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14Y1 - 카본사램프히터 - Google Patents

카본사램프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14Y1
KR200385914Y1 KR20-2005-0007228U KR20050007228U KR200385914Y1 KR 200385914 Y1 KR200385914 Y1 KR 200385914Y1 KR 20050007228 U KR20050007228 U KR 20050007228U KR 200385914 Y1 KR200385914 Y1 KR 200385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yarn
lamp heater
knitted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연
Original Assignee
(주)지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스코 filed Critical (주)지스코
Priority to KR20-2005-0007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14Y1/ko
Priority to US11/886,356 priority patent/US8723087B2/en
Priority to JP2008501796A priority patent/JP4891983B2/ja
Priority to CN2005800491182A priority patent/CN101142853B/zh
Priority to PCT/KR2005/004657 priority patent/WO2006098548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유리관(밀폐용기)에 발열체로 탄소체(카본사 필라멘트)를 내장시켜 전원을 외부단자로 공급도록 이루어진 전기스토브용 가열램프에서,
탄소체는 카본사인 탄소사(6)를 수개의 다발로 상호 편직하여 원통형을 이룬 니트지 형식의 편직 탄소끈관(30)으로 구성한 카본사램프 히터이다.

Description

카본사램프히터{Lamp heater with pipe typed form of woven carbon fibers}
본 고안은 카본사 램프히터에 관한 것으로, 카본(탄소)사를 편침을 이용하여 니트지 형식으로 편직하고, 일정 길이의 편직한 탄소끈관 양단에 단자를 연결토록 하여 저항치를 맞추기 쉽고 형태변형의 우려가 적도록 구성한 카본사 램프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전구라고도 하는데 진공관의 내부에 설치한 필라멘트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생기는 빛(Light)을 이용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발열하는 열을 이용하는 히터용 램프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진공 상태에서 내부에 필라멘트를 설치하고 유리관의 양단에 필라멘트와 연결하는 단자를 설치한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의 축을 따라서 텅스턴 필라멘트를 설치하고 관 내에 요오드 가스를 봉입하여 필라멘트에 전류를 보내면(전원을 인가하면)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텅스텐 원자가 관벽에서 요오드와 결합하여 요오드화텅스텐으로 되어 필라멘트로 되돌아가고, 여기서 또 분해되어 텅스텐을 필라멘트에 남기는 이른바 요오드 사이클에 의하여 장시간 사용 가능한 고 효율의 램프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램프는 필라멘트의 손상이 외부 충격에 약하고, 가열에 의한 형태변형 등으로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코일을 설치하는데 따른 원가 상승 등의 부담이 있다.
한편, 면상 발열체 등에 사용하는 카본사는 미세한 굵기의 카본섬유 다발을 하나의 군으로 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카본섬유가 26400개로 이루어진 경우 길이가 1미터, 직경이 0.3 밀리미터인 경우 약 60 옴의 저항치를 이룬다. 때문에 이를 기초로 원하는 출력(와트)을 설계하여 면상발열체 등을 제조한다. 물론 이 경우 저항치는 저항식(식에서 R;저항, rho ;저항률, l;길이, s;단위면적이다)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나 이들은 면상발열체의 발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주로 약 50도 내지 70도의 온도를 발산토록 설계하며, 그 이상이 되면 화재의 위험이 있고, 공기와 산화되어 내구성이 현격히 저하된다.
한편, 이러한 카본사를 열원으로 하여 진공튜브에 내장시킨 히터가 개발되었는데, 카본사를 일정한 묶음으로 저항치를 설정하여 원하는 출력을 제공토록 하는 것이나 카본사를 단자에 고정하는 기술과 카본사를 집속하는 기술이 미비하여 산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 2000-123960호로 공개된 탄소계 발열체가 알려져 있는바, 이는 도 1 과 같이 탄소계 발열체(1)의 양단에 캡형 전극부(2)를 두고 탄소계 발열체(1)와 캡형 전극부(2)가 진공밀폐용기(3) 내에 내장되고, 캡형 전극부(2)는 리드선(4)을 접속시켜 전원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선(4)은 도 2 와 같이 다수의 다발로 이루어진 탄소계 탄소사(6)의 다발 외주연을 탄소실(7)로 감아 묶어 탄소속체(5)를 이루도록 하는 고정 형태를 이룬다.
도 3 은 이 경우 필요한 탄소사(6)의 다발을 제공 가능토록 구성한 예시도면으로, 일정 다발의 탄소사(6)를 각각 탄소실(7)로 감고, 탄소실(7)로 감은 이들 3가닥을 함께 탄소실(7')로 감아 일체로 만드는 구성의 탄소속체(5)를 나타낸다.
즉, 도 2 와 같은 단위 탄소속체(5)나, 도 3 과 같은 3가닥의 탄소속체를 탄소실(7')로 감은 복수 탄소속체(5)로 된 발열체(1)를 이용하여 그 양단을 캡 형태의 전극부(2)로 결합시켜 진공밀페용기(3)를 씌우도록 성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원하는 탄소사(6)를 원하는 다발의 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저항치를 만들어 원하는 출력(W)을 출력토록 사용하나, 탄소사(6)를 탄소실(7)로 묶어야 하는 번거러움과, 필요시 묶은 탄소실(7)이 벗겨지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액상수지를 함침 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출력을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 가닥수를 증가시키는 방식 대신 길이를 늘려 출력을 높이는 방식이 제안되었는바, 이는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2-63870호(미국특허 공개 2001/0055478A1 호)로 알려져 있다. 이는 도 4 와 같이 예시할 수 있는바, 진공밀폐용기(3)의 양단은 리드선(4)을, 진공밀폐용기(3)의 양단을 누름 고정하는 평면단자부(3-1)에는 상기 리드선(4)과 도통토록 안치되는 전극편(4-1)을 안치시키고, 코일밴드형의 카본사필라멘트(10)는 진공밀페용기(3)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일정 길이마다 스페이스 홀더(11)를 설치한다. 상기 카본사필라멘트(10)의 양단은 전원 인가용 슬리브(20-1)를 가지는 고정단자(20)를 설치하고, 고정단자(20)는 슬리브(20-1)와, 슬리브(20-1)에 일체로 되어 중간단자(20-3)와 결합하는 접속편(20-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카본사필라멘트(10)를 단순히 중간단자(2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진공밀페용기(3)의 중앙에 위치토록 하는 기능이 약하여 별도의 스페이스홀더(11)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카본사필라멘트(10)는 카본사 속을 일정 폭으로 배열하여 띠 형상으로 만든 구조이므로 카본사 상호 간의 결속력이 약하여 충격시나 장기간 사용시 카본사속을 이루는 카본사가 상호 분리되어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카본사를 띠 형태로 꼬아서 만든 카본사속을 탄소체로 하는 히터가 개발되었으나, 일정 중량으로 인하여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용 탄소체를 탄소사를 이용하여 끈을 이루도록 편직하되, 중앙은 빈 관체형을 이루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순환을 가능토록 하며, 내부공간이 변형을 흡수하도록 기능하여 외부 형태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카본사램프히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본사를 단위 다발로 편직하여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기가 쉽도록 하는 카본사램프히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탄소체를 원통형의 탄소끈관으로 구성하였기에 편직시 편직기의 사양을 달리하면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저항치를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카본사램프히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탄소사를 끈 형태로 편직하되 길이방향의 중앙은 빈 원통형을 이루도록 편직한 니트지 형식의 편직 탄소끈관을 탄소체로 구성한 카본사램프히터를 제공한다.
즉, 본원고안은 진공유리관(밀폐용기)에 발열체로 탄소체(카본사 필라멘트)를 내장시켜 전원을 외부단자로 공급토록 이루어진 전기스토브용 가열램프에서,
탄소체는 카본사인 탄소사를 수개의 다발로 상호 편직하여 원통형을 이룬 니트지 형식의 편직 탄소끈관으로 구성한 카본사램프 히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카본사는 탄소사다발(탄소속체)을 이용하여 상호 편직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 본원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 은 도 5의 A-A 선 단면도, 도 7 은 도 6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 탄소체는 카본사인 탄소사(6)를 수개의 다발로 상호 꼬아 원통형을 이룬 탄소끈관(30)으로 구성한다. 탄소끈관(30)의 양단은 전기 전도용 고정단자(20)를 고정단자(20)는 내열성 중간단자(20-3)를 통하여 외부리드선(4)을 도통 가능토록 고정하는 전극편(4-1)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바람직한 중간단자(20-3)와 전극편(4-1)은 내열성이 좋은 몰리브덴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3-1)은 전극편(4-1)이 안치되는 평면단자부이다.
도 6 은 도 5의 A-A선단면도로, 탄소사(6)를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끈을 만드는 방식으로 직조한 탄소끈관(30)을 나타낸다. 물론 직경의 크기는 직조용 바늘 등의 크기와 간격을 조절하면 필요에 맞도록 직조 가능하다.
도 7 은 도 6의 방식을 기초로 직조한 탄소끈관(30)의 다른 예시도면으로, 단위 카본사가 아닌 다발상의 탄소속체(5)를 이용하여 직조한 것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편직기의 예로는 국내실용신안공고 제 1994-8522호 등에 나타낸 편직기등을 이용하여 편직하는 것이며, 이는 이미 알려진 기술어어서 니트지용 편직 자체의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술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직조한 탄소끈관(30)을 이용하여 도 5 와 같이 히터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히터를 만드는 방식 자체는 일반적인 기술로 제조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탄소끈관(30)과 관련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6 및 도 7 과 같이 탄소사(6)나 탄소속체(5)를 이용하여 끈 형상으로 직조하되, 단순한 끈이 아니라 중앙에 중공부(31)를 가지는 탄소끈관(30)을 이루도록 직조하므로, 중공부(31)에 의한 충격 흡수 기능과 형태 변형시 완충 작용을 하여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램프히터는 자연스럽게 내구성을 갖게 되고, 많은 탄소사(6)나 탄소속체(5)를 원형을 이루도록 직조하므로, 많은 양의 카본사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맞추기가 용이하고, 기존에는 카본사속만을 늘리려고 하다 보니 직조가 용이하지 않고 결합이 해지되어 불량이 높던 것을, 중공을 두고 원통형을 이룬 방식으로 제조하다 보니 제조도 용이하고 카본사의 길이를 자연스럽게 연장한 효과를 이루어 짧은 길이라도 높은 저항값을 가져 높은 출력의 히터 제조를 가능토록 하고, 길이가 짧을 경우에도 단순히 탄소끈관(30)의 직경을 늘리면 높은 출력의 저항치를 제공 가능하여 설계 변경과 다양한 디자인의 히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중공부(31)를 통하여 발열시 탄소끈관(30)의 내외부면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형태변형의 감소를 없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은 끈 형상으로 직조하되, 단순한 끈이 아니라 중앙에 중공부를 가지는 탄소끈관을 이루도록 직조하므로, 중공부에 의한 충격 흡수 기능과 형태 변형시 완충 작용을 하여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램프히터는 자연스럽게 내구성을 갖게 되고, 많은 탄소사나 탄소속체를 원형을 이루도록 직조하므로, 많은 양의 카본사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맞추기가 용이하고, 기존에는 카본사속만을 늘리려고 하다 보니 직조가 용이하지 않고 결합이 해지되어 불량이 높던 것을, 중공을 두고 원통형을 이룬 방식으로 제조하다 보니 제조도 용이하고 카본사의 길이를 자연스럽게 연장한 효과를 이루어 짧은 길이라도 높은 저항값을 가져 높은 출력의 히터 제조를 가능토록 하고, 길이가 짧을 경우에도 단순히 탄소끈관의 직경을 늘리면 높은 출력의 저항치를 제공 가능하여 설계 변경과 다양한 디자인의 히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중공부를 통하여 발열시 탄소끈관의 내외부면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형태변형의 감소를 없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도 1 은 일반적인 탄소계 발열체의 구성도,
도 2 는 도 1 에 사용되는 탄소체의 요부 확대도,
도 3 은 도 2의 탄소속체를 3개 사용하여 결속한 상태의 도면,
도 4 는 일반적인 스프링형 카본사램프히터의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 은 도 5의 A-A 선 확대 단면도,
도 7 은 도 6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진공밀폐용기 3-1;평면단자부 4;리드선 4-1;전극편 5;탄소속체 6;탄소사 10;카본사필라멘트 20;고정단자 20-1;슬리브 20-2;접속편 20-3;중간단자 30;탄소끈관

Claims (2)

  1. 진공유리관(밀폐용기)에 발열체로 탄소체(카본사 필라멘트)를 내장시켜 전원을 외부단자로 공급토록 이루어진 전기스토브용 가열램프에서,
    탄소체는 카본사인 탄소사(6)를 수개의 다발로 상호 직조하여 원통형을 이룬 니트지형의 편직 탄소끈관(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사램프 히터.
  2. 제 1항에 있어서, 탄소사(6)대신 탄소사(6) 단위다발(탄소속체)을 사용하여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사램프 히터.
KR20-2005-0007228U 2005-03-17 2005-03-17 카본사램프히터 KR200385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28U KR200385914Y1 (ko) 2005-03-17 2005-03-17 카본사램프히터
US11/886,356 US8723087B2 (en) 2005-03-17 2005-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type woven carbon fibers and carbon fiber heating lamp using the pipe-type woven carbon fibers
JP2008501796A JP4891983B2 (ja) 2005-03-17 2005-12-30 管状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及び管状炭素繊維織物を用いた炭素繊維加熱ランプ
CN2005800491182A CN101142853B (zh) 2005-03-17 2005-12-30 一种制造管状编织碳纤的方法和一种使用管状编织碳纤的碳纤加热灯
PCT/KR2005/004657 WO2006098548A1 (en) 2005-03-17 2005-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type woven carbon fibers and carbon fiber heating lamp using the pipe-type woven carbon fib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28U KR200385914Y1 (ko) 2005-03-17 2005-03-17 카본사램프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14Y1 true KR200385914Y1 (ko) 2005-06-03

Family

ID=4368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28U KR200385914Y1 (ko) 2005-03-17 2005-03-17 카본사램프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91B1 (ko) * 2007-09-19 2009-03-19 박종덕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91B1 (ko) * 2007-09-19 2009-03-19 박종덕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1983B2 (ja) 管状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及び管状炭素繊維織物を用いた炭素繊維加熱ランプ
JP3114849U (ja) 螺旋状のカーボン・ファイバー編み帯電熱管
EP1619931B1 (en) Carbon heater
RU2006118199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чатой детали с вставкой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металлической матрицей
KR101082317B1 (ko) 리드선으로 발열체가 지지되는 튜브 전구 발열체
KR200385914Y1 (ko) 카본사램프히터
CN101611264A (zh) 家用电器特别是炉灶上使用的紧凑的燃气点燃装置
KR200433696Y1 (ko) 근적외선 발열체
KR100686328B1 (ko) 카본사램프 히터 및 이를 위한 탄소끈관 제조방법
JP2007234566A (ja) ヒーターランプ
KR100686327B1 (ko) 카본사램프 히터 및 이를 위한 탄소끈관 제조방법
CN101083855A (zh) 加热器
KR200341960Y1 (ko) 스프링형 직조 카본사 램프히터
KR200341961Y1 (ko) 다각형 직조 카본사 램프히터
KR200471224Y1 (ko) 탄소히터
JP2004288610A (ja) カーボン糸から織成されたランプヒーター
KR100491646B1 (ko) 직조 카본사 램프히터
KR20040069450A (ko) 카본사 램프
KR100941859B1 (ko) 램프히터의 발열체와 전극연결방법
JP2005322552A (ja) ヒータランプ
KR20040069455A (ko) 이중관 가열램프
KR200358163Y1 (ko) 직조 카본사 램프히터
KR200317485Y1 (ko) 직조 카본사 램프히터
KR100805432B1 (ko) 발열체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2852B1 (ko) 코일형 램프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