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39B1 - 항균압착티슈 - Google Patents

항균압착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39B1
KR100889039B1 KR1020080104401A KR20080104401A KR100889039B1 KR 100889039 B1 KR100889039 B1 KR 100889039B1 KR 1020080104401 A KR1020080104401 A KR 1020080104401A KR 20080104401 A KR20080104401 A KR 20080104401A KR 100889039 B1 KR100889039 B1 KR 10088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nonwoven fabric
antimicrobial
press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호
Original Assignee
최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호 filed Critical 최지호
Priority to KR102008010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39B1/ko
Priority to PCT/KR2009/006156 priority patent/WO201004755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3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containing soap or other cleaning ingredients, e.g. impregn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부직포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도포시켜 건조시킨 후 압착시켜 제조함으로써, 티슈표면에 항균/세정액이 고르게 도포될 수 있고, 항균/세정액의 낭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티슈표면에 도포되는 항균/세정액의 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는 항균압착티슈가 개시된다.
압착, 티슈, 항균/세정액, 인쇄, 건조

Description

항균압착티슈{ANTIMICROBIAL COMPRESSED TISSUE}
본 발명은 항균압착티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도포시켜 건조시킨 후, 압착시켜 제조된 항균압착티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착티슈는 주로 원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 원형의 압착티슈는 펄프를 가공해서 부직포를 만든 다음, 이 부직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하나씩 압착프레스에 넣고 압착해서 원형으로 만든것이다.
이러한 압착티슈는 약간의 물을 가하면 부피가 약 20배 정도로 커져서 압착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일반 물티슈와 동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압착티슈의 장점은 완전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필요한 때에 물을 부어 사용하므로 세 균번식이 불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다는 데 있다.
한편, 국내특허공개 제2003-79901에는 상술한 압착티슈에 피부보호, 피부질활치료, 염증억제, 혈액순환, 항균효과, 대사촉진 등의 효과가 있도록 생약성분이 함유된 생약 성분 파우더를 함유한 일회용 압착 건조 티슈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생약 성분 파우더를 함유한 일회용 압착 건조 티슈는 애엽, 사상자, 백지, 명반, 고삼(Sophora flavescens), 감초, 쑥, 행인, 오매육, 율무, 자몽, 유기 게르마늄, 어성초, 홍삼, 죽염, 당귀, 천궁, 박하, 정향, 금은화, 잔피, 고본, 송진, 대추, 용뇌, 화피, 인삼 등의 각종 생약재 중에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생약 고형 파우더가 그 내부에 파우더 형태로 남아 있으며 그리고 펄프 또는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압착 성형하여 소정의 축소된 크기로 만들어져 사용시 소정 양의 액체를 첨가하여 압착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되어 포함된 생약 고형 파우더가 첨가된 액체에 녹아 생약 고유의 기능을 갖는 습식 티슈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펄프 또는 부직포로 만들어지는 티슈의 표면에 생약 고형 파우더를 도포/살포하여 제조하게 되는 데, 도포되는 생약 성분이 가루형태의 고형 파우더이기 때문에 티슈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형 파우더가 티슈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나 양으로 도포되지 못하고 일부분에 뭉쳐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기술은 티슈에 도포되는 생약 성분이 가루형태의 고형 파우더이기 때문에 고형 파우더가 도포된 티슈를 압착할 때 고형 파우더가 날려 먼지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많은량의 고형파우더가 티슈에서 이탈되어 소모되기 때문에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술은 티슈에 도포되는 생약 성분이 가루형태의 고형 파우더이기 때문에 티슈의 표면에 생약 고형 파우더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티슈의 사용처에 맞게 고형 파우더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함량비의 압착티슈를 제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직포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도포시켜 건조시킨 후 압착시켜 제조함으로써, 티슈표면에 항균/세정액이 고르게 도포될 수 있고, 항균/세정액의 낭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티슈표면에 도포되는 항균/세정액의 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는 항균압착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 표면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 표면을 건조시킨 다음, 상기 부직포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겹친 후, 겹쳐진 부직포를 롤형태로 권취시킨 다음, 롤형태로 권취된 부직포를 원형으로 압착시킨 후 진공포장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압착티슈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부직포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도포시켜 건조시킨 후 압착시켜 제조함으로써, 티슈표면에 항균/세정액이 고르게 도포될 수 있고, 항균/세정액의 낭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티슈표면에 도포되는 항균/세정액의 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 및 그 제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는 부직포(1) 표면에 액상의 항균/세정액(2)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 표면을 건조시킨 다음, 상기 부직포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겹친 후, 겹쳐진 부직포를 롤 형태로 권취시킨 다음, 롤형태로 권취된 부직포를 원형으로 압착시킨 후 진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 표면에 도포되는 항균/세정액은 비누액, 샴프액 등 세정을 위한 세정액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항균성분을 함유하여 항균 및 살균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항균액으로 마련될 수 있으면 세정 및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세정액과 항균액이 혼합된 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균액의 항균성분은 공지된 항균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레킷 벤키저사에서 판매하는 데톨(Dettol, 파라클로로메타크실레놀) 성분이나 허브, 목초액, 쑥, 게르마늄, 죽염 등 천연 항균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는 상기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는 수분함유율이 10% 내지 20%가 유지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부직표 표면에 항균/세정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킬 때, 항균/세정액을 완전하게 건조시켜 완전한 파우더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부직포에 소량의 수분이 잔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된 항균/세정액이 소량의 수분이 함유된 파우더 형태로 부직포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부직포에서 항균/세정액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파우더가 날려 먼지가 발생되거나 파우더가 티슈에서 이탈되어 소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는 테이블(10)이 구비되고, 이 테이블 상에는 부직포공급수단(100), 항균/세정액 인쇄수단(200), 건조수단(300), 폴딩수단(400), 커팅수단(500), 권취수단(600), 이송수단(700), 압착수단(800)이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공급수단(100)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하고자 하는 부직포(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부분으로, 공급롤러(110)에 부직포가 권취되어 있는 부직포롤(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직포롤(120)은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부직포를 잡아당기면 풀리도록 설치된다.
상기 항균/세정액 인쇄수단(200)은 상기 부직포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부직포 표면에 항균/세정액을 인쇄하는 부분으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세정액이 저장된 저장조(210)와, 상기 부직포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가 통과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인쇄롤러(220)와 압입롤러(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쇄롤러(220)는 상기 저장조(210)에 장착되어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면에 항균/세정액을 묻혀 부직포(1)에 항균/세정액을 인쇄하도록 구성되고, 압입롤러(230)는 항균/세정액을 부직포에 인쇄할 때 인쇄롤러(220)에 밀착되면서 부직포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압입롤러(23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입롤러(230)는 인쇄롤러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 에 따라서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인쇄롤러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인쇄롤러(220)는 회전축(221)과, 상기 회전축상에 이격되게 장착된 다수의 인쇄롤러부(2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축(221)은 상기 저장조(210)에 장착되어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축상에는 다수개의 인쇄롤러부(222)가 장착되어 회전축(221)이 회전할 때 그 외면에 항균/세정액이 묻어 부직포에 띠형상으로 항균/세정액을 인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21)에 장착되는 인쇄롤러부(222)의 개수를 조절하여 부직포에 인쇄되는 띠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직포(1)에 인쇄되는 띠의 개수에 따라 부직포에 인쇄되는 항균/세정액의 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건조수단(300)은 항균/세정액 인쇄수단을 통과하면서 항균/세정액이 인쇄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부분이다. 여기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수단(300)은 부직포 표면에 인쇄된 항균/세정액을 건조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건조수단이 채용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건조수단(300)은 상기 항균/세정액 인쇄수단의 후측에 설치되고 항균/세정액이 인쇄된 부직포(1)의 표면과 대향되게 온풍배출공(311)이 형성된 건조케이스(310)와, 상기 건조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320)와, 상기 건조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부직포에 온풍을 공급 할 수 있게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온풍배출공(311)을 통해 배출시키는 온풍배출팬(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건조수단에는 온풍배출공(311)을 통해 배출되는 온풍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히터(3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조절기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온풍배출공(311)에서 배출되는 온풍의 온도는 상기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가 수분함유율이 10% 내지 20%가 유지될 수 있도록 건조시킬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딩수단(400)은 상기 건조수단(300)에 의해 건조된 부직포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부직포(1)가 겹쳐지게 하는 부분이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수단(400)은 넓은 면적으로 공급되는 부직포(1)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좁은 면적의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써 후공정인 부직포를 롤형태로 권취시키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폴딩수단(400)은 상기 건조수단에서 건조된 부직포(1)의 진행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폴딩판(410,4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1)가 접히는 부분이 상기 각각의 폴딩판(410,420)의 단부에 닿도록 부직포(1)를 진행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상기 부직포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 폴딩판(410,420)에 의해 양측이 접혀져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폴딩판(410,420)는 지그재그로 마주보게 다수개 설치될 수 있 는 데, 폴딩판이 설치되는 갯수에 따라 부직포(1)가 세로로 접혀지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폴딩판이 n개 설치될 경우 상기 부직포는 접혀지는 부분이 n개가 되어 부직포가 n번 만큼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폴딩판을 통해 부직포를 세로로 지그재그로 접혀지게 하면 부직포를 다수번 접혀지게 하여 후공정인 부직포를 롤형태로 권취시키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접혀진 부직포는 내면는 내면끼리 면접촉되고 외면은 외면끼리 면접촉되고 부직포의 단부가 항상 노출되게 되므로, 압착후 물을 부어 티슈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양손으로 티슈의 양단부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1회에 펼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보다 배가될 수 있다.
상기 커팅수단(500)은 상기 폴딩수단(400)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부직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티슈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수단(500)은 상기 폴딩수단(400)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부직포(1)가 통과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팅롤러(510)와 커팅종동롤러(5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팅수단(500)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예각커터(511)가 장착된 커팅롤러(510)와, 상기 커팅롤러(510)와 연동하여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직각커터(521)가 장착된 커팅종동롤러(520)로 이루어져 상기 폴딩수단(40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부직포(1)를 상기 커팅롤러와 커팅종동롤러의 상호 회전에 의해 상기 컷팅롤러의 예각커터(511)와 상기 컷팅종동롤러의 직각커터(521)가 서로 부딪혀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커팅롤러와 상기 커팅종동롤러에는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에 상기 예각커터 및 상기 직각커터가 삽입되어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예각커터 또는 상기 직각커터를 교환할 경우 교환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수단(400)의 하방에는 상기 커팅수단에서 컷팅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티슈가 자연 낙하됨이 없이 일정속도로 공급되도록 원단을 홀딩(HOLDING)시켜 공급하는 홀딩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커팅수단과 연동하여서 회전되도록 홀딩롤러(531)와, 상기 홀딩롤러(531)와 연동하여서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홀딩종동롤러(532)와, 상기 홀딩종동롤러(532)와 연동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상기 홀딩종동롤러(532)의 상측에 설치된 홀딩종동아이들롤러(542)와, 상기 홀딩종동아이들롤러(542)와 연동하여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홀딩종동아이들롤러(542)의 대향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롤러(531)의 상부에 설치된 홀딩아이들롤러(541)와, 상기 홀딩아이들롤러(541)와 상기 홀딩롤러(531)가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홀딩종동아이들롤러(542)와 상기 홀딩종동롤러(541)가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컷팅된 부직포가 유동됨이 없이 공급되도록 상기 홀딩아이들롤러와 상기 홀딩롤러 그리고 상기 홀딩종동아이들롤러와 상기 홀딩종동롤러을 각각 연결시키는 탄성벨트(551,55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홀딩수단으로 유입된 겹쳐진 티슈는 홀딩수단의 탄성벨트의 사이로 공급된 후 탄성벨트와 접촉에 의해서 일정한 속도로 후술하는 권취수단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직포공급수단(100), 항균/세정액 인쇄수단(200), 폴딩수단(400), 커팅수단(500)의 사이사이에는 부직포(1)가 팽팽하게 이송될 수 있게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안내롤러(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수단(600)은 상기 커팅수단(500)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티슈를 권취시켜 롤형태의 티슈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수단(600)은 일정구간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벨트(610)와, 상기 이송벨트(610)의 전단 하방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송벨트와 사이에 투입틈(611)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투입안내롤러(620)와, 상기 커팅수단(400)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커팅수단과 연동 작동되면서 커팅수단에서 공급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겹쳐진 티슈의 일부분을 가로방향으로 접어 상기 투입틈(611)으로 투입시키는 인서팅판(630)과, 상기 투입안내롤러(620)의 후측에 한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서팅판(630)에 의해 투입된 겹쳐진 티슈의 가로방향 접힘 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송벨트(61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겹쳐진 티슈를 롤형태로 권취시키는 권취롤러(640)와, 상기 이송벨트(610)와의 사이에 이송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벨트(610)의 전단부 하방에 이격설치되고 상면은 요철부(651)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벨트(6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에서 권취된 롤형태의 티슈를 마찰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송공간(S)을 통해 전진 이송시키는 이송안내판(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안내롤러(620) 와, 권취롤러(640)의 사이에는 가이드롤러(6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권취수단의 인서팅판(630)은 상기 커팅수단(500)에 의해 절단된 수량만큼만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팅수단(500)에서 1회전될 경우 상기 권취수단의 인서팅판(630)도 1회 작동되게 구성됨으로써, 커팅로울러에서 절단된 겹쳐진 티슈가 권취수단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에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700)은 상기 권취수단(600)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700)은 상기 권취수단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수단(700)은 상기 권취수단의 하방에 일정구간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벨트(710)와, 상기 벨트의 상면에 규칙적으로 연속되게 홀더(721)가 장착되어 상기 권취수단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가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홀더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의 홀더(721)에는 권취수단(600)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가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700)의 일부구간에는 상기 권취수단(600)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일정수의 단위개수로 정렬시 켜 공급할 수 있도록 단위정렬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위정렬수단은 권취수단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일정수의 단위개수로 정렬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후공정을 스텝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한번에 티슈를 압착하거나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정렬수단은 상기 권취수단(400)의 끝단으로 부터 롤형태의 티슈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정렬시키고자 하는 롤형태의 티슈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홀더(721)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대응되는 홀더(7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되, 후측 전방으로 회전축(731a)이 일체로 결합되어 돌출되도록 구성된 덮개(731)와, 상기 회전축(731a)과 링크(732)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상하 작동되면서 상기 덮개를 홀더에 대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개폐실린더(73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731)가 홀더(721)를 닫으면 상기 권취수단으로 부터 배출되는 롤형태의 티슈가 덮개(731)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홀더(721)를 개구시키면 상기 권취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롤형태의 티슈가 홀더(721)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단위정렬수단은 상기 최후방에 위치한 덮개(731)로부터 전방에 위치한 덮개 순으로 순차적으로 개구되면서 상기 덮개가 설치된 홀더(721)에 롤형태의 티슈를 단위개수로 순차적으로 정렬시킨 후 이송수단(700)을 통해 스텝이송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700)의 일부구간에는 홀더에 수용되어 이송된 롤형태의 티슈를 홀더(721)내에서 회전시켜 롤형태의 티슈가 풀어짐 없이 촘촘하게 보강 권취되게 하는 권취보강수단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단위정렬수단을 통해 단위개수로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이송수단(700)을 통해 스텝이송된 롤형태의 티슈를 홀더내(721)에서 빠르게 회전시켜 티슈가 풀어짐 없이 촘촘하게 보강 권취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보강수단은 양측이 지지대(741)에 의해 가이드되어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설치판(742)과, 상기 설치판(742)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작동되는 모터(743)와, 상기 설치판(7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는 상기 롤형의 티슈의 측면에 끼워지는 포크부(744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스프라켓(744b)이 결합된 회전권취부(744)와, 상기 모터(743)의 축과 상기 스프라켓(744b)을 연결시켜 상기 모터(743)의 회전력을 스프라켓에 전달하는 체인(7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 권취수단은 이송수단을 통해 스텝이송된 롤형태의 티슈에 상기 포크부(744a)가 끼워진 후 모터(74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롤형의 티슈를 홀더(721)내에서 빠르게 회전시켜 보강 권취시키는 것이다.
상기 압착수단(800)은 상기 이송수단(700)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압착하여 원형의 티슈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도9a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은(800)은 상기 이송수단(700)의 후방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700)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가 수용되어 압착되는 압착공(811a)이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관통 형성된 압착틀(811)이 순차적으로 링크 연결되어 일 정구간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압착틀 회전체(810)와, 상기 이송수단(700)에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롤형태의 티슈를 압착하여 원형의 티슈를 형성하는 압착부(8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820)는 상기 압착틀(81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압착부와 압착틀(811)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압착부로 구성되어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삽입된 롤형태의 압착틀의 전후방에서 압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압착부는 양측이 제1전방지지대(821a)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전방실린더(822a)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전방가압판(823a)과, 상기 제1전방가압판(823a)에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대응되는 개수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정렬이송수단 상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티슈를 상기 대응되는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삽입시키고,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삽입된 롤형태의 티슈를 전방에서 압착하는 전방압착봉(824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압착틀의 압착공(811a) 및 상기 전방압착봉(824a)은 상기 단위정렬수단에서 일정수의 단위개수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티슈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압착부는 양측이 제1후방지지대(821b)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후방실린더(822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후방가압판(823b)과, 상기 제1후방가압판(823b)에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대응되는 개수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압착공의 후방으로 삽입된 후 롤형태의 티슈를 후방에서 압착하는 후 방압착봉(824b)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압착부(820)의 후측에는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에 수용되어 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롤형태의 티슈를 재압착하는 제2압착부(83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착부(820)에서 1차 압착된 티슈를 제2압착부(830)를 통해 압착틀(811) 내에서 재압착하여 더욱 단단하게 압착된 원형의 티슈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압착부(830)는 상기 압착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제2압착부와 압착틀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제2압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상기 전방제2압착부는 양측이 제2전방지지대(831a)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전방실린더(832a)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제2전방가압판(833a)과, 상기 제2전방가압판(833a)에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대응되는 개수로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방압착봉(824a)보다 길이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압착공의 전방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전방압착봉(824a)에 의해 압착된 롤형의 티슈를 전방에서 더 강한 힘으로 재압착하는 전방제2압착봉(834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제2압착부는 양측이 제2후방지지대(831b)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후방실린더(832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제2후방가압판(833b)과, 상기 제2후방가압판(833b)에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에 대응되는 개수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압착틀 압착공의 후방으로 삽입된 후 상기 후방압착봉(824b)에 의해 압착된 롤형의 티슈를 후방에서 재압착하는 후방제2압착봉(834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수단의 후방에는 상기 압착수단(800)에 의해 압착된 원형의 티슈를 압착틀(811)에서 배출시켜 수거하는 배출수단(9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압착틀의 압착공(811a)의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압착공(811a)의 전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압착수단에 의해 압착틀의 압착공(811a) 내부에서 압착된 원형의 티슈를 밀어 상기 압착공(811a)의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출봉(9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배출봉(910)은 양측이 지지대(9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배출봉설치판(930)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된 원형의 티슈는 테이블(10)의 일측으로 마련된 콘베이어벨트(930)를 통해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서 부직포공급수단, 항균/세정액 인쇄수단, 건조수단 및 폴딩수단만을 발췌해서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서 부직포공급수단, 항균/세정액 인쇄수단, 건조수단을 발췌해서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서 커팅수단 및 권취수단을 발췌해서 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서 이송수단 및 단위정렬수단을 발췌해서 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에서 권취보강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에서 압착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에서 제2압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에서 배출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17)

  1. 부직포 표면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 표면을 건조시킨 다음, 상기 부직포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겹친 후, 겹쳐진 부직포를 롤형태로 권취시킨 다음, 롤형태로 권취된 부직포를 원형으로 압착시킨 후 진공포장하여 제조되되,
    상기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는 수분함유율이 10% 내지 20%가 유지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압착티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80104401A 2008-10-23 2008-10-23 항균압착티슈 KR10088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01A KR100889039B1 (ko) 2008-10-23 2008-10-23 항균압착티슈
PCT/KR2009/006156 WO2010047558A2 (ko) 2008-10-23 2009-10-23 항균압착티슈 및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01A KR100889039B1 (ko) 2008-10-23 2008-10-23 항균압착티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678A Division KR100911875B1 (ko) 2008-10-23 2009-01-30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039B1 true KR100889039B1 (ko) 2009-03-17

Family

ID=4069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401A KR100889039B1 (ko) 2008-10-23 2008-10-23 항균압착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10B1 (ko) 2009-06-22 2010-01-15 최나래 일회용 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101046478B1 (ko) * 2010-02-12 2011-07-04 이석근 1회용 물티슈 및 그 포장방법
KR101982977B1 (ko) 2018-08-08 2019-05-27 노병철 물티슈 패키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299A (ko) * 2000-04-29 2001-11-08 김종운 세제를 함유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9903A (ko) * 2003-09-26 2003-10-10 조광래 향수성분을 포함하는 압착 티슈 구조
KR20030085653A (ko) * 2002-04-29 2003-11-07 유경진 세정용 살균티슈 페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4782B1 (ko) 2006-11-10 2008-03-19 최완규 기능성 목욕타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299A (ko) * 2000-04-29 2001-11-08 김종운 세제를 함유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5653A (ko) * 2002-04-29 2003-11-07 유경진 세정용 살균티슈 페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9903A (ko) * 2003-09-26 2003-10-10 조광래 향수성분을 포함하는 압착 티슈 구조
KR100814782B1 (ko) 2006-11-10 2008-03-19 최완규 기능성 목욕타월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10B1 (ko) 2009-06-22 2010-01-15 최나래 일회용 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101046478B1 (ko) * 2010-02-12 2011-07-04 이석근 1회용 물티슈 및 그 포장방법
KR101982977B1 (ko) 2018-08-08 2019-05-27 노병철 물티슈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75B1 (ko)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
KR100889039B1 (ko) 항균압착티슈
CA2374648A1 (en) Machine to simultaneously hot-press, print, flock imprint and brush
KR101300834B1 (ko)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447365B1 (ko) 패치 절단 및 포장장치
KR20070099083A (ko) 기능성 마스크 팩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7650172A (zh) 一种基于自动加工技术的中药切片机
WO2010047558A2 (ko) 항균압착티슈 및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78202B1 (ko) 개별 포장형 면봉 제조장치
CN107877567A (zh) 一种根茎类中药加工装置
KR20210064690A (ko) 평탄화된 면구를 성형하기 위한 면구압착성형부를 포함한 면봉제조장치
US3474592A (en) Machine for producing and packaging diapers
CN208248653U (zh) 一种塑料膜包装机
CN111729925A (zh) 一种牛皮纸编织袋资源回收装置
KR200319054Y1 (ko) 롤형 김 제조장치
CN112977920B (zh) 一种用于食品的包装机
CN212073014U (zh) 一种用于卫生巾封边装置
CN209840572U (zh) 一种中药饮片烘干设备
KR102053734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CN207373233U (zh) 一种基于自动加工技术的中药切片机
KR200444795Y1 (ko) 담배 가향가습기
CN207141710U (zh) 一种麦草畏生产用存储装置
CA2949390A1 (en) Semi-automatic rod forming and wrapping apparatus
US1281780A (en) Copying-machine.
KR100846186B1 (ko) 파우더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