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05Y1 -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05Y1
KR200470505Y1 KR2020120004202U KR20120004202U KR200470505Y1 KR 200470505 Y1 KR200470505 Y1 KR 200470505Y1 KR 2020120004202 U KR2020120004202 U KR 2020120004202U KR 20120004202 U KR20120004202 U KR 20120004202U KR 200470505 Y1 KR200470505 Y1 KR 200470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posable cup
upper inlet
sealed
pa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41U (ko
Inventor
옥동훈
Original Assignee
옥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동훈 filed Critical 옥동훈
Priority to KR2020120004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0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a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차, 수프 등의 식품을 포장재 내부에 담아 유통하고 포장재를 그대로 용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회용 컵은, 용기 소재의 하단 테두리를 마주보게 접착하여 밀봉한 형태의 밀폐 하단부(12)를 구비하고, 용기 소재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방 접철선(14)을 따라 평탄한 판 모양으로 접히며, 양측의 측방 접철선(14) 부분을 안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넓게 확장되는 상단 입구부(16)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간편 식품을 수용 한 채 제공되는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외부에 상단 입구부(16) 둘레를 덮어 밀봉하는 형태로 부착되고, 상기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 부근의 둘레를 따라 뜯어내기 위한 절취선(22)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20); 상기 용기(10)의 둘레 외부에 부착되어 용기(10)를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용기를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부재(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DISPOSABLE CUP MADE UP OF SINGLE BODY CONTAINER AS A PACKING MATERIAL}
본 고안은 커피, 차, 수프 등의 식품을 포장재 내부에 담아 유통하고 포장재를 그대로 용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동작으로 쉽게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포장재와 용기를 일체화하여 제조원가를 낮추며, 더 나아가서는 뜨거운 용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탁자에 세워서 일반적인 커피 잔이나 용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커피 믹스'나 '티-백'과 같이 1회에 음용 하기 알맞은 분량으로 포장하여 제공되는 간편 식품은, 그것을 담아 물에 타기 위한 종이컵, 잔, 그릇 등의 용기뿐만 아니라, 스푼 또는 스틱 등과 같은 음용 도구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으면 섭취가 불가능 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일회용 컵에 대한 다양한 예가 특허문헌 1 내지 5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5에 개시된 일회용 컵을 포함하여 종래의 일회용 컵은, 포장재와 용기를 겸용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컵의 내부에 1회 분량의 간편 식품을 분말 형태나 단위포장 형태로 담고, 스틱이나 스푼과 같은 음용 도구를 포장재의 일측에 임시로 부착해 둔 형태이다.
이는, 내부에 식품을 담은 채 포장재와 컵을 일체로 구성하는 한편, 밀봉을 제거한 후 포장재의 접힌 부분을 펼치면 컵과 같은 용기 모양으로 전개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컵이나 음용 도구를 별도로 준비해 두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회용 컵은, 컵을 접거나 펴기 위해 매우 복잡 구조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접철선이나 절취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복잡한 프레스 성형과정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컵의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제공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점에서 좀 더 간단한 구조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컵은, 대부분 포장상태에서 바닥부나 측부가 내부로 접혀 들어가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된 다음 접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접힌 부분을 사용자가 올바로 펼치기가 까다로워 사용이 불편하며, 접힘 부분에 여러 장이 중첩되어 부피까지 커지므로, 이러한 점에서 좀 더 사용이 편리하고 부피도 작은 형태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 종래의 일회용 컵은, 컵의 둘레를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야 하는데, 뜨거운 물을 붓는 경우 컵의 외부가 쉽게 뜨거워지므로, 사용자가 잡고 있기가 곤란하기도 하고 뜨거움에 놀라 떨어뜨리는 예가 있으며, 심지어는 손에 가벼운 화상을 입히기까지 하므로, 이러한 점에서도 개선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22687호(2009.10.19. 공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105671호(2004.12.16. 공개)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0922687호(2009.10.19.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2246호(2009.03.04. 공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39550호(2001.05.15.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와 요구에 맞추어 고안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접철 개소를 줄여 제조원가를 낮춤과 아울러 단순한 동작으로 쉽게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는 뜨거운 용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탁자에 세워서 일반적인 커피 잔이나 용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10)는, 용기 소재의 하단 테두리를 마주보게 접착하여 밀봉한 일자형의 밀폐 하단부(12)를 구비하고, 양측에 각각 1줄의 측방 접철선(14)을 형성하여 측방 접철선(14)을 기준으로 접으면 상단 입구부(16)가 밀착되어 일자형으로 납작한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밀봉재(20)는,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보다 위쪽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일자형으로 납작하게 접힌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의 외부 둘레를 덮어 밀봉하며,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 위로 더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는 일자형으로 밀착되어 밀폐되고, 상기 상단 입구부(16) 보다 아래쪽에 둘레를 따라 뜯어내기 위한 절취선(22)이 형성되어 절취선(22)을 따라 윗부분을 뜯어내면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가 절취선(22) 위쪽으로 돌출되어 드러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용기(10)의 둘레 외부에 용기(10)를 손으로 잡거나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부재(30)를 구비하는데, 상기 패드 부재(30)에는 바깥쪽으로 펼칠 수 있는 다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32)의 하단은 상기 용기(10)의 일자형 밀폐 하단부(12)와 협동하여 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지지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은, 간편 식품을 젖거나 떠먹기 위한 음용 도구를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한 채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 부재는, 상기 용기의 둘레에 씌워지는 띠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 부재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 부착되는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띠의 중간 일부를 겹쳐 접어 돌출시킨 다음 용기 방향으로 밀착시켜 임시로 부착하며 사용시에는 외측으로 펼쳐서 용기의 몸통을 잡는 대신에 손으로 잡거나 바닥에 지지할 수 있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에 의하면, 용기의 접철과, 밀폐 및 개봉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단순한 동작으로 쉽게 개봉 또는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과 취급이 편리하다.
또한, 용기의 몸통 대신에 다리부를 잡고 들 수 있으므로, 뜨거운 용기를 잡을 필요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리를 펼쳐 용기를 세워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포장 상태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각 구성요소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용기의 형태와 밀봉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밀봉재의 일부를 절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배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밀봉재를 완전히 절취해 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용기의 입구를 확장시켜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물과 혼합 과정을 일례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용기를 확장시킨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을 탁자에 세워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은, 커피나 차와 같은 간편 식품(F)을 담아 두기 위한 용기(10)와, 용기(10)의 상단 입구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재(20)와, 용기(10)의 둘레 외부에 부착되는 패드 부재(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그것의 내부에 간편 식품(F)을 분말의 형태나 단위 포장의 형태로 담는 한편, 간편 식품을 젖거나 떠먹기 위한 음용 도구(40)를 담은 후 평탄한 모양으로(납작하게) 접은 형태로 제공되고 유통되며, 음용시에는 밀봉을 개방하고 상당 입구를 펼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밀폐 하단부(12)와 측방 접철선(14)(도 4 참조) 및 상단 입구부(16)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용기(10)는,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식품용 용기(컵 형태를 포함한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용기 소재의 하단 테두리를 마주보게 접착하여 밀봉함으로써 일자(一字)형(직선형)의 밀폐 하단부(12)가 형성된다.
측방 접철선(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소재의 내부 좌우 양측에 각각 1줄의 접철용 선이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10)는 양쪽의 측방 접철선(14)을 따라 평탄하고 납작한 판 모양으로 접힌다.
상단 입구부(16)는, 밀봉되지 않고 개방된 부분으로서, 양측의 측방 접철선(14) 부분을 안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넓게 확장된다.
용기(10)의 하단은 상기의 일자형 밀폐 하단부(12)의 구조에 의해 직선 모양으로 접착되어 밀봉된 형태를 가지며, 용기(10)의 몸통은 단순한 2개의 측방 접철선(14)을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간단한 접철 형태를 가지므로, 제조가 쉽고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사용 방법도 매우 간편하다.
밀봉재(20)는, 일자형(직선모양으로)으로 납작하게 접힌 상태에서의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 외부 둘레를 덮어 밀봉하는 형태로 부착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봉재(20)의 하부 일부분은 용기(10) 외부를 덮어 부착되고, 상부 일부는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보다 위쪽으로 더 연장되어 밀봉된 형태를 이룬다. 밀봉재(20) 상단의 밀봉은, 상단이 막히고 아래로 개방된 소재를 용기(10)에 씌운 형태로 구현가능하고, 또는 상하로 개방된 소재의 상단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부(24)로 접착하여 밀봉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밀봉재(20)의 중간 부분에는,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 둘레를 따라 뜯어내기 위한 절취선(22)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22)은, 일반적인 유통 상품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레스에 의해 밀봉재(20)의 둘레를 따라 홈을 압인하여 취약부를 만들어 둠으로써 뜯어내기 쉽게 한 것이다. 사용자는 절취선(22)을 따라 밀봉재(20)의 윗부분을 뜯어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용기의 개봉을 완료할 수 있다.
절취선(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 아래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22)을 따라 밀봉재(20)의 윗부분을 뜯어내면 상단 입구부(16)가 절취선(22) 위쪽으로 돌출되어 드러나게 되므로 음용이 편리하며 뜯어진 절취선(22)에 음식이 묻는 현상도 줄일 수 있다.
패드 부재(30)는, 용기(10)의 둘레 외부에 부착하거나 끼워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가능한 한 두꺼운 종이와 같이 어느 정도 이상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하여, 손으로 잡거나 용기를 바닥에 거치하는 경우 쉽게 휘어지거나 구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 부재(30)는, 용기(10) 몸통을 직접 손으로 잡는 대신으로 용기(1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용기를 탁자 위에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패드 부재(30)는, 용기(10)의 외부에 부착되는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띠의 중간 일부를 겹쳐 접어 돌출시킨 다리부(32)를 구비한다.
상기 다리부(32)는, 용기(10) 방향으로 밀착시켜 접착부(34) 등을 이용하여 임시로 접착해 둔 다음, 사용시에 외측으로 펼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리부(32)는 사용자가 용기(10)의 몸통을 잡는 대신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으로써, 용기(10) 표면의 뜨거운 열을 피하여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리부(32)를 펼쳐 탁자에 내려놓으면, 다리부(32)가 용기(10)를 지탱하게 된다. 즉, 다리부(32)의 하단은 용기(10)의 일자형 밀폐 하단부(12)와 협동하여 탁자(바닥)에 대한 지지점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용기(10)의 하부가 일자형 밀폐 하단부(12)와 같은 불안정한 지지 구조를 가지더라도 바닥에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바닥이 넓은 일반적인 컵처럼 사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용기(10)의 하부를 일자형의 밀폐 하단부(12)라고 하는 단순한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다리부(32)에 의지하여 탁자에 세울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밀봉재(20)의 일부를 절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재(20)의 절취선(22)을 따라 손으로 뜯어내면(찢으면)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밀봉재(20)를 완전히 절취해 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재(20)를 절취선(22)을 따라 전체적으로 뜯어내면 간단하게 개봉이 완료되며, 그 결과 용기(10)의 입구부(16) 전체가 쉽게 드러난다.
다음으로, 도 8은 도 7에서 용기의 입구를 확장시켜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용기(10)의 좌우 양측을 도면상 화살표시 방향으로 누르면, 용기(10)는 측방 접철선(14)에 의해, 그리고 밀폐 하단부(12)를 기점으로 입구부(16)로 갈수록 넓게 확장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펼쳐진다.
용기(10)의 내부에는 커피 믹스 분말, 수프 분말, 차 분말, 티-백 또는 그 이외의 간편 식품(도시하지 않음)이 들어 있음과 더불어, 간편 식품을 젖거나 떠먹기 위한 음용 도구(40)가 들어 있으므로, 음용 도구(40)를 꺼내어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9는 물과 혼합 과정을 일례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용기를 확장시킨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부에 물을 붓고, 음용 도구(40)를 사용하여 젖는다.
이때, 물이 뜨거운 경우에는, 다리부()를 외측 앞으로 펼쳐서 잡으면, 이를 테면 커피 잔의 손잡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 용기가 가지는 단점인 열에 의한 폐단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을 탁자에 세워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2)를 펼쳐 탁자에 내려놓으면, 다리부(32)가 용기(10)를 지지하여 세워지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10)의 하단을 일자형의 밀폐 하단부(12)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는 용기(10)를 스스로 세워 놓을 수는 없는 바, 그에 대한 대책으로 다리부(32)를 활용하면, 용기 바닥이 불안정한 지지 구조를 가지더라도 탁자나 바닥에 안전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용기
12 : 밀폐 하단부
14 : 측방 접철선
16 : 상단 입구부
20 : 밀봉재
22 : 절취선
24 : 접착부
30 : 패드 부재
32 : 다리부
34 : 접착부
40 : 음용 도구

Claims (5)

  1. 용기(10)는, 용기 소재의 하단 테두리를 마주보게 접착하여 밀봉한 일자형의 밀폐 하단부(12)를 구비하고, 양측에 각각 1줄의 측방 접철선(14)을 형성하여 측방 접철선(14)을 기준으로 접으면 상단 입구부(16)가 밀착되어 일자형으로 납작한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밀봉재(20)는,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보다 위쪽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일자형으로 납작하게 접힌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의 외부 둘레를 덮어 밀봉하며,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 위로 더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는 일자형으로 밀착되어 밀폐되고, 상기 상단 입구부(16) 보다 아래쪽에 둘레를 따라 뜯어내기 위한 절취선(22)이 형성되어 절취선(22)을 따라 윗부분을 뜯어내면 용기(10)의 상단 입구부(16)가 절취선(22) 위쪽으로 돌출되어 드러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용기(10)의 둘레 외부에 용기(10)를 손으로 잡거나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부재(30)를 구비하는데, 상기 패드 부재(30)에는 바깥쪽으로 펼칠 수 있는 다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32)의 하단은 상기 용기(10)의 일자형 밀폐 하단부(12)와 협동하여 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지지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간편 식품을 젖거나 떠먹기 위한 음용 도구를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한 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부재(30)는, 상기 용기(10)의 둘레에 씌워지는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부재(30)는, 상기 용기(10)의 외부에 부착되는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32)는, 상기 띠의 중간 일부를 겹쳐 접어 돌출시킨 다음 용기(10)의 몸통에 밀착시켜 접착부(34)에 의해 임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2020120004202U 2012-05-18 2012-05-18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200470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02U KR200470505Y1 (ko) 2012-05-18 2012-05-18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02U KR200470505Y1 (ko) 2012-05-18 2012-05-18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41U KR20130006841U (ko) 2013-11-27
KR200470505Y1 true KR200470505Y1 (ko) 2013-12-24

Family

ID=5243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202U KR200470505Y1 (ko) 2012-05-18 2012-05-18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81Y1 (ko) * 2019-04-15 2019-09-20 이승기 접이식 종이컵
KR200495501Y1 (ko) * 2020-05-26 2022-06-08 한권일 스푼결합형 절취식 포장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16Y1 (ko) * 2000-03-15 2000-08-16 서정우 1회용 종이컵
KR200261376Y1 (ko) * 2001-10-11 2002-01-26 박승근 손잡이를 갖는 종이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16Y1 (ko) * 2000-03-15 2000-08-16 서정우 1회용 종이컵
KR200261376Y1 (ko) * 2001-10-11 2002-01-26 박승근 손잡이를 갖는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41U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220B1 (en) Adjustable disposable garment protector
JPH0239971Y2 (ko)
EP1490276B1 (en) Infusion package
JP2010532732A (ja) 包装材を兼ねる使い捨てコ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70505Y1 (ko)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101641534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CN208165738U (zh) 杯底封装冲饮品的多功能一次性方便杯
KR101304826B1 (ko) 젓는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커피봉지
CN207275411U (zh) 可折叠变形成杯子的纸盒包装
KR20150048573A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JP2017512161A (ja) 折り畳み式コップ
CN105966720B (zh) 一种一纸成型茶具套装包装盒
TWI570041B (zh) Do not need a cup of carry-on beverage brewing bag
CN204310264U (zh) 一种扣合式桶装方便面的包装桶
JP3158138U (ja) 飲料バッグ
KR200448153Y1 (ko) 일회용 포장 종이컵
CN215456091U (zh) 一种便携式食物杯中杯
KR101502466B1 (ko) 원터치 방식의 덮개를 구비한 접이식 용기
CN203262498U (zh) 组合食品套餐容器
KR200412650Y1 (ko)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종이컵
KR100463400B1 (ko)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종이컵
KR200385834Y1 (ko) 라면 포장용기
KR200326098Y1 (ko) 스푼을 갖는 일회용 컵
KR101556156B1 (ko) 다목적 컵라면 뚜껑 및 컵라면용 보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