP2010189065A (ja) 特に固形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製品用の容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容器とそれを受け入れる入れ物とからなる包装
US20110226914A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for a bag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KR20130084497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101092853B1 (ko) 신축구성을 갖는 일회용 용기
KR20130000820U (ko) 식품포장용 용기
CN207275411U (zh) 可折叠变形成杯子的纸盒包装
KR101587012B1 (ko) 접이식 컵라면용기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CN205837636U (zh) 一种方便面包装盒
KR200487643Y1 (ko) 자동 스탠딩형 포장재
KR200364685Y1 (ko)
KR200470505Y1 (ko)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20100092135A (ko) 식품용기
KR101175913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튀김수용용기
CN220255908U (zh) 一种纸浆模塑餐具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KR200265997Y1 (ko) 컵 라면 용기 지지구조
KR101025158B1 (ko) 일회용 용기
CN209506389U (zh) 一种泡面盒
KR200442298Y1 (ko) 식품용기
KR200395420Y1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KR20170079230A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