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21U -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 Google Patents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21U
KR19980025021U KR2019980006851U KR19980006851U KR19980025021U KR 19980025021 U KR19980025021 U KR 19980025021U KR 2019980006851 U KR2019980006851 U KR 2019980006851U KR 19980006851 U KR19980006851 U KR 19980006851U KR 19980025021 U KR19980025021 U KR 199800250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insulator
heating
electric
electro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섭
Original Assignee
박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섭 filed Critical 박명섭
Priority to KR2019980006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021U/ko
Publication of KR19980025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21U/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발열선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비틀어 꼰 한 조의 발열선(10)과, 상기 발열선(10)의 각 가닥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제 1절연체(12)와, 상기 꼬아진 제 1절연체(12)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제 2절연체(14)와, 상기 제 2절연체(14)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차폐재(16)로 이루어진 것으로, 발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켜 인체에 무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본 고안은 전기침대 등에 사용되는 발열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열량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을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비틀어 꼰 다음에 복수의 절연체 및 차폐재를 피복시켜 전자파의 발생을 차단시킨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에는 항상 전자파가 발생된다. 이러한 전자파는 전기 및 자기의 흐름에서 발생되는 광범위한 영역을 갖는 일종의 에너지파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인의 생활에서 이미 전기의 사용은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고, 이 전기는 편리하고 깨끗한 에너지임은 확실하지만, 전기의 사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얼마나 유해한 지는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들어 이와 같은 각종 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끼치는 유해함에 대하여 많은 연구 및 실험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전자파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1979년 낸시 월트 하이머 박사와 에드리퍼 박사에 의해 최초로 이루어졌다. 계속된 연구의 성과로 전자파의 몇가지 종류의 특정 암과의 관계가 밝혀지게 되었으며, 이에 힘입어 지금은 모든 종류의 암과 전자파와의 상관관게가 연구중이다.
이러한 연구는 주로 동물 또는 동물의 세포조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건강한 세포라고 할 지라도 장시간동안 전자파에 노출되게 되면, 정상적인 생체기능에 이상이 올 수가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단 암의 발병요인 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학습능력 저하 및 신경쇠약 등 여러 가지의 정신적인 질환의 원인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현대사회에서 전자파가 유발하는 피해는 작게는 수면장애에서부터 크게는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무서운 병들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전기·전자제품들은 인류의 생활을 윤택하고 풍요롭게 해주지만, 그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전자파는 우리의 인체에 계속적으로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전자파 공해라는 새로운 용어가 생겨나게 되고, 더욱이 전자파는 대기, 토양 및 수질오염과 더불어 제 4의 공해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파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자파는 주파수에 따라 0Hz인 직류부터 1022Hz인 감마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을 갖는 일종의 전자기 에너지로서 빛의 속도와 같이 초당 30만km의 속도로 진행한다. 이러한 주파수는 초당 사이클의 수를 나타내며, 단위로는 Hz를 사용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은 60Hz로서 초당 60회의 (+)극과 (-)극의 극성이 바뀌며 공기중에 전파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의 형태는 전계를 나타내는 E와 자계를 나타내는 H가 직각을 이루면서 다른 직각방향으로 진행한다. 파장은 전자파의 최대값에서 다음 최대값까지의 거리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구도 실제로는 초당 60회의 극성이 바뀌면서 강해졌다 약해졌다 하지만 사람의 망막에 생기는 잔상에 의해 빛의 강약을 느끼지 못하는 것 뿐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및 미국 등에서는 60Hz의 전력을 사용하지만 유럽 등지에서는 50Hz의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파는 주파수 뿐만 아니라 세기 및 파형 등에 따라 무한한 종류와 형태를 갖고 있으며,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며 전자파가 갖는 에너지는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레인지는 2,450MHz의 에너지가 높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에 가하면 음식에 포함된 물분자를 가열시켜 음식물을 뜨겁게 한다. 또한 휴대폰도 800~900M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므로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가 뇌속으로 전파되어 세포의 온도를 높임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광선도 일종의 전자파로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 등으로 분류되며, 이중에는 자외선의 파장이 가장 짧아 에너지가 가장 강하여 피부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류부터 자외선까지를 비전리 전자파라고 부르고 자외선보다 파장이 더 짧은 X선 및 감마선을 전리 방사선이라고 부른다. 이 방사선은 매우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어 인체를 투과하여 세포의 분자에 이상을 일으켜 유전인자에 이상을 가져 올 수도 있다.
전기장(전계)와 자기장(자계)은 자연이나 모든 생물체에서 발생하며 중력과 같은 자연의 기본적인 힘중의 하나이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분자들이나 모든 생명체 또는 무생물도 전계를 갖고 있으며, 우리의 신경계내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도 전계와 자계를 발생시킨다.
발전소, 건물내의 전선, 그리고 플러그가 꽃혀 있는 모든 전기제품은 전원 주파수인 60Hz의 전계 및 자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60Hz 전자계의 강도는 전계 측정기나 자계 측정기(Gauss Meter)라 불리는 특수한 기기로 측정할 수 있다. 전자계의 단위는 Meter 당 Volt, 즉 V/M 이다. 전계의 세기가 클 때는 더 큰 단위로 Meter 당 수천 Volt, Meter 당 Kilo-Volt(KV/M)를 사용한다. 자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Gauss와 Tesla가 있다. 가우스(G)는 상당히 큰 단위여서 대개는 1G의 1/1,000인 mG를 많이 사용하며, 테슬라(T) 또한 10,000G에 해당하는 매우 큰 단위여서 1T의 1/1,000,000 인 μT도 많이 사용한다.
전계나 자계는 모두 전하에 의해서 형성된다. 양전하(Proton)와 음전하(Electron)는 자연이나 모든 전기적인 것들에 존재하며 양전하와 음전하는 서로 끌어당긴다. 두 개의 양전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며, 두 개의 음전하도 두 개의 양전하와 같이 서로 밀어낸다. 전하들은 음입자이며 하나의 원자내에 많은 전자들이 있다.
모든 전하들은 전계라 불리는 것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각각의 전하는 전계에 의한 힘을 받는다. 어떤 물체의 총 전하는 물체의 전압을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물체의 전압이 높을수록 더 많은 전하를 운반한다. 각각의 전하는 자신의 전계를 형성하고 이러한 각각의 모든 장들이 더해져서 하나의 장처럼 행동한다. 높은 전압에 있는 물체가 더 많은 전하를 운반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의 물체가 더 강한 전계를 형성한다.
한편, 전하가 움직일 때, 즉 전류가 흐를 때, 전하들은 각기 서로에게 힘을 가한다. 이 힘은 자계를 형성하며 공간을 통해 작용한다. 자계는 움직이는 전하가 그들의 움직임때문에 다른 움직이는 전하에 가하는 힘을 말하며 움직이지 않는 전하에 의해서는 생성되지 않는다.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전하군을 전류라 하며, 움직이는 전하가 많을수록 더 큰 전류를 형성하고, 그 크기는 암페어(A)로 나타낸다. 모든 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키며, 더 큰 전류는 더 강한 자계를 형성한다. 자계는 움직이는 전하, 즉 전류에 대해서만 힘을 가하며 정지해 있는 전하에 대해서는 힘을 가하지 않는다.
전계 및 자계의 세기는 촛불이나 난로로부터 멀어지면 빛이나 열이 약해지는 것처럼 전자파도 발생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급격히 약해진다. 예를 들어, 전기면도기에서 발생된 3,500mG의 자계가 15, 30, 45, 60, 90cm 떨어진 곳에서는 각각 150, 22, 6.7, 2.6, 1.5mG로 급속히 감소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KV 고압선로, 전기담요, 전기면도기, 토스터, 배전선로 및 거실 등에서의 60Hz 전계 및 자계의 세기는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처럼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계강도는 전자파 발생원의 전압에 의해 결정되므로 고압선로는 저압선로에 비해 더 강한 전계를 발생시키지만, 인체내의 전계강도는 발생원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면도기가 고압선로보다 오히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은 전하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계는 발생되지 않지만 전계는 발생된다. 그러므로 토스터나 전기담요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으면 전계가 발생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콘센트 플러그가 세 개이거나 두 개의 경우 한쪽이 길고 다른 쪽이 짧은 플러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원스위치를 끌 경우에 콘센트에 코드가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기제품에서 전계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처럼 플러그 두 개의 길이가 같을 때에는 전원스위치를 끄더라도 100V선은 그대로 있고 접지선이 끊어지기 때문에 전계가 발생될 수 있다.
자계의 강도는 전자파 발생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같은 고압선로라 하더라도 전력수요가 많아 많은 전류가 흐를 때 자계강도가 증가한다. 대체로 주택가에 있는 송전선로에는 전등을 켜는 초저녁이나 날씨가 무더워 에어컨을 많이 사용하는 날 전류가 증가하여 자계강도가 증가한다.
대전력을 사용하는 전기제품 모두가 강한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대전력용 변압기나 모터 같은 기기는 전계 및 자계가 기기내에서만 발생하도록 설계가 되어 기기 외부에서의 전계 및 자계강도는 악한 반면, 전력 소비량이 매우 작은 전기시계의 경우에는 상단히 강한 자계가 모터로부터 외부로 누출된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곳을 생각해보면 보통 2∼3곳이고, 이중에 특히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침실일 것이다. 생활의 편리성을 찾는 요즘 사람들의 경우에는 침실에서 히터, 전기담요 또는 전기침대 등을 사용하여 추위를 피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히터, 전기담요 또는 전기침대가 오래되면 고압선로 정도의 강한 자계를 만들어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만약 상기 전기제품들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잠자리에 들기전에 미리 온도를 높인 후에 자기전에 전원을 끄고 플러그도 미리 뽑을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전기침대 등에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열이 사용되어지며, 상기 전열은 발생하는 방법에 따라 대별하여 저항발열, 아크발열, 유도가열 또는 유전가열이 있다. 저항발열은 열전기와 같이 저항체에 전류를 통하면 열을 발생하는 줄열(Joule Heat)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다리미나 히터와 같은 가정용 전기기구, 전기로, 저항 용접기 등에 사용되고, 아크발열은 두 전극간에 전압을 가해서 방전했을 경우 발생되는 아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아크 용접기나 아크로 등에 사용되며, 유도가열은 교번 자게에 도전성의 물체를 놓으면 전자 유도에 의해서 도전체에 와전류손이나 히스테리시스손이 발생하고, 이때 생기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유도로나 열처리 등에 사용되며, 유전가열은 유전체(절연체)를 고주파 전계에 놓으면 줄열과는 다른 유전체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목재의 가열 성형이나 건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열을 발생하는 전열재료로는 발열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발열체에는 금속 발열체와 비금속 발열체가 있다. 발열체는 융점이 높고, 고온에서 잘 견디며, 내부식성이 뛰어나고, 고유저항이 적당한 값을 가지며, 저항의 온도계수가 (+)로 작고, 가공이 용이하며, 원료가 저렴하고도 풍부해야 한다는 것이 필요하다.
금속 발열체에는 대부분이 니크롬선이나 철크롬선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니크롬선은 1,100℃내외의 고온에 견딜 수가 있으며, 철크롬선은 가격이 저렴해서 니크롬선 대신에 사용한다. 이밖에 철, 니켈, 백금, 텅스텐, 몰리브덴 등이 특수한 용도에 사용된다.
비금속 발열체는 카보런덤(Carborundum; 탄화수소) 발열체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1,400℃정도의 고온에 견딜 수 있으므로 1,100℃이상의 고온에 많이 사용된다. 성분은 탄화규소(SiC)를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탄소와 규소의 혼합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의 고유저항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가동이 어렵고 여리기 때문에 단자의 설치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이밖에 탄소 발열체는 탄소의 분말에 점결제를 가하여 막대모양 또는 대롱모양으로 만들어 구운 제품으로 1,000∼3,000℃에 사용되지만, 밀폐하지 않으면 증발과 산화가 심하다.
또한, 발열선은 선 또는 띠 모양의 것이 사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이 가스나 액체에 의해 부식하게 될 때, 또는 액체에 전류를 통하지 않고 액체를 가열하고자 할 때에는 저항선을 운모로 절연하고 금속관에 넣은 스페이스 히터(Space Heater)나 저항선(1)을 석회,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2) 등의 분말로 절연하여 금속관(3)에 넣은 시드선(Sheath Wire)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발열선에는 별도의 접지가 없으므로 전원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열선에서 전계파가 발생되고, 발열선에 전류가 흐르면 발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여 자계파가 발생되므로 상기 발열선을 사용하는 전기제품에서 전자파가 발생되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발열선에는 별도의 접지가 없어 전원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열선에서 전계파가 발생되고, 발열선에 전류가 흐르면 발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여 자계파가 발생되므로, 상기 발열선을 사용하는 모든 전기·전자제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는 인체에 상당히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종의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발열선을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비틀어 꼰 후에 복수의 절연체 및 차폐재를 피복함으로써, 발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켜 인체에 무해하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파의 발생형태 및 진행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각종 전기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자계가 인체내에 미치는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종래에 발열체로 사용되는 시드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자계의 세기를 구하기 위한 암페어의 주회법칙을 적용한 적분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저항선 2: 산화 마그네슘
3: 금속판 10: 발열선
12: 제 1절연체 14: 제 2절연체
16: 차폐재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선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비틀어 꼰 한 조의 발열선과, 상기 발열선의 각 가닥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제 1절연체와, 상기 꼬아진 제 1절연체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제 2절연체와, 상기 제 2절연체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차폐재로 이루어진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단면도이다.
발열선(10)은 2가닥이 한 조(組)로 된 것으로, 소정의 방향(예를 들면, 왼쪽) 및 각도(예를 들면, 180°)로 비틀린 꼬임쌍(雙)으로 되어 있다. 이는 단면이 작은 두 개의 절연도체를 서로 꼬아 구성한 케이블로, 이러한 두 개의 도체는 전체가 절연되며 따라서 코드와 같이 된다. 또한, 이 두 개의 도체선을 꼬아 합하여 한 쌍으로 함으로써, 잡음 및 전자파에 강한 배선재료가 된다.
제 1절연체(12)는 상기 발열선(10)의 각 가닥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것으로, 주로 테프론(Teflon)이 적용되고, 테프론은 삼플루오르화 에틸렌을 중합시켜 만들어진 열가소성 수지로서 내약품성, 특히 플루오르산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열이나 방사선에 대해서도 강하여 고주파 절연물로서 우수한 재질이다.
통상의 경우 제1절연체(12)로서 실리콘수지(Silicon Resin)가 사용되는데 그 실리콘수지는 열을 장시간 받을 때 열에 의해 그 조직이 손상을 입어 부서지기 쉬운 취성을 갖는데 반하여 테프론의 경우 열에 강하므로 그런 염려가 없다.
제 2절연체(14)는 상기 꼬아진 제 1절연체(12)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것으로, 주로 실리콘 수지(Silicon Resin)가 적용되고, 실리콘 수지는 3차원 중합체로 유기 규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열경화성이고 절연 바니시나 적층판 등에 사용되며, 내수성,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재질이다.
차폐재(16)는 상기 제 2절연체(14)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것으로, 주로 동편조(銅編組) 또는 알루미늄 호일 등이 적용된다. 동편조는 전선이나 케이블의 바깥쪽에 절연물을 설치한 편조선으로 구성된 튜브도체로, 외부의 잡음을 차폐하는 것이다. 또한, 알루이늄 호일의 경우에도 발생된 전계를 흡수하여 전류로 변환시킨 후에 접지로 바이패스(By-pass)시키는 것이다. 상기 차폐재(16)에는 접지선이나 별도의 접지판 또는 프레임 접지 등에 접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5에서 한 쌍의 발열선(10)은 제 1절연체(12)로 피복된 후에 서로 왼쪽방향으로 비틀려 꼬인 상태를 갖고 있다. 비틀림방향은 약 180°이상의 각도로서 발열선(10)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방향이 서로 상쇄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암페어의 주회법칙(Ampere's Circuital Law)에 따른 것으로, 한 가닥의 발열선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90°각도로 자계가 발생되고, 이는 다른 가닥의 발열선도 동일한 자계가 발생되므로, 이 두 가닥에서 발생되는 자계는 서로 맞부딪쳐 상쇄된다. 이는 두 가닥의 발열선이 비틀려 꼬인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발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계를 구하는 것은 암페어의 주회법칙이고, 이 법칙은 미소 전류소에 대한 미소 자계를 구하는 비오-사바르의 법칙(Bio-savart's Law)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즉, 암페어의 주회법칙은 한 폐곡선에 대한 H(자계의 세기)의 적분선은 그 경로로 둘러싸인 전류와 같다. 여기서 전류의 방향이선적분으로 해가는 폐곡선방향으로 오른나사를 돌릴 때 나사가 진행하는 방향과 일치되는 전류의 부호는 양이 되고, 반대인 전류는 음이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류(교류전류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타나므로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직류전류를 사용한다.) I가 흐르는 원형도선에 대하여 폐곡선 a, b에 대한 H의 선적분은 I로 되나, 도체를 관통하고 있는 폐곡선 c에 대한 H의 선적분은 I보다 작게되고, 정확히 곡선 c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류와 같게 된다. 이때, 곡선 a, b에 대한 선적분은 같지만 피적분함수는 물론 다르게 된다. 이 적분을 계산하기 위해서 적분로상의 한 점에 대하여 H의 적분로방향성분과 그 점의 미소증분의 길이를 곱하고 그 다음 증분에 대하여는 같은 과정을 되풀이하여 적분로를 일주할 때까지 더해가면 된다.
가우스(Gauss) 법칙을 적용하면 폐곡면내의 전 전하량을 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암페어의 법칙을 적용하면 어떤 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전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절연체(12)에는 제 2절연체(14)가 소정의 두게로 피복되어 있어 2중의 절연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는 제 1절연체(12)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미소 자계를 다시 절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 2절연체(14)의 위에 동편조 또는 알루미늄 호일인 차폐재(16)가 피복되어 있어 제 1 및 제 2절연체(12, 14)를 투과한 미소 전계를 접지판이나 접지프레임 등에 접지시킴으로써 완벽하게 전자파의 발생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구조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는 제 1절연체로 피복된 한 쌍의 발열선을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비틀어 꼰 후에 제 2절연체를 피복하고, 제 2절연체의 외주에는 차폐재를 피복시켜 발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 및 차폐시킴으로써, 발열선이 이용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이 인체에 가해질 수 있는 전자파에 대한 불안감의 해소로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발열선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 및 각도로 비틀어 꼰 한 조의 발열선(10)과,
    상기 발열선(10)의 각 가닥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제 1절연체(12)와,
    상기 꼬아진 제 1절연체(12)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제 2절연체(14)와,
    상기 제 2절연체(14)의 외주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차폐재(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절연체(12)는 테프론 재질이고, 제 2절연체(14)는 실리콘 수지 재질이며, 차폐재(16)는 편조된 동 또는 알루미늄 호일을 선택적으로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KR2019980006851U 1998-04-25 1998-04-25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99800250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851U KR19980025021U (ko) 1998-04-25 1998-04-25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851U KR19980025021U (ko) 1998-04-25 1998-04-25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21U true KR19980025021U (ko) 1998-07-25

Family

ID=6951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851U KR19980025021U (ko) 1998-04-25 1998-04-25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02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896B1 (ko) * 2007-09-10 2008-12-05 박연홍 전자파 소멸기능을 갖는 직수식 온수히터
KR100889391B1 (ko) * 2007-09-19 2009-03-19 박종덕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KR100900193B1 (ko) * 2007-05-04 2009-06-02 (주)한진테크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KR101052589B1 (ko) * 2010-03-05 2011-07-29 김현태 전기 기구용 전기장 및 자기장을 차폐하는 발열선
KR101469062B1 (ko) * 2013-08-22 2014-12-04 이중근 전자파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매트
KR102266518B1 (ko) * 2021-02-09 2021-06-18 (주)진 동파 방지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93B1 (ko) * 2007-05-04 2009-06-02 (주)한진테크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KR100871896B1 (ko) * 2007-09-10 2008-12-05 박연홍 전자파 소멸기능을 갖는 직수식 온수히터
KR100889391B1 (ko) * 2007-09-19 2009-03-19 박종덕 전기 융착용 발열부재 열선 및 그 제조장치
KR101052589B1 (ko) * 2010-03-05 2011-07-29 김현태 전기 기구용 전기장 및 자기장을 차폐하는 발열선
KR101469062B1 (ko) * 2013-08-22 2014-12-04 이중근 전자파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매트
KR102266518B1 (ko) * 2021-02-09 2021-06-18 (주)진 동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5021U (ko) 발열선의 전자파 차폐구조
KR200173219Y1 (ko) 무전자파 발열선의 제조
CN106816226B (zh) 一种温度可控的电场诱导平台
CN102217875A (zh) 防电磁场辐射电热毯
KR200324730Y1 (ko) 매트용 무자계 발열선
KR200300705Y1 (ko) 매트용 무자계 전열선
AU2016337508B2 (en) Low eletromagnetic field electrosurgical cable
US11077296B2 (en) Implant conductor assembly with improved radio frequency properties
KR19980025001U (ko) 전기침대등의 전계파 바이패스 및 감소장치
KR200402147Y1 (ko) 무자계 열선
Ushie et al. Investigation of Field Induced Effect of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in Calabar South, Nigeria
Schmale et al. On the design of human-size MPI drive-field generators using RF Litz wires
Ibrahim et al. Risk assessment of magnetic field pollution in average home
US10443889B2 (en) Super-high-efficiency induction hot water heater
KR200209064Y1 (ko) 카본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자계극감형 전기 발열선
KR200317437Y1 (ko) 전자파 감쇄 발열선
CN102436871A (zh) 一种用于中频电源电流互感器与设备的连接导线
KR100479921B1 (ko) 전자파 감쇄 발열선 및 이 발열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08507226U (zh) 自然空冷大电流中高频利兹线同轴电缆
JP2005044765A (ja) 電線、送電方法及び電気機器
AT9617U1 (de) Strahlungsminderung und energieeinsparung von elektromagnetischen wechselfeldern bei elektrisch betriebenen geräten und anlagen
JP4780632B2 (ja) 電気接続器
KR200317436Y1 (ko) 전자파 감쇄 발열선
Tarao et al. Measurements of magnetic fields and contact currents produced by domestic induction hobs.
KR100880225B1 (ko) 전자파가 제거된 온열전위보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