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638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638B1
KR100888638B1 KR1020070020721A KR20070020721A KR100888638B1 KR 100888638 B1 KR100888638 B1 KR 100888638B1 KR 1020070020721 A KR1020070020721 A KR 1020070020721A KR 20070020721 A KR20070020721 A KR 20070020721A KR 100888638 B1 KR100888638 B1 KR 10088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793A (ko
Inventor
아츠시 이토
마사유키 카와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원 기판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품위를 저하시키지 않고, 광학 시트와 도광판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하여, 생산원가를 억제하고, 협액틀화를 가능하게 한다. 광원(1)과, 입사한 광원(1)로부터의 빛을 출사하는 출광면(3b)이외의 측면(3a)에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3d)가 형성된 도광판(3)과, 광원(1)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도광판(3)의 돌기부(3d)가 형성된 측면(3a)에 배치된 광원 기판(2)과, 도광판(3)의 출광면측(3b)에 배치되어, 광원 기판(2)측의 측면(5a)에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5b)가 형성된 광학 시트(5)를 구비한다.
광원, 돌기부, 광학 시트, 도광판, 표시장치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기판의 전원공급부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E-E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돌기부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광원 기판의 전원공급부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광학 시트를 적재했을 때의 F-F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 2 : 광원 기판
2a : 광원 기판의 전원공급부 3 : 도광판
3a : 도광판 측면 3b : 출광면
3c : 반 출광면 3d : 도광판의 돌기부
3e : 도광판 돌기부의 오목부
3f : 도광판의 돌기부에 형성된 지지부
4 : 표시 패널 5 : 광학 시트
5a : 광학 시트 측면 5b : 광학 시트의 돌기부
5c : 광학 시트의 돌기부의 윗면
5d : 도광판과 접촉하여 적재되는 광학 시트부의 윗면
6 : 반사 시트 7 : 미들 프레임
7a :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 7b :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의 측면
7c :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의 오목부
7d :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에 형성된 지지부
8 : 점착 시트
본 발명은, 광원 기판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액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로 빛을 이끌기 위해 도광판을 액정 패널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치하고, 도광판의 측면에는,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등의 광원을 배치하고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도광판 내에 있어서 전파시키고, 도광판 내에 설치되는 확산 패턴으로 확산시킴으로써 표시면에 빛을 추출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을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을 배치하고, 도광판의 액정 패널측의 면에는 광학 시트가 배치되며, 도광판의 액정 패널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도광판으로 유효적으로 반사시키도록 반사 시트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의 측면에는 광원을 배치하여, T자 모양 또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된 광원 기판이,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49020호(도 13)
상기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미들 프레임에, 광학 시트와 도광판에 형성된 각각의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액틀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의 액틀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광학 시트와 도광판의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를 작게 설치하면, 충격에 의해 광학 시트와 도광판에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의 액틀을 좁게 하기 위해서, 도광판에 형성된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를 광원측의 측면에만 형성하면, 상기 돌기부와 광원 기판이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광원 기판의 형상을 T자 모양 또는 L자 모양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광원 기판의 잘라내는 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원 기판의 생산 원가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광원 기판을 직선모양으로 형성하면, 전원 공급부 근방에, 광원 기판이 도광판 위에 적재되므로,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가 늘어나게 된다. 또한, 광원 기판에 의해 광학 시트가 휘고, 표시 품위가 저하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광원 기판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품위를 저하시키지 않고, 광학 시트와 도광판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하여, 생산 원가를 억제하고, 협액틀화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출사하는 출광면을 구비하고, 상기 출광면 이외의 측면에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가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돌기부가 형성된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광원 기판과, 상기 도광판의 출광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기판측의 측면에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가 형성된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용가능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이하의 기재는, 적절히, 생략 및 간략화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이하의 실시예의 각 요소를, 본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용이하게 변경, 추가, 변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원 기판의 전원 공급부 근방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E-E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돌기부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도 4에 있어서, LED등을 사용한 복수의 광원(1)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광원 기판(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전원 공급부(2a)를 가지고 도광판(3)의 측면(3a)의 근방에 배치되고, 광원(1)으로부터의 빛은 도광판(3)의 측면(3a)으로부터 입사하여, 도광판(3)의 출광면(3b)(여기에서, 출광면이라 함은 도광판(3)에 있어서의 지면 위쪽의 면을 말한다)으로부터 출사된다. 도광판(3)의 출광면(3b)측에는, 광원(1)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켜 표시 패널(4)을 균일하게 조사하기 위한 확산 시트나, 광원(1)으로부터의 빛의 각도를 변화시켜 표시 패널(4)의 표시면(4a)에 있어서의 정면방향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 시트 등의 광학 시트(5)가 설치되고, 도광판(3)의 반 출광면(3c)(여기에서, 반 출광면이라 함은 도광판(3)에 있어서의 지면 아래쪽의 면을 말한다)측에는, 도광판(3)의 출광면(3b)에 광원(1)으로부터의 빛을 유효적으로 반사시키도록 반사 시트(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 기판(2), 도광판(3), 광학 시트(5) 및 반사 시트(6)를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3)과 광학 시트(5)를 미들 프레임(7)에 고정하기 위해, 차광을 겸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점착 시트(8)가 광학 시트(5)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1), 광원 기판(2), 도광판(3), 표시 패널(4), 광학 시트(5), 반사 시트(6), 미들 프레임(7) 및 점착 시트(8)는, 개구부를 가지는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에 의해 끼워져 있다(도시 생략). 또한, 도 1에서는 도광판(3)의 하나의 측면에만 광원(1) 및 광원 기판(2)을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광판의 2개의 측면 이상에 광원 및 광원 기판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광원(1)으로서는, LED 이외에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등의 광원이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혹은 시클로올레핀계 등의 수지 또는 유리 등으로 구성되는 도광판(3)은, 출광면(3b)과 반 출광면(3c)이외의 광원 기판(2)측의 측면(3a)에, 위치 규제용으로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3d)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광판(3)의 반 출광면(3c)에는, 빛의 전파 방향을 혼란시켜 출광면(3b)으로 빛을 이끌기 위한 광산란부가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이 광산란부는, 도광판 내를 전파하는 빛의 전체 반사조건을 어지럽히는 것으로, 도광판으로부터 빛을 추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란하는 수단으로서, 도광판(3)의 반 출광면(3c)에 도트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이나, 반 출광면(3c)을 조면으로 하는 방법, 미소한 구면이나 프리즘 등의 빛의 전파 방향을 변화시키 는 요철을 반 출광면(3c)에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도광판(3)의 반 출광면(3c)에 광산란부를 설치하지 않고, 출광면(3b)에 요철을 만드는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광판(3)의 출광면(3b)에 요철을 설치했을 경우, 이 출광면(3b)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출광면(3b)에 설치된 요철에 의해 빛의 전파 방향이 산란된다. 그 결과, 출광면(3b)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어느 정도의 빛이 도광판(3)의 내부를 향해서 반사되고, 나머지 빛이 출광면(3b)으로부터 도광판(3)의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가령 도광판(3)의 출광면(3b)에만 요철부를 설치하면, 그 밖의 면에 광산란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복수의 광학 시트(5)는, 광원 기판(2)측의 측면(5a)에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5b)를 적어도 2개소 형성하여, 도광판(3)의 출광면(3b)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위치 규제용으로, 도광판(3)의 돌기부(3d)와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를, 광원 기판(2)측 이외의 측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협액틀화가 가능하다. 또한, 미들 프레임(7)에, 도광판(3)의 돌기부(3d)와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3)의 돌기부(3d)가 형성된 측면(3a)근방에 배치된 광원 기판(2)을, 대략 직선형상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일반적으로 필름으로부터 잘려나가는 광원 기판(2)은, 상기 필름 1장당으로부터의 잘라낸 수가 증가하여 생산 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직선형상이라 함은, 완전한 직선이 아니더라도 광원 기 판(2)을 효율적으로 잘라낼 수 있는 범위이면 약간의 굴곡부를 가져도 문제는 없다.
또한 광원 기판(2)의 전원 공급부(2a)를, 도광판(3)의 돌기부(3d)가 형성된 측면(3a)과 인접하는 측면측에, 상기 측면으로부터 표시장치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로 설치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은, 직선형상이 되어, 광원 기판(2)을 보다 효율적으로 잘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광판(3)의 돌기부(3d)에 오목부(3e)를 설치하여, 광원 기판(2)을 수납하고, 도광판의 돌기부(3d)의 오목부(3e)와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로 광원 기판(2)을 끼우는 것으로, 광원 기판(2)위에 적재된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의 윗면(5c)과, 도광판(3)에 접촉하여 적재된 광학 시트(5)의 윗면(5d)이 수평이 되어,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3)의 돌기부(3d)전체를 오목부(3e)로 하지 않고, 도광판(3)의 출광면(3b)과 동일면을 가지는 지지부(3f)를 설치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이 반사 시트(6)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광원(1)의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3)의 돌기부(3d)에 형성된 오목부(3e)에, 광원 기판(2)을 점착 시트 등의 점착재로 고정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의 복원력에 의해 광학 시트(5)를 밀어 올려, 광학 시트(5)가 휘어, 표시 품위가 저하하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판(3)의 오목부(3e)의 높이를 h로 하면,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도광판(3)의 오목 부(3e)의 높이 h를, 광원 기판(2)의 두께와 점착재의 두께의 합과 거의 같거나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시트(5)가 휘어, 표시 품위가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동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3)의 반 출광면(3c)으로부터 출광면(3b)까지의 높이를 H로 하면, 도광판(3)의 오목부(3e)의 높이 h를, H-h≥0.4mm로 하는 것으로, 도광판(3)의 오목부(3e)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3)의 오목부(3e)의 폭을 v로 하면, 광원 기판(2)이 도광판(3)의 오목부(3e)에 확실하게 적재하도록, 도광판(3)의 오목부(3e)의 폭 v를, 광원 기판(2)의 폭 W와 거의 동등하거나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3)의 지지부(3f)의 폭을 x로 하면, 광원 기판(2)을 도광판(3)의 오목부(3e)에 점착재로 고정했을 때, 도광판(3)의 지지부(3f)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x ≥ 1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시트(5)는, 예를 들면 렌즈 시트를 확산 시트로 끼우는 구성이 취해진다. 표시 패널(4)의 휘도를 향상시킬 경우에는, 상기 렌즈 시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프리즘 방향을 고려하여, 복수매의 렌즈 시트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확산 시트는 확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장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학 시트(5)의 사용에 대해서는, 요구하는 휘도나 배광특성 등을 감안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 시트(6)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황산바륨 혹은 산화티탄을 혼합한 재료, 수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한 재료, 금속판에 은을 증착한 재료 또는 금속판에 산화티탄 등을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미들 프레임(7)은, PC(폴리카보네이트)나 ABS(아크릴로닐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에 산화티탄을 섞은 수지재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원가를 억제하여,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 5∼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광원 기판의 전원공급부 근방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6에 광학 시트를 적재했을 때의 F-F방향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도 8에 있어서, 도 1∼도 4와 같은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서는, 복수의 광학 시트(5)는, 광원 기판(2)측의 측면(5a)에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5b)를 적어도 2개소 형성하여, 도광판(3)의 출광면(3b)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도광판(3)에는, 출광면(3b)과 반 출광면(3c)이외의 측면(3a)에,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들 프레임(7)의 내측면에 적어도 2개소 형성된 볼록부(7a)의 측면(7b)에 의해, 도광판(3)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광학 시트(5)의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5b)를, 광원 기판(2)측의 측면(5a)이외의 측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광판(3)의 위치 규제용의 돌기부도 4변 모든 측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협액틀화가 가능하다. 또한, 미들 프레임(7)에,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와 도광판(3)의 돌기부와 끼워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도광판(3)의 측면(3a)근방에 배치된 광원 기판(2)을, 대략 직선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의 잘라낸 수가 증가하여 생산원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직선형상이라 함은, 완전한 직선이 아니더라도 광원 기판(2)을 효율적으로 잘라낼 수 있는 범위이면 약간의 굴곡부를 가져도 문제는 없다.
또한 광원 기판(2)의 전원 공급부(2a)를,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가 형성된 측면(5a)과 인접하는 측면측에, 광학 시트(5)의 측면(5a)으로부터 표시장치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은, 직선형상이 되어, 광원 기판(2)을 보다 효율적으로 잘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에 오목부(7c)를 설치하여, 광원 기판(2)을 수납하고,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의 오목부(7c)와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에서 광원 기판(2)을 끼우는 것으로, 광원 기판(2)위에 적재된 광학 시트(5)의 돌기부(5b)의 윗면(5c)과, 도광판(3)에 접촉하여 적재된 광학 시트(5)의 윗면(5d)이 수평이 되어,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전체를 오목부(7c)로 하지 않고, 도광판(3)의 출광면(3b)과 동일면을 가지는 지지부(7d)를 설치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이 반사 시트(6)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광원(1)의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고 있 다.
또한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에 형성된 오목부(7c)에서, 광원 기판(2)을 점착 시트 등의 점착재로 고정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의 복원력에 의해 광학 시트(5)를 밀어 올려, 광학 시트(5)가 휘고, 표시 품위가 저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의 높이를 t로 하면,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의 높이 t를, 광원 기판(2)의 두께와 점착재 두께의 합과 거의 동등하거나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시트(5)가 휘어, 표시 품위가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동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에 설치된 지지부(7d)의 높이를 T로 하면,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의 높이 t를, T-t≥0.4mm로 하는 것으로,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의 공작 정밀도를 높게 하여,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광원 기판(2)은, 각각 폭이 다른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진다. 제1부분은 전원 공급부(2a)와, 오목부(7c)위에 위치하는 광원 기판(2)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2 부분은 제1부분이외의 부분이다. 제1부분의 폭을 Q, 제2 부분의 폭을 W2로 하면, Q <W2로 정의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부분에 접속하는 제2 부분의 단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의 폭을 y로 하면, y <W2로 하는 것으로, 광원 기판(2)의 일부를 도광판(3)의 출광면(3b)으로 지지할 수 있고,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의 측면(7b)에 의해 지지되어 있 는 도광판(3)의 측면을 요철이 없는 평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광판(3)의 형상이 단순하게 되고, 가공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요철이 있을 경우에 생기는 휘도편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3)의 출광면(3b)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광원 기판(2)(제1 부분)의 폭을 Q로 하면, 광원 기판(2)이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에 확실하게 적재하도록, Q≤y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들 프레임(7)의 지지부(7d)의 폭을 z으로 하면, 광원 기판(2)을 미들 프레임(7)의 오목부(7c)에서 점착재로 고정했을 때, 미들 프레임(7)의 지지부(7d)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x≥ 1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미들 프레임(7)은, 광원(1)으로부터 발해진 빛의 일부를 도광판(3)의 측면(3a)측에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빛의 반사효율의 관점으로부터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PC(폴리카보네이트)나 ABS(아크릴로닐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에 산화티탄을 섞은 수지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저렴하게, 경량의 미들 프레임(7)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원 기판(2)과 미들 프레임(7)이 전기적으로 전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미들 프레임(7)의 볼록부(7a)가, 미들 프레임(7)의 광원 기판(2)측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도광판(3)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위치, 수, 형상은 전체의 구조를 감안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는 도광판(3)으로서 판자 모양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원(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도광판(3)의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모양으로 하는 것으로, 입광한 빛을 효율적으로 전파할 수 있고, 상기 빛을 출광면(3b)으로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는, 광원 기판(2)으로서 두께가 얇은 FPC(Flexible Printing Circuit)을 사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외형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품위를 저하시키지 않고, 광학 시트와 도광판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하여, 생산 원가를 억제하고, 협액틀화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출사하는 제1판면과, 상기 제1판면에 인접하는 측면인 제2판면과, 상기 제2판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를 가지는 도광판과,
    상기 광원을 가지고, 상기 제2판면을 따라서 배치된 광원 기판과,
    상기 제1판면에 대향하는 제1시트면과, 상기 제1시트면에 인접하는 측면이며 상기 제2판면측에 위치하는 측면인 제2시트면과, 상기 제2시트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를 가지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에 인접하는 제3판면을 가지고,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도광판의 제3판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돌기부와, 상기 광학 시트의 돌기부는, 각각 상기 제2판면과 상기 제2시트면과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돌기부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광원 기판을 수납하고, 상기 광원 기판을, 상기 도광판의 돌기부의 오목부와, 상기 광학 시트의 돌기부로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도광판의 돌기부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출사하는 제1판면과, 상기 제1판면에 인접하는 측면인 제2판면을 구비한 도광판과,
    상기 제2판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광원을 가지는 광원 기판과,
    상기 제1판면에 대향하는 제1시트면과, 상기 제1시트면에 인접하는 측면이며 상기 광원 기판측에 위치하는 측면인 제2시트면과, 상기 제2시트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를 가지는 광학 시트와,
    내측면에 적어도 2개소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의 측면에서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제1시트면 및 상기 제2시트면에 인접하는 제3시트면을 가지고,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광학 시트의 제3시트면 측에, 전원 공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의 돌기부는, 상기 제2시트면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광원 기판을 수납하고, 상기 광원 기판을, 상기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의 오목부와, 상기 광학 시트의 돌기부로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미들 프레임의 볼록부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70020721A 2006-03-02 2007-03-02 표시장치 KR100888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6821A JP4548364B2 (ja) 2006-03-02 2006-03-02 表示装置
JPJP-P-2006-00056821 2006-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793A KR20070090793A (ko) 2007-09-06
KR100888638B1 true KR100888638B1 (ko) 2009-03-12

Family

ID=3847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721A KR100888638B1 (ko) 2006-03-02 2007-03-0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1407B2 (ko)
JP (1) JP4548364B2 (ko)
KR (1) KR100888638B1 (ko)
CN (1) CN100474073C (ko)
TW (1) TW2007391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2586B2 (ja) * 2007-05-11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5008585B2 (ja) * 2008-02-21 201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面状光源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472141B1 (ko) * 2008-12-27 2014-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654327B1 (ko) * 2009-11-11 2016-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5610465B2 (ja) * 2010-02-18 2014-10-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TWI457660B (zh) * 2011-08-15 2014-10-21 Au Optronics Corp 可減少漏光之背光模組及顯示裝置
CN103998979B (zh) * 2012-01-16 2016-10-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EP2843295A4 (en) * 2012-04-26 2015-06-03 Sharp Kk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720270B2 (en) * 2013-07-19 2017-08-01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KR102169102B1 (ko) * 2013-12-04 2020-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하부 샤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375300A (zh) * 2014-11-24 2015-02-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373178B1 (ko) * 2015-04-27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154B1 (ko) * 2015-12-31 2023-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5785646A (zh) * 2016-05-06 2016-07-20 奥英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
CN106773303A (zh) * 2016-12-30 2017-05-31 奥英光电(苏州)有限公司 背光模组、液晶显示模组、液晶显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793A (ja) 2002-04-25 2003-11-06 Optrex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050677A (ja) 2003-07-29 2005-02-24 Nissha Printing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用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5327700A (ja) 2004-05-13 2005-11-24 Au Optronics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60005976A (ko) * 2004-07-13 2006-0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280B2 (ja) * 1995-05-23 2001-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面照明装置
US5613751A (en) * 1995-06-27 1997-03-25 Lumitex, Inc.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JP4805493B2 (ja) * 2001-08-30 2011-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3195265A (ja) 2001-12-27 2003-07-09 Kawaguchiko Seimitsu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TW587708U (en) * 2002-12-17 2004-05-11 Hon Hai Prec Ind Co Ltd Large size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4286777A (ja) * 2003-03-19 2004-10-1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4349020A (ja) 2003-05-20 2004-12-09 Sanyo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
JP2005077753A (ja) * 2003-08-29 2005-03-24 Optrex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M268609U (en) * 2004-12-10 2005-06-21 Innolux Display Corp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793A (ja) 2002-04-25 2003-11-06 Optrex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050677A (ja) 2003-07-29 2005-02-24 Nissha Printing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用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5327700A (ja) 2004-05-13 2005-11-24 Au Optronics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60005976A (ko) * 2004-07-13 2006-0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793A (ko) 2007-09-06
JP2007234478A (ja) 2007-09-13
CN100474073C (zh) 2009-04-01
US7731407B2 (en) 2010-06-08
JP4548364B2 (ja) 2010-09-22
TW200739191A (en) 2007-10-16
US20070211494A1 (en) 2007-09-13
CN101029999A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638B1 (ko) 표시장치
US7896536B2 (en) Planer light source device
EP0962694B1 (en) Planar light source unit
KR100802462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01120A1 (en) Backlight unit
US7894012B2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293124B1 (en) Light guide panel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06189796A (ja)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5899722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00172150A1 (e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351354A (ja) 導光板と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面光源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727326B1 (ko) 균일한 휘도 프로파일을 가지는 조명장치
CN112601911A (zh) 面状照明装置
JP5821361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618675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05102B (zh) 背光模組與光學式觸控面板
US7864265B2 (en) Lamp holder, and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uch lamp holder
JP7238551B2 (ja) 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90196083A1 (en) Ligh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7021228A (ja) 表示装置
JP6036187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9003892A (ja) 発光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8256831A (ja) 表示装置
JP5821539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00024380A (ko)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