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761Y1 -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761Y1
KR200262761Y1 KR2020010031496U KR20010031496U KR200262761Y1 KR 200262761 Y1 KR200262761 Y1 KR 200262761Y1 KR 2020010031496 U KR2020010031496 U KR 2020010031496U KR 20010031496 U KR20010031496 U KR 20010031496U KR 200262761 Y1 KR200262761 Y1 KR 200262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iver
concrete block
soil
blo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보
김대하
황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1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761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 제방의 블록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천(10) 경사면(20)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10)의 측면에 하천(10)의 길이 방향으로 지면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부(40)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상부에 다수개의 직육면체형의 콘크리트 블록(70)이 엇갈려 적층되는 콘크리트 블록부(50)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부(50)의 상단에 타설되는 상단 콘크리트부(60)로 이루어지는 하천 제방(30)의 콘크리트 블록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70)은 강현콘크리트로 형성되고, 그 상부면 중앙에는 저면에 관통된 배수홀(71)이 구비되는 사각의 요홈부(72)가 형성되고, 상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앵커홀(73)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앵커홀(73)에 앵커볼트(74)가 삽입 체결되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72) 내부에 토사(75)가 충진되고, 토사(75)에 잔디(76)가 식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식물이나 곤충의 이동통로를 확보하여 생태계를 보호함은 물론,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하천 제방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CONCRETE BLOCK STRUCTURE OF RIVER BANK}
본 고안은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 제방의 블록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우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하천 제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하천 제방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나 곤충 등의 자연 생태계의 이동 통로를 마련하는 하천 제방 도로의 박스형 블록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경사면에는 폭우나 홍수가 있는 경우 유수에 의하여 하천 제방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 제방에 석조나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의 종래의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2)의 측면에 하천(1)의 길이 방향으로 지면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부(4)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4)의 상부에 다수개의 콘크리트 블록(7)이 엇갈려 적층되는 콘크리트 블록부(5)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부(5)의 상단에 타설되는 상단 콘크리트부(6)로 이루어져 하천(1) 경사면(2)의 토사의 유실은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7)을 사용하여 시공하게 되면 콘크리트 블록(7) 사이에 존재하는 좁은 공간에 퇴적되는 토사에는 식물이 서식할 수 있으나,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7) 상부에는 식물이나 곤충 등의 식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7)으로 형성되는 하천 제방(3)이 길면 길수록 식물이나 곤충의 이동 통로가 차단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생태계 파괴의 문제까지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7) 각각에는 어떠한 결합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폭우나 홍수로 약화된 지반으로 인하여 적층된 콘크리트 블록(7)이 이탈되거나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과 배수홀을 마련하고,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이 앵커볼트로 체결되어 콘크리트 블록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을 위한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천 20 : 경사면
30 : 하천 제방 40 : 기초 콘크리트부
50 : 콘크리트 블록부 60 : 상단 콘크리트부
70 : 콘크리트 블록 71 : 배수홀
72 : 요홈부 73 : 앵커홀
74 : 앵커볼트 75 : 토사
76 : 잔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구조는, 하천(10) 경사면(20)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10)의 측면에 하천(10)의 길이 방향으로 지면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부(40)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상부에 다수개의 직육면체형의 콘크리트 블록(70)이 엇갈려 적층되는 콘크리트 블록부(50)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부(50)의 상단에 타설되는 상단 콘크리트부(60)로 이루어지는 하천 제방(30)의 콘크리트 블록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70)은 강현콘크리트로 형성되고, 그 상부면 중앙에는 저면에 관통된 배수홀(71)이 구비되는 사각의 요홈부(72)가 형성되고, 상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앵커홀(73)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앵커홀(73)에 앵커볼트(74)가 삽입 체결되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72) 내부에 토사(75)가 충진되고, 토사(75)에 잔디(76)가 식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을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 중에서 10은 하천, 20은 경사면, 30은 하천 제방, 40은 기초 콘크리트부, 50은 콘크리트 블록부, 60은 상단 콘크리트부, 70은 콘크리트 블록, 71은 배수홀, 72는 요홈부, 73은 앵커홀, 74는 앵커볼트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부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개량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개량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70)의 상부면 중앙에는 저면에 관통된 배수홀(71)이 구비되는 사각의 요홈부(72)가 형성되어 있어, 이 요홈부(72)에 잔디(76)를 식재하기 위한 토사(75)가 충진된다.
이 때, 상기 배수홀(71)은 콘크리트 블록(70)의 저면 중앙에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하천(10) 경사면(20)의 경사각이 급한 경우 콘크리트 블록(70)의 저면 하부에 치우쳐 형성시키는 것이 요홈부(72)로 침수되는 유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요홈부(72)에 식재되는 잔디(76)의 생육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70)에 식재된 잔디(76)는 번식력이 왕성하여 주위의 다른 콘크리트 블록(70)에 충진된 토사(75)에도 그 뿌리를 뻗게 되어 자연적으로 콘크리트 블록구조 양측의 하천(10) 경사면(20)의 자연 환경과 연결되어 식물이나 곤충의 이동통로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70)의 상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앵커홀(73)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앵커홀(73)에 앵커볼트(74)가 삽입 체결되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70)이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 블록(70)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1개의 앵커홀(73)을 형성하였고, 좌우 측면보다 길이 긴 상하 측면에는 각각 2개의 앵커홀(73)을 형성한 후 앵커볼트(74)로 결속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블록(7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켰다.
한편, 본 고안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70)은 고탄소(高炭素)의 피아노선재(線材)에 특수한 열처리를 가한 PC 강선(鋼線)을 넣은 강현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를 사용함으로써 강도와 내균열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콘크리트 블록구조의 시공 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천(10)의 경사면(20) 하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켜 기초 콘크리트부(40)를 시공한다.
그 후,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70)에 형성된 앵커홀(73)에 앵커볼트(74)를 삽입하여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70)를 결합시키면서 적층하여 콘크리트 블록부(50)를 시공한다.
그 다음, 상기 콘크리트 블록(70)에 형성된 요홈부(72)에 토사(75)를 충진한 후, 토사(75)에 잔디(76)를 식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부(40)의 상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켜 상단 콘크리트부(50)를 시공함으로써 하천 제방(30)의 콘크리트 블록구조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천 제방의 콘크리트 블록구조를 사용하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요홈부에 충진된 토사에 의하여 잔디 등의 식물의 생장요건을 마련함은 물론 식물이나 곤충의 이동통로를 확보하여 줌으로써 생태계를 보호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이 앵커볼트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하천 제방의 대홍수시에도 유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천 제방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하천(10) 경사면(20)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10)의 측면에 하천(10)의 길이 방향으로 지면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부(40)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상부에 다수개의 직육면체형의 콘크리트 블록(70)이 엇갈려 적층되는 콘크리트 블록부(50)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부(50)의 상단에 타설되는 상단 콘크리트부(60)로 이루어지는 하천 제방(30)의 콘크리트 블록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70)은 강현콘크리트로 형성되고, 그 상부면 중앙에는 저면에 관통된 배수홀(71)이 구비되는 사각의 요홈부(72)가 형성되고, 상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앵커홀(73)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앵커홀(73)에 앵커볼트(74)가 삽입 체결되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72) 내부에 토사(75)가 충진되고, 토사(75)에 잔디(76)가 식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KR2020010031496U 2001-10-16 2001-10-16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KR200262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96U KR200262761Y1 (ko) 2001-10-16 2001-10-16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96U KR200262761Y1 (ko) 2001-10-16 2001-10-16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761Y1 true KR200262761Y1 (ko) 2002-03-18

Family

ID=7307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96U KR200262761Y1 (ko) 2001-10-16 2001-10-16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7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59B1 (ko) 2006-10-14 2007-06-11 주식회사 삼안 하천제방 누수방지 차수막 설치구조
KR100806621B1 (ko) 2007-08-14 2008-02-25 주식회사 에코탑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2437529B1 (ko) *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59B1 (ko) 2006-10-14 2007-06-11 주식회사 삼안 하천제방 누수방지 차수막 설치구조
KR100806621B1 (ko) 2007-08-14 2008-02-25 주식회사 에코탑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2437529B1 (ko) *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3454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020154950A1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200262761Y1 (ko)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KR100657182B1 (ko) 소하천 계곡 토사유실 방지시설
KR100657181B1 (ko) 하천제방사면 보호를 위한 결속블록 설치구조
JP2002105928A (ja) 護岸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法面工法
KR100245048B1 (ko) 보강토 구조물
KR101173505B1 (ko) 경관블록 사방댐
KR100711602B1 (ko) 십자형 연결말뚝을 이용한 해상 물막이
KR20060108900A (ko)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026278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KR20060004413A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와,이것에 의한 친환경적 호안 축조체
RU2103440C1 (ru)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