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235B1 -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235B1
KR100890235B1 KR1020060129198A KR20060129198A KR100890235B1 KR 100890235 B1 KR100890235 B1 KR 100890235B1 KR 1020060129198 A KR1020060129198 A KR 1020060129198A KR 20060129198 A KR20060129198 A KR 20060129198A KR 100890235 B1 KR100890235 B1 KR 10089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water
ginseng
d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371A (ko
Inventor
김인아
박주홍
박주현
박주영
박지훈
김보규
Original Assignee
(주) 정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정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2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2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 제거, 피부 보습, 미백, 피부 탄력 증진과,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 경감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증삼액(蒸蔘液) 0.001∼30중량% 및 해양심층수 0.01∼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증삼액 성분과 해양심층수 성분의 시너지(synergy) 작용에 의하여 각질 제거, 가려움증 제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 개선과 피부 유연화 및 보습과 미백 작용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자극성이 낮고 안정성이 양호하다.
화장료, 증삼액, 심층수, 각질제거, 보습, 미백, 아토피

Description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ginseng steam extract and deep sea water}
본 발명은 각질 제거, 피부 보습, 미백, 피부 탄력 증진과,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 경감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는 증삼액(蒸蔘液) 0.001∼30중량% 및 해양심층수 0.01∼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들의 시너지 작용에 의하여 각질 제거, 가려움증 제거, 피부질환 개선과 피부 유연화 및 보습과 미백 작용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윤기 있고 맑으며 탄력 있는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여성들의 한결같은 소망이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가 진행되어 거칠어지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인체의 피부는 자외선이나 다양한 오염 및 공해물질이나, 온도 및 습도의 변화 등과 같은 피부에 유해한 외부 환경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일차 배리어(barrier)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되며,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분류되고, 각질층 은 외관상으로 드러나게 되는 최외곽층으로서 유해한 외부 환경에 대한 물리화학적 저항력을 나타내며 미용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표피세포는 각화라는 분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세포는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및, 각질층을 차례로 경유하여 최외층을 구성하는 각질세포로서 탈락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각질층(keratin layer)은 외부 방어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사멸된 각질 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다시 새로운 각질 세포로 대체된다. 납작한 형태의 각질 세포들은 상호 층층이 연결되어 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나타내며, 각질 세포는 차례차례로 연속적으로 생성되면서 최외층의 가장 오래된 각질세포가 연속적으로 탈락되므로 표피는 항상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교체(turnover) 주기는 신체 부위나 나이, 성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정상적인 피부에서의 표피의 교체 주기는 약 4주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각화 과정이 정상적이지 못하면 각질 세포가 과다 생성되어 피부 표면의 각질층이 두꺼워진다거나 피부 거칠어짐을 유발하게 되고 피부가 칙칙해져 화장이 잘 안 받게 된다거나 전체적으로 생기가 없어 보이게 된다.
피부 각질층은 크게 각질세포로 구성된 부분과 각질세포간 지질로 구성된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그 구조는 각각 벽돌과 시멘트로 비유한 'Brick and Mortar Model'이 피부각질층 모델이론으로서 정립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각질층의 주요 기능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장벽기능을 주는 방어, 즉 보호기능과 피부에 수분을 유지하는 보습기능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피부각질층의 보호 및 보습 기능 즉, 이하 피부장벽기능에 있어서는 각질세포간 지질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Elias PM, Lipid and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rch dermatol Res 1981;27:95-117). 이러한 각질세포간 지질성분들의 중요한 것으로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지방산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장벽기능의 이상은 이러한 피부각질세포간 지질구조의 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기한 피부장벽기능이 약화되면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여러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Ogawa H and Yoshiike T, A speculative viex lf atopic dermatitis: barrier dysfunction in pathogenesis. J Dermatol Sci 1993;5:197-204).
한편, 고운 피부는 수분 보유량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피의 수분함량은 약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층에서는 약 10∼30%이며, 진피에서 공급된 수분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소실된다. 따라서 미용학적으로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은 매끄럽고 유연하며 고운 피부를 유지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 있다. 각질층의 수분 보유 능력에 관여하는 것을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urizing Factor)라고 하며, 각질층이 유연성을 나타내는 것은 NMF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NMF는 다양한 아미노산, 무기염, 피롤리돈 카본산, 젖산염 등과 같은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갖는 물질과, 세라마이드와 같은 세포간 지질 성분이나 피지 등과 같은 유성 성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는 상기한 천연보습인자의 보유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고 면역세포의 기능과 세포들 의 활성이 저하하게 되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감소하게 되고, 혹독한 외부 환경, 예컨대, 바람이나, 춥거나 건조한 날씨,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조사량 증가, 과도한 비누나 세정제 사용, 면도 등과 같은 유해한 환경 요인이 더욱 가중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산소 등의 유해 요인의 생성이 증가하게 되어, 피부는 과도한 물리적 및 화학적 외부 자극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내부 자극에 의하여 그 기능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피부가 거칠어지고 노화가 더욱 촉진되어 그 손상 정도가 심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 내지 완화시킴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다양한 동물, 식물 및,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안전성이 높은 각종 천연물질 유래 생리활성물질들을 화장품에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 및 증진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서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경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광범위하게 수행되어 왔다.
또한, 사람의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는 멜라닌(melanin)을 합성하고 방출하여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세포로 알려져 있다. 멜라노사이트는 자외선, 자유 라디칼, 그 밖에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하여 멜라닌을 합성하여, 피부를 검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의 장파장 대역(UV-A 320∼400nm)은 피부의 멜라닌 합성과 직접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멜라닌이 합성되는 과정은 세포 내의 타이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도파퀴논(DOPAquinone)이 생성되고, 도파퀴논으 로부터 자발적 반응과 효소 반응을 거쳐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미백 화장료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멜라닌 생합성 과정 중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기능을 가지며, 현재 우수한 미백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것으로는 아스콜빈산, 코직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및 상백피 추출물,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등이 있다. 천연추출물 유래 물질은 효과 측면에서 합성물에 비하여 다소 열등하나 안전성 측면에서보다 우수하므로 미백, 주름, 노화방지 기능을 가지면서도 안전한 천연물의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유효 성분으로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시킨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종래의 관련 공지기술로서는, 예컨대, 한국특허공개 제2002-0040707호(인삼 추출 다당체 진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1996-0020985호(두발용 화장료 조성물), 일본특허공고 소62-93217호(인삼추출물을 이용한 헤어토닉), 미국특허 제5,182,373호(인삼 사포닌을 4가 암모늄 에폭사이드에 반응시킨 두발 및 피부 관리 제품), 일본특허공개 평4-342519호(미백, 노화방지, 피부개선효과를 갖는 조성물),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334944호(생약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2004-0051255호(화장료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2005-0087672호(항균위생조성물) 등이 개시(開示)되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인삼 또는 홍삼 성분에 기인하는 그 효과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중에 포함된 전분 및 단백질 성분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경시 안정성이 열등하여 장기간 보관 시 상 분리가 일어나거나 침전이 생길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물의 고유 색상에 의한 영향을 완전히 배제하기 곤란하다는 문제 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노력의 다른 일환으로서 유효 성분으로 근래 각광받고 있는 해양 심층수를 포함시킨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종래의 관련 공지기술로서는, 예컨대, 한국특허공개 제2004-0028253호(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화장료), 한국특허공개 제2005-0064758호(심층수를 이용한 황토 분말 피부 미용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2006-0031329호(베타 1, 3-글루칸 및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피부탄력중진용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2004-0025267호(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2005-0081543호(보습 화장료 조성물), 일본특허공개 평9-110702호(해양 심층수 함유 젤 제제) 등이 개시(開示)되어 있으며, 이들은 해양 심층수 원수, 그 희석 또는 농축액, 또는 역삼투막이나 투과막 또는 양이온 및/또는 음이온 교환수지 등에 의한 여과나 전기분해에 의한 탈염 처리수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심층수 중의 상대적으로 풍부한 미네랄과 유기물에 의한 효과를 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그 효과의 구현에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홍삼은 수삼 또는 백삼을 세정하는 세삼 단계, 0.8∼1atm의 압력 하에 70∼120℃의 온도에서 1.5∼16시간 증자하는 증삼 단계, 1차 건조 단계, 정형 단계, 선별 단계, 물리적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습점 압착 단계, 2차 건조 단계, 품질 검사 단계 및, 포장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홍삼 엑기스를 제조하는 것이 아닌, 순수한 홍삼 제조 과정에서는 상기한 증삼 단계나 습점 압착 단계, 특히 증삼 단계에서 얻어지는 증삼액은 효과적으로 이용되지 못하여 왔으나, 증삼액 중에는 인삼 중의 수용성 유효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이 파악하고 있는 한, 홍삼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증삼액을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함과 아울러, 증삼액 중의 유효 성분과 해양 심층수 중의 풍부한 미네랄 및 유기물을 비상관염 효과(inert salt effect)에 의해 조화롭게 안정화시킴으로써 그 시너지(synergy) 효과를 이용하여 피부 노화 방지 및 가려움 제거 효과와 피부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유연화 및 피부보습, 그리고 미백 효과가 충분히 만족스러운 한편, 경시안정성도 우수한 화장료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노화 방지 및 가려움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질환 개선과 피부유연화 및 피부보습과 미백 효과가 충분히 만족스러운 한편, 경시안정성도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증삼액(蒸蔘液) 0.0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 및, 해양심층수 0.01∼70중량%, 바람직하게는 1∼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증삼액이 홍삼 제조과정 중의 증기 추출액이고, 상기한 해양 심층수가 해수면으로부터 200m 이하의 깊이에서 취수된 경도 6720∼6820, 일반적으로는 6760∼6800이고, 증발 잔류물 함량 32000∼38000㎎/ℓ, 일반적으로는 34000∼36000㎎/ℓ이고, pH 7.8∼7.9이며, 탁도 0.2 NTU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NTU 이하이고, 염도 34∼34.2‰이며, 아연 함량 0.001∼0.818㎍/ℓ, 일반적으로는 0.100∼0.625㎍/ℓ이고, 철 함량 0.004∼0.217㎍/ℓ, 일반적으로는 0.005∼0.455㎍/ℓ이며, 망간 함량 0.005∼0.265㎍/ℓ, 일반적으로는 0.005∼0.455㎍/ℓ이고, 칼륨 함량 390∼420㎎/ℓ, 일반적으로는 402∼452㎎/ℓ이며, 칼슘 함량 400∼465㎎/ℓ, 일반적으로는 410∼480㎎/ℓ이고, 마그네슘 함량 1320∼1390㎎/ℓ, 일반적으로는 1330∼1470㎎/ml이며, 몰리브덴 함량 0.015∼0.005㎎/ℓ인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증삼액이 1.5∼30°brix, 특정하게는 1.5∼3.5°rix인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증삼액을 평균 포어사이즈 3∼5㎛의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투명화 처리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심층수의 염분 농도가 0.85∼0.90% 또는 그 이하로 탈염 처리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효성분의 출처원으로서는 증삼액 및 해양 심층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증삼액은 다양한 수용성 피토케미칼(phytochemical)인 말톨, β-피넨, dl-멘톤 및, d-리모넨 등을 포함하고, 해양 심층수로부터 유래하는 풍부한 미네랄과 수천 년에 걸쳐 해저에서 숙성된 다양한 유기물들을 포함하며, 풍부한 미네랄 성분은 증삼액으로부터 유래하는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염의 형태로 존재하게 함으로써 화장료 중에 비상관염 효과에 의해 안정화시키고 피부에의 흡수 내지 흡착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믿어지며, 이들 성분들은 상호 상승 작용에 의하여 현저히 증진된 피부 노화 방지 및 가려움 제거 효과와, 피부질환 개선 효과, 피부유연화 효과, 피부보습 효과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한편 경시안정성도 충분히 만족스럽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첨가되는 증삼액은 45∼70℃로 5∼30분간 예비 열처리되거나 또는 예비 열처리 되지 않은 상태의 수삼 또는 백삼을 0.8∼1atm의 압력 하에 70∼120℃의 온도에서 1.5∼16시간 증자하여 얻어지는 것이거나, 또는 홍삼 제조 과정 중의 상기한 바와 같은 증삼 단계에서 얻어지는 것이다.
증삼액 중에는 그 양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인삼(Panax ginseng C.A Meyer)과 같이 글리코시드류(glycosides),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등이 함유되어 있다. 증삼액은 인삼과 마찬가지로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으면서도,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 및 항종양작용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특히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삼액 중에도 특이성분으로 인삼 사포닌(ginsenosid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항산화활성 페놀계화합물, 간장보호작용을 하는 고미신(gomisin-N,-A), 인슐린 유사작용을 하는 산성펩티드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효성분 중 하나인 말톨은 인삼에 다량 함유된 항산화 물질로서 간기능, 신기능, 심기능을 높이며 노화물질의 축적을 억제하고 피로를 회복시켜 주어 노화방지에도 큰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J. Biochem. Molec. Bio, Vol.39, No. 2, Mar. 2006, 145-149; J. Agri. Food Chem. 2006, 54, 2558-2562; Biol. Pharm. Bull. 29(4) 750-754 (2006)).
다른 유효성분 중 하나인 β-피넨은 항균, 항종창, 항염증, 혈행 촉진에 우수한 생물화학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Phytother. res. 17, 1-18 (2003); J. Der. Sci. (2006) 41, 137-142), dl-멘톤은 진통, 항알러지, 항독, 항균, 살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고(Int. J. Pharm. 229 (2001) 37-44; Int. J. Pharm. 219 (2001) 177-181), 또한 d-리모넨은 진통효과, 항우울증, 항종양, 혈액순환을 강화시켜 혈압 강하를 일으키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Int. Immunopharmacology 5 (2005) 829-838; Drug Des Deliv. 1990 Sep;6(3): 229-38; Vitam Horm. 2005;72:505-35).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첨가되는 해양 심층수는 대륙붕에서 난바다 쪽으로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이에 있는 해수로서, 1500∼2000년을 주기로 지구를 순환하는 심층류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층수는 연간 수온이 일정한 2℃ 이하의 저온 상태(저온 안정성)에서 높은 수압 하에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숙성)되며 60여종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존재할 뿐만 아니라 표층수의 수십 배 정도까지 영양 성분이 농축(부영양성)되어 있으며 표층수에 비하여 미생물수가 100분의 1 이하로 감소(청정성)되어 있는 해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양의 표층수는 광합성작용에 의해 물속의 질소, 인, 질산 등이 소모되는 반면, 수심 200m이하의 심층 해역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영양물질을 소비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존재하지 않아 광합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심층수 중에는 광합성에 의해 소비되는 질소, 인, 질산 등의 무기영양염류가 그대로 잔류되어 있고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수심 깊은 곳에 존재하므로 대장균이나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우려가 없으며, 육지나 대기로부터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가능성도 낮아 청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일년 내내 저온 상태로 변화가 적고 안정된 낮은 수온성을 가지며, 수천 년 동안에 걸쳐 형성된 해수이므로 그 성질이 안정되어 있으며, 각종 효소의 작용 등으로 인하여 숙성화되어 있는 숙성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필수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균형 있게 포함되어 있고 용존 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대하여는 각질 제거 및 미백, 보습 및 보수능 활성화 등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층수는 재생 순환형 천연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근래 들어서는 해양온 도차발전, 염수생산, 해양요법,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를 위한 의약품(Jadowa News,Vol.5,No.1,2001), 스킨케어화장품, 양식업, 재배어업, 음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의 생산 등 다양하고도 광범위한 적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심층수는 청정 지역인 강원도 고성군과 경북 울릉군 북면 현포리앞 4.2km 해역의 해저 660m지점에서 취수된 원수이거나, 일본 북해도 오키, 스루가만, 토야마, 스루가만, 고치, 오키나와 해역, 하와이 코나 해역 등에서 취수된 원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수인 경우에는 탈염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예컨대, 한국의 이롬사, (주)대한심층수, 일본의 뉴젠사, 일본의 이토오중앙수산사, 미국 엔자민 사, 코요사, 딥씨헬쓰사, 싸이아노텍사 등으로부터 다양한 심층수 상품을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상기한 심층수 원수를 막 여과 또는 이온교환 수지 통과 또는 전기분해 투석 등에 의해 체내 생리식염 농도인 0.85∼0.9% 농도, 또는 그 이하로 탈염 조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다양한 심층수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들 심층수는 경도가 6720∼6820의 범위, 일반적으로는 6760∼6800의 범위이고, 증발 잔류물 함량이 32000∼38000㎎/ℓ의 범위, 일반적으로는 34000∼36000㎎/ℓ의 범위이고, pH가 7.8∼7.9의 범위이며, 탁도는 0.2 NTU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NTU 이하이고, 염도는 34∼34.2‰의 범위이며, 아연 함량 0.001∼0.818㎍/ℓ, 일반적으로는 0.100∼0.625㎍/ℓ이고, 철 함량 0.004∼0.217㎍/ℓ, 일반적으로는 0.005∼0.455㎍ /ℓ이며, 망간 함량 0.005∼0.265㎍/ℓ, 일반적으로는 0.005∼0.455㎍/ℓ이고, 칼륨 함량 390∼420㎎/ℓ, 일반적으로는 402∼452㎎/ℓ이며, 칼슘 함량 400∼465 ㎎/ℓ, 일반적으로는 410∼480㎎/ℓ이고, 마그네슘 함량 1320∼1390㎎/ℓ, 일반적으로는 1330∼1470㎎/ml이며, 몰리브덴 함량 0.015∼0.005㎎/ℓ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인 증삼액은 홍삼 제조 과정 중에 얻어지는 것이거나 또는 45∼70℃로 5∼30분간 예비 열처리하거나 또는 예비 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의 수삼 또는 백삼을 0.8∼1atm의 압력 하에 70∼120℃의 온도에서 1.5∼16시간 증자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필요하다면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회전 증발식의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1.5∼30 브릭스, 특정하게는 1.5∼3.5 브릭스로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형에 따라서는 평균 포어사이즈 3∼5㎛의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투명화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증자를 위한 용매로서는 물이 대표적이나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인삼의 뿌리에 약 0.05% 정도 포함되어 있는 비중 0.92∼0.93, 비점 60-110℃ 사이의 비교적 낮은 비점을 갖고 있는 세스퀴테르펜(sequiterpene)계의 파나센, 파낙시놀 등과 그 구조가 불확실한 미지성분이 혼재되어 있는 황색의 유상물질로서, 항암, 신경안정, 혈관운동 촉진 등과 같은 우수한 약리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 있는 인삼의 방향 성분을 별도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향 성분들은 증삼 과정에서 대부분 수증기와 함께 유실되므로 별도로 환류 냉각시켜 포집하여 두고 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향 성분은 에센스나 기초 화장수 등에 첨가하여 독특한 인삼향 발향에 따른 관능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삼액 및 해양 심층수의 첨가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적용 대상 연령층이나 피부 성향,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의도하는 주요 기능성 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메타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범위 내라면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선택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유효 성분의 첨가량은 상기한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그 첨가 효과가 미약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거나 제형화에 곤란을 겪게 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화장료에 있어서는 심층수 원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피부 자극성을 높일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으나, 필 오프 팩과 같은 특정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오히려 그 함량을 40∼70중량% 정도로 높여서 사용하는 것이 각질 제거 측면에서 오히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적어도 1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은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2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5중량%이다. 또한, 상기의 계면활성제 외에 점도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 화장품법규에 규정된 통상의 성분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팩, 뉴트리엔트 크림, 마사지 크림, 바디크렌져,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에센스, 바디로션, 헤어로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특히 각질제거 팩, 보습제, 미백제, 아토피 피부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의 예방 경감용 보조제로서 적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증삼액
한국인삼공사의 6년 근 인삼을 0.9atm의 압력 하에 95℃의 온도에서 5시간 수증기로 증자하고 수증기는 응축시켜 수집하였다. 수집된 증삼액을 와트만 페이퍼로 여과하였다. 이어서 감압식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브릭스 3으로 감압 농축하였다.
분석예:
경북 울릉군 북면 앞 4.2km 해역의 해저 660m지점에서 취수된 심층수와 그 표층수의 주요원소, 영양염류, 미량원소, 생균수, 그리고 일반적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항 목 해양 심층수 표층 해수
일반 항목 수온 (℃) 10.8∼12.3 16.5∼24.0
pH 7.98 8.15
DO(㎎/L) 7.80 8.91
TOC(㎎/L) 0.962 1.780
용해성 증발잔류물 40750 37590
M알카리도 114.7 110.5
주요원소 Cl(%) 2.237 2.192
Na(%) 1.080 1.030
㎎(%) 0.130 0.131
Ca(㎎/L) 456 441
K(㎎/L) 414 399
Br(㎎/L) 68.8 68.1
Sr(㎎/L) 7.77 7.61
B(㎎/L) 4.44 4.48
Ba(㎎/L) 0.044 0.025
F-(㎎/L) 0.53 0.56
SO42(㎎/L) 2833 2627
영양염류 NH4-N(㎎/L) 0.05 0.03
NO3-N(㎎/L) 1.158 0.081
PO4-(㎎/L) 0.177 0.028
Si(㎎/L) 1.89 0.32
미량원소 Pb(ug/L) 0.102 0.087
Cd(ug/L) 0.028 0.008
Cu(ug/L) 0.153 0.272
Fe(ug/L) 0.217 0.355
Mn(ug/L) 0.265 0.313
Ni(ug/L) 0.387 0.496
Zn(ug/L) 0.624 0.452
As(ug/L) 1.051 0.440
Mo(ug/L) 5.095 5.555
균 수 생균수(개/mL) 10^2 10^3∼10^4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필 오프 팩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필 오프 팩(peel-off pack)
중량%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디프로필렌 글리콜 2.0 2.0 2.0
폴리비닐알코올 1.0 1.0 1.0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7.0 7.0 7.0
글리세린 1.5 1.5 1.5
사이클로메티콘 2.5 2.5 2.5
세틸옥타노에이트 3.5 3.5 3.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1.5 1.5 1.5
증삼액*1 20.0 20.0 -
심층수*2 55.0 - 55.0
에탄올 5.0 5.0 5.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 제조예에서 제조한 증삼액(3°brix)
*2 : 한국 (주)대한심층수 원수
실시예 2,3 및 비교예 3,4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뉴트리엔트 크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뉴트리엔트 크림
중량%
성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유동파라핀 6.0 6.0 6.0 6.0
스쿠알란 4.0 4.0 4.0 4.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0.5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밀랍 10.0 10.0 10.0 10.0
글리세린 6.0 6.0 6.0 6.0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증삼액*1 12.0 12.0 12.0 -
심층수 15.0*2 45.0*3 - 45.0*2
향료 0.3 0.3 0.3 -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제조예에서 제조한 증삼액(3°brix)
*2: 한국 (주)대한심층수 원수
*3: 미국 코요사제 탈염 심층수(염농도 0.9%)
실시예 4 및 비교예 5, 6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마사지 크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마사지 크림
중량%
성분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유동파라핀 30.0 30.0 30.0
스쿠알란 5.0 5.0 5.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9 0.9 0.9
폴리솔베이트60 1.5 1.5 1.5
밀랍 10.0 10.0 10.0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3.0 3.0
글리세린 6.0 6.0 6.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부틸렌글리콜 4.0 4.0 4.0
증삼액*1 10.0 10.0 -
심층수*2 20.0 - 2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제조예에서 제조한 증삼액(3°brix)
*2: 한국 (주)대한심층수 원수
실시예 5 및 비교예 7, 8
하기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영양 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영양 화장수
중량%
성분 실시예 5 비교예 7 비교예 8
세탄올 1.0 1.0 1.0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3.0 3.0 3.0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1.0
POE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바셀린 2.0 2.0 2.0
유동파라핀 6.0 6.0 6.0
스쿠알란 5.0 5.0 5.0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5.0 5.0 5.0
글리세린 5.0 5.0 5.0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증삼액*1 10 10 -
심층수*2 35.0 - 35.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제조예에서 제조한 증삼액(3°brix)
*2: 일본 이토주오스이산 가부시끼가이샤 탈염 심층수(염농도 0.9%)
실시예 6 및 비교예 9, 10
하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유연 화장수
중량%
성분 실시예 6 비교예 9 비교예 10
글리세린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1,3-부틸렌글리콜 2.0 2.0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증삼액*1 3.5 3.5 -
심층수*2 30.0 - 3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제조예에서 제조한 증삼액(3°brix)
*2: 일본 이토주오스이산(주) 탈염 심층수(염농도 0.9%)
실시예 7 및 비교예 11, 12
하기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에센스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에센스
중량%
성분 실시예 7 비교예 11 비교예 12
글리세린 10.0 10.0 10.0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1,3-부틸렌글리콜 10.0 10.0 10.0
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5.0 5.0 5.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8 0.8 0.8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증삼액*1 15.0 15.0 -
심층수*2 32.0 - 32.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제조예의 증삼액(3°brix)으로서 평균 포어사이즈 3㎛ 멤브레인 통과 투명액
*2: 일본 이토주오스이산(주) 탈염 심층수(염농도 0.9%)
실시예 8 및 비교예 13, 14
하기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갖는 바디크렌져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하였다.
바디크렌져
중량%
성분 실시예 8 실시예 13 비교예 14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16.0 16.0 16.0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6.0 6.0 6.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0 5.0 5.0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2.0 2.0 2.0
PEG-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0.5 0.5 0.5
글리세린 1.5 1.5 1.5
증삼액*1 25.0 25.0 -
심층수*2 35.0 - 35.0
향료 0.4 0.4 0.4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1: 제조예에서 제조한 증삼액(3°brix)
*2: 한국 (주)대한심층수 원수
시험예 1:
제조예에서 얻은 증삼액과 (주)대한심층수의 심층수 원수, 그리고 이들을 중량비로 1:3으로 혼합한 혼합액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Sigma사제: 125unit/ml) 85㎕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여기에 추출물 85㎕을 넣고 미리 37℃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티로신(Sigma사제: 0.1㎎/ml) 85㎕을 첨가하고, 3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다음,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스펙트로포토메타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각각 10개의 시료에 대하여 하기의 식으로 구한 다음, 그 평균치를 결과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낸다.
저해율(%)= (대조군의 흡광도-추출액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IC50 (㎍/㎖)
제조예의 증삼액 38.6
시판 심층수 원수 8.4
혼합액 52.1
상기한 결과는 증삼액과 심층수 원수를 혼합한 혼합액의 경우 놀랍게도 기대하였던 것보다 더 높은 티로시나제 활성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아마도 심층수 중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미네랄이 증삼액 중의 일부 활성 성분과 시너지적 상호 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시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2, 3에 따라 제조된 팩을 적용한 후, 멜라닌-에리데마 인덱스 메터(melanin-erythema index meter)로 멜라닌지수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10에 나타낸다.
멜라닌 지수
사용 전 사용 후
실시예 1 108.72 ± 29.42 86.57 ± 34.18
비교예 1 109.11 ± 31.89 106.56 ± 29.73
비교예 2 107.58 ± 30.49 99.34 ± 31.27
상기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를 사용한 실험군은 비교예 1 및 2에서 증삼액과 심층수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멜라닌지수가 훨씬 더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각질 제거에 따른 현저한 미백효과가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실시예 2, 3과 비교예 3, 4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한 제형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에 각 시료의 적당량(2.0g)을 첩포 시험용 헤이즐 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 챔버를 제거하고 30분∼1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이를 1차 판정한 다음 제거하고 48시간 이후에 다시 판독하여 이를 2차 판정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낸다.
피시험자수 - ± + ++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자극도
실시예 2 30 30 30 0 0 0 0 0 0 0
실시예 3 30 27 28 2 2 1 0 0 0 1.67
비교예 3 30 30 30 0 0 0 0 0 0 0
비교예 4 30 24 24 4 5 2 1 0 0 4.17
* 판정
- : 반응없음 (자극 정도 :0)
± :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반응 있음. (자극 정도: 0.5)
+ :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구진, 확실한 인설반응 (자극 정도: 1.0)
++ : 심한 양성반응. 소포성 반응: 홍반, 구진, 침윤병소, 소포 (자극 정도: 2.0)
+++ : 극심한 양성반응
* 자극도 = {(±반응자수×0.5)+(+반응자수×1)+(++반응자수×2)/총시험자수 × 최대반응정도(3)}×100×1/2
상기한 피부자극성 시험 결과로부터 심층수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4에 비하여 실시예 2의 경우는 더욱 낮은 자극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증삼액에 의한 자극 완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4:
실시예 1 및 비교예 2, 3에 따라 제조된 팩의 자극도 및 각질 박리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평소 각질로 고통받는 20명의 여성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사용 직후 느껴지는 각질 박리 효과와 자극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낸다.
평가 시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하한 경우는 5점을 부여하고, 각질 박리 효과가 없고 자극성이 강하여 만족도가 낮은 경우는 1점을 부여하였으며, 자극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각질박리효과 자극성
실시예 1 4.8 3.9
비교예 1 1.9 4.9
비교예 2 4.7 2.7
위의 결과로부터 심층수만을 다량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 비하여 증삼액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각질 박리 효과는 비슷한 반면에 자극성은 현저히 감소되므로 각질 제거 화장료로서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시험예 5:
실시예 8 및 비교예 13, 14에 대하여 여성전문평가집단 20명으로 하여금 하기의 항목과 기준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실사용한 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3에 나타낸다.
㉮ 평가 항목 : 피부질환(홍반, 구진) 개선, 피부 유연화 및 보습 효과
㉯ 평가 기준평가 항목
5점: 양호 / 4점: 다소 양호 / 3점: 차이 없음 / 2점: 다소 불량 / 1점:불량
* 바디크렌져 실사용 평가 결과
평가 항목 비교예 실시예
13 14 8
피부질환(홍반,구진) 개선 3.7 4.7 4.8
피부 유연화 4.2 4.4 4.6
보습 효과 4.1 3.9 4.3
평가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바디크렌져는 피부질환(홍반, 구진) 개선, 피부 유연화 및 보습 효과에 있어 비교예와 대비할 때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6:
20∼3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시험 시작 전 및 종료 후의 피부상태 관찰과 각질층 수분량을 측정하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피부자극이나, 붉은 반점, 발진 등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였다. 경표피 수분손실(TEWL)은 Dermalab®(Cortex Technology, Hadsund, Denmark)을 사용 측정하였다. 여성전문평가집단 20명으로 하여금 하기의 표 14에 나타낸 평가 항목과 기준으로 6주 동안 화장료 조성물을 실사용한 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5에 나타낸다.
평가항목
평가항목 평가 점수
피부상태 피부상태 선명 5
피부상태 명료 4
피부상태 불명료 3
부분적인 각질층 탈리 2
광범위한 각질층 탈리 1
피부 친숙도 양호 5
다소 양호 4
보통 3
다소 불량 2
불량 1
피부 자극도 자극감 없음 5
미세 자극감 4
자극감 경미 3
명확히 느낌 2
강하게 느낌 1
피부 이상 확인 안됨 5
미세 이상 4
경미한 이상 3
약간의 이상 2
심각한 이상 1
평가 결과
항목 실시예 비교예
7 11 12
피부상태 개선정도 4.4 3.9 4.1
피부 친숙도 4.1 4.5 3.7
피부 자극도 3.9 4.9 3.2
피부 이상 4.5 4.9 3.9
시험예 7: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의 화장료 조성물을 25℃ 및 45℃의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20℃에서 25℃를 24시간을 주기로 순환하는 챔버에 넣어 20회를 실시한 시료에 대한 안정도를 육안에 의한 침전의 발생 여부 및 상분리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8 모두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과를 하기의 표 16에 나타낸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안정성 25℃
45℃
-20∼25℃
* 매우 안정: ◎, 안정: ○, 불안정: X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증삼액 성분과 해양심층수 성분의 시너지(synergy) 작용에 의하여 각질 제거, 가려움증 제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 개선과 피부 유연화 및 보습과 미백 작용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자극성이 낮고, 경시 안정성이 양호하다.

Claims (6)

1.5∼30°brix의 증삼액(蒸蔘液) 10∼30중량% 및 해양심층수 15∼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해양 심층수가 해수면으로부터 200m 이하의 깊이에서 취수된 경도가 6720∼6820이고, 증발 잔류물 함량이 32000∼38000㎎/ℓ이며, pH가 7.8∼7.9이고, 탁도가 0.2 NTU 이하이며, 염도가 34∼34.2‰이고, 아연 함량이 0.001∼0.818㎍/ℓ이며, 철 함량이 0.004∼0.217㎍/ℓ이고, 망간 함량이 0.005∼0.265㎍/ℓ이며, 칼륨 함량이 390∼420㎎/ℓ이고, 칼슘 함량이 400∼465 ㎎/ℓ이며, 마그네슘 함량이 1320∼1390㎎/ℓ이고, 몰리브덴 함량이 0.015∼0.005㎎/ℓ인 화장료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증삼액이 평균 포어사이즈 3∼5㎛의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투명화 처리된 화장료 조성물.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심층수가 염분 농도가 최대 0.85∼0.90%로 탈염 처리된 화장료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증삼액이 환류 냉각에 의해 포집된 비중 0.92∼0.93, 비점 60∼110℃의 인삼 유래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29198A 2006-12-18 2006-12-18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0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198A KR100890235B1 (ko) 2006-12-18 2006-12-18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198A KR100890235B1 (ko) 2006-12-18 2006-12-18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71A KR20080056371A (ko) 2008-06-23
KR100890235B1 true KR100890235B1 (ko) 2009-03-25

Family

ID=3980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198A KR100890235B1 (ko) 2006-12-18 2006-12-18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2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20060001887A (ko) * 2005-12-07 2006-01-06 주식회사 동방산업 비누조성물
KR20060127326A (ko) * 2005-06-07 2006-12-12 풍기특산물영농조합법인 미용화장품용 인삼첨가물 및 이를 이용한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20060127326A (ko) * 2005-06-07 2006-12-12 풍기특산물영농조합법인 미용화장품용 인삼첨가물 및 이를 이용한 팩
KR20060001887A (ko) * 2005-12-07 2006-01-06 주식회사 동방산업 비누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71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960B2 (en) Mineral, nutritional, cosmetic, pharmaceutical, and agricultur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60969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0894628B1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0234B1 (ko) 인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과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00124132A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1019094B1 (ko)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0235B1 (ko) 증삼액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572960B1 (ko) 작두콩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세척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품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780078B1 (ko) 해양 심층수 영양 염류 및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고미네랄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102585310B1 (ko) 아미노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69810B1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5960B1 (ko) 6종의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 장벽 강화 또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4859A (ko) 카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02493B1 (ko) 보르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046162A (ko) 울릉산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86929B1 (ko) 베르베린 바이칼리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