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132B1 -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 Google Patents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132B1
KR100890132B1 KR1020070123277A KR20070123277A KR100890132B1 KR 100890132 B1 KR100890132 B1 KR 100890132B1 KR 1020070123277 A KR1020070123277 A KR 1020070123277A KR 20070123277 A KR20070123277 A KR 20070123277A KR 100890132 B1 KR100890132 B1 KR 10089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heater
hose
insul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히터 접속 파이프에 직접 히터 호스를 접속하지 않고, 절연 호스 및 절연 파이프를 통해 히터 호스를 접속한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엔진(10')의 히터 접속 파이프(11')에 히터 호스(14')가 직접 접속되었기 때문에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히터코어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 절연이 없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 엔진 및 차량 실내의 히터 유니트에서 유발되는 소음이 비교적 크게 되어 승차감을 저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엔진의 히터 접속 파이프에 절연 호스를 접속하고, 절연 호스에 접속되는 절연 파이프를 엔진에 고정하며, 절연 파이프에 히터 유니트와 접속되는 히터 호스를 접속하여서 되는 것과, 절연 파이프의 일측에 엔진 접속편이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에 마운팅되는 절연호스 및 절연 파이프를 통해 엔진에서의 진동모드와 히터에서의 진동모드를 서로 상쇄시켜 차량 실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차량의 감성품질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엔진, 히터 유니트, 절연 호스, 절연 파이프, 히터 호스

Description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an engine double insulation structure for reducing heater noise}
본 발명은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엔진의 히터 접속 파이프에 직접 히터 호스를 접속하지 않고, 절연 호스 및 절연 파이프를 통해 히터 호스를 접속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엔진 히터 호스 접속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히터 파이프와 히터 호스의 경로를 따라서 히터코어로 전달되며, 이 때 히터코어로 전달되는 진동은 히터 파이프와 히터의 상황에 따라 증폭될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다.
또한 이렇게 전달된 진동은 차량의 실내에 위치한 히터 유니트에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특히 출발 가속시에 큰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엔진(10')의 히터 접속 파이프(11')에 히터 호스(14')가 직접 접속되었기 때문에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히터코어로 전달되는 과정에 서 진동 절연이 없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 엔진 및 차량 실내의 히터 유니트에서 유발되는 소음이 비교적 크게 되어 승차감을 저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엔진에서의 소음이 히터 호스를 통해 차량 실내에 위치하는 히터 유니트로 전달되어 차량 실내 소음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에서의 진동모드(진동주파수)와 히터 유니트에서의 진동모드가 서로 다른 점을 이용하여 엔진의 히터 접속 파이프에 절연 호스를 접속하고 절연 호스를 엔진에 고정되는 절연 파이프에 접속하며, 절연 파이프에 히터 호스를 접속함으로써 엔진의 진동과 히터 유니트의 진동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는 엔진의 히터 접속 파이프에 절연 호스를 접속하고, 절연 호스에 접속되는 절연 파이프를 엔진에 고정하며, 절연 파이프에 히터 유니트와 접속되는 히터 호스를 접속하여서 되는 것이며, 절연 파이프의 일측에 엔진 접속편이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에 마운팅되는 절연호스 및 절연 파이프를 통해 엔진에서의 진동모드와 히터에서의 진동모드를 서로 상쇄시켜 차량 실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엔진의 1,500~200 RPM 영역에서 차량 실내 소음을 대폭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실내 소음 저감으로 인하여 차량의 승차감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차량의 감성품질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히터 호스 접속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절연호스 및 절연파이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엔진(10)의 히터 접속 파이프(11)에 절연 호스(12)를 접속하고, 절연 호스(12)에 접속되는 절연 파이프(13)를 엔진(10)에 고정하며, 절연 파이프(13)에 히터 유니트와 접속되는 히터 호스(14)를 접속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 파이프(13)는 그의 일측에 엔진 접속편(13a)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10)의 진동과 히터 유니트의 진동을 절연 호스(12) 및 절연 파이프(13)를 통해 서로 상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는 실린더헤드나 실린더블록에 마운팅된 파이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만나서 서로 상쇄되는 원리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엔진 대상 소음 평가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절연 구조 적용시 엔진 대상 소음이 평균 12dB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차량 실내 대상 소음 평가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절연 구조 적용시 실내 소음이 평균 4dB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진 히터 호스 접속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히터 호스 접속상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절연호스 및 절연파이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엔진 대상 소음 평가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실내 대상 소음 평가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엔진 11 : 히터 접속 파이프
12 : 절연 호스 13 : 절연 파이프
13a : 엔진 접속편 14 : 히터 호스

Claims (2)

  1. 엔진(10)의 히터 접속 파이프(11)에 절연 호스(12)를 접속하고, 절연 호스(12)에 접속되는 절연 파이프(13)를 엔진(10)에 고정하며, 절연 파이프(13)에 히터 유니트와 접속되는 히터 호스(14)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절연 파이프(13)의 일측에 엔진 접속편(13a)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KR1020070123277A 2007-11-30 2007-11-30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KR10089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77A KR100890132B1 (ko) 2007-11-30 2007-11-30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77A KR100890132B1 (ko) 2007-11-30 2007-11-30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132B1 true KR100890132B1 (ko) 2009-03-20

Family

ID=4069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277A KR100890132B1 (ko) 2007-11-30 2007-11-30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016B1 (ko) 1999-03-31 2003-08-27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소수성기(疎水性基)함유 다당류의 집합체의 형성방법
KR20030089581A (ko) * 2002-05-16 2003-11-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난방 배관 체결구조
JP2005023810A (ja) 2003-07-01 2005-01-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内燃機関のヒータ用冷却水通路分岐構造
KR20050117353A (ko) * 2004-06-10 2005-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냉각수 유동소음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016B1 (ko) 1999-03-31 2003-08-27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소수성기(疎水性基)함유 다당류의 집합체의 형성방법
KR20030089581A (ko) * 2002-05-16 2003-11-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난방 배관 체결구조
JP2005023810A (ja) 2003-07-01 2005-01-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内燃機関のヒータ用冷却水通路分岐構造
KR20050117353A (ko) * 2004-06-10 2005-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냉각수 유동소음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1108A3 (en) Active vibration cancellation of gear mesh vibration
US20060236973A1 (en) Active intake muffler
US8718292B2 (en) Noise reduction device and noise reduction system
US20070062756A1 (en) Active exhaust-noise attenuation muffler
KR101688281B1 (ko) 자동차용 복합 어셈블리
WO2012144078A1 (ja) 防音装置
WO2008083086A3 (en)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echo removal (aer)
JP4713326B2 (ja) 音質伝達構造
JP2002159083A (ja) 低域再生用スピーカユニット
DE102013112409A1 (de) Aktive erzeugung und/oder beeinflussung von fahrzeuggeräuschen
JP2007239746A (ja) 排気システム用能動マフラー
US2010031008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noise-suppression system
KR100890132B1 (ko) 히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엔진의 이중 절연구조
US8985287B2 (en) Device for actively influencing vibrations in a component
JP2006266233A (ja) 吸気系発生音伝播構造
JPH09134179A (ja) 振動・騒音発生源の遮蔽カバー装置
KR100418675B1 (ko) 자동차의 배기 마운팅
KR1026276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1138930A3 (en) Active noise attenuation system
KR100559897B1 (ko) 차량용 롤로드
JP2006063839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および車両の車内音設定方法
TW364947B (en) Noise control system
JP3132924U (ja) 車両用ノイズ対策付きアース線
JP4360246B2 (ja) 吸気音低減構造
US20010047903A1 (en) Active dipole inlet using drone speaker dr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