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806B1 -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 Google Patents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806B1
KR100886806B1 KR1020070009401A KR20070009401A KR100886806B1 KR 100886806 B1 KR100886806 B1 KR 100886806B1 KR 1020070009401 A KR1020070009401 A KR 1020070009401A KR 20070009401 A KR20070009401 A KR 20070009401A KR 100886806 B1 KR100886806 B1 KR 10088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leaves
tea
phytoncide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327A (ko
Inventor
송정용
Original Assignee
송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용 filed Critical 송정용
Priority to KR102007000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잎 추출물 유래의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백차, 편백차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백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이용한 기호식품인 편백차를 제공함으로써 살균 항균, 스트레스 완화, 기관지, 천식, 비염, 알레르기, 불면증, 우울증, 고혈압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노출된 현대인이 생체 내 부작용이나 독성 없이 음용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편백잎, 편백차, 티백, 피톤치드

Description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Method of producing Hinoki cypress tea containing phytoncide and Hinoki cypress tea produced by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백차를 제조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스턴트용 티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편백잎 추출물 유래의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백차, 편백차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문화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정서적, 육체적 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등으로 체력의 저하를 느끼며 살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최근에 건강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한편으로, 인체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흡수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런 사실들에 착안하여 여러 회사들은 우리가 늘 음용하는 물에 상기와 같은 스트레스 해소 또는 쇠약한 신체의 일부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기능성 효과 를 낼 수 있도록 다양한 한방 재료들을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으며, 이런 제품들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이 언제 어디서든 간단히 뜨거운 물만 부어서 마실 수 있도록 제작된 인스턴트용 차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는 가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보리차, 녹차, 둥글레차 이외에 아로마세라피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허브차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보리차는 구수한 맛 외에도 물 속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녹차는 소화를 늦추어주는 효과가 있어 변비 및 다이어트용으로 음용되고 있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 나무는 피톤치드라는 성분을 공기 중에 발산한다. 피톤치드(phytoncide)란 식물이 해충이나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만들어 내는 살균성 물질의 총칭이다. 피톤치드의 주요성분은 테르펜(terpene)류 화합물로 이들은 독특한 방향성을 가지며, 심폐기능 강화, 혈관기능 강화, 호흡기 강화 및 피부살균 작용 등 여러가지 산림욕 효과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테르펜은 다수의 이소프렌(isoprene, C5H8)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탄화수소의 일종으로, 식물은 일반적으로 태양에너지의 광합성작용을 통하여 0.01∼5% 가량의 테르펜을 합성한다.
일반적으로 테르펜은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또는 추출법을 통하여 정유(essential oil)의 형태로 얻어진다.
피톤치드의 방출량과 그에 함유된 성분은 수목마다 다르며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는 인간에게 사용할 경우 스트레스 완화, 항균, 소취 및 유해물질 중화, 진정작용 및 쾌적효과,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그리고 면역기능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하므로, 오늘날과 같이 각종 오염 및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는 무엇보다 그 활용이 기대되고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피톤치드를 일상적으로 음용하는 차에 적용하여 상기 피톤치드의 효능을 발휘하는 편백차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스 완화작용, 강한 항균작용, 소취작용 및 유해물질 중화,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 질환 개선 작업, 면역기능 증대 작업 효능을 갖는 편백잎 추출물 유래의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잎을 가공하여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백잎 추출물 유래의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공한다.
편백잎은 스트레스 완화, 항균, 소취 및 유해물질 중화, 진정작용 및 쾌적효과,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그리고 면역기능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피톤 치드를 함유한다. 피톤치드(phytoncide)는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식물)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cide(살인자)를 합성한 말로서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물"을 의미한다. 모든 식물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물들과 달리 이동할 수 없어 자기 방어를 하는 물질을 만드는데, 이러한 피톤치드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등에서 특히 많이 추출되며 방향성이 있는 항생물질의 총칭을 피톤치드라 하며 테르핀(terpene) 계통의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최근에 많이 각광받고 있는 산림욕이란 피톤치드가 휘산되어 있는 상태의 대기에 인간이 접하는 것으로서, 피톤치드가 주목받는 이유는 해충, 병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는 치명적인 제거 역할을 하지만 인간에게는 유익하기 때문이다. 또한, 피톤치드의 효능은 크게 6가지 효능을 갖는데, 스트레스 완화작용, 강한 항균작용, 소취작용 및 유해물질 중화,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 질환 개선 작업, 면역기능 증대 작업 효능을 갖는다.
먼저, 스트레스 완화 작용과 관련하여, 피톤치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작용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쥐에게 스트레스를 높인 뒤, 소나무, 잣나무, 편백나무 및 화백나무를 포함하는 4종의 침엽수 정유를 기화시켜 흡입시킨 후,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결과, 편백 피톤치드는 코르티솔 농도를 절반 이하로 감소시키는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항균 및 살균 효과와 관련하여, 피톤치드는 리스테리아균, 포도상구균, 캔디다균,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미생물 억제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취작용 및 유해물질 중화와 관련하여, 신축건물 입주시 두통, 눈과 목의 따가움, 아토피 피부염 및 비염 등 각종 알러지성 질환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 등 유기화합물을 중화시켜 청정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 준다.
알레르기 및 피부 질환 개선과 관련하여, 피톤치드는 아토피 피부염과 알러지의 원인 중 하나인 집먼지 진드기 생육을 저해한다.
또한, 피톤치드가 수험생의 학습 능력에 있어서 기억력과 집중력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실험 결과 입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인체에 흡입된 편백향은 뇌파 중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세타파와 알파파를 증가시켜 뇌기능 상태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상태로 유지하여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진정 작용을 높혀줌으로써 안정된 상태와 쾌적한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백차에서, 상기 편백차는 티백 형태일 수 있다. 직장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하는 일반 직장인에게는 티백과 같은 휴대 용기에 포장함으로써 마시기에 편리하도록 티백 형태의 편백차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백차에서, 상기 편백잎 추출물은 세척된 편백잎을 10~15 mm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편백잎을 200~350℃에서 3~5분간 증기로 찌는 증열 단계; 및 상기 증열 단계를 거친 편백잎을 30~40℃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2차로 동결 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된 편백잎을 10~15 mm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편백잎을 200~350℃에서 3~5분간 증기로 찌는 증열 단계;
상기 증열 단계를 거친 편백잎을 30~40℃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2차로 동결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편백잎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포장 단계는 물 투과성 기공을 가진 티백 내부에 상기 건조된 편백잎을 포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세척된 편백잎을 10~15 mm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편백잎을 200~350℃에서 3~5분간 증기로 찌는 증열 단계;
상기 증열 단계를 거친 편백잎을 30~40℃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2차로 동결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편백잎을 물 투과성 기공을 가진 티백 내부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편백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백차는 티백 형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편백차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차를 제조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편백잎을 채취한다. 편백잎의 채취는 7~8월 중이 적당하다. 편백잎은 마르기 전인 7월 중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채취된 편백잎은 그늘에 장기간 말린 뒤에 잡물을 깨끗이 제거하기 위해 세척한다.
세척된 편백잎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 15 mm 정도로 절단한다. 너무 잘게 절단하면 물에 침출시 티백 포장을 빠져나올 수 있으며, 너무 크면 티백 포장에 담기에 불편하다.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편백잎은 증열(蒸熱) 과정을 거친다. 증열 과정은 편백잎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시킴으로서 편백잎을 부드럽게 하고, 편백잎의 세포막을 파괴시켜 냉수에서도 가용성 성분들이 빠른 시간에 잘 우러나도록 한다. 이를 위해, 200~350℃에서 약 3~5분 정도 증기를 쪼이도록 처리한다.
증열 처리된 편백잎은 1차 건조과정을 거친다. 이 건조과정은 30~40℃에 약 1~2시간 정도 실시된다. 상기 증열 과정을 거친 편백잎은 고온 상태이며,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수분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보존시 품질이 변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단계에서는 고온의 편백잎을 열풍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추어 주면서 수분함량 10~15%를 유지한다.
건조과정 후 가공된 2차 건조를 실시한다. 본 건조과정에서는 식품의 맛, 향,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결건조 방식을 이용한다. 동결건조는 원료를 -35℃ 이하의 온도로 급속히 동결시킨 후, 0.1~1.0 기압의 진공로에서 수분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첨단 방법이다. 동결건조를 하면 맛이나 영양, 효소 등의 파괴가 적고 흡수율도 좋으며 복원성이 빠르고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편백잎은 포장 용기에 포장한다. 포장 용기는 녹차와 같은 일반적인 차를 포장하는 일반적인 용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된 편백잎은 인스턴트용 티백(Tea bag)에 포장된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스턴트용 티백을 나타낸 것으로, 재질로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쉽게 외부로 우러나면서도 내부의 고형물이 외부로 잘 빠져나가지 않는 기공을 가진 면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한다. 티백은 상기 면포 또는 부직포로 구성된 수용포대(10)와 끈(20)으로 연결된 라벨(30)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에 물을 붓고 상기 수용포대(10)를 물 속에 잠기도록 위치시킨 후 충분히 수용포대 속의 내용물이 우러나면 끈으로 연결된 라벨(30)을 이용해 수용포대를 꺼낸다. 대안으로, 티백포장은 상기 면포 또는 부직포로 구성된 수용포대만으로 제조되어 보리차와 같이 끊는 물에 넣어 침출시킨 후 음용할 수 있다.
인스턴트용 수용포대(10) 한 개에 들어가는 편백잎은 약 1.0 ~ 2.0g 이 바람직하다. 편백잎차의 1회 복용량은 10 ~ 20g이 적당하지만, 상기의 동결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면 편백잎의 양은 약 1/10 정도로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편백잎 티백차를 음용하는 방법은, 적당량의 끊는 물을 용기에 붓고, 편백잎이 들어있는 수용포대(10)를 물에 잠기도록 한다. 소정시간이 지나면 수용포대에 들어 있던 편백잎으로부터 침출수가 나오기 시작하고 물의 색깔은 연한 녹색으로 변한다. 물 색깔이 변하면 그 상태로 수용포대를 흔들어 침출 반응을 가속시키거나, 잠시 그대로 두어 색이 완전히 퍼지면 수용포대를 제거하고 마시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백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이용한 기호식품인 편백차를 제공함으로써 살균 항균, 스트레스 완화, 기관지, 천식, 비염, 알레르기, 불면증, 우울증, 고혈압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노출된 현대인이 생체 내 부작용이나 독성 없이 음용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뜨거운 물에 상기 티백 포장된 편백잎을 넣고 침출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차로 음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세척된 편백잎을 10~15 mm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편백잎을 200~350℃에서 3~5분간 증기로 찌는 증열 단계; 및 상기 증열 단계를 거친 편백잎을 30~40℃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2차로 동결 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편백잎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편백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차는 티백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차.
  3. 삭제
  4. 세척된 편백잎을 10~15 mm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편백잎을 200~350℃에서 3~5분간 증기로 찌는 증열 단계;
    상기 증열 단계를 거친 편백잎을 30~40℃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2차로 동결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편백잎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단계는 물 투과성 기공을 가진 티백 내부에 상기 건조된 편백잎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KR1020070009401A 2007-01-30 2007-01-30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KR10088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401A KR100886806B1 (ko) 2007-01-30 2007-01-30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401A KR100886806B1 (ko) 2007-01-30 2007-01-30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27A KR20080071327A (ko) 2008-08-04
KR100886806B1 true KR100886806B1 (ko) 2009-03-04

Family

ID=3988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401A KR100886806B1 (ko) 2007-01-30 2007-01-30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29B1 (ko) * 2012-08-20 2012-11-21 조원교 편백 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26A1 (ko) * 2011-12-02 2013-06-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3544B1 (ko) * 2013-04-05 2013-07-15 이종균 편백잎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용 티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티백
KR101879596B1 (ko) * 2017-04-12 2018-07-1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편백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15A (ko) * 1996-10-29 1998-07-25 배영민 측백열매를 이용한 성인병 예방용 조성물 및 그 음료의 제조방법
KR20020003795A (ko) * 2000-07-08 2002-01-15 김종민 편백잎을 이용한 천연 향신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28826A (ko) * 2004-09-30 2006-04-04 김귀례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KR100645462B1 (ko) * 2005-10-17 2006-11-14 박영희 헛개나무추출액과 편백유 및 오징어먹물 혼성두부와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15A (ko) * 1996-10-29 1998-07-25 배영민 측백열매를 이용한 성인병 예방용 조성물 및 그 음료의 제조방법
KR20020003795A (ko) * 2000-07-08 2002-01-15 김종민 편백잎을 이용한 천연 향신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28826A (ko) * 2004-09-30 2006-04-04 김귀례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KR100645462B1 (ko) * 2005-10-17 2006-11-14 박영희 헛개나무추출액과 편백유 및 오징어먹물 혼성두부와 그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29B1 (ko) * 2012-08-20 2012-11-21 조원교 편백 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27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1148A (ko)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101943522B1 (ko)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KR101075779B1 (ko) 천연 살균 탈취제
CN104705358A (zh) 一种灭菌消毒剂及其制作方法和用途
CN104094977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11714543A (zh) 一种具有杀菌功效的本草精油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886806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차
KR100803342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편백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백 음료
KR20190058851A (ko) 식물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성 위생조성물
KR101596919B1 (ko) 해충 방지용 천연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1877B1 (ko) 나무 추출액이 코팅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Gallo et al. Applications of chitosan as a functional food
KR101430706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JP6829510B1 (ja) 低温蒸し器、6段冷却装置及び低温真空圧力タンクを用いたエッセンシャルウォーター及び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の抽出方法、これを用いたエマルジョンウォーターの製造方法
KR100431756B1 (ko) 솔잎을 이용한 참조기의 가공 방법
CN108576217A (zh) 一种大米防虫方法及其防虫剂
KR20120017520A (ko) 식품용 솔잎차 및 건강식품용 솔잎분말제조방법
KR101710144B1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있는 천연허브 세제 조성물
KR101573259B1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피혁 및 그 제조방법
CN104413075A (zh) 橱柜防霉剂
CN106359558A (zh) 一种樱桃天然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101357168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토시 및 그 제조방법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