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38B1 - 마시기 쉬운 음료 병 - Google Patents

마시기 쉬운 음료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38B1
KR100889238B1 KR1020080111549A KR20080111549A KR100889238B1 KR 100889238 B1 KR100889238 B1 KR 100889238B1 KR 1020080111549 A KR1020080111549 A KR 1020080111549A KR 20080111549 A KR20080111549 A KR 20080111549A KR 100889238 B1 KR100889238 B1 KR 100889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liquid
beverage
present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천
Original Assignee
김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천 filed Critical 김동천
Priority to KR102008011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병의 상부에 정류구(整流具)를 구비함으로써 병 내부의 음료를 쉽게 마실 수 있는 음료 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을 개폐하는 뚜껑부(11); 액체가 배출되는 주둥이부(12); 및 상기 액체를 담는 몸통부(13)를 포함하되; 상기 주둥이부(12) 내측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단일 원통체(10)를 마련하여, 상기 원통체(10)의 하부에 경사부(9)를 두고 상기 경사부(9)에 원주 방향으로 등거리로 복수개의 공기구멍(8)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중앙에는 내부통로(7)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둘레에는 외측 방향으로 격막(6)이 구비되고 상기 격막(6)은 상기 원통체(10)와 일체인 구조로 형성된 특징이 있는 정류구(50)가 구비된 음료 병(100)을 제공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가 정류(整流)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음료를 마실 때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음료 병. 페트 병. 액체 용기. 격막.

Description

마시기 쉬운 음료 병 {Beverage bottle easy to drink}
본 발명은 음료 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병의 상부에 정류구(整流具)를 구비함으로써 병 내부의 음료를 쉽게 마실 수 있는 음료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병은 유리나 페트(P.E.T.)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산수, 우유, 쥬스, 액상차, 생수 등의 액체를 담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음료 병의 구조는 대체로 병을 개폐하는 뚜껑부(11)와 음료가 배출되는 주둥이부(12) 및 음료를 담는 몸통부(1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음료 병 중에서 약 300ML∼600ML 용량인 소형 병은 휴대용으로 애용되는 것으로 컵이나 빨대 없이 병으로 직접 음료를 마시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약1.2L∼2L 용량인 대형 병은 덕용으로 음료를 주로 컵에 따라서 마신다.
이 같은 종래의 음료 병은 병을 조심해서 천천히 기울이지 아니하면 음료가 맥류(脈流)로 배출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소형 병이라도 음료를 병으로 직접 마시는 경우에는 사래가 들거나 흘리기 쉽고, 대형 병은 음료를 컵에 따르다가 자칫 주위를 더럽히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을 2가지 살펴보기로 한다.
<선행기술 참고문헌>
[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09-118338호 (1997.05.06)
[문헌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54606호(2003.02.26)
상기한 선행 기술들의 요점은, 병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 하려는 것이다.
상기 문헌1에는 도5에 도시한바와 같이 몸통의 내벽에 흡기관(5)이 설치된 실시예가 있다. 이 실시예는 흡기관(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병의 내부로 깊숙이 유입되므로 대체로 병 속의 액체가 주둥이로 정류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문헌1의 기술과 같이 관상(管狀)인 흡기관(5)은 병을 한번만 기울인 채로 계속하여 액체를 배출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정류 배출에 유리하나, 병을 다발적으로 반복하여 기울이는 경우에는 불리한 구조이다.
그 이유는, 병을 기울이는 초기에는 흡기관(5) 내에 있는 액체가 흡기관(5) 내에서 빠져 나온 이후에야 공기가 제대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병을 수시로 반복하여 기울여서 사용해야 하는 음료 병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병이 지닌 구조의 특성상 몸통의 내측 벽에 흡기관(5)을 설치하는 것은 병의 다량 생산성을 저해하며 미관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상기 문헌2에는 도6에 도시한바와 같이 정류전을 주둥이 내측에 설치한 실시예가 있다. 이 정류전은 그 크기가 주둥이 내측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편이다. 그러므로 상기 문헌1에 의한 기술과는 달리 설치와 관련된 병의 생산성과 미관 상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정류전은 병을 기울일 때 병속의 액체가 공기구에 직접 부딪치게 되는 구조이므로 외부 공기가 병 안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액체의 통로와 공기구가 서로 근접되어 있어서 병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액체의 통로로 말려 들어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병을 반복하여 기울이는 초기에 액체가 주둥이로 트림 현상을 동반하면서 배출하게 되므로 정류로 배출되는 효과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음료 병의 내부 음료를 정류(整流)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정류구가 구비된 음료 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병의 다량 생산과 병의 미관에도 지장이 없는 정류구가 구비된 음료 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을 개폐하는 뚜껑부(11); 액체가 배출되는 주둥이부(12); 및 상기 액체를 담는 몸통부(13)를 포함하되; 상기 주둥이부(12) 내측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단일 원통체(10)를 마련하여, 상기 원통체(10)의 하부에 경사부(9)를 두고 상기 경사부(9)에 원주 방향으로 등거리로 복수개의 공기구멍(8)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중앙에는 내부통로(7)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둘레에는 외측 방향으로 격막(6)이 구비되고 상기 격막(6)은 상기 원통체(10)와 일체인 구조로 형성된 특징이 있는 정류구(50)가 구비된 음료 병(100)을 제공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막(6)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료 병 내부의 음료가 주둥이를 통하여 정류로 배출되므로 음료의 과잉 배출 또는 불규칙한 배출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 병 내부의 음료를 병으로 직접 마실 때 쉽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병 내부의 음료를 컵에 따를 때 쉽게 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병으로 정류구가 장착된 구조도이고, 도2는 본 발명 음료 병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정류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 는 본 발명 정류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바 본 발명의 음료 병(100)은, 뚜껑부(11)와 주둥이부(12) 및 몸통부(13)로 구성된 통상적인 음료 병의 상부에 정류구(50)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정류구(50)는 도3및 도4에 도시한바 상,하부가 개구된 단일 원통체(10)를 마련하여, 상기 원통체(10)의 하부에 경사부(9)를 두고 상기 경사부(9)에 원주방향으로 등거리로 복수개의 공기구멍(8)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중앙에는 내부통로(7)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둘레에는 외측 방향으로 격막(6)이 구비되고 상기 격막(6)은 상기 원통체(10)와 일체인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도2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병의 사용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료를 마시고자 병을 기울이면, 액체인 음료가 몸통부(13)에서 내부통로(7)를 거쳐 주둥이로 배출되고, 동시에 상부에 위치된 공기구멍(8) 으로는 액체의 배출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병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본 음료 병에서는 격막(6)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격막(6)이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공기구멍(8)에 직접 부딪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2에서 외부 공기가 화살표를 따라 공기구멍(8)을 통과하여 병의 내부 액체에 잠입하여 공기 방울로 변화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액체에 잠입된 공기 방울은 병속의 액체와 부딪쳐도 아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격막(6)은 공기구멍(8)에 액체가 직접 부딪치지 않게 함으로써 공기가 병의 내부로 원활하게 연속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격막(6)은 공기구멍(8) 으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통로(7)로 말려드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격막(6)은 실제로 미미한 크기에 불과하지만 큰 역할을 감당한다.
한편, 본 음료 병은 유로가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다. 즉, 공기가 유로에 따른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쉽게 병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공기나 액체의 유로가 복잡하면 기름과 같이 점도가 높은 액체일 경우에는 유로에 기름 찌꺼기나 거품이 끼어 공기 유입에 악영향을 주며 비위생적일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우려도 없다.
이같이 본 음료 병의 구조는 격막(6)이 구비되어 있어서 유로가 단순해도 아무 부작용이 없는 것이다. 즉, 관상인 유로가 형성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액체가 배출되는 량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공기량이 즉각 병 안에 보충되므로, 병 내외의 압력이 속히 같아져서 액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격막(6)을 구성함으로 인하여, 정류구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제작할 수 있어서 병의 미관과 생산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공기와 액체의 유로에 따른 저항을 최대한 피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음료가 보다 정류로 배출되고, 어느 방향에서도 병을 기울일 수 있고, 위생적이고, 외관이 미려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종래 음료 병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병이 흔들리는 상태에서도 평시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행 중이나 주행 중인 차량등...사용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건강을 위한 휴대용 액상 차와 스포츠 음료 병에는 더욱 유용 가치가 있 으며, 연령층으로는 조심성이 떨어지는 청소년들에게 가장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대형 병 음료를 직접 음용하거나 컵에 따를 경우에 어린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현재 통용되는 음료 병의 용량에도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은 원-샷(one-shot)용 맥주 병, 1회에 비교적 소량인 액체를 마시는 소주 병, 가글용 위생 병, 기름병, 샴프 병...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같이 응용할 경우에는 내부 통로와 공기구멍의 크기에 변화를 주면 될 것이다.
이하, 도3및 도4를 참조하여 음료 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음료 병의 실시에는 소형 및 대형 병을 막론하고, 경사부 거리(L2)는 10mm로 하고, 원통체 거리 (L1)는 20mm범위로 하되 병에 따른 주둥이 길이에 따라 가감한다. 공기구멍(8)은 Ø4mm, 공기구멍의 개수는 8개, 내부통로(7)는 Ø12mm, 공기구멍의 중심점에서 격막간의 거리(L3)는 4mm로 한다. 그리고 격막(6)의 외경은 기존 병의 주둥이 내경이 22mm인 경우 21.5mm로 한다. 정류구 부재 두께는 0.3mm∼0.5mm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공기구멍(8):Ø4mm, 공기구멍 개수:8개, 내부통로(7):Ø12mm로 형성한 음료 병은 100ML의 음료를 배출 시키는데 약3.5초가 소요된다. 이 속도는 일반인이 음료를 병으로 마시거나 컵에 따를 때에 지루하거나 흘리지 않을 것으로 본다.
참고로, 본 정류구(50)를 병에 장착하는 것은, 도1에서 보듯이 원통체(10)와 경사부(9)의 경계선을 병목선(X)에 일치되게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같이 장착하면 격막(6)이 병목선(X)에서 10mm의 거리에 위치된다. 이보다 거리가 짧으면 외부 공기가 몸통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단 휴대용인 소형 병은 병목선(X)에서 격막(6)까지의 거리를 7mm정도로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기존 병은 주둥이의 내경은 약22mm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주둥이 내경이 22mm인 것이라도 제조사나 백화된 주둥이...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다.
따라서, 원통체(10)의 상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정류구가 주둥이 입구에 걸리게 하거나, 원통체(10)의 외면에 탄성 돌기를 형성하거나, 원통체(10)를 탄성을 지닌 부채살 형태로 하여, 정류구가 호환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둥이 내경이 약25mm인 병은 주로 대형 생수병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데 이병에는 원통체(10)의 외경을 따로 이 수치에 맞추어 실시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 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의 주둥이를 통하여 외부로 액체가 정류(整流)로 배출되므로, 음료 병에 이용이 가능하며 기타 여러 가지 종류의 액체를 다른 용기에 안전하게 따르는 액체 용기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병으로 정류구가 장착된 구조도.
도2는 본 발명 음료 병의 사용 상태도.
도3은 본 발명 정류구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정류구의 측면 단면도.
도5는 선행기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 09-118338호 인용도
도6은 선행기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54606호 인용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병
11: 뚜껑부
12: 주둥이부
13: 몸통부
50: 정류구 본체
10: 원통체
9: 경사부
8: 공기구멍
7: 내부통로
6: 격막
X: 병목선
L1: 원통체 거리
L2: 경사부 거리
L3: 공기구멍 중심과 격막간의 거리

Claims (2)

  1. 병을 개폐하는 뚜껑부(11);
    액체가 배출되는 주둥이부(12);
    및 상기 액체를 담는 몸통부(13)를 포함하되;
    상기 주둥이부(12) 내측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단일 원통체(10)를 마련하여, 상기 원통체(10)의 하부에 경사부(9)를 두고 상기 경사부(9)에 원주 방향으로 등거리로 복수개의 공기구멍(8)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중앙에는 내부통로(7)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9)의 하단 둘레에는 외측 방향으로 격막(6)이 구비되고 상기 격막(6)은 상기 원통체(10)와 일체인 구조로 형성된 특징이 있는 정류구(50)가 구비된 음료 병(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6)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병.
KR1020080111549A 2008-11-11 2008-11-11 마시기 쉬운 음료 병 KR10088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549A KR100889238B1 (ko) 2008-11-11 2008-11-11 마시기 쉬운 음료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549A KR100889238B1 (ko) 2008-11-11 2008-11-11 마시기 쉬운 음료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238B1 true KR100889238B1 (ko) 2009-03-17

Family

ID=4069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549A KR100889238B1 (ko) 2008-11-11 2008-11-11 마시기 쉬운 음료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49Y1 (ko) 2010-10-22 2011-03-02 유병남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6960U (ko) 1976-09-22 1978-04-21
JPS5346959U (ko) 1976-09-22 1978-04-21
JPH0290259U (ko) * 1988-12-28 1990-07-17
JP2003054606A (ja) 2001-06-07 2003-02-26 Shigeru Yamana 整流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6960U (ko) 1976-09-22 1978-04-21
JPS5346959U (ko) 1976-09-22 1978-04-21
JPH0290259U (ko) * 1988-12-28 1990-07-17
JP2003054606A (ja) 2001-06-07 2003-02-26 Shigeru Yamana 整流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49Y1 (ko) 2010-10-22 2011-03-02 유병남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2754A1 (en) Closure Cap For Using With Containers to Allow Sharing Drinks in a Hygienic Manner
US4699318A (en) Drinking apparatus
CN102970902B (zh) 饮用器皿
US20110233236A1 (en) Continuous, complete, automatic, non-leaking, non-aerating, positive pressure one-piece vent and pouring combination utilizing one direct venting aperture
KR100706426B1 (ko) 병의 스파우트
US8657148B2 (en)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US5845807A (en) Drinking cup with pouring spout
US6360912B1 (en) Straw having valve function
WO2018080749A1 (en) Portable drinking vessel assembly
KR200386819Y1 (ko) 빨대
KR100889238B1 (ko) 마시기 쉬운 음료 병
CN107651312A (zh) 保温瓶
ES2291872T3 (es) Boquilla vertedora para un recipiente que incluye un liquido, recipiente, procedimiento y su utilizacion.
JP5123500B2 (ja) ピッチャー、ピッチャーカバー及びそれらの組合せ
US9848722B1 (en) Container assembly with a lid and the lid thereof that allow for drinking from the side
US20150209706A1 (en) Lid for liquid filtration
JP3201923U (ja) 逆止弁付き飲み口体
US20200352369A1 (en) Cup insert providing volume and flow regulation
US20160340081A1 (en) Container with laminar flow
US10251499B2 (en) Container assembly with a lid and the lid thereof that allow for drinking from the side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CN218484276U (zh) 一种直饮杯
JP3068268U (ja) 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CN215914073U (zh) 一种新型杯盖结构及水杯
US11759037B2 (en) Drinking str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