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981B1 -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981B1
KR100898981B1 KR1020070059061A KR20070059061A KR100898981B1 KR 100898981 B1 KR100898981 B1 KR 100898981B1 KR 1020070059061 A KR1020070059061 A KR 1020070059061A KR 20070059061 A KR20070059061 A KR 20070059061A KR 100898981 B1 KR100898981 B1 KR 10089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ing
lid
folde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384A (ko
Inventor
이진수
송인상
김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7005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981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the container body having a pyramid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r by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시에는 용기를 접어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에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포장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상,하로 개방된 본체,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 및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본체, 바닥 , 뚜껑 및 날개부는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접었을 때 외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포장방법은, 본체의 종방향 접힘선을 중심으로 본체를 반으로 접고 횡방향 접힘선을 중심으로 본체의 전면 하부를 위로 접는 단계, 뚜껑을 접어 본체의 배면에 면접시키거나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본체의 양측면을 수직으로 세우고 한 쌍의 날개부를 접어 서로 결합하거나 수직으로 세워진 뚜껑의 일면에 접착시키 단계, 및 본체와 날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연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바닥, 뚜껑, 수용공간, 종방향 접힘선, 횡방향 접힘선, 날개부

Description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Folding type vessel and its packing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성형하기 위해 재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성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1차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를 뒤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2차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은 최종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이용해 내용물을 포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포장을 뜯고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날개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은 최종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뚜껑의 다른 실시형태 및 고정날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면.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접이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은 최종모습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1 : 종방향 접힘선
12 : 횡방향 접힘선 13 : 사선방향 접힘선
20 : 바닥 30 : 뚜껑
31 : 접면부 32 : 끼움돌기
33 : 끼움홀 40 : 고정날개
41 : 끼움홈 50 : 단열체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부피를 줄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등과 같은 용기는 사발모양이나 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로는 종이 또는 스틸렌수지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는 컵모양으로 형성된 종래의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면 용기(1)는, 내부에 건조된 면(2)과 스프(3) 등의 내용물이 내장되는 본체(4)와, 본체(4)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뚜껑(5)으로 이 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시 뚜껑(5)의 일부를 벗기고 용기 내에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이 적당히 익을 때까지 뚜껑(5)을 일정시간 덮어두고, 면이 익으면 뚜껑(5)을 개봉하여 면을 먹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기는 내부의 내용물에 비해 부피가 너무 크다. 즉, 용기의 부피는 내용물에 비해 3~4배 가량 크기 때문에 보관시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운반시 물류비용을 상승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용기는 내용물이 차지하지 않는 공간 즉 빈 공간이 크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며, 그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뚜껑이 개방될 염려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용기는 큰 부피로 인해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여러 개를 휴대하기에는 더욱 그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포장시에는 용기를 접어서 외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에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포장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상,하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네 모서리는 접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수용공간 형성시 양측면은 반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전후면에 직교되게 접어져 상기 수용공간의 두 면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접어져 수용공간의 또 다른 면을 형성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바닥, 뚜껑, 및 날개부는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접었을 때 외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삭제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반으로 접을 수 있는 종방향 접힘선이 형성되고, 본체의 전면 소정 높이에는 전면 하부를 접을 수 있는 횡방향 접힘선이 형성되며, 본체의 양측면 하부에는 바닥의 네 모서리와 본체의 종방향 접힘선과 횡방향 접힘선이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는 사선방향 접힘선이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는 접착제나 열, 압력에 의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착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는 겹치는 부분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끼움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는 접착제나 열, 압력으로 본체의 전후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접어지는 뚜껑의 일면에 접착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뚜껑은 본체의 상단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형성되 며, 한 쌍의 뚜껑중 어느 하나의 선단에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것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포장방법은, 본체의 종방향 접힘선을 중심으로 본체를 반으로 접고 횡방향 접힘선을 중심으로 본체의 전면 하부를 위로 접는 단계, 뚜껑을 접어 본체의 배면에 면접시키거나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본체의 양측면을 수직으로 세우고 한 쌍의 날개부를 접어 서로 결합하거나 수직으로 세워진 뚜껑의 일면에 접착시키 단계, 및 본체와 날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연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포장방법에 있어서, 내용물은 연포장된 후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성형하기 위해 재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성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1차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를 뒤집은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2차 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은 최종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이용해 내용물을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상하로 개방되고 내부에 면과 다른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10), 본체(10)의 개방된 하단부를 폐쇄하는 바닥(20), 및 본체(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체(10)는 면, 다른 내용물 및 온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의 함체로서, 개방된 하부는 바닥(20)에 의해 폐쇄되고 개방된 상부는 뚜껑(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러한 본체(10)의 양측면에는 전후면이 서로 면접되게 본체(10)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종방향 접힘선(11)이 형성되고, 본체(10)의 전면에는 바닥(20)이 전면으로 보일 수 있게 전면 하부를 접을 수 있도록 된 횡방향 접힘선(12)이 소정 높이에 형성된다.
한편, 본체(10)의 양측면에는 바닥(20)의 네 모서리로부터 종방향 접힘선(11)과 횡방향 접힘선(12)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사선방향 접힘선(13)이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바닥(20)은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본체(10)의 하단과 연결되는 네 모서리 이음부는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뚜껑(30)은 본체(10)의 개방된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단부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일체로 연장되되 이음부는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3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뚜껑(30)으로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할 때 본체(10)의 상단부 양측면에 면접되는 접면부(31)가 형성된다. 즉, 접면부(31)로 인해 본체(10)의 상단부가 기밀하게 밀폐된다.
본체(10)의 개방된 상단부 양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접을 때 본체(10)의 양측면과 더불어 면과 다른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날개부(40)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 때, 날개부(40)의 이음부는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7에서 같이 본체(10)의 양측면을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원상태로 펼쳐지려는 복원력에 발생하게 되는데, 본체(10)의 양측면과 연결된 두 날개부(40)가 접착제나 열, 압력에 의해 서로 접착됨으로써 본체(10)의 양측면이 펼쳐지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날개부(40)는 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뚜껑(3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접착제나 열, 압력에 의해 뚜껑(30)의 일면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어 면을 포장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원지를 도 2와 같이 재단하고 본체(10), 바닥(20), 뚜껑(30) 및 날개 부(40)에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모양 형성을 위한 접힘선, 그리고 용기 형성 후 포장을 위해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힘선들을 각각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접착제나 열, 압력을 이용해 본체(10)의 양쪽 가장자리를 접착하고 바닥(20)을 본체(10)에 접착하여 도 3과 같은 모양의 용기를 형성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용기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종방향 접힘선(11)을 기준으로 본체(10)를 반으로 접고, 본체(10)의 횡방향 접힘선(12)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전면 하부를 접는다.
이 때, 바닥(20)은 전면을 향하게 되며, 본체(10)의 양측면 하부중 한 쌍의 사선방향 접힘선(13)에 의해 둘러싸인 삼각형 부분도 바닥(20)과 함께 전면을 향하게 된다.
이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를 뒤집은 다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30)을 이음부를 중심으로 접어 본체(10)의 배면과 면접되도록 접은 후, 도 7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양측면을 수직으로 세우고 한 쌍의 날개부(40)를 접어 서로 겹친 후 접착제나 열, 압력으로 접착시킴으로써,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용기 외부에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수용공간이 형성되면 그 안에 별도로 연포장된 내용물을 수용하고 도 8과 같이 내용물과 용기를 연포장하여 포장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 때, 내용물을 별도로 포장해야만 내용물로 인해 용기가 변질 또는 변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를 접어 내용물을 수용한 후 이를 포장하도록 이루어 짐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용기를 펼친 상태에서 포장하는 것에 비해 부피가 축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시에는 내용물과 용기를 포장하고 있던 연포장을 먼저 뜯어 제거한 후 내용물의 포장을 뜯은 다음, 내용물을 연포장 위에 옮기고, 접착되어 있는 두 날개부(40)의 접착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어서 용기를 도 2와 같은 상태로 복원시키고, 도 9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외측에 골판지로 된 사각의 단열체(50)를 끼운 다음, 본체(10)에 내용물을 넣고 온수를 붓는다.
이 때, 단열체(50)는 온수의 열이 본체(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각으로 된 본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본체(10) 내에 온수가 부어지면 수분 및 열에 의해 본체(10)의 형상이 변형될 염려가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본체(10)를 손으로 쥘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그 변형의 우려가 커지는바, 단열체(50)가 이를 보완해준다.
이어 뚜껑(30)을 닫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면이 익으면 뚜껑(30)을 개봉한다. 이 때, 뚜껑(30)은 펼친 상태로 둘 수도 있고 이음부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0은 날개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는 도 10의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은 최종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 서, 도 2 내지 도 9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날개부(40)는 접을 때 서로 겹쳐지며 각 날개부(40)의 일측에는 서로 엇갈리게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홈(4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양측면으로 수직으로 세운 후 두 날개부(40)를 서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본체(10)의 양측면과 더불어 면과 다른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도 11에서 같이 본체(10)의 양측면을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원상태로 펼쳐지려는 복원력에 발생하게 되는데, 본체(10)의 양측면과 연결된 두 날개부(4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양측면이 펼쳐지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2는 뚜껑의 다른 실시형태 및 고정날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접이 과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접은 최종모습의 도면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1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상단부 전후측에 각각 뚜껑(30)이 형성되며, 두 뚜껑(30)은 선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두 뚜껑(30)중 어느 하나의 뚜껑(30) 선단에는 끼움돌기(32)가 연장 형성되고, 다른 뚜껑(30)의 선단부에는 끼움돌기(32)가 끼워 고정되는 끼움홀(33)이 형성된다.
이처럼, 두 개의 뚜껑(30)을 형성하고 이들이 끼움돌기(32)와 끼움홀(33)을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단일 뚜껑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실시예들에서 본체의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소재 또한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연포장을 위한 포장지도 그 소재를 다양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날개부는 접착제나 열, 압력 외에도 테이프를 이용하여 서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에 따르면, 포장시에는 용기를 접어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에 내용물을 수납한 후 그 외부를 전체적으로 연포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포장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보관을 위한 공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단계에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여러 개를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상,하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네 모서리는 접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수용공간 형성시 양측면은 반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전후면에 직교되게 접어져 상기 수용공간의 두 면을 형성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20);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뚜껑(30); 및
    상기 본체(10)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접어져 수용공간의 또 다른 면을 형성하는 날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 바닥(20), 뚜껑(30), 및 날개부(40)는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접었을 때 외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반으로 접을 수 있는 종방향 접힘선(11)이 형성되고, 본체(10)의 전면 소정 높이에는 전면 하부를 접을 수 있는 횡방향 접힘선(12)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바닥(20)의 네 모서리와 상기 본체(10)의 종방향 접힘선(11)과 횡방향 접힘선(12)이 만나는 지점을 연 결하는 사선방향 접힘선(13)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40)는 접착제나 열, 압력에 의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40)는 겹치는 부분에 끼움홈(41)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40)는 접착제나 열, 압력으로 상기 본체(10)의 전후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접어지는 상기 뚜껑(30)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형성되며, 한 쌍의 뚜껑(30)중 어느 하나의 선단에는 끼움돌기(32)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것에는 상기 끼움돌기(32)가 끼워지는 끼움홀(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8. 본체(10)의 종방향 접힘선(11)을 중심으로 본체(10)를 반으로 접고 횡방향 접힘선(12)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전면 하부를 위로 접는 단계;
    뚜껑(30)을 접어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면접시키거나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을 수직으로 세우고 한 쌍의 날개부(40)를 접어 서로 결합하거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뚜껑(30)의 일면에 접착시키 단계; 및
    상기 본체(10)와 날개부(4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연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의 포장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연포장된 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의 포장방법.
KR1020070059061A 2007-06-15 2007-06-15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KR10089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61A KR100898981B1 (ko) 2007-06-15 2007-06-15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61A KR100898981B1 (ko) 2007-06-15 2007-06-15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84A KR20080110384A (ko) 2008-12-18
KR100898981B1 true KR100898981B1 (ko) 2009-05-25

Family

ID=4036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061A KR100898981B1 (ko) 2007-06-15 2007-06-15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23B1 (ko) * 2010-11-29 2011-08-19 (주)오비트 접이식 용기 및 즉석식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536A (ja) * 1992-03-13 1993-10-05 Dainippon Printing Co Ltd 果物の輸送・展示用箱
JPH1024926A (ja) 1996-07-09 1998-01-27 Sekiguchi:Kk 物品の包装用箱にも兼用可能な物品展示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536A (ja) * 1992-03-13 1993-10-05 Dainippon Printing Co Ltd 果物の輸送・展示用箱
JPH1024926A (ja) 1996-07-09 1998-01-27 Sekiguchi:Kk 物品の包装用箱にも兼用可能な物品展示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23B1 (ko) * 2010-11-29 2011-08-19 (주)오비트 접이식 용기 및 즉석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84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463Y2 (ja) 内部袋を備えた容器
CA2229665C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s for articles of merchandise
US9382062B2 (en) Hinged lid packaging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US2284604A (en) Art of packing
JP3513649B2 (ja) 袋体とその製作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102282249B1 (ko) 용기 장치
EP2890616B1 (en) A carton for packing and a method for packing articles using the packing carton
US5312035A (en) Packaging container
KR20100010124U (ko) 병 포장 박스
KR100898981B1 (ko) 접이식 용기 및 그 포장방법
WO2014190122A1 (en) Cigarette package
US3438563A (en) Package with tear strip
JP4220216B2 (ja) 複合容器
US10947005B2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ackage for solid products in powder or grain form, as well as a package obtained by this procedure
KR101057823B1 (ko) 접이식 용기 및 즉석식품
GB2084961A (en) Collapsible cartons
KR20130109279A (ko) 평면형태로 접철가능한 포장용 상자
JP2004099110A (ja) 内袋収蔵容器
KR20140019180A (ko) 포장용 상자
JP2562652Y2 (ja) 液体用紙容器
JP2005289406A (ja) 瓶の包装紙袋
KR200339470Y1 (ko) 포장이 용이한 수납상자
KR100890343B1 (ko) 식품용기
KR200338879Y1 (ko) 직육면체형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