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448B1 -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448B1
KR100888448B1 KR1020070090962A KR20070090962A KR100888448B1 KR 100888448 B1 KR100888448 B1 KR 100888448B1 KR 1020070090962 A KR1020070090962 A KR 1020070090962A KR 20070090962 A KR20070090962 A KR 20070090962A KR 100888448 B1 KR100888448 B1 KR 100888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abric
fixed
fixing mean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도
Original Assignee
티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아이(주) filed Critical 티앤아이(주)
Priority to KR102007009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B65H23/02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필름이 감겨있는 원단롤의 필름을 권취롤에 되감는 리와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컨베이어는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단롤을 컨베이어 위에서 움직여 원단고정수단의 클램핑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는, 원단롤의 부피가 크고 무겁다고 하더라도 원단롤을 원단롤고정수단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필름, 리와인드, 되감기, 장치, 리와인더

Description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THE FILM REWIND APPARATUS EASY INSTALL OF FOUNDATION ROLL}
본 발명은 다량의 필름이 감겨있는 원단롤의 필름을 권취롤에 되감는 리와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보호필름이나 코팅필름 및 스트레치 필름 등을 감겨있는 원단롤에서 권취롤로 옮겨 감는 작업을 하는 리와인딩 작업이 각종 산업분야에서 요구된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주방용 랩이나 산업용 랩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스트레치 필름 중 일부는 외국에서 생산되어 대형 원단롤 상태로 수입된 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소량으로 판매되기 위해 소형 권취롤에 옮겨 감는 리와인딩 작업이 요구된다.
또, 콘덴서용 플라스틱 필름이나 콘덴서용 금속증착 필름 등의 광폭 원단을 슬리터로 분할하고 권취롤에 옮겨 감는 리와인딩 작용이 요구되기도 한다.
종래 리와인딩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00-0017841호(슬 리터 리와인더, 등록 제10-0353139호) 및 한국 특허출원 제10-2006-0041550호(필름 리와인드 장치, 등록 제10-0749152호)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리와인드 장치는,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에 원단롤을 고정하는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교적 가벼운 원단롤은 인력으로 들어올려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에 고정하고, 무거운 원단롤은 호이스트 등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시킨 후 클램핑부에 고정하고 있었던 것이다.
원단롤을 클램핑부로 가져다 놓는 것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원단롤의 중심부가 정확하게 클램핑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 원단롤을 위치시키는 것에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원단롤이 부피가 크고 상당한 무게를 갖기 때문이었다.
한편, 종래의 리와인드 장치는 포장용 랩과 같이 얇은 스트레치필름의 리와인딩 작업시에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랭핑부에 원단롤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포장용 랩과 같이 얇은 스트레치필름의 리와인딩 작업시에도 불량이 크게 발생되지 않는 필름 리와인드 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컨베이어는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리와인딩을 위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단롤을 컨베이어 위에서 움직여 원단고정수단의 클램핑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와 같은 컨베이어(50)는 복수 개의 원단롤고정수단(30)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원단롤로부터 공급된 필름을 권취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접구동롤러를 갖는다.
또, 직접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어 직접구동롤러를 회전시켜주는 모터를 갖는다.
또, 원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를 가지며, 원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고, 원단롤이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램핑부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원단롤고정수단을 갖는다.
또,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을 갖는다.
또, 권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를 가지며, 권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 권취롤고정수단을 갖는다.
또,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가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을 통해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리와인딩을 위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원단롤을 굴려서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를 갖는다.
또, 원단롤이 단을 형성하면서 적층되어 있는 바레트를 탑재할 수 있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탑재된 바레트의 원단롤 중 상부에 놓인 원단 롤을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된 바레트탑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는,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컨베이어는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리와인딩을 위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단롤을 컨베이어 위에서 굴려서 원단고정수단의 클램핑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는, 원단롤의 부피가 크고 무겁다고 하더라도 원단롤을 원단롤고정수단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원단롤에 감겨있는 필름을 권취롤로 옮겨 감는 필름 리와인드 장 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도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원단롤(1)로부터 공급된 필름(1a)을 권취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접구동롤러(10)를 갖는다.
또, 직접구동롤러(10)와 연결되어 있어 직접구동롤러(10)를 회전시켜 주는 모터(20)를 갖는다.
또, 상기 원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31)를 가지며, 원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 원단롤고정수단(30)을 갖는다.
또, 권취롤(2)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41)를 가지며, 권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 권취롤고정수단(40)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직접구동롤러(10), 모터(20), 원단롤고정수단(30), 권취롤고정수단(40)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원단롤(1)의 부피가 크고 무겁다고 하더라도 원단롤을 원단롤고정수단(3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종래에는 원단롤의 부피가 크고 무거우면 원단롤을 호이스트에 하나씩 매달아서 이동시켰는데 이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정확한 위치로의 셋팅도 쉽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원단롤의 이동과정 중에 원단롤이 리와인드 장치의 모서리부분이나 공 장 내부의 각종 시설물에 부딪히기라도 하면 원단롤의 필름이 훼손되어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되기 때문에 호이스트에 매달아서 작업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방법은 매우 조심스럽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원단롤이 컨베이어를 통해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로 이동되어 고정된 후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리와인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원단롤고정수단(30)은 원단롤이 클램핑부(3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램핑부(31)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클램핑부(31)에 원단롤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좌, 우 회전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가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는 컨베이어(50)를 설치한다.
그런데 다양한 크기의 원단롤에 대해 리와인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원단롤을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50)는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로 원단롤을 위치시 키되 원단롤(1)의 중심이 정확히 클램핑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사용되는 원단롤의 직경이 다를 때 원단롤의 중심을 정확한 위치에 놓기 위해서는 컨베이어(50)의 상, 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컨베이어(5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원단롤을 컨베이어(50) 상에서 굴려서(움직여서)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30)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3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원단롤고정수단(30)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단롤고정수단(30)의 일부분이 리와인드 장치의 베이스(60)에 힌지 결합된 구조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수동으로 원단롤고정수단(30)을 회전시켜 놓도록 구현하고,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원단롤고정수단(30)에 고정된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도 1과 같이 실린더(71)의 전, 후진에 의해 원단롤고정수단(30)이나 권취롤고정수단(40)이 좌, 우 회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부피가 크고 무거운 원단롤의 부드러운 회전을 위해 실린더의 전, 후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컨베이어(50)를 복수 개의 원단롤고정수단(30)을 따라 길게 설치하면 컨베이어(50)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와 제어부 및 권취롤고정수단(40)의 클램핑부(41) 및 제어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핑부(31, 41) 및 제어부는 사용에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었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구조의 클램핑부 및 제어부를 제시한다.
도 3 및 도 4는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를 도시한 것으로서, 클램프는 원단롤(1)의 중심부 양측을 가압하여 원단롤을 잡아주고 원단롤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가압체(32) 및 이동가압체(33)와;
상기 이동가압체(33)를 고정가압체(3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가압체(32)와 이동가압체(33) 사이에 원단롤을 위치시켜 고정하거나 고정된 원단롤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된 실린더(34)를 갖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은 클램프를 갖는 구조에서 원단롤고정수단(30)의 제어부는 실린더(34)에 공기압이나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작업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되 작업자가 스위치를 밟으면 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후진되어 원단롤을 이탈시킬 수 있고, 스위치에서 발을 떼면 실린더 축이 다시 전진되어 고정가압체(32)와 이동가압체(33)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원단롤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스위치는 실린더(3$)에 공기압이나 유압이 인가됨에 있어 실린더(34)의 앞쪽으로 인가되는가 뒤쪽으로 인가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리와인딩 작업이 주로 진행되는 현장에서는 리와인딩의 대상이 되는 원단롤이 매우 많기 때문에 이 원단롤의 보관시에 바레트 위에 적층시켜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작업현장의 상황을 고려할 때 상기 컨베이어(50)에 바레트 위의 원단롤을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원단롤이 단을 형성하면서 적층되어 있는 바레트(3)를 탑재할 수 있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탑재된 바레트(3)의 원단롤 중 상부에 놓인 원단롤을 컨베이어(50)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된 바레트탑재기(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레트탑재기(80)의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컨베이어(50)를 상, 하 이동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바레트(3) 위에는 원단롤이 단을 형성하면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50)의 상, 하 높이조절과 바레트탑재기(80)의 상, 하 높이조절을 통해 원단롤을 컨베이어(50) 위에 올려놓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컨베이어(50)를 갖는 구조에서 바레트탑재기(80)를 구비하면 원단롤고정수단(30)에 원단롤을 용이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극대화된다.
특히, 원단롤의 이동과정에서 원단롤에 훼손이 발생될 확률이 매우 낮다.
한편, 종래의 리와인드 장치는 포장용 랩과 같이 얇은 스트레치필름의 리와인딩 작업시에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를 도 5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의 리와인드 장치는, 원단롤로부터 공급된 스트레치필름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에 원단롤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회전되는 선상에 위치되어 원단롤과 밀착되도록 되어 있는 원단접촉롤러(90)가 구비되어 있다.
또,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에 의해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됨에 있어 적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단측압력조절수단(100)이 구비되어 있다.
또, 권취롤고정수단(40)은 권취롤이 클램핑부(31, 4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좌, 우 회전되어 고정된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거나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또, 권취롤고정수단(40)의 클램핑부(41)에 권취롤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롤 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도록 권취롤고정수단(4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정적한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며, 원단롤(1)이 필름(1a)을 공급하는 속도와 권취롤(2)이 필름(1a)을 감는 속도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포장용 랩과 같이 얇은 스트레치필름의 리와인딩 작업시에 불량률이 매우 낮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원단측압력조절수단은 후술하는 원단측압력조절수단과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원단롤로부터 복수 개의 권취롤로 필름을 동시에 옮겨 감을 수 없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복수 개의 원단롤로부터 복수 개의 권취롤로 필름을 동시에 옮겨 감기 위해서 요구되는 몇 가지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복수 개의 원단롤이 동시에 회전 및 정지되고, 복수 개의 권취롤이 동시에 회전 및 정지되며, 권취롤과 원단롤이 거의 동시에 필름의 이동량만큼 회전되고 동시에 정지되어야 하며, 이동되는 필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었다.
둘째, 상기 첫째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각각의 원단롤에 필름이 감겨있는 상태에 따라서 대응된 권취롤에 필름이 감겨지는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권취롤 에 필름이 팽팽하게 감기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원단롤고정수단(30)을 복수 개 구비하고, 원단롤이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원단롤(1)과 밀착된 상태가 되는 원단접촉롤러(90)를 구비한다.
또, 권취롤고정수단(40)을 복수 개 구비하고, 권취롤(2)이 권취롤고정수단(40)의 클램핑부(41)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권취롤(2)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고,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됨에 있어 선택적으로 밀착이 해제될 수도 있고 다시 밀착될 수도 있어야 작업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단롤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다.
물론 권취롤도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됨에 있어 선택적으로 밀착이 해제될 수도 있고, 다시 밀착될 수도 있어야 작업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권취롤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원단롤고정수단(30)은 원단롤(1)이 클램핑부(31, 4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본 발명에서 원단롤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컨베이어(50)를 설치하는 구조에서 클램핑부(31, 41)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과도 일치한다.)
또, 원단접촉롤러(90)는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에 원단롤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회전되는 선상에 위치되어 원단롤과 밀착되도록 구현한다.
또, 각각의 원단롤고정수단(30)마다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고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에 원단롤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각각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도록 각각의 원단롤고정수단(3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권취롤고정수단(40)은 귄취롤이 클램핑부(31, 4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좌, 우 회전되어 고정된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거나 이탈되도록 구현한다.
또, 권취롤고정수단(40)의 클램핑부(41)에 권취롤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도록 권취롤고정수단(4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을 구비한다.
권취롤고정수단(40)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이미 설명한 원단롤고정수단(30)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권취롤고정수단(40)의 일부분이 리와인드 장치의 베이스에 힌지 결합된 구조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과 같이 수동으로 권취롤고정수단(40)을 회전시켜 놓도록 구현하고,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권취롤고정수단(40)에 고정된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음)
또, 도 5와 같이 실린더의 전, 후진에 의해 권취롤고정수단(40)이 좌, 우 회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모든 권취롤에 필름이 팽팽하게 감기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원단롤의 필름은 감겨있는 상태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밀착력을 통해서는 동일한 감김 상태를 확보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에 의해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됨에 있어 적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원단측압력조절수단(100)을 더 구비한다.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에 의해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됨에 있어 적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권취측압력조절수단(12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권취측압력조절수단(120)을 구비할 경우에는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직경이 다른 권취롤에 필름을 옮겨 감는 것이 가능하다.
즉, 어떠한 경우에는 직경이 큰 권치롤을 고정하여 리와인딩 작업을 하고, 어떤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권치롤을 고정하여 리와인딩 작업을 하는 것이다.
물론 한 번의 리와인딩 작업시에 직경이 다른 권취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과 이에 대응되는 권취측압력조절수단(120)을 복수 개 구비하여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에 대응되는 권취롤이 각각 별도의 밀착 압력으로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원단측압력조절수단(100)이나 권취측압력조절수단(12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스프링의 장력을 통해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스프링의 압축 길이를 좁혀주거나 늘려주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볼트를 조이면 스프링의 뒤쪽이 밀착하려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좁혀짐으로써 보다 큰 밀착력이 얻어지도록 하고, 반대로 볼트를 풀면 스프링의 뒤쪽이 밀착하려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늘려짐으로써 보다 약한 밀착력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이나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이 실린더를 갖는 구조에서는 실린더의 실린더축이 전, 후진 되는 거리를 조절해 줌으로써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밀착력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형태로써 실린더축의 전, 후진 거리는 동일하게 설정해 놓고 실린더의 하부가 고정된 위치를 세밀한 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들은 단순히 밀착력을 적정 수준으로 설정해 놓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는 수시로 원단롤과 원단접촉롤러(90)의 밀착력 및 권취롤과 직접구동롤러(10)의 밀착력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밀착력을 얻는 구조는 원단롤의 필름이 권취롤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점차 밀착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단롤의 필름이 권취롤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각각의 원단롤(1)과 원단접촉롤러(90) 사이에 동일한 밀착력이 확보되고, 권취롤(2)과 직접구동롤러(10) 사이에 동일한 밀착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밀착력유지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력유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이나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이 실린더(71, 111)의 전, 후진에 의해 원단롤고정수단(30)이나 권취롤고정수단(40)을 좌, 우 회전시키는 것일 때 실린더(71, 111)에 일정한 압력만이 가해지도록 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밸브를 작동시켜 실린더에 가해지는 공기압이나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10)에) 적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이 밀착압력은 실린더(71,111)에 일정한 공기압이나 유압이 가해짐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유압을 사용하는 유압실린더는 그 압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필름이 매우 단단한 것이 아니라면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71, 111)에 가해지는 공기압이나 유압을 조절하는 방식에 있어서 게이지(101)를 설치함으로써 밀착 압력의 설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 에 동일한 수준의 원단롤로부터 권취롤로 필름을 리와인딩 하는 경우를 위한 적정 압력데이터의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시에 복수 개의 원단롤고정수단(30)에서 필름을 리와인딩 할 수 있는 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원단롤고정수단(30)의 클램핑부(31, 41)가 원단접촉롤러(9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도록 한 상태에서 바레트탑재기(80)에 올려진 바레트(3) 상의 원단롤을 컨베이어(50)를 통해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 부근으로 보낸 후 클램핑부 방향으로 밀어놓고 원단롤고정수단(30)의 제어부를 작동시켜 원단롤을 클램핑부(31)에 고정한다.
또, 권취롤고정수단(40)의 클램핑부(41)가 직접구동롤러(1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권취롤을 각각의 권취롤고정수단(40)의 클램핑부(41)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원단롤회전수단(70)을 작동시켜 고정된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되도록 하고, 원단롤로부터 필름(1a)을 끌어당겨 필름이 직접구동롤러(10)를 경유하여 권취롤에 감기도록 한다.
이후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을 작동시켜 권취롤(2)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되도록 하고 원단롤(1)로부터 공급되어 권취롤(2)에 감긴 필름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은 권취롤을 수동으로 약간 회전시켜 주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필름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하였을 때 필름은 직접구동롤러(10)에도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20)에 의해 직접구동롤러(10)가 회전하게되고, 이 회전력으로 인하여 밀착되어 있는 권취롤이 회전하게 된다.
또, 권취롤이 회전되어 필름이 권취롤에 감김에 따라 원단롤이 회전하게 되며, 원단롤이 회전됨에 따라 원단롤에 밀착되어 있는 원단접촉롤러(90)도 회전하게 된다.
권취롤(2)이 직접구동롤러(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필름을 감고, 원단롤(1)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된 상태에서 필름을 공급하므로 원단롤(1)과 권취롤(2) 사이의 필름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리와인딩이 이루어진다.
또, 권취롤(2)과 원단롤(1)이 거의 동시에 회전되고 동시에 정지되며, 복수 개의 원단롤이 동시에 회전 및 정지되고, 복수 개의 권취롤이 동시에 회전 및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된 원단롤의 상태가 동일하다면 즉, 원단롤에 필름이 동일한 조건으로 감겨있고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면 문제가 없으나 실제적으로 그와 같은 경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원단롤의 필름은 권취롤에 너무 팽팽하게 감기는 반면 다른 원단롤의 필름은 팽팽한 정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또, 특정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너무 강하게 밀착되어 필름이 훼손되 는 경우가 발생되는 반면 다른 원단롤은 원단접촉롤러(90)에 너무 약하게 밀착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각각의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적절하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모터(20)를 회전시켜 권취롤에 필름이 감기는 상태를 확인하면서 원단측압력조절수단(100)을 통해 각각의 원단이 원단접촉롤러(90)에 적정압력으로 밀착되도록 조절한다.
이를 통해서 각각의 원단롤에 필름이 감겨있는 상태가 다르거나 원단롤의 직경에 다소의 차이가 있더라도 각각의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90)에 적정한 압력으로 밀착됨으로써 권취롤에 필름이 팽팽하게 감기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셋팅 작업이 종료되면 모터(20)를 계속 구동시켜 원단롤의 필름이 권취롤에 원화는 만큼 옮겨져 감기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시에 복수 개의 원단롤로부터 리와인딩이 가능한 구조에서,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을 복수 개 구비하고 복수 개의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복수 개의 권취롤고정수단(40) 중 일부만의 선택적인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면 복수 개의 원단롤과 권취롤을 고정시켜 리와인딩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치라고 하더라도 일부에만 원단롤과 권취롤을 고정시켜 작업할 수 있다.
즉, 4개의 원단롤과 4개의 권취롤을 고정시켜 동시에 4개의 원단롤로부터 4 개의 권취롤로 리와인딩 작업이 가능한 장치라고 하더라도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이 4개라면 4개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1개만 작업할 수도 있고, 2개만 작업할 수도 있으며, 3개만 작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일부 권취롤고정수단(40)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수리를 위해 리와인드 장치 자체의 가동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복수 개의 권취롤고정수단(40)을 갖고 이 복수 개의 권취롤고정수단(40)이 1 개의 고정권취롤회전수단(110)에 의해 좌, 우 회전됨으로써 모든 권취롤이 동시에 직접구동롤러(10)에 접촉되는 구조라고 하더라도 일부 권취롤고정수단(40)에만 원단롤을 걸어서 작업하면 선택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에서는 권취롤고정수단(40)에 고장이 발생되면 리와인드 장치 자체의 가동을 멈추어야 하는 것이다.
리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원단롤에 다량의 필름이 감겨있고, 상대적으로 권취롤에 소량의 필름이 감겨있는 상태에서 직접구동롤러(10)가 정지될 경우 가벼운 권취롤은 곧바로 정지될 수 있으나 무거운 원단롤은 그 무게와 회전력에 의해 권취롤 보다 늦게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직접구동롤러(10)와 원단접촉롤러(90)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클러치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클러치는 동시에 복수 개의 원단롤로부터 리와인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더욱 더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클러치는 동시에 작동하여 직접구동롤러(10)와 원단접촉 롤러(90)가 동시에 정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구성만으로는 포장용 랩과 같이 얇은 스트레치필름을 리와인딩할 때 필름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즉, 얇은 스트레치필름은 쉽게 늘어나기 때문에 권취롤에 필름이 감길 때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심지어 얇은 스트레치필름이 감겨있는 대형 원단롤 자체도 주름이 상당량 잡혀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주름이 펴지면서 권취롤에 필름이 감기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5와 같은 구조를 안출하였다.
도 5는 원단접촉롤러(90)와 직접구동롤러(10) 사이에 마찰조절롤러(13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원단롤의 필름이 원단접촉롤러(90)와 마찰조절롤러(130)와 직접구동롤러(10)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귄취롤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찰조절롤러(130)는 내측에 중공부를 갖고 이 중공부가 고정된 고정축(61)에 끼워져 고정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원단롤에 감겨있던 필름에 주름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필름과 마찰조절롤러(130)의 밀착력 및 필름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원단롤에 잡혀 있는 얇은 스트레치필름의 주름이 펴지는 등 결과적으로 권취롤에 감기는 필름에는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 개의 리와인딩 장치에 복수 개의 원단롤과 권취롤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직접구동롤러(10)와 원단접촉롤러(90)가 길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직접구동롤러(10)와 원단접촉롤러(90)가 길어지면 처짐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처짐현상은 필름의 리와인딩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직접구동롤러(10)와 원단접촉롤러(90)는 그 길이가 길더라도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직접구동롤러(10)와 원단접촉롤러(90)를 커플링 등으로 연결하여 긴 길이가 확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5는 부시이고, 51은 컨베이어의 상, 하 높이조절을 위한 실린더이며, 81은 바레트탑재기의 상, 하 높이조절을 위한 실린더이다.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원단롤에 감겨있는 필름을 권취롤로 옮겨 감는 리와인딩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원단롤고정수단을 통해 컨베이어 상부의 원단롤을 고정한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컨베이어와 바레트탑재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랭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이동가압체가 고정가압체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랭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원단롤의 고정을 위해 이동가압체가 고정가압체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
도 5는 얇은 스트레치필름의 리와인딩을 위한 본 발명의 리와인드 장치를 사용하여 원단롤의 필름을 권취롤로 리와인드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개략도
도 6은 도 5의 리와인드 장치가 컨베이어 위의 원단롤을 원단롤고정수단에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복수 개의 원단롤고정수단과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단롤 1a. 필름
2. 권취롤 3. 바레트
10. 직접구동롤러 20. 모터
30. 원단롤고정수단 31. 클램핑부
32. 고정가압체 33. 이동가압체
34. 실린더 35. 부시
40. 권취롤고정수단 41. 클램핑부 50. 컨베이어 51. 실린더
60. 베이스 61. 고정축
70. 고정원단롤회전수단 71. 실린더
80. 바레트탑재기 81. 실린더
90. 원단접촉롤러 100. 원단측압력조절수단
101. 게이지 110. 고정권취롤회전수단
111. 실린더 120. 권취측압력조절수단
130. 마찰조절롤러

Claims (10)

  1. 원단롤에 감겨있는 필름을 권취롤에 리와인딩하는 필름 리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원단롤로부터 공급된 필름을 권취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접구동롤러와;
    상기 직접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어 직접구동롤러를 회전시켜주는 모터와;
    상기 원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를 가지며, 원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고, 원단롤이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램핑부가 리와인딩을 위한 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원단롤고정수단과;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원단롤회전수단과;
    권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를 가지며, 권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 권취롤고정수단과;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가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을 통해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리와인딩을 위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원단롤을 굴려서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와;
    원단롤이 단을 형성하면서 적층되어 있는 바레트를 탑재할 수 있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탑재된 바레트의 원단롤 중 상부에 놓인 원단롤을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된 바레트탑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2. 원단롤에 감겨있는 스트레치필름을 권취롤에 리와인딩하는 필름 리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원단롤로부터 공급된 스트레치필름이 밀착되도록 되어 있고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직접구동롤러와;
    상기 직접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어 직접구동롤러를 회전시켜주는 모터와;
    상기 원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를 가지며, 원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고, 원단롤이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원단롤고정수단과;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에 원단롤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회전되는 선상에 위치되어 원단롤과 밀착되도록 되어 있는 원단접촉롤러와;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에 원단롤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도록 원단롤고정수단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원단롤회전수단과;
    상기 고정원단롤회전수단에 의해 각각의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에 밀착됨에 있어 적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단측압력조절수단과;
    권취롤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클램핑부를 가지며, 권취롤의 고정이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고, 권취롤이 클램핑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좌, 우 회전되어 고정된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에 밀착되거나 이탈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권취롤고정수단과;
    상기 권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에 권취롤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되도록 권취롤고정수단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좌, 우 회전시키는 고정권취롤회전수단과;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가 좌, 우 회전되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원단롤이 이동되어 위치되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을 통해 원단롤고정수단의 클램핑부를 원단접촉롤러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원단롤을 굴려서 원단고정수단의 클램핑부로 이동시킨 후 원단롤고정수단의 제어부를 통해 원단롤을 클램핑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 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원단롤이 단을 형성하면서 적층되어 있는 바레트를 탑재할 수 있고,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탑재된 바레트의 원단롤 중 상부에 놓인 원단롤을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된 바레트탑재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은 각각의 원단롤고정수단마다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측압력조절수단은 각각의 고정원단롤회전수단에 대응되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원단롤이 원단접촉롤러에 밀착되는 압력을 각각의 원단측압력조절수단을 통해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동시에 복수 개의 원단롤로부터 권취롤로 필름을 리와인딩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접촉롤러와 직접구동롤러 사이에 마찰조절롤러가 더 구비되어 있고, 원단롤의 스트레치필름이 원단접촉롤러와 마찰조절롤러와 직접구동롤러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귄취롤에 감기도록 되어 있되 마찰조절롤러는 내측에 중공부를 갖고 이 중공부가 고정된 축에 끼워져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원단롤에 감겨있던 스트레치필름에 주름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스트레치필름과 마찰조절롤러의 밀착력 및 스트레치필름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권취롤회전수단에 의해 권취롤이 직접구동롤러에 밀착됨에 있어 적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권취측압력조절수단이 더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권취롤회전수단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권취롤고정수단 중 일부만의 선택적인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단롤회전수단은 실린더의 전, 후진에 의해 원단롤고정수단을 좌, 우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원단측압력조절수단은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압이나 유압을 밸브를 통해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롤고정수단은 원단롤의 중심부 양측을 가압하여 원단롤을 잡아주고 원단롤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가압체 및 이동가압체와;
    상기 이동가압체를 고정가압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가압체와 이동가압체 사이에 원단롤을 위치시켜 고정하거나 고정된 원단롤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가해지는 공기압이나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원단롤의 클램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구동롤러와 원단접촉롤러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클러치가 각각 구비되어 있되 각각의 클러치는 동시에 작동하여 직접구동롤러와 원단접촉롤러가 동시에 정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KR1020070090962A 2007-09-07 2007-09-07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KR100888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962A KR100888448B1 (ko) 2007-09-07 2007-09-07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962A KR100888448B1 (ko) 2007-09-07 2007-09-07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448B1 true KR100888448B1 (ko) 2009-03-11

Family

ID=4069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962A KR100888448B1 (ko) 2007-09-07 2007-09-07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69B1 (ko) * 2013-03-14 2014-10-27 김태엽 무늬목 시트의 무늬 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KR102051848B1 (ko) 2018-10-29 2019-12-04 이종훈 다분할이 가능한 필름 리와인더 장치
KR20220012126A (ko) 2020-07-22 2022-02-03 (주)삼우비앤비 슬링 재단을 위한 이송 및 리프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269A (ja) 1986-09-20 1988-04-13 Isowa Ind Co 段ボ−ル製造機における原紙の装填方法
JPH07291489A (ja) * 1994-04-26 1995-11-07 Kozo Tagawa 検反装置
KR970010907B1 (ko) * 1988-04-16 1997-07-02 가부시끼가이샤 이소와 뎃꼬오쇼 웨이브공급장치의 제어방법
JP2002274711A (ja) 2001-03-15 2002-09-25 Tokyo Kikai Seisakusho Ltd 巻取紙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269A (ja) 1986-09-20 1988-04-13 Isowa Ind Co 段ボ−ル製造機における原紙の装填方法
KR970010907B1 (ko) * 1988-04-16 1997-07-02 가부시끼가이샤 이소와 뎃꼬오쇼 웨이브공급장치의 제어방법
JPH07291489A (ja) * 1994-04-26 1995-11-07 Kozo Tagawa 検反装置
JP2002274711A (ja) 2001-03-15 2002-09-25 Tokyo Kikai Seisakusho Ltd 巻取紙支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69B1 (ko) * 2013-03-14 2014-10-27 김태엽 무늬목 시트의 무늬 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KR102051848B1 (ko) 2018-10-29 2019-12-04 이종훈 다분할이 가능한 필름 리와인더 장치
KR20220012126A (ko) 2020-07-22 2022-02-03 (주)삼우비앤비 슬링 재단을 위한 이송 및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2193C2 (ru) Разматыватель катушек с рулонным материалом
US11827393B2 (en) Machine and method for stabilising palletised loads
JPH07502721A (ja) 紙ウェブ巻取り装置及び巻取り方法
JP4452411B2 (ja) ウェブ材料のリールを巻き戻す装置ならびに方法
RU2089475C1 (ru) Способ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упаковки грузов с помощью растяжимой пленки, машина и узкий рулон пленки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888448B1 (ko) 원단롤의 설치가 용이한 필름 리와인드 장치
CN204999402U (zh) 一种绕线整机装置
FI124760B (fi) Kelausrullan puristinlaite ja pitkän materiaalin kelausmenetelmä
KR100888447B1 (ko) 동시에 복수 개의 권취롤에 리와인딩이 가능한 필름리와인드 장치
CN204779990U (zh) 棉纺条并卷机辅助卷绕装置
JP5258741B2 (ja) バットスプライス装置およびバットスプライス方法
US20050056719A1 (en) Splicing vehicle
CN201862659U (zh) 皮带助卷器
JPH11208987A (ja) 延反機
EP0867391B1 (en) Winding sheet material
CN203529527U (zh) 一种全自动预拉伸膜复卷机
US6279472B1 (en) Web curling prevention device for a rotary printing press or the like
CN105063818A (zh) 棉纺条并卷机辅助卷绕装置
US66789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per roll refurbishing
JP2005350265A (ja) 製品包装機械の自動リール巻出し装置
JPH0531543U (ja) ラツピングマシンにおける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の予延伸装置
EP0489855B1 (en) Device for splicing web materials
CN116620920B (zh) 一种pvc压延膜生产用包装设备及方法
KR102291516B1 (ko) 스트립 표면 검사장치
JP3591999B2 (ja) 高伸度ワイヤーのゴム圧延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