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49Y1 -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49Y1
KR200452449Y1 KR2020100010854U KR20100010854U KR200452449Y1 KR 200452449 Y1 KR200452449 Y1 KR 200452449Y1 KR 2020100010854 U KR2020100010854 U KR 2020100010854U KR 20100010854 U KR20100010854 U KR 20100010854U KR 200452449 Y1 KR200452449 Y1 KR 200452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auxiliary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남
Original Assignee
유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남 filed Critical 유병남
Priority to KR2020100010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49Y1/ko
Priority to CN2011204056192U priority patent/CN202508383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발울 발생용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공간인 내부 스페이스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스의 상부 부위를 형성하는 제 1 공간; 상기 내부 스페이스에서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 1 공간과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기 용기의 벽체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음료 용기의 둘레 측에 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형성되되 일 측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첨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를 세웠을 때 용기 내 공기가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용기를 바로 세웠을 때 상기 제 2 공간 내 공기가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에 의하면, 음료용기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공기방울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와 음료의 신선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BEVERRAGE CONTAINER FOR FORMING AIR BUBBLES}
본 고안은 공기방울 발생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제 1,2 공간을 형성하되 제 1,2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중 측 부위에는 주입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격벽의 중앙 부위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를 거꾸로 세워 주입공을 통해 제 2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다음 다시 용기를 바로 세웠을 때 제 2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가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제 1공간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관찰자의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할 뿐 아니라 용기 내 음료가 신선해 보이는 느낌을 제공하도록 하는 공기방울 발생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던 것으로, 내부에 마련된 스페이스에 음료를 수용하는 기본적 목적을 가진 상태에서 다양한 재질과 형상, 크기로 제작되어 있는 일상 생활용품 중 하나이다.
오래전에는 금속 내지 목재로 용기를 제작하여 용기 내 음료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제작비용도 비쌌던 것에 반하여 근래 고분자공학의 발달에 힘입어 보다 값싸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그 중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PET 용기는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음료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PET 용기 및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는 재질의 특성상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색상, 음료가 남아 있는 정도(음료량)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나, 다른 기능은 몰라도 시각적인 목적으로서는 단순히 내부의 음료를 투영하는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물론 이러한 수준만으로도 기본적인 용기의 기능은 달성한다고 할 수 있으나 현대 다양한 니즈(needs)를 요구하는 수요자를 만족시키기에는 고전적이면서 단조로운 수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음료 용기는 내부 스페이스에 음료를 가득 채우지 않는바, 다시 말해 외부 온도 변화 또는 용기 개방에 의한 압력 변화로 음료가 급격히 배출되거나 용기가 팽창되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반대로 원활하게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음료를 채우지 않은 상부층에는 일정량의 공기가 포함되어 있고, 국내 실용신안 397038호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와 같이 음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음료 용기 내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음료 용기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공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는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는 도중 또는 음료를 담고 있는 상태에서 보다 색다르고 재밌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음료 용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 용기를 제 1, 2공간으로 구획하고 음료 내 포함된 공기를 매개로 대기압 원리를 응용하여 음료 용기에서 공기방울이 배출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용자에게 색다른 재미와 함께 음료가 신선하게 느껴지도록 하는 기분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 2 공간이 제 1 공간과 분리되거나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제 2 공간에 공기를 채울 수 있는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 2 공간 내에 숯분 및 활성탄 중 어느 하나를 충진하여 공기방울 발생 효과를 지속하거나 극대화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제 2공간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제 2 공간에 숯분 등을 교체 가능하게 형성하거나 공기방울 발생 효과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공간인 내부 스페이스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스의 상부 부위를 형성하는 제 1 공간; 상기 내부 스페이스에서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 1 공간과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기 용기의 벽체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음료 용기의 둘레 측에 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형성되되 일 측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첨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를 세웠을 때 용기 내 공기가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용기를 바로 세웠을 때 상기 제 2 공간 내 공기가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음료 용기의 상부 부분을 차지하는 메인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메인 본체에서 독립된 상태로 메인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 본체에 결합되되, 상기 메인 본체와 보조 본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 본체의 바닥 면에 형성된 메인 격벽과, 상기 보조 본체의 상부 면에 형성된 보조 격벽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메인 본체에 형성된 메인 배출공 및, 상기 보조 본체에 형성된 보조 배출공으로 구분이 되며, 상기 주입공은, 상기 메인 본체에 형성된 메인 주입공 및, 상기 보조 본체에 형성된 보조 주입공으로 구분이 되어,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본체를 회전하여 상기 보조 주입공이 상기 메인 보조공과 일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2 공간은, 숯분 및 활성탄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에 의하면,
1) 음료용기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공기방울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와 음료의 신선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고,
2) 숯분을 함유함으로써 공기방울의 지속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3) 음료 용기를 2 부분으로 탈부착 및 회전 가능하게 분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공기발울 발생 여부를 재미있게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숯분을 교체할 수 있어 공기방울이 지속되는 상태를 보다 오래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용기에서 제 2 공간에 공기를 수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용기에서 공기방울이 발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투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10)는 상부에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 스페이스에 수용된 음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투명 재질의 음료 용기와 같다 할 것이다.
그러나 공지의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내부 스페이스가 하나의 단일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본 고안의 음료 용기(10)는 내부 스페이스를 종 방향(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2개로서 구획한 것에 기본적인 차이를 가진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내부 스페이스는 상부 위치를 차지하는 공간인 제 1 공간(20)과 그 하부에 위치한 제 2 공간(30)이 격벽(4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공간(20)은 내부 스페이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간으로 음료를 수용하는 기본적인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 1 공간(20)에서 음료가 수용되지 않은 잔여 공간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다.
제 2 공간(30)은 제 1 공간과 같이 음료 수용 기능을 가질 수 있으나 본질적인 기능은 제 1 공간(20)의 공기를 받아들여 이 공기를 통해 공기방울을 발생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고유로 생성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제 2 공간(30)은 여러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나, 후술하겠지만 원활한 공기 방울 배출을 위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 즉 상협하광(上狹下廣)하거나 위로 볼록한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구조는 격벽(40)의 형상을 통해 덜성된다.
제 1,2 공간(20,30)을 구획하는 격벽(40)은 기본적으로 제 1,2공간(20,30)을 구획하는 기능을 제공하나, 이에 그치지 않고 내부 스페이스의 하부에 위치한 제 2 공간(30)에서 공기를 수용하거나 공기방울을 발생하게 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즉 격벽(40)은 제 2 공간(30)이 상광하협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단조로이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ㅅ' 형상 또는 돔(dome)과 같이 위로 볼록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격벽(40)이 위로 볼록하거나 상관하협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유는 만일 격벽(40)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 2 공간(30) 내에 음료가 가득히 충진되어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격벽(40)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도 1에서 격벽이 경사지어 형성된 부위를 의미)와 상기 경사부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첨단부(도 1에서 측벽의 상부 꼭대기 부분을 의미)로 이루어져 있다.
경사부에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로 관통 형성된 주입공(60)이 구비되어 있고, 첨단부에는 첨단부의 중앙 부위에 1개로서 관통 형성된 배출공(50)이 구비되어 있다.
주입공(60)은 음료 용기를 뒤집어 놓았을 때 제 1 공간(20) 상부에 존재하던 공기가 제 2 공간(30)으로 주입되도록 하거나 음료 용기(10)를 바로 세웠을 때 제 2 공간(30)으로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통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배출공(50)은 음료 용기를 바로 세웠을 때 제 2 공간(30) 내로 유입된 공기를 제 1 공간(20)으로 공기 방울 형태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에서는 주입공(60)이 2개로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무방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기능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용기에서 제 2 공간에 공기를 수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용기에서 공기방울이 발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음료 용기(10)가 최초 출시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음료용기와 같이 제 1 공간(20) 상측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공간(30) 내에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고(존재한다 하여도 극히 적게 존재) 음료만 존재하는 상태를 취하고 있게 된다.
여기서, 개구를 뚜껑으로 막은 상태에서 음료 용기(10)를 거꾸로 뒤집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보다 가벼운 공기(제 1 공간 상측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부, 즉 제 2 공간(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공기는 주입공(60)을 통해 제 2 공간(30)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음료 용기(10)를 뒤집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제 1 공간(20)에 있던 공기가 제 2 공간(30) 내로 수용되는 것이다.
제 2 공간(30)에 공기가 수용된 다음, 다시 음료 용기를 원 상태로 바로 세우면 대기압 또는 수압에 의하여 주입공(60)을 통해 음료가 유입되고 음료가 제 2공간(30)에 유입되면서 음료보다 가벼운 공기를 제 2 공간(30) 상부 측으로 밀어내면서 제 2 공간(30)에 수용된 공기가 배출공(50)으로 빠져나가는데, 특히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 방울 형식으로 제 1공간(20) 방향으로 배출공(50)을 통해 제 2 공간(30)에서 제 1 공간(20)으로 상승 이동된다.
제 2 공간(30)에 공기가 모두 배출공(50)을 통해 빠져나간 경우 공기방울이 상승되는 현상 역시 종료가 되는바, 만일 다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려면 다시 음료 용기(10)를 거꾸로 뒤집는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음료 용기 내에서 공기방울이 상승하는 시각적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마치 음료 용기가 생동감이 있게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색다른 재미를 부담없이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투시 평면도이다.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제 2 공간(30)이 제 1 공간(20)에서 탈부착 또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3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한 것이다.
즉, 음료 용기가 크게 두 파트로 구분이 되는바, 제 1공간(20)을 구비한 메인 본체(10)와 제 2 공간(30)을 구비한 보조 본체(15)로 구분되어 있으며, 격벽 역시 메인 본체(10)와 보조 본체(15)에 각각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의 격벽은 제 1,2공간(20,30)을 구획하는 의미도 있겠으나 메인 본체(10)와 보조 본체(15)를 별도의 독립체로서 구분하는 역할을 하고 메인 본체(10)의 바닥 면에 구비된 격벽(즉, 메인 본체의 바닥면)을 메인 격벽(41), 보조 본체(15)의 상부 면에 구비된 격벽(즉, 보조 본체의 상부 면)을 보조 격벽(42)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격벽(41)과 보조 격벽(42)에는 각각 주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바, 메인 격벽(41)에 형성된 주입공을 메인 주입공(61)이라 하고, 보조 격벽(42)에 형성된 주입공을 보조 주입공(62)이라 하며, 더불어 메인 격벽(41)에 형성된 배출공을 메인 배출공(51), 보조 격벽(42)에 형성된 배출공을 보조 배출공(52)이라 정의한다.
메인 배출공(51)과 보조 배출공(52)은 메인 격벽(41)과 보조 격벽(42)의 중앙 부위(첨단부)에 서로 일치하게(즉, 수직선을 기준으로 종 방향으로 일치하게) 형성됨으로써 메인 본체(10)와 보조 본체(15)를 결합하였을 경우 상호 메인/보조 배출공(51,52)의 위치가 일치하여 항시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제공하는 것에 반해, 메인 주입공(61)과 보조 주입공(62)은 각각 메인 격벽(41)과 보조 격벽(42)의 둘레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본체(10)에 보조 본체(15)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도 4(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주입공이 막히거나 개방되는 상태를 가질 수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이러한 보조 본체(15)는 메인 본체(10)와 결합이 될 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바, 메인 본체(10)의 둘레 측 하단 및 보조 본체(15)의 둘레 측 상단에는 결합부(70)가 구비된다.
결합부(70)는 메인 본체(10)와 보조 본체(15)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예로 나사산 방식으로 이루어져 회전되면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메인 본체(10)의 결합부와 보조 본체(15)의 결합부가 요철 방식으로 이루어져 요철 결합을 한 다음 보조 본체(17)의 결합부 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이 가능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더불어, 결합부(70)에 의해 음료가 외부로 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결합부(70) 주변에 실링 처리를 하기 위한 패킹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니면 도 4와 달리 보조 본체(15)가 메인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만 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결합부(70)를 매개로 메인 본체(10)에 보조 본체(15)를 결합한 다음 보조 본체(15) 내의 제 2 공간(30)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결합 시에 일정량의 공기가 함유됨)를 메인 배출공(51), 보조 배출공(52)을 통해 제 1공간(즉 메인 본체 측)으로 공기 방울 형태로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주입공(10)과 보조 결합공(15)이 서로 어긋난 위치를 가질 때에는 제 1,2 공간(20,30) 내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메인/보조 배출공(51,52)을 통해 제 2 공간(30)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있다가, 보조 본체(15)를 회전하여 메인 주입공(61)과 보조 주입공(62)을 수직 방향 기준을 따른 위치를 서로 맞출 경우에 비로소 메인 주입공(61)과 보조 주입공(62)으로 음료가 주입되어 주입 압력에 의해 제 2 공간(30) 내의 공기를 메인 배출공(51)과 보조 배출공(52)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보조 본체(15)의 제 2 공간(20)에 공기가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음료 용기(메인 본체와 보조 본체)를 뒤집거나 보조 본체(15)를 메인 본체(10)에서 분리하여 제 2 공간(30)에 공기를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보조 본체(15)를 메인 본체(10)에서 회전을 하면서 공기방울을 배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색다른 시각적 재미를 사용자에게 선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공간(여기서, 제 2 공간은 도 1 내지 3에서의 제 2 공간을 포함)에는 숯분(80)(숯가루 내지 숯 분말, 일정 알갱이 사이즈를 가진 숯을 의미)내지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숯은 흡착 기능에 의해 악취 제거는 물론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기능 이외에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고유의 재질 특성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주변의 음료에 흡착함으로써 자체적으로 공기 방울을 만들거나 주입공(60)으로 유입된 음료에 의한 압력에 의해 공기가 배출공(50)으로 밀려나가는 현상을 약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활성탄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 2공간(30)에 일정량의 숯분(80) 및 활성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하여 공기방울이 상승되는 시간을 일정 부분 지연시킴으로써 공기방울이 발생되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현상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숯분 또는 활성탄의 본래 기능이 소실되었을 때 보조 본체(15)를 메인 본체(10)와 분리시켜 보조 주입공(62)을 통해 새로운 활성탄 등을 주입하는 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용 용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음료 용기(메인 본체) 52: 보조 배출공
15: 보조 본체 60: 주입공
20: 제 1공간 61: 메인 주입공
30: 제 2 공간 62: 보조 주입공
40: 격벽 70: 결합부
41: 메인 격벽 80: 숯분
42: 보조 격벽 50: 배출공

Claims (5)

  1. 음료를 수용하는 공간인 내부 스페이스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스의 상부 부위를 형성하는 제 1 공간;
    상기 내부 스페이스에서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 1 공간과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기 용기의 벽체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음료 용기의 둘레 측에 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형성되되 일 측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첨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를 세웠을 때 용기 내 공기가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용기를 바로 세웠을 때 상기 제 2 공간 내 공기가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한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음료 용기의 상부 부분을 차지하는 메인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메인 본체에서 독립된 상태로 메인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 본체에 결합되되,
    상기 메인 본체와 보조 본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 본체의 바닥 면에 형성된 메인 격벽과, 상기 보조 본체의 상부 면에 형성된 보조 격벽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메인 본체에 형성된 메인 배출공 및, 상기 보조 본체에 형성된 보조 배출공으로 구분이 되며,
    상기 주입공은,
    상기 메인 본체에 형성된 메인 주입공 및, 상기 보조 본체에 형성된 보조 주입공으로 구분이 되어,
    상기 보조 본체가 상기 메인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본체를 회전하여 상기 보조 주입공이 상기 메인 보조공과 일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은,
    숯분 및 활성탄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패킹이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KR2020100010854U 2010-10-22 2010-10-22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KR200452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54U KR200452449Y1 (ko) 2010-10-22 2010-10-22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CN2011204056192U CN202508383U (zh) 2010-10-22 2011-10-21 产生气泡的饮料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54U KR200452449Y1 (ko) 2010-10-22 2010-10-22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449Y1 true KR200452449Y1 (ko) 2011-03-02

Family

ID=4424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54U KR200452449Y1 (ko) 2010-10-22 2010-10-22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2449Y1 (ko)
CN (1) CN20250838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409B2 (en) * 2016-12-28 2020-05-05 Koa Glas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38B1 (ko) 2008-11-11 2009-03-17 김동천 마시기 쉬운 음료 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38B1 (ko) 2008-11-11 2009-03-17 김동천 마시기 쉬운 음료 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508383U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34284U (zh) 滴漏咖啡制造机
US20140124513A1 (en) Floating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CA2815314C (en)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EP2059452A1 (en) Drinking system
JP2015504823A (ja) 小出しクロージャ
CN103201196A (zh) 饮料喷射的控制装置和容器结构及其饮料喷射的控制方法
GB2501389A (en) Drinks bottle with two separate chambers and dispensing outlets
KR200452449Y1 (ko) 공기방울 발생용 음료 용기
JP2018532659A (ja) 泡噴出チューブ容器
CN203775896U (zh) 一种宠物漏食球
US5749799A (en) Lava-producing playball
CN207389497U (zh) 一种防翻救生筏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RU201612725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ных занятий в воде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CN201005525Y (zh) 改进的咖啡机起泡机构
KR100916806B1 (ko)
CN211408771U (zh) 一种可控制流出量的调味料瓶盖
KR20190000434U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장식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RU94425U1 (ru) Воронкообразный элемент емкости-игрушки для питья
CN208248866U (zh) 多功能儿童沐浴用品包装瓶
TWM522939U (zh) 飲水架
WO2007015685A1 (en) The device for controlling of drinks mixing
KR200342178Y1 (ko) 맥반석 용기가 내장된 생수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