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39B1 -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 Google Patents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39B1
KR102486739B1 KR1020210010095A KR20210010095A KR102486739B1 KR 102486739 B1 KR102486739 B1 KR 102486739B1 KR 1020210010095 A KR1020210010095 A KR 1020210010095A KR 20210010095 A KR20210010095 A KR 20210010095A KR 102486739 B1 KR102486739 B1 KR 10248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made
eco
friendly
pair
ecologica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447A (ko
Inventor
강준석
김재경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7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안으로부터 유심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구조물; 및 상기 한 쌍의 연장구조물을 연결하도록 상기 계얀에 접하여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심 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ECO-FRIENDLY SPUR HAVING ECOLOGICAL PATHWAY}
본 발명은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에 관한 것이다.
수제는 물의 흐름방향과 유속을 제어하여 하안 또는 제방을 유수에 의한 침식작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호안 또는 하안 전면부에 설치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수제의 설치목적으로는 하안의 침식 및 호안의 파속방지, 저수로 법선형의 수정 및 유로의 고정, 생태계보전, 경관개선, 주운을 위한 수심확보 등이 있다.
수제는 구조에 따라 투과수재, 불투과수재로 구분되며, 흐름에 대한 방향에 따라 횡수제, 평행수제로 구분되기도 한다.
종래의 수제의 경우 양서류 등의 동물들을 위한 생태통로를 구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생태통로를 확보하여 생태계 보존에 기여하고자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곡의 측방침식을 방지하면서도 생태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 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파도막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계안으로부터 유심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구조물; 및 상기 한 쌍의 연장구조물을 연결하도록 상기 계얀에 접하여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심 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는, 일면이 계안에 접하고 상면이 평평한 구조체; 및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의 타면에 결합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지오폼(geofoam)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 층은 상기 지오폼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계안에 접하게 설치되고 지오폼(geofoam)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에 결합되고, 콘트리트를 함유하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에는 경사진 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블록은 상하로 적층되고, 각각의 제2 블록의 상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구조물의 상면에 식생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식물의 계곡과 땅 사이의 이동 통로 및 서식처가 확보되어 생태계가 보존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가 설치된 계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의 다른 디자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에 지오머티리얼이 사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가 블록형으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100)가 설치된 계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100)는 계곡과 같이 물(W)이 지속적으로 흘러가는 지형에 설치될 수 있다. 수제(100)는 도 1과 같은 직류계류의 계곡에 설치될 수 있다.
수제(100)는 계안(1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수제(100)는 계곡의 좌우 끝, 양 기슭에 설치될 수 있다. 수제(100)의 적어도 일부는 계안(10)으로부터 유심(流心)을 향하여 돌출하게 형성된다. 계곡물 등의 물은 이동하면서 수제(100)에 부딪히게 되고, 물의 흐름(또는 유심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속이 감소될 수 있다.
수제(100)는 양쪽 계안(1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수제(100)는 좌(左) 계안(10), 우(右) 계안(10)에 번갈아(지그재그로) 설치될 수 있다. 좌 계안(10)의 수제(100)와 우 계안(10)의 수제(100)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물은 좌 계안(10)의 수제(100)와 우 계안(10)의 수제(100)에 연속적으로 부딪히고 이에 따라 유속의 급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100)는,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제(100)는 'ㄷ'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구조물(110a, 110b)은 계안(10)으로부터 유심 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구조물(110a, 110b)은 물의 흐름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수제 공작물을 유수에 대한 연장(돌출) 방향에 따라 구분하는 경우, 횡수제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돌출 방향의 각도에 따라, 직각수제(normal spur), 상향수제(inclined spur), 하향수제(declined spu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 간의 거리는 계안(10)에서 유심 측으로 갈수록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상향수제 형태로 구현되고, 다른 하나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은 하향수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 간의 거리는 계안(10)에서 유심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커질 수 있다.
상향수제 형태의 경우 제방 및 호안보호에 양호한 장점이 있고, 직각수제 형태의 경우 길이가 짧고 공사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고, 하향수제의 경우 완류부에서 용수취수구의 유지 등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즉, 각각의 형태에 따른 장단점이 다르므로, 연장구조물(110a, 110b)의 형태는, 수제가 설치되는 지형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구조물(110a, 110b)은 평평한 상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구조물(110a, 110b)에는 식생대(P)가 형성될 수 있다. 식생대(P)에는 생태계 보존 및 경관을 위해 식물(나무, 꽃, 풀 등)이 식재될 수 있다. 식생대(P)는 연장구조물(110a, 110b)의 평평한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식생대(P)는 연장구조물(110a, 110b)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의 다른 디자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구조물(110a, 110b)의 측면에는 통나무, 돌 등의 조경부재(L)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20)는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을 연결하도록 계안(10)에 접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연결부(120)의 일면은 계안(10)에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연결부(120)의 양단으로부터 유심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구조물(110a, 110b)은 계안(10)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구조물(110a, 110b)은 연결부(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구조물(110a, 110b)은 계안(10)에 직접 접하지 않고 연결부(120)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연결부(120)는 유심 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슬로프)(S)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S)은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경사면(S)은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 각각과 접촉될 수 있다. 경사면(S)의 경사 각도는 30도 미만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사면(S)은 양서류 등의 동물, 및/또는 식물의 이동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리는 물과 땅을 오가며 생존하게 되는데, 경사면(S)을 따라 이동하여 물과 땅을 오갈 수 있다. 경사면(S)의 경사 각도가 30도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개구리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기존의 수제(또는 사방 시설물)의 경우, 별도의 생태통로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동식물이 물과 땅을 이동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수제에 따르면 계곡과 보행로(1) 간, 및/또는 계곡과 산지(1) 간 이동통로(F)가 확보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상면이 평평한 구조체(121); 및 경사면(S)을 구비한 경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이 평평한 구조체(121)는 일면이 계안(10)에 접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이 평평한 구조체(121)의 양 끝에 한 쌍의 연장구조물(110a, 110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경사부(122)는 상기 구조체(121)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경사부(122)는 상술한 경사면(S)을 구비할 수 있다.
상면이 평평한 구조체(121) 및 경사부(122) 중 적어도 하나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EGI(Embedded Geomaterial Installation)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20)는 지오머티리얼(geomaterial)로서 지오폼(Geofoam)을 내장할 수 있다. 지오폼은 EPS(발포 폴리스티렌)로 형성될 수 있다. 지오폼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는 잡석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시공의 안전도가 높아질 수 있다.
연결부(120)는 모듈러 형식으로 제작, 시공될 수 있다. 즉, 연결부(120)는 미리 제조된 후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120)에 내장되는 지오폼은 경량 소재이기 때문에 현장까지의 운반비, 현장에서의 제작비가 절약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지오폼과 지오폼을 둘러싸는 콘크리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지오폼과 지오폼을 둘러싸는 지오그리드(geo-grid) 및 콘크리트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소재(또는 지오그리드 및 콘크리트 복합체)는 지오폼을 기초로 타설될 수 있다. 콘크리트 소재(또는 지오그리드 및 콘크리트 복합체)는 지오폼 상에 타설되어 연결부(1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지오폼 상에 지오그리드 및 콘크리트 복합체가 타설되는 경우, 지오폼은 시공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지오그리드는 콘크리트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지오폼 및 지오그리드의 사용은 취성파괴를 저지하고, 위험시에도 천천히 파괴될 수 있는 연성파괴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지진 거동에 있어서 내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연결부(120)가 EGI 공법으로 형성되어 지오폼을 내장하는 경우, 상술한 상면이 평평한 구조체(121) 및 경사부(122) 중 적어도 하나가 지오폼을 내장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층이 상하로 적층되어 연결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층은 지오폼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층은 지오폼과 지오폼을 둘러싸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층은 지오폼과 지오폼을 둘러싸는 지오그리드 및 콘크리트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0)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계안(10)에서 유심 측으로 이어지는 각 층의 길이는, 연결부(120)의 상측으로 갈수록 짧아질 수 있다.
연결부(120)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 층은 유심을 바라보는 면은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의 경사진 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술한 경사면(S)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S)은 생태통로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에 지오머티리얼이 사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20)는 지오폼(130)과 콘크리트 함유 소재(14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지오폼(130)은 계안(10)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이 평평할 수 있다. 콘크리트 함유 소재(140)는 지오폼에 결합되고, 지오폼(130)보다 유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콘크리트 함유 소재(140)의 상면은 평평하여 지오폼(13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함유 소재(140)에는 경사면(S)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가 블록형으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120)는 지오폼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블록(135); 및 제1 블록(135)에 결합되고 콘크리트를 함유하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블록(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135)은 연결부(120)가 소정의 횡단면적을 가지도록 평면 상에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20)가 계안(10)에서 유심 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1 블록(135)이 계안(10)에서 유심 측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 수 있다. 또한, 제1 블록(135)은 연결부(120)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수직으로(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각 제1 블록(135)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록(145)은 제1 블록(135)에 결합되고, 제1 블록(135)의 말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블록(135)의 말단이란, 유심 측으로의 말단을 의미한다.
각각의 제2 블록(145)은 평평한면과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블록(145)의 종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제2 블록(145)의 경사진 면은 모두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2 블록(145)의 경사진 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술한 경사면(S)을 이룰 수 있다.
제1 블록(135)은 지오폼으로 형성되고, 제2 블록(145)은 콘크리트(또는 지오그리드 및 콘크리트 복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블록(145)은 상하로 적층되되,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블록(145)의 평평한 상면에는 끼움홈(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끼움돌기(B)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B)와 끼움홈(A)은 서로 대응되고, 끼움돌기(B)는 끼움홈(A)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끼움홈(A)과 끼움돌기(B)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각각의 경사진 면이 서로 이어져 하나의 경사면(S)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끼움돌기(B)나 끼움홈(A)이 각각 두 개로 제시되어 있으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블록(135) 역시 제2 블록(145)과 마찬가지로 서로 끼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블록(135)에도 별도의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블록(145)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블록(145')에 끼워진다. 즉,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블록(145)의 끼움돌기(B)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블록(145')의 끼움홈(A')에 끼움결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블록(145')의 끼움돌기(B')는 또 다른 제2 블록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블록들은 상하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측의 제2 블록(145)의 경사진 면과, 하측의 제2 블록(145')의 경사진 면은 서로 연결되어, 서로 이어지는 경사면(S)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블록들이 서로 결합되어 서로 이어지는 경사면(S)을 형성할 수 있고, 경사면(S)은 생태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10a, 110b: 연장구조물
120: 연결부
S: 경사면
F: 생태통로
121: 구조체
122: 경사부
130: 지오폼
140: 콘크리트 함유 소재
135: 제1 블록
145: 제2 블록
A: 끼움홈
B: 끼움돌기
P: 식생대

Claims (7)

  1. 계안으로부터 유심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구조물; 및
    상기 한 쌍의 연장구조물을 연결하도록 상기 계안에 접하여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심 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계안에 접하게 설치되고, 지오폼(geofoam)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전방에 결합되고, 콘크리트를 함유하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 각각은, 평평한 상하면과 경사진 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 각각의, 상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블록이 상하로 적층됨에 있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각각의 경사진 전면이 이어져 상기 경사면을 이루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30도 미만인,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구조물의 외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구조물의 외측면에 통나무, 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경부재가 결합되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구조물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구조물 간의 거리는 상기 계안에서 상기 유심 측으로 갈수록 동일한,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구조물의 후면 전체 및 상기 제1 블록의 후면 전체는 상기 계안에 접촉되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끼움돌기는 각각 복수로 형성되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구조물의 상면에 식생대가 형성되는,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KR1020210010095A 2021-01-25 2021-01-25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KR10248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95A KR102486739B1 (ko) 2021-01-25 2021-01-25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95A KR102486739B1 (ko) 2021-01-25 2021-01-25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47A KR20220107447A (ko) 2022-08-02
KR102486739B1 true KR102486739B1 (ko) 2023-01-09

Family

ID=8284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095A KR102486739B1 (ko) 2021-01-25 2021-01-25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7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639B1 (ko) * 2006-05-18 2006-12-21 대건엔지니어링(주) 하천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914A (ko) * 2018-07-17 2020-01-29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다층 구조 경량부재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상부 하중 저감 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한 다층 구조 경량부재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상부 하중 저감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639B1 (ko) * 2006-05-18 2006-12-21 대건엔지니어링(주) 하천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47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102486739B1 (ko)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KR200426893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US20050158122A1 (en) Method for contructing check dam or fire prevention dam using gear-type block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664705B1 (ko)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23653B1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KR102276932B1 (ko) 세굴 보호 및 생태 복원용 호안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호안 구조물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150031002A (ko)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200395276Y1 (ko) 하상 보호용 블록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JP2001011840A (ja) 土木構造物用三角柱枠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603498B1 (ko) 택지에 인접하는 비탈면용 제방의 하천에서 유수 보호구조물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100886867B1 (ko)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KR200262761Y1 (ko)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KR200219575Y1 (ko) 축조용 조립식 격자블록의 구조
RU2746135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эрозио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экологических троп горных зон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200461503Y1 (ko) 식생 호안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