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391B1 -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391B1
KR100889391B1 KR1020070095502A KR20070095502A KR100889391B1 KR 100889391 B1 KR100889391 B1 KR 100889391B1 KR 1020070095502 A KR1020070095502 A KR 1020070095502A KR 20070095502 A KR20070095502 A KR 20070095502A KR 100889391 B1 KR100889391 B1 KR 10088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wire
wire
heating eleme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박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덕 filed Critical 박종덕
Priority to KR102007009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01B7/428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8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embedded in a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저항이 많은 아주 가늘고 길이가 긴 합금 발열선을 1가닥 내지 여러 가닥으로 합하여 꼬이면서 원형 또는 타원면형으로 엮어서 작은 전기량으로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게 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품을 용융시켜 전기 융착 연결하는데 사용하여 판재 또는 관의 연결 부위에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상당한 강성을 지니게 하기 위한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발열선(32)이 공급되어 꼬이면서 균일하게 역어(편조)서 하나의 발열부재 열선(30)으로 성형하되,
발열부재 열선(30)은 발열선(32)이 1선 내지 3선으로 각각 공급되어 꼬아지도록 하거나, 발열선(32)의 외경으로 외경 폴리에틸렌(30a)을 감싸도록 성형할 수 있고, 발열부재 열선(30)의 모두를 감싸도록 압출 폴리에틸렌(30b)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열선, 발열부재 열선

Description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Heat generating mumber having heating wire for electric fusion welding and the mak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저항이 많은 아주 가늘고 길이가 긴 합금 발열선을 1가닥 내지 여러 가닥으로 합하여 꼬이면서 원형 또는 타원면형으로 엮어서 작은 전기량으로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게 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품을 용융시켜 전기 융착 연결하는데 사용하여 판재 또는 관의 연결 부위에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상당한 강성을 지니게 하기 위한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열부재 열선은 폴리에틸렌관을 연결하여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형태의 한 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원통형의 연결구 또는 소켓 외에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단선(꼬인 단선포함)의 경우, 융착 밴드를 감싼 후 쬠 작업 시에 힘 이 쏠리는 쪽으로 발열부재가 겹쳐지거나 구부러져 전기 합선이 발생하는 일이 잦았다.
그리고 메탈라스(사각형)는 사각형으로 베를 짜듯이 형성되어 일체형 전기회로를 이룰 수 없는 관계로 융착 전류 공급 시에 가로선과 세로선의 겹침 부위에서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고 스파크 현상이 일어나 열선에 균일한 열 발생이 어렵고 융착열 발생 메탈라스 이음 겹침 부위 및 연결부위의 열 분포가 고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메탈라스(마름모형)는 직각 또는 모서리 부분에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없어서 열선에 열 발생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고 융착 열 발생 메탈라스 이음 겹침 부위 및 연결부위의 열 분포가 고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단선 및 메탈라스는 전원 공급용 리이드 선이 일체형이 아닌 열선과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고 메탈라스는 메탈라스 면과 전원공급용 리이드 선을 연결할 때 인체에 유해한 땜납을 이용하였고. 열팽창 전기 융착 부위에 열팽창 침투현상이 일어났고 융착 밴드를 감싸고 밴드 쬠 작업 후 융착 전류를 인가할 시에 밴드 쬠 힘이 쏠리는 쪽으로 열선 침투 현상이 보다 더 깊어 융착 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아울러, 열선이 겹치어 융착 전류가 증가하여 규정된 시간에 규정된 전류로 융착을 하여야하는 올바른 융착 방법이 이루어지지 않아 융착 전류 증가로 융착 열 과다로 판재(板材) 또는 관(管)의 함몰(무너짐) 및 융착 불량의 원인이 되어 유체의 누출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전기 도전체와 가까운 단선을 사용하거나 고유저항이 적은 금속부재를 이용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융착 전류가 14[A]에서 61[A]로 대 전류가 필요하여 융착기 및 전기 용량 크고 중량이 무겁고 큰 기기가 사용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늘고 길이가 긴 합금(合金) 열선(熱線)을 꼬이면서 균일하게 엮어서 만든 하나의 전기 융착(bonding)용 발열부재 열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러 가닥의 열선 중 일부가 단선되는 경우에도 전원의 공급에 의한 전기 융착 용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융착 용융 시에 열팽창 침투를 방지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을 이용하여 만든 관 또는 판재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금 실드한 발열부재 열선을 와인더기로 타래에 실드선 인 발열선을 균일하게 되감기 하여 편조(編造: 엮어서 만듦)기기에서 꼬이면서 균일하게 편조하여 타래에 감아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한 연결구나 전자소켓 또는 판재의 연결구 또는 면에 부착하여 전기 융착용 편조실드 발열부재 열선으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유저항이 많은 합금을 실드한 여러 가닥의 열선을 성형 편조하여 사용함이 단선의 국소부위 용융을 해소하고 표피현상에 열을 이용하므로 같은 굵기의 단선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실드한 연선을 편조하여 사용하므로 융착면의 용융면적을 넓게 할 수 있고 또한 융착 전기량을 적게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열을 이용하여 성형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성형 재질의 판재(板材) 또는 관(管)을 완전하고 견고하게 연결함은 같은 재질에 물질을 용융시켜 융착 연결함이 바람직하므로, 편조(編造) 실드(slender) 발열부재 열선(發熱部材 熱線)은 열융착 시에 열팽창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녹을 방지할 수 있는 합금실드한 열선을 편조하여 중공 연선처럼 표피 열 효과를 이용하는 동시에 실드한 선을 이용하는 관계로,
폴리에틸렌 용융 점도와 거의 비슷한 가늘고 긴 선을 꼬이면서 엮어서 만들어 융착 열 분포를 고르게 하고 합선을 방지하고 수축 팽창 시에도 폴리에틸렌 용융물과 거의 같이 움직이므로 열선 침투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서 융착 불량의 원인을 방지하고, 융착 작업 시에 부주의로 한 선이 단선 되어도 열 발생이 비슷하기에 융착 불량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은 같은 굵기의 열선을 사용하는 이점이 있어 판재(板材) 관(管) 길이 또는 면적에 관계없이 발열도가 좋아 같은 융착 전류로 융착 할 수 있다는 좋은 점을 제공하고, 전기 융착기도 기존 단선 또는 메탈라스 융착기에 비하여 중량을 수10[kg]에서 50[kg] 이상을 줄어 5kg에서 10kg 이하의 융착기로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융착 전류는 종래에 수십(A)로 융착 전류를 인가하였으나, 고유저항이 많은 실드한 합금 열선을 사용하므로 융착 전기량을 10[A]이하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융착 전원 공급 리드선을 일체형으로 하여 리드선과 열선에 접속 저항을 없애고 손쉽게 리드선을 양단에 인출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주 가늘고 길이가 긴 여러 가닥의 합금 열선을 꼬면서 균일하게 엮어서 한 선의 발열부재 열선으로 성형하여 시트 또는 원통형의 연결구의 내경 또는 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편조 실드 발열부재 열선으로 조임력이 제공되어 겹쳐지는 경우 여러 가닥의 열선 중 일부가 단선(斷線)되는 경우에도 전원의 공급에 의한 용융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 융착 면에서 균일한 전기 융착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안정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판재(板材) 또는 관(管)을 이용하여 성형한 연결구에 의한 전기 융착 성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드 합금 발열부재 열선을 와인더에서 전용 타래에 실드 한 선을 다양한 가닥(합)으로 되감아 편조기 타래 꽂이에 꽂고 편조기 동력장치를 동작시켜 회전하면서 실드 선을 꼬이면서 엮어 하나의 발열선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발열 합금 실드한 선을 편조한 열선으로 폴리에틸렌 재질로 만든 판재(板材) 또는 관(管) 연결구 또는 판재 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외경 피복형, 내경 포함형, 압출형, 외부 포함형의 발열부재 연선으로 전기 융착 연결 부위에 유체의 누출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열선 감는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열선을 소정의 크기를 갖는 선 공급휠(60)이 다수 개 감겨 있도록 하여 1선씩의 발열선(32)을 공급하여 필요에 따라 1선 내지 3선으로 공급 타래(24)에 감아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선 공급휠(60)의 전방 한 부분에는 안내 로울러(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 로울러(61)의 하측으로 공급타래(24)를 설치하여 동력으로 전체면에 골고루 발열선(32)을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열선 감는장치(40)의 한 부분에 모터(41)의 동력이 벨트(42)를 통하여 풀리(43)에서 캠(44)을 회전시킴에 따라 캠 안내대(46)가 일정한 속도로 좌,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캠 안내대(46)는 한 부분에 안내핀(47)이 설치되어 캠(44)의 궤적을 따라 안내되며 하측의 고정핀(45)을 중심으로 이동하고 상측에는 장공(48)이 설치되어 안내 장공(49)에서 이동대(5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동대(50)의 선단은 작동대(51)와 연결되고 이 작동대(51)는 고정대(52)의 내부에서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대(51)의 한 부분에는 선 공급대(53)가 설치되어 한 부분으로 발열선(32)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 공급대(53)의 하측에는 회전 모터(54)를 통하여 회전하는 공급타래(24)를 전방에서 타래 고정대(55)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선 감는장치(40)는 다수의 선 공급휠(60)에 한 선의 발열선(32)이 감겨 있는 것을 설치하여 공급타래(24)를 설치하여 편조기(10)에 공급할 것을 감아 보관하는 것이다.
공급타래(24)는 타래 고정대(55)를 외측으로 잡아당긴 후 회전모터(54)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다시 타래 고정대(55)를 놓으면 공급타래(24)를 양쪽에서 지지하게 된다.
선 공급휠(60)에 감겨있는 발열선(32)을 필요에 따라서 1선 내지 3선의 범위에서 잡아당겨 안내 로울러(61)를 통과시켜 선 공급대(53)에서 공급타래(24)에 감기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 모터(54)와 모터(41)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시키면 회전 모터(54)의 구동으로 공급타래(24)가 회전하면서 발열선(32)을 감게 되며, 동시에 모터(41)의 동력이 벨트(42)를 통하여 풀리(43)에서 캠(44)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안내핀(47)이 캠(44)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안내핀(47)이 설치된 캠 안내대(46)는 고정핀(45)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 우로 왕복 이동한다.
그러면 상측의 장공(48)을 통하여 안내 장공(49)에 이동대(50)가 함께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대(50)를 좌, 우측으로 왕복 이동시키게 되며, 이동대(50)는 고정대(52)에서 작동대(5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동대(51)의 한 부분에 연결한 선 공급대(53)에 발열선(32)이 통과하고 있으면서 공급타래(24)에 감기는 발열선(32)을 좌, 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공급타래(24)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선(31)이 감겨진 공급타래(24)는 편조기(10)에 공급하여 발열부재 열선(30)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편조기에 대한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다.
편조기(10)는 모터(11)의 동력을 제공하여 보조장치(17)의 구동으로 공급장치(23)가 일정한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발열선(32)이 편조되도록 공급하면 모음봉(26)에서 편조되어 발열부재열선(30)을 형성하여 공급한 후 타래(34)에 감기도록 하는 것으로, 편조기(10)는 모터(11)의 동력이 풀리(12)와 벨트(13)를 통하여 또 하나의 풀리(14)에 공급되면 풀리(14)에 연결한 한 쌍의 기어(15)를 통하여 평기어(1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평기어(16)의 일측에 설치한 보조장치(17)는 평기어(16)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발열선(32)을 공급하는 것이며, 보조장치(17)에는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동일한 크기의 연동기어(18)가 원주방향에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연동기어(18)의 어느 하나에 평기어(16)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동기어(18)는 공급장치(23)를 구동시켜 각각의 발열선(32)을 공급하는 것이며, 연동기어(18)의 상측에는 각각 동일한 방향과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연동 회전판(19)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 회전판(19)은 3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공급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공급홈(20)에는 축(23a)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 회전판(19)의 공급홈(20)에 결합하여 있는 것이 16개에 이른다.
상기 공급홈(20)에 삽입된 축(23a)은 하나의 연동회전판(19) 2곳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동 회전판(19)의 상측에는 안내레일(21)을 8자 형태로 연속해서 연결한 형태로 설치하여 공급장치(23)가 상기 안내레일(21)에서 연속해서 회전하면서 발열선(32)을 공급하여 편조되어 하나의 발열부재 열선(30)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공급장치(23)는 중앙의 축(23a) 상측에서 발열선(32)이 감겨진 공급타래(24)를 한 부분으로 설치하고, 또 한 부분에는 선 공급대(25)를 설치하여 공급타래(24)에서 공급된 발열선(32)이 선 공급대(25)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장치(23)에는 설치하는 공급타래(24)의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8개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안내레일(21)을 설치한 중앙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필요한 경우 내경 폴리에틸렌(30c)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수의 공급타래(24)가 설치된 공급장치(23)를 통하여 공급하는 발열선(32)은 상측 중앙에 설치한 모음봉(26)에 모두 느슨하게 공급되어 하나의 발열부재 열선(30)으로 꼬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음봉(26)의 한쪽 방향에는 편조기어(27)를 설치하고, 상측에는 안내 휠(29)을 설치하여 발열부재 열선(30)이 한바퀴 돌아 타래(34)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타래(34)는 한 부분에서 감속기(26)와 모터(35)가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편조기(10)는 열선 감는 장치(40)에서 1∼3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선(32)을 감은 공급타래(24)를 공급장치(23)의 한 부분에 설치하여 선 공급대(25)를 통과한 후 모음봉(26)에 하나로 모이면서 통과하도록 한다.
모음봉(26)을 통과하면서 꽈배기와 같이 꼬이면서 하나의 발열부재 열선(30) 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풀리(12)와 벨트(13)를 통하여 풀리(14)가 회전하며 한 쌍의 기어(15)에 의해 평기어(16)가 회전되므로 이 평기어(16)와 연동 되도록 연결한 다수의 연동기어(18)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이다.
연동기어(18)가 회전하면서 이와 상측에서 연결한 연동 회전판(19)이 회전하면서 공급홈(20)에 축(23a)이 위치하게 되므로 공급홈(20)은 축(23a)을 가지고 회전 이동하게 되고, 회전 이동할 때 상측에 형성한 안내 레일(21)이 축(23a)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결국 축(23a)은 연동 회전판(19)의 공급홈(20)과 안내 레일(21)에 의해 회전 이동하는 것이다.
공급홈(20)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축(23a)은 안내 레일(21)이 8자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칸의 연동 회전판 (19)에 형성한 공급홈(20)에 2개의 축(23a)이 맞물려 있게 되므로 외측에 있는 축(23a)은 다음 칸에서는 안쪽으로 이동한 후 다음 칸에서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하고, 안쪽에 있는 축(23a)은 다음 칸에서는 바깥쪽으로 이동한 후 다음 칸에서는 안쪽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연속해서 이동하는 것이다.
즉, 연동 회전판(19)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급홈(20)이 인접한 곳에서 이송해 온 축(23a)을 가지고 이동시키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연속해서 공급하면서 하나는 안쪽으로 하나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공급장치(23)가 축(23a)에 의해 서로 꼬이면서 이동하는 방법에 따라 한곳의 모음봉(26)으로 모여지는 발열선(32)은 서로 연속해서 꼬이면서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나의 발열부재 열선(30)이 완성되면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발열선(32)은 필요에 따라서 1∼3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공급하는 것은 발열부재 열선(30)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16개의 공급타래(24)를 통하여 한 번에 16선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타래(24)에 2∼3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선(32)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발열선(32)의 두께 또는 선 굵기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모음봉(26)에 공급되면서 꼬아지는 다수의 발열선(32)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느슨하게 공급되어 발열부재 열선(30)으로 형성하면서 안내 휠(29)을 통과한 후 타래(34)에 감기게 되며, 타래(34)에 감기면서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급 및 생산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한 발열부재 열선(30)은 도 15와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선으로 성형되어 공급된 후 다양하게 사용(후술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열부재 열선(30)은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열선(32)으로 이루어진 발열부재 열선(30)의 외경에 외경 폴리에틸렌(30a)을 씌운 형태의 것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며, 외경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열선(32)으로 이루어진 발열부재 열선(30)을 공급하면서 전체면이 일체형이 되도록 폴리에틸렌을 압출하여 성형한 압출 폴리에틸렌(30b)과 같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열선(32)으로 이루어진 발열부재 열선(30)을 성형할 때 보조장치(17)의 중앙에 형성한 구멍을 통하여 내경 폴리에틸렌(30c)을 공급하면 내경 폴리에틸렌(30c)의 외경으로 같은 간격에 발열선(32)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선(32)을 독립적으로 외부 폴리에틸렌(30d)과 같이 코팅한 후 공급하는 과정을 통하여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발열부재 열선(30)과 같이 꼬아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열부재 열선(30)을 그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며, 외경 폴리에틸렌(30a)을 공급하는 외경 코팅형, 압출 폴리에틸렌(30b)을 공급하여 발열선(32)을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매립형, 내경 폴리에틸렌(30c)과 같이 발열선(32)의 내경에 공급하는 내경 코팅형, 각각의 발열선(32)을 코팅하여 이들을 꼬아서 성형하는 도포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열부재 열선(30)은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방법이나 성형기를 이용하여 원형 이외에 타원형 또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양 선단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장공형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조실드 발열부재 열선은 PE 재질의 제품을 전기 열로 압출하여 제조함에 반하여 동등한 재질의 연결부재를 만들어 전기융착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최근 천연 고무제품으로 만든 수밀 고무패킹을 이용한 연결구 또는 석유화학 피치를 이용하거나 스테인레스 연결부재를 사용함에 있어 내 부식성에 약한 원 인이 되고 폴리에틸렌 제품과 동등한 강선을 지니지 못하여 부재의 연결부위에 유체의 누출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판재 또는 관의 연결부위에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심지어 유기용재에 녹아내리는 연결부재도 이용되고 있는데 폴리에틸렌 재질의 부재는 유기용재에 녹지 않는 수지로 성형한 제품이기에 반드시 같은 재질의 연결부재로 사용함이 타당한 연결 방법이다.
이에, 종래에 대 전류를 소비하는 전기도체에 거의 가까운 열선을 사용하여 전기융착 하였으나 본 고안의 합금한 열선은 고유저항이 높은 실드한 열선을 이용하여 편조하여 사용함에 최상의 융착 효과를 도모하고 저 전류로 융착 할 수 있고 융착 발열선의 열팽창 침투현상을 없애고 중공도선처럼 열선의 표피효과의 발생 열을 이용하기에 최상의 용융효과로 융착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폴리에틸렌 재질의 부재를 연결하는 성능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열선 감는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열선 감는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열선 감는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4a 는 본 발명의 캠 안내대에 대한 정면도
도 4b 는 본 발명의 캠 안내대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5a 는 본 발명의 공급타래에 실을 감는 상태의 정면도
5b 는 본 발명의 공급타레에 실을 감는 작동 상태의 정면도
5c 는 본 발명의 공급타레에 실을 감는 작동 상태의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편조기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편조기에 대한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편조기에 대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공급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에 대한 기어 연결구조의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은 보조장치에 대한 연동 회전판에 대한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은 공급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보조장치에 대한 안내 레일의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에 대한 정면도
도 16a 는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에 대한 평면 단면도
16b 는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에 대한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16c 는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에 대한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16d 는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16e 는 본 발명의 발열부재 열선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편조기 16 : 평기어
17 : 보조장치 18 : 연동기어
19 : 연동 회전판 20 : 공급홈
21 : 안내레일 23 : 공급장치
23a : 축 24 : 공급타래
25 : 선 공급대 26 : 모음봉
27 : 편조기어 28 : 핸들
29 : 안내 휠 30 : 발열부재 열선
30a : 외경 폴리에틸렌 30b : 압출 폴리에틸렌
30c : 내경 폴리에틸렌 30d : 외부 폴리에틸렌
40 : 열선 감는장치 44 : 캠
45 : 고정핀 46 : 캠 안내대
47 : 안내핀 48 : 장공
49 : 안내 장공 50 : 이동대
51 : 작동대 52 : 고정대
53 : 선 공급대 55 : 타래 고정대
60 : 선 공급휠

Claims (9)

1∼3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선(32)이 다수개 공급되어 꼬이면서 균일하게 역어(편조)서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나의 발열부재 열선(30)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삭제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재 열선(30)은 발열선(32)의 외경으로 외경 폴리에틸렌(30a)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재 열선(30)은 중앙에 소정을 공간이 형성된 발열부재 열선(30)의 모두를 일체형으로 감싸도록 압출 폴리에틸렌(30b)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재 열선(30)은 발열선(32) 내경으로 내경 폴리에틸렌(30c)을 형성하여 상기 발열선(32)이 외경에 위치하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재 열선(30)은 각각의 발열선(32)을 감싸는 외부 폴리에틸렌(30d)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삭제
모터(11)의 공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15) 상측에 설치한 평기어(16)와 다수의 연동기어(18)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동기어(18)의 상측에서 외측에 공급홈(20)을 형성한 연동 회전판(19)을 설치하며, 상기 연동 회전판(19)의 상측에서 공급홈(20)을 따라 축(23a)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21)을 설치한 보조장치(17) 와;
상기 축(23a)의 상측으로 발열선(32)이 감긴 공급타래(24)와 선 공급대(25)를 설치한 공급장치(23)와;
상기 공급장치(23)의 상측 중앙으로 다수의 발열선(32)이 꼬이면서 엮여 발열부재 열선(30)을 편조하는 모음봉(26)과;
상기 모음봉(26)의 상측으로 설치한 안내휠(29)의 전방에 타래(34)를 설치하여 발열부재 열선(30)을 감아 보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의 제조장치.
제8항에 있어서,
공급장치(23)는 공급타래(24)에서 1선 내지 3선의 발열선(32)이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하측의 축(23a)이 안내레일(21)을 따라 회전하면서 모음봉(26)에서 엮여 발열부재 열선(30)을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의 제조장치.
KR1020070095502A 2007-09-19 2007-09-19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KR10088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502A KR100889391B1 (ko) 2007-09-19 2007-09-19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502A KR100889391B1 (ko) 2007-09-19 2007-09-19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391B1 true KR100889391B1 (ko) 2009-03-19

Family

ID=4069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502A KR100889391B1 (ko) 2007-09-19 2007-09-19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3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021U (ko) * 1998-04-25 1998-07-25 박명섭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KR200317437Y1 (ko) * 2003-03-11 2003-06-25 이태하 전자파 감쇄 발열선
KR200385914Y1 (ko) * 2005-03-17 2005-06-03 (주)지스코 카본사램프히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021U (ko) * 1998-04-25 1998-07-25 박명섭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KR200317437Y1 (ko) * 2003-03-11 2003-06-25 이태하 전자파 감쇄 발열선
KR200385914Y1 (ko) * 2005-03-17 2005-06-03 (주)지스코 카본사램프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498B2 (ja) 編組スリーブ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EP0218952B1 (en) Process and line for manufacturing cables
US4017579A (en) Method for forming a sheathed electrical cable
KR101615251B1 (ko) Sz 권취 기계
RU2755917C2 (ru) Инжекторная камера для пултруз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рмированных волокном пластмассовых профилей, прежде всего пластмассовых стержней
JP4925583B2 (ja) 複合内部導体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WO2021158588A1 (en) Filament wrapping and reflow system and methods to manufacture an elongate medical device
CN105070416B (zh) 一种电缆的挤包塑套生产线
US341379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oncentric conductors for electric cables
KR100889391B1 (ko)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CN103341960B (zh) 一种电缆线制作的挤塑模具
KR100889392B1 (ko)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을 이용한 전자소켓
GB1573331A (en) Methods of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multiple core power current cables or conductors
JP2009252605A (ja) 保護スリーブの製造方法
CN112071478A (zh) 地上采矿工程用卷绕拖拽电缆及生产工艺
KR20090030151A (ko)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을 이용한 환봉지지형 연결구
CN108040374A (zh) 一种串联恒功率伴热带及其制造方法
KR20090068696A (ko)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을 이용한 관 연결용 시트
CN110310785A (zh) 同轴电缆生产工艺
CN114843039B (zh) 一种输电线路节能增容电缆、制备方法及制备设备
JPH04174935A (ja) 管状編成糸使用品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樹脂アプリケータ
CN113380443B (zh) 超高压海底电缆、超高压海底电缆的生产方法及成缆装置
CN209775604U (zh) 一种连续生产多层复合绝缘套管的装置
CN114496411A (zh) 海缆、海缆组件、海缆的成缆装置及成型方法
JP6009368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ストランド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