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78B1 - 가열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78B1
KR100889078B1 KR1020070039781A KR20070039781A KR100889078B1 KR 100889078 B1 KR100889078 B1 KR 100889078B1 KR 1020070039781 A KR1020070039781 A KR 1020070039781A KR 20070039781 A KR20070039781 A KR 20070039781A KR 100889078 B1 KR100889078 B1 KR 10088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it
top plate
heating
shee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392A (ko
Inventor
최무연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가열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제공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안착되는 케이싱을 가지는 가열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가열부는 와이어 형상의 열선을 가지고, 상기 열선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열 유닛, 탄성 지지부

Description

가열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가열 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가열 유닛의 하측에 탄성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탑 플레이트 20 : 베이스
30 : 가열 유닛 40 : 안착 가이드부
50 : 탄성 지지부
본 실시예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기기는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가열조리기기의 종류로서는, 탑 플레이트에 조리용기가 올려져 상기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가열원의 열이 조리용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쿡탑(Cook top) 또는 홉(hob)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가열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놓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되는 다수 개의 가열 유닛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는 가열 유닛을 구성하는 가열원로서 열선이 사용되며, 상기 열선이 탑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열선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 유닛이 탄성 지지부에 의해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제공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안착되는 케이싱을 가지는 가열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가열부는 와이어 형상의 열선을 가지고, 상기 열선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실시예의 가열조리기기는 조리 용기가 놓이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을 가지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놓이며, 와이어 형상의 열선을 가지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가 안착되고, 상면은 상기 제 2 면에 밀착되며, 높이는 상기 가열부의 높이보다 큰 케이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하기되는 설명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실시예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기(1)는, 상측에 조리 용기(5)가 놓이는 탑 플레이트(10)와, 상기 탑 플레이트(10)의 하측에 놓여 외형을 형성하는 베이스(20)와, 상기 탑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30)과, 상기 가열 유닛(30)의 하측에 체결되는 안착 가이드부(40)와, 상기 안착 가이드부(40)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 가이드부(40) 및 가열 유닛(3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탑 플레이트(10)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 용기(5)가 놓이는 제 1 면(11)과, 상기 제 1 면(11)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 유닛(30)의 상측이 접하는 제 2 면(1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11)에는 상기 가열 유닛(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조리용기(5)가 놓이는 영역인 조리 영역(미도시)이 표시된다.
상기 가열 유닛(30)은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유닛(30)의 테두리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50)에 의해서 상기 탑 플레이트(10)의 제 2 면(12)에 밀착되어 기밀된다.
이 때, 상기 탄성 지지부(50)의 탄성력은 상기 가열 유닛(30)을 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50)는 상기 가열 유닛(30)이 상기 탑 플레이트(1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탑 플레이트(10)와 상기 가열 유닛(3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보존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탑 플레이트(1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기밀 수단, 일 례로 접착제 등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탄성 지지부(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가열 유닛(30)의 테두리부와 상기 탑 플레이트(10)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에에 의하면 별도의 기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가열 유닛(30)과 상기 탑 플레이트(10)를 기밀시키는 과정이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 수단으로서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가열 유닛(30)의 교체 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탄성 지지부(50)를 분리하면 되므로, 작업이 간단해지는 장점을 더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50)가 결합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50)는 체결 부재(24)에 의해서 상기 결합부(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 유닛(30)은 상기 탄성 지지부(50)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지지부(50)는 상기 가열 유닛(3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 가이드부(40)는 상기 탄성 지지부(50)와 동일한 수로 구비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열 유닛(3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가열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 유닛(30)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에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다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유닛(30)은, 발열하는 가열부(120)와, 상기 가열부(120)가 놓이는 케이싱(11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싱(11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120)가 놓이는 저면(112)과, 상기 저면(112)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114)와, 상기 둘레부(114)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부(116)가 포함된다.
상기 둘레부(114)는 상기 가열부(120)가 상기 저면(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120)의 상측이 상기 탑 플레이트(10)에 접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후술할 히터가 상기 탑 플레이트(50)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16)는 상기 가열 유닛(30)이 상기 탄성 지지부(50)에 의해서 지지됨에 따라 상기 탑 플레이트(1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열 유 닛(30)과 상기 탑 플레이트(10)의 기밀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폭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부(12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112)에 리벳(140)에 의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120)는, 발열하는 히터(130)와, 상기 히터(130)가 결합되는 제 1 시트(122)와, 상기 제 1 시트(122)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112) 상측에 안착되는 제 2 시트(12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각 시트(122, 124)는 상기 히터(1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케이싱(11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절연체임이 바람직하다. 일 례로, 상기 각 시트(122, 124)로는 내화성이 강하고, 부도체인 운모(mica)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시트(124)는,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112)과 대응되는 형상 즉,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시트(122)는 상기 제 2 시트(124)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히터(130)가 결합되기 위한 다수 개의 결합홈(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결합홈(123)은 상기 제 1 시트(122)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히터(130)는 와이어 형상의 열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시트(122)의 결합홈(123)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제 1 시트(122)에 전체적으로 감긴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130)로서 와이어 형상의 열선이 사용됨에 따라 상기 가 열 유닛(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베이스(20)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되고, 무게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30)가 상기 제 1 시트(122)에 안정적으로 감기기 위하여 상기 히터(130)는 상기 제 1 시트(122)의 상하에 동시에 둘러지면서 상기 결합홈(123)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시트(122)에 상기 히터(130)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시트(122)는 상기 제 2 시트(122)와 상기 리벳(140)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 1 시트(122)의 하측에 상기 제 2 시트(124)가 더 제공되므로, 상기 제 1 시트(122)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히터(130)는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112) 상측과 직접 접하지 않게 되어 상기 히터(13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히터(130)는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1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시트(124)가 추가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 1 시트(122) 및 제 2 시트(124)가 상기 리벳(140)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10)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시트(124)의 하측에는 한 쌍의 단자(15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0)에는 상기 단자(150)가 하측으로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150)는 상기 히터(13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히터(1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트(122)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히터(130)가 상기 탑 플 레이트(10)에 접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둘레부(114)의 높이보다 상기 가열부(120)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히터(130)는 와이어 형상의 열선이 사용되므로, 상기 히터(130)가 상기 탑 플레이트(10)와 마찰함에 따라 발생되는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110)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5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안착 가이드부(4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안착 가이드부(40)가 형성되는 것이 설명되나, 상기 안착 가이드부(40)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세히, 상기 안착 가이드부(40)는 상기 밀착부(116)에 결합되는 제 1 단(41)과,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112)에 체결되는 제 2 단(42)과, 상기 제 1 단(41)과 제 2 단(42)을 연결하는 연결부(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41)과 제 2 단(42)은 리벳(43)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4)는 상기 탄성 지지부(5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차를 가진다.
도 4는 상기 가열 유닛의 하측에 탄성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유닛(3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 가이드부(40)에 상기 탄성 지지부(5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가열 유닛(30)의 상측은 상기 탑 플레이트(10)에 밀착되어 기밀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 지지부(50)는 상기 연결부(4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 되는 단차부(52)와, 상기 단차부(52)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다수 회 절곡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4)와, 상기 탄성부(5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0)의 결합부(22)와 결합되는 체결부(5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6)에는 상기 체결 부재(24)가 결합되는 결합홀(5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56)가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고, 상기 단차부(52)가 상기 연결부(44)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가열 유닛(30)은 상기 베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50)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10)의 제 2 면(12)에 밀착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로서 열선이 사용됨에 따라 가열 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베이스 내부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히터가 탑 플레이트와 케이싱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유닛이 탄성 지지부에 의해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기밀됨에 따라 상기 가열 유닛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기밀을 위한 별도의 접착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제공되며, 와이어 형상의 열선이 감기는 제1시트 및 상기 제1시트의 하측에 놓이는 제2시트가 구비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안착되는 케이싱을 가지는 가열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열선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1시트에는, 상기 열선이 감기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조리 용기가 놓이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을 가지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놓이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가 안착되고, 상면은 상기 제 2 면에 밀착되며, 그 상하길이가 상기 가열부의 높이보다 긴 케이싱이 포함되고,
    상기 가열부에는, 와이어 형상의 열선이 감기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가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제 2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싱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8. 삭제
KR1020070039781A 2007-04-24 2007-04-24 가열조리기기 KR10088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781A KR100889078B1 (ko) 2007-04-24 2007-04-24 가열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781A KR100889078B1 (ko) 2007-04-24 2007-04-24 가열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392A KR20080095392A (ko) 2008-10-29
KR100889078B1 true KR100889078B1 (ko) 2009-03-17

Family

ID=4015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781A KR100889078B1 (ko) 2007-04-24 2007-04-24 가열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28B1 (ko) * 2006-05-11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4936A (ja) 2002-07-12 2004-02-12 Harman Pro:Kk ガスこんろのトップ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KR20060014789A (ko) * 2004-08-12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부재의 설치구조
KR100640874B1 (ko) 2004-10-1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KR20060122142A (ko) * 2005-05-25 2006-11-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기 레인지의 발열체 구조물
KR100678669B1 (ko) 2005-06-2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쿡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4936A (ja) 2002-07-12 2004-02-12 Harman Pro:Kk ガスこんろのトップ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KR20060014789A (ko) * 2004-08-12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부재의 설치구조
KR100640874B1 (ko) 2004-10-1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KR20060122142A (ko) * 2005-05-25 2006-11-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기 레인지의 발열체 구조물
KR100678669B1 (ko) 2005-06-2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쿡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392A (ko)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24800B2 (en) Induction hob
KR100686034B1 (ko) 전기 레인지
US7012221B2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US20120160228A1 (en) Cooking appliance
AU2011358892A1 (en) Electric oven and method for servicing same
US6867394B2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KR100889078B1 (ko) 가열조리기기
US9599348B2 (en) Cooktop with deformable hook
KR100767694B1 (ko) 전기 레인지
KR101627817B1 (ko) 전기레인지용 패드
JP5013977B2 (ja) 組込式加熱調理器
KR101916810B1 (ko) 언더 레인지용 불판
JP201205412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004832B1 (ko) 조리기기
EP2728265A1 (en) Induction range having improved durability by reducing heat transmission using an induction heating part
JP6815114B2 (ja) 誘導加熱用調理容器
JP3895311B2 (ja) 加熱調理器
KR101754358B1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CN115211716B (zh) 蒸烤设备
KR102029129B1 (ko) 디지털 전기 프라이팬
CN220119434U (zh) 烹饪器具
CN211984954U (zh) 烹饪器具
CN219306487U (zh) 蒸烤设备
KR102399849B1 (ko) 전기 조리장치
JP5218162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