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867B1 -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 Google Patents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867B1
KR100886867B1 KR1020070072634A KR20070072634A KR100886867B1 KR 100886867 B1 KR100886867 B1 KR 100886867B1 KR 1020070072634 A KR1020070072634 A KR 1020070072634A KR 20070072634 A KR20070072634 A KR 20070072634A KR 100886867 B1 KR100886867 B1 KR 10088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retaining wall
central por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408A (ko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김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식원 filed Critical 김식원
Priority to KR102007007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에 관한 것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럭본체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길이방향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부와 이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연결부로 구분되며,
상기 중심부의 상면에는 하향으로 단층진 상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단층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층면의 양측 각각에는 유실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의 하면에는 상기한 유실방지턱에 걸림되는 상태로 단층면에 안착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는 블럭과 블럭이 좌,우측으로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방지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 양측의 좌,우측 연결부 각각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블럭본체들을 연결봉으로 연결 조립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전,후방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환경블럭, 블럭본체, 호안블럭, 옹벽블럭, 좌·우측 연결부, 단층면, 유속감속돌부, 유동방지돌부, 전·후방 연결구멍, 중간연결구멍, 연결봉

Description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Environment-friendly block used for revetment and retaining wall blocks}
하천. 제방, 도로변 등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호안블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산간도로변의 절개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토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옹벽블럭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자연 친화적인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환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천, 제방뚝, 도로변 등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호안블럭은 그 경사지의 유실을 방지하고, 나아가 잔디, 나무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는 식생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안블럭은 하천, 도로변 등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른 용도 예를 들면, 산간도로를 개설하기 위해 절토된 절개지에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는 없었다.
한편, 산간도로의 절개지 등에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에 사용되는 옹벽블럭은 그 절개지의 붕괴를 방지하고 산간도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산간도로변에서부터 수 직상으로 축조되거나 계단상으로 축조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블럭은 산간도로 등을 개설하기 위해 절토된 절개지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는 보강토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른 용도 즉, 하천 등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호안블럭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호안블럭은 잔디 등을 심을 수 있는 식생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좌,우로 연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종래의 옹벽블럭은 보강토옹벽을 구축할 때 상,하에 위치하는 블럭들이 서로 지그재그상으로 엊갈리게 놓고 연결시키는 구조로 설치하기 때문에 보강토옹벽 전체가 콘크리트 옹벽블럭으로 커버되는 상태로 구축될 수밖에 없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오히려 자연생태계를 교란 내지 파괴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모든 하천, 제방, 도로변 등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호안블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간도로의 절개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의 옹벽블럭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환경블럭을 제공하며, 나아가 하천이나 산간도로의 경사지 또는 절개지를 친환경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긴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럭본체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길이방향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부와 이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연결부로 구분되며,
상기 중심부의 상면에는 하향으로 단층진 상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단층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층면의 양측 각각에는 유실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의 하면에는 상기한 유실방지턱에 걸림되는 상태로 단층면에 안착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는 블럭과 블럭이 좌,우측으로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방지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 양측의 좌,우측 연결부 각각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블럭본체들을 연결봉으로 연결 조립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전,후방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의 좌,우측 연결부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좌,우측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럭본체의 중심부의 전면에는 상기 좌,우측 배수로를 연결하는 연결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의 전면에는 좌,우측 연결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유속감속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의 중심부에는 다른 블럭의 좌,우측 연결부 중 어느 일측 연결부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그 연결부에 형성된 전,후방 연결구멍과 일치하여 연결봉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간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 제방뚝, 도로변 등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한 호안블럭의 용도로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간도로의 절개지를 보호하기 위한 옹벽블럭의 용도로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호안블럭으로의 사용시에는 상,하 및 좌,우로 연속해서 연결 조립설치되는 블럭본체와 블럭본체 사이사이에 잔디 등의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토 충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자연친화적으로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옹벽블럭으로의 사용시 수직축조 및 후퇴축조되는 블럭본체와 블럭본체 사이사이에도 식생토 충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자연친화적인 보강토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다목적 환경블럭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블럭본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블럭본체를 호안블럭으로 사용시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블럭본체를 옹벽블럭으로 사용시의 설치상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의 부호 1은 블럭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럭본체(1)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채 긴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럭본체(1)는 길이방향의 가운데에 형성된 중심부(1a)와 상기 중심부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측 연결부(1b)(1c)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블럭본체(1)의 중심부(1a) 상면은 좌,우측 연결부(1b)(1c)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오목하게 들어간 단층면(2)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단층면(2)의 양측에는 좌,우측 연결부(1b)(1c)의 상면과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유실방지턱(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층면(2)의 양측에 형성된 유실방지턱(21)은 블럭본체(1)의 상면으로 채워진 식생토를 구속하여 빗물 등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블럭본체(1)의 중심부(1a) 하면은 좌,우측 연결부(1b)(1c)의 하면보다 하향으로 돌출되는 유동방지돌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동방지돌부(3)는 복수의 블럭본체(1)들을 상,하로 적층하게 될 경우 하측에 위치한 블럭본체(1)의 좌,우측 연결부(1b)(1c) 상면에 다른 블럭본체의 좌,우측 연결부 하면을 적층시켜 연결 조립하였을시 상측에 적층된 블럭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유동방지돌부(3)의 양단이 하측에 위치한 양측 블럭본체(1) 각각의 좌,우측 연결부(1b)(1c)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본체(1)들이 좌,우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블럭본체(1)의 좌,우측 연결부(1b)(1c) 각각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빗물을 밑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좌,우측 배수로(4a)(4b)가 서로 평행 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본체(1)의 중심부(1a)의 전면에는 상기한 좌,우측 배수로(4a)(4b)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배수로(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중심부(1a)의 전면 중간부분에는 좌,우측 연결부(1b)(1c)의 전면보다 높게 돌출되는 유속감속돌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속감속돌부(4)에 형성되는 배수로(41)는 좌,우측 배수로(4a)(4b) 각각에 연결배수로(4c)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블럭본체(1)의 상측에서 전면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은 상기한 유속감속돌부(4)의 배수로(41)로 흐르지 못하고 좌,우 양측의 연결배수로(4c)에서 좌,우측 배수로(4a)(4b)를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상기 블럭본체(1)의 좌,우측 연결부(1b)(1c)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전,후방 연결구멍(5a,6a)(5b,6b)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중심부(1a)에도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중간연결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본체(1)를 상,하로 적층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후방 연결구멍(5a,6a)(5b,6b) 및 중간연결구멍(7) 각각에 삽입되는 연결봉(8)이 사용되며, 상기의 연결봉(8)은 상기한 각 연결구멍으로 삽입되는 직경을 갖는 철선이나 화이버 재질로 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럭본체(1)의 작용에 대하여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도시는 블럭본체(1)를 상,하 및 좌,우로 연속해서 연결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최하측에 설치되는 첫번째 블럭본체는 도면부호 "1-1"로 표시하고, 그 다음으로 두번째 블럭본체는 "1-2", 세번째 블 럭본체는 "1-3", 네번째 블럭본체는 "1-4" 등으로 표시하며, 또한 첫번째에서부토 네번째 블럭본체들 각각의 좌,우측 연결부들은 첫번째에서부터 네번째의 순서로 하여 "1b-1,1c-1", "1b-2,1c-2", "1b-3,1c-3", "1b-4,1c-4"로 표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하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첫번째 블럭본체(1-1)들이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첫번째 블럭본체(1-1)들 위에 설치되는 두번째 블럭본체(1-2)들은 서로 이웃하는 첫번째 블럭본체(1-1)들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적층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되, 두번째 블럭본체(1-2)들의 좌측 연결부(1b-2)는 첫번째 블럭본체(1-1)의 우측 연결부(1c-1) 상면에 적층되고, 두번째 블럭본체(1-2)들의 우측 연결부(1c-2)는 첫번째 블럭본체(1-1)의 좌측 연결부(1b-1) 상면에 적층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 세번째 블럭본체(1-3)들은 앞서 적층 설치된 두번째 블럭본체(1-2)들 사이사이에 위치하되, 앞에서 설명한 두번째 블럭본체들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되고, 또 네번째 블럭본체(1-4)들도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 블럭본체(1)들은 서로 적층되고 있는 좌,우측 연결부(1b)(1c)들에 형성된 전,후방 연결구멍(5a,6a)(5b,6b)들이 일치하는 상태이므로 서로 일치하고 있는 각 연결구멍으로 연결봉(8)을 삽입시키게 되면 상,하 및 좌,우로 연속해서 엇갈리는 상태로 설치되는 각 블럭본체(1)들은 연결봉(8)에 의해 서로간에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이며, 또한 각 블럭본체(1)들 사이에는 잔디를 비롯하여 꽃이나 나무 등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식생토 충전공간(9)이 형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식생토 충전공간(9)에 식생토를 충전시켜 잔디를 비롯하여 주변환경에 어울리는 꽃이나 나무 등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심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블럭본체(1)은 하천, 제방뚝이나 도로변 등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호안블럭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산간도로의 절개지 등에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에 설치되는 옹벽블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도시는 상기 블럭본체(1)를 하천, 제방뚝이나 도로변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호안블럭의 용도로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블럭본체(1)의 중심부(1a) 전면에 돌출 형성된 유속감속돌부(4)가 표면에 표출되도록 적층 설치하게 되면 호안블럭의 용도로 설치된 각 블럭본체(1)들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 배수로(4a)(4b) 및 연결배수로(4c)가 표면에 노출되어 우천시 식생토 충전공간(9)에 충전된 식생토 표면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이 블럭본체(1)의 유속감속돌부(4) 전면 및 중심부(1a)의 전면으로 흐르게 될 때에는 유속감속돌부(4)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배수로(4c)를 따라 좌,우측 배수로(4a)(4b)을 통해 밑으로 흘러내리게 되므로써 빗물로 인한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는 하천의 경우 우천으로 인해 하천이 불어났을 때에는 상기 각 블럭본체(1)에 노출되어 있는 유속감속돌부(4)와 각 배수로들이 경사지를 따라 흐르는 유속을 감속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식생토 충전공간(9)에 충전된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의 도시는 산간도로의 절개지 등에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에 설치되는 옹벽블럭의 용도로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의 도시는 블럭본체(1)를 일정높이씩 수직상으로 축조하는 수직축조방식과 후퇴축조방식으로 보강토옹벽을 구축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 역시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각 블럭본체(1)들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지그재그상으로 축조되는 것인데, 수직상으로 축조되는 복수개의 각 블럭본체(1)들은 서로 상,하로 적층되는 좌,우측 연결부(1b)(1c)에 형성된 전,후방 연결구멍(5a,6a)(5b,6b)들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에서 연결봉(8)에 의해 결속되는 것이며, 수직축조된 일정높이의 최상단 블럭본체(1) 상면에서 후퇴축조되는 복수의 블럭본체(1)들(이들 복수의 블럭본체들끼리는 수직축조되는 상태이다)은 그 좌,우측 연결부(1b)(1c)에 형성된 전방 연결구멍(5a)(6a)만 하측에 수직축조된 각 블럭본체(1)의 후방 연결구멍(5b)(6b)과 일치하는 상태로 축조된 후 연결봉(8)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축조 및 후퇴축조 방식으로 축조되는 각 블럭본체(1)들 사이에 형성된 식생토 충전공간(9)에 채워진 식생토가 수직면을 이루게 되더라도 잔디는 물론이고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이 식생할 수 있게 되므로서 보강토옹벽을 식물이 자라는 자연친화적인 벽면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5의 도시는 블럭본체(1)를 계단식으로 뒷물림으로 축조하는 후퇴축조방식으로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역시 상,하로 적층 설치되는 각 블럭본체(1)들은 도 2와 같이 지그재그상으로 엇갈리게 적층되는 것인데, 이때에는 하측 블럭본체(1)의 좌,우측 연결부(1b)(1c) 각각의 후방 연결구멍(5b,6b)과 상측 블럭본체들의 좌,우측 연결부 각각의 전방 연결구멍(5a,6a)이 일치하여 연결봉(8)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후퇴축조방 식으로 축조된 각 블럭본체(1)들 사이의 식생토 충전공간(9)에는 수직면을 이루도록 충전된 식생토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디를 비롯하여 꽃, 나무 등을 심어 자라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의 도시는 블럭본체(1)를 후퇴축조방식으로 축조하여 보강토옹벽을 구축함과 더불어 보강그리드와 같은 기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각 블럭본체(1)들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지그재그상으로 축조되는 것이며, 또한 보강토옹벽의 뒤쪽 보강토구간의 침하 또는 붕괴를 방지하고 나아가 강도를 높이기 위해 블럭본체(1)를 이용하여 기존의 보강토옹벽에 형성되는 보강그리드와 같은 기능으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보강그리드의 기능으로 설치되는 보강블럭은 설명의 편의상 부호 "1A"로 표시하며, 상기 보강블럭(1A)는 블럭본체(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면(도 6 참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각 블럭본체(1)들이 후퇴축조방식으로 축조되며, 여기에 일정구간마다 보강토구간을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보강블럭(1A)은 그 일단(블럭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 연결부에 해당)을 보강토옹벽을 형성하는 블럭본체(1)의 중심부(1a) 상면 즉, 단층면(2)에 적층시키게 되면 상기 보강블럭(1A)의 일단에 형성된 전,후방 연결구멍들은 블럭본체(1)의 중심부(1a)에 형성된 복수의 중간연결구멍(7) 각각에 일치하게 되어 연결봉(8)으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보강토구간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된 보강블럭(1A)의 타단에는 또다른 보강블럭의 일단을 적층시키고 연결봉(8) 으로 결속시키서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블럭본체(1)들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제방뚝이나 도로변의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호안블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산간도로를 개설하기 위해 절토된 절개지 등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에 설치되는 옹벽블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목적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럭본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블럭본체를 호안블럭으로 사용시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블럭본체를 옹벽블럭으로 사용시의 설치상태 실시예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2,1-3,1-4) : 블럭본체 1A : 보강블럭
1a : 중심부 1b,1c : 좌,우측 연결부
2 : 단층면 21 : 유실방지턱
3 : 유동방지돌부 4 : 유속감속돌부
4a,4b : 좌,우측 배수로 4c : 연결배수로
5a,6a 및 5b,6b : 전,후방 연결구멍
7 : 중간연결구멍 8 : 연결봉
9 : 식생토 충전공간

Claims (3)

  1. 긴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럭본체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길이방향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부와 이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연결부로 구분되며,
    상기 중심부의 상면에는 하향으로 단층진 상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단층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층면의 양측 각각에는 유실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의 하면에는 상기한 유실방지턱에 걸림되는 상태로 단층면에 안착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는 블럭과 블럭이 좌,우측으로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방지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 양측의 좌,우측 연결부 각각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블럭본체들을 연결봉으로 연결 조립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전,후방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좌,우측 연결부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좌,우측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럭본체의 중심부의 전면에는 상기 좌,우측 배수로를 연결하는 연결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부의 전면에 는 좌,우측 연결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유속감속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심부에는 다른 블럭의 좌,우측 연결부 중 어느 일측 연결부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그 연결부에 형성된 전,후방 연결구멍과 일치하여 연결봉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간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KR1020070072634A 2007-07-20 2007-07-20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KR10088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34A KR100886867B1 (ko) 2007-07-20 2007-07-20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34A KR100886867B1 (ko) 2007-07-20 2007-07-20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08A KR20090009408A (ko) 2009-01-23
KR100886867B1 true KR100886867B1 (ko) 2009-03-04

Family

ID=4048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34A KR100886867B1 (ko) 2007-07-20 2007-07-20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62B1 (ko) 2019-11-22 2020-02-12 박준희 석탄재와 화강토를 이용한 보강토 블럭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532A (ja) 1999-06-03 2000-12-12 Masaaki Yamamoto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56145Y1 (ko) 2004-04-30 2004-07-14 황일성 호안블럭
KR200361687Y1 (ko) 2004-06-15 2004-09-13 김길평 호안블록
KR200386507Y1 (ko) 2005-03-18 2005-06-13 양형권 식생어소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532A (ja) 1999-06-03 2000-12-12 Masaaki Yamamoto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56145Y1 (ko) 2004-04-30 2004-07-14 황일성 호안블럭
KR200361687Y1 (ko) 2004-06-15 2004-09-13 김길평 호안블록
KR200386507Y1 (ko) 2005-03-18 2005-06-13 양형권 식생어소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62B1 (ko) 2019-11-22 2020-02-12 박준희 석탄재와 화강토를 이용한 보강토 블럭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08A (ko) 200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100886867B1 (ko)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645325B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20100030528A (ko) 옹벽의 친환경적인 블럭
KR200228757Y1 (ko) 도시하천의 생태복원구조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200486017Y1 (ko) 에코 식생블록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CN109056760A (zh) 一种坡面防护及绿化装置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446813B1 (ko) 호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수변 식생대의 시공방법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228599Y1 (ko) 호안블록
KR200262761Y1 (ko)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KR102486739B1 (ko)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KR200429329Y1 (ko)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
KR20060004413A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와,이것에 의한 친환경적 호안 축조체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1297151B1 (ko)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200405581Y1 (ko) 호안 블록 및 호안 블록 조립체
KR100620572B1 (ko) 식생형 축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