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212B1 -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212B1
KR100885212B1 KR20020052819A KR20020052819A KR100885212B1 KR 100885212 B1 KR100885212 B1 KR 100885212B1 KR 20020052819 A KR20020052819 A KR 20020052819A KR 20020052819 A KR20020052819 A KR 20020052819A KR 100885212 B1 KR100885212 B1 KR 10088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ylinder
roller support
support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5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225A (ko
Inventor
최동영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02005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2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63Bell-type furnaces
    • C21D9/673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bell-type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출장치는, 선행스트립과 후행스트립의 미압연된 스트립의 톱부를 시어로 절단하여 배출 처리하는 장치에서, 상기 스트립의 이동라인에 설치된 상부베이스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받침대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의 우측을 승하강시키는 상부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된 상부푸쉬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스트립을 좌측으로 밀어내는 상부가이드롤러로 구성되는 배출부; 및 지면에 설치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 위에 설치된 파렛트 적치대와, 상기 파렛트 적치대에 힌지 고정된 좌측이 우측에 설치된 인계용 실린더에 의해 힌지 회동하고 상기 배출부에 대향되는 측면에 수직으로 스톱퍼가 세워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위에 안착되고 일측에 지게차의 지게날이 삽입할 수 있는 지게날 삽입구가 형성되는 파렛트로 구성되는 인계부를 포함한다.
소둔로, 스트립의 미압연부, 시어, 지게차, 파렛트

Description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Apparatus for withdrawing cutting strip of non-pressing}
도 1은 일반적인 통판 작업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지게차 CR : 지게날
S : 절단된 스트립 13 : 상부베이스
17 : 상부롤러받침대 21 : 상부아이들롤러
25 : 상부푸쉬실린더 29 : 상부가이드롤러
35 : 상부승하강실린더 43 : 작동실린더
45 : 파렛트 적치대 47 : 받침판
49 : 파렛트 51 : 고정축
53 : 이동축 55 : 롤러
57a,57b : 지지프레임 59 : 연결축
61 : 인계용 실린더 67 : 콘트롤패널
본 발명은 소둔라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속 소둔을 위해 소둔작업전에 상호 용접될 스트립의 미압연부를 제거한 후 배출 유도하는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열연코일이나 냉연코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여러 공정을 거치게 되는 데, 각 공정의 입측에는 스트립의 연속적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행 스트립의 선단과 후행 스트립의 후단을 용접하여 연결시키는 용접라인이 설치된다.
이러한 용접라인에서 용접된 스트립은 소둔로에서 정해진 소둔공정을 거친 후 소둔로의 출측에서 강종에 따라 시어(shear)하여 시편과 스크랩으로 분리하고 있다.
또한 소둔공정 이전에 스트립의 압연시 통판 유도를 위해 발생된 스트립의 미압연부를 시어한 후 선행 스트립과 후행 스트립을 용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냉연공장 소둔라인에서 스트립 톱부의 미압연부를 별도의 두 페이스오프릴(1,3)에서 통판시켜 각각의 패스라인의 미압연부 제거구간 진입시 시어(5,7)로 절단한 후 소둔로로 통판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종래에는 절단된 미압연부 스트립을 진공으로 8미터(M)정도 제거하고, 제거된 스크랩을 낱장으로 이송함으로써 제거시간 및 이송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
또한 입측 루퍼 저장량 저하로 생산라인의 멈춤이 자주 발생되어 로내 스크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작업능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절단된 미압연부 스트립을 낱장으로 제거하지 않고 많은 량의 스크랩을 한꺼번에 이송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랩 처리시간 과다로 인한 라인 생산성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출장치는, 선행스트립과 후행스트립의 미압연된 스트립의 톱부를 시어로 절단하여 배출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이동라인에 설치된 상부베이스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받침대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의 우측을 승하강시키는 상부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된 상부푸쉬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스트립을 좌측으로 밀어내는 상부가이드롤러로 구성되는 배출부; 및 지면에 설치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 위에 설치된 파렛트 적치대와, 상기 파렛트 적치대에 힌지 고정된 좌측이 우측에 설치된 인계용 실린더에 의해 힌지 회동하고 상기 배출부에 대향되는 측면에 수직으로 스톱퍼가 세워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위에 안착되고 일측에 지게차의 지게날이 삽입할 수 있는 지게날 삽입구가 형성되는 파렛트로 구성되는 인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출부는,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이 하부베이스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롤러받침대와, 상기 하부롤러받침대의 우측을 승하강시키는 하부승하강실린더와, 상기 하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된 하부푸쉬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스트립을 좌측으로 밀어내는 하부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계부는, 상기 장착대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축 상에 힌지 설치되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고정되는 이동축의 양끝에 설치된 롤러와, 상기 이동축에 삽입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축에 삽입된 지지프레임이 연결축을 중심으로 교차 결합되며, 상기 파렛트 적치대가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와 하부롤러받침대의 위치로 높낮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받침대 및 하부롤러받침대의 상면에 각각에 상기 아이들롤러가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아이들롤러의 측방에 위치한 지지틀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틀에 푸쉬실린더의 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푸쉬실린더의 몸체는 상기 상부롤러받침대 및 하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판 작업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 명에 따른 인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배출된 스트립을 받아내었다가 지게차로 스트립을 인계하는 인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출부는 제1스트립이동라인(9)과 제2스트립이동라인(11)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베이스(13) 및 하부베이스(15)와, 이들 각각의 베이스(13,15)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받침대(17) 및 하부롤러받침대(19)와, 이들 각각의 상부롤러받침대(17)와 하부롤러받침대(19)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아이들롤러(21) 및 하부아이들롤러(23)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17)와 하부롤러받침대(19)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푸쉬실린더(25) 및 하부푸쉬실린더(27)와, 이들 상부푸쉬실린더(25) 및 하부푸쉬실린더(27)에 의해 상기 상부롤러받침대(17) 및 하부롤러받침대(19)에서 이동하는 상부가이드롤러(29) 및 하부가이드롤러(31)로 구성된다.
배출부는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33)에 제1스트립이동라인과 제2스트립이동라인에 해당하는 상부와 중간부분에 상부베이스(13) 및 하부베이스(15)가 설치된다. 각각의 베이스(13,15)에는 동일한 부품이 사용되어 동일한 기능을 나타냄으로 상부베이스(13)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부롤러받침대(17)는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부베이스(13)의 좌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회동을 위하여 상부베이스(13)의 우측 상면에는 힌지 고정된 복수개의 상부승하강실린더(35)가 설치된다.
이들 상부승하강실린더(35)의 로드 끝은 상부롤러받침대(17)의 하면에 힌지 고정되며, 로드의 확장 및 축소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부감지센서(35a) 및 하부감지센서(35b)가 설치된다.
상부롤러받침대(17)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상부아이들롤러(21)가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상부아이들롤러(21)의 측방에는 지지틀(37)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가이드롤러(21)가 설치되며, 지지틀(37)에 상부푸쉬실린더(25)의 로드가 고정된다.
상부푸쉬실린더(25)의 몸체는 상부롤러받침대(17)의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인계부는 장착대(41)에 설치된 작동실린더(43)에 의해 상기의 상부롤러받침대(17)와 하부롤러받침대(19)의 높이로 승하강되는 파렛트 적치대(45)와, 이 파렛트 적치대(45)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47)과, 받침판(47)에 안착되는 파렛트(49)로 구성된다.
여기서 장착대(41)는 그 상면에 복수개의 작동실린더(43)가 설치되는 바, 작동실린더(43)의 몸체는 장착대(41)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축(51) 상에 힌지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실린더(43)의 로드 끝에는 이동축(53)이 고정되고, 이동축(53)의 양끝에는 롤러(55)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축(53)에 삽입된 지지프레임(57a)은 고정축(51)에 삽입된 지지프레임(57b)과 함께 "X" 자로 모양으로 교차된 후, 연결축(59)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실린더(43)의 확장 및 축소에 의해 지지프레임(57a,57b)의 높이가 달라진 다.
이러한 지지프레임(57a,57b)의 상단에는 파렛트 적치대(45)가 고정된다. 파렛트 적치대(45)는 그 상면에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 인계용 실린더(61)가 힌지 고정되고, 이 인계용 실린더(61)의 로드 끝에는 상기한 받침판(47)이 힌지 고정된다.
받침판(47)은 좌측이 파렛트 적치대(45)의 좌측에 힌지 고정됨에 따라, 인계용 실린더(61)의 확장 및 축소에 의해 좌측으로 기울기를 달리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판(47)은 배출부를 향한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가이드측판(63)과 스톱퍼(65)가 설치되어 배출된 절단 스트립(S)이 파렛트(49) 위에 적치 가능토록 한다. 즉, 가이드측판(63)은 받침판(47)의 길이 방향 양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스톱퍼(65)는 배출부의 대향되는 측면에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파렛트(49)의 측면에는 지게차의 지게날이 진입할 수 있는 삽입구(49a)가 복수개 형성되어 파렛트(49) 위에 적치된 절단 스트립(S)을 파렛트(49)와 함께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계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작동실린더(43)와 인계용 실린더(61)에는 각각 제1감지센서(61a) 및 제2감지센서(61b)가 설치되고, 이들 복수개의 감지센서(61a,61b)를 비롯한 상기한 상부감지센서(35a) 및 하부감지센서(35b)는 콘트롤패널(67)에 연결된다.
콘트롤패널(67)은 각 실린더와 연결된 에어라인의 에어조절밸브와 접속되어 조절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실린더로 공급되는 에어량을 조절함으로써 실린더의 확장 및 축소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트립이송라인(9)에 위치한 제1페이스오프릴(1)에서 풀린 스트립은 미압연된 스트립의 톱부가 상부에 위치한 상부아이들롤러(21) 및 상부가이드롤러(29)를 타고 상부롤러받침대(17)로 진입되고, 진입이 종료되면 제1시어(5)가 스트립의 미압연부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되는 순간, 콘트롤패널(67)에서의 작업제어에 의해 상부승하강실린더(35)는 상부감지센서(35a)에 감지될 때까지 확장하게 된다. 이때 인계부의 인계용 실린더(61)도 제1감지센서(61a)에 감지될 때까지 확장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상부아이들롤러(21)의 상면과 받침판(47) 위의 파렛트(49) 상면이 동일한 기울기로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승하강실린더(35)는 절단된 스트립의 우측을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상부승하강실린더(35)와 인계용 실린더(61)의 확장이 종료되면, 상부푸쉬실린더(25)가 확장되어 상부가이드롤러(29)를 상부롤러받침대(17)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절단된 스트립이 우측이 승강된 상태에서 상부푸쉬실린더(25)가 절단된 스트립의 우측을 푸쉬하기 때문에 절단된 스트립은 절단된 스트립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 배출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상부아이들롤러(29)에 안착된 상태의 절단 스트립은 파렛트(49) 위로 배출된다.
배출된 절단 스트립(S)은 가이드측판(63)에 안내되고 스톱퍼(65)에 의해 멈춰진다.
그리고 전술한 순서대로 작동된 상부승하강실린더(35), 인계용실린더(61) 및 상부푸쉬실린더(25)는 콘트롤패널(67)의 작동제어에 따라 원위치로 축소 작동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게차(C)가 접근하여 지게날(CR)을 삽입구(49a)로 삽입하여 파렛트(49)를 견인하여 인출한다. 이에 따라 파렛트(49) 위에 적치된 절단 스트립(S)도 함께 인출된다.
한편, 제2스트립이동라인(11)으로 진입한 스트립의 톱부는 하부아이들롤러(23)와 하부가이드롤러(31)를 타고 하부롤러받침대(19) 위로 통판된다. 이와 동시에 인계부의 작동실린더(43)의 로드가 일측에 위치한 감지센서에 감지될 때까지 확장함에 따라 파렛트 적치대(45)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낮아진 파렛트 적치대(45)는 하부롤러받침대(19)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통판된 스트립의 톱부에 해당하는 미압연부는 제2시어(7)에 의해 절단된다. 이때 하부승하강실린더 및 인계용 실린더(61)가 확장됨에 따라 파렛트 적치대(45)와 하부롤러받침대(19)는 동일한 기울기면에 위치하게 되고, 하부푸쉬실린더(27)의 확장에 의해 절단 스트립(S)은 파렛트(49) 위에 배출된다.
배출된 절단 스트립(S)은 가이드측판에 안내되고 스톱퍼에 의해 멈춰진다.
그리고 전술한 순서대로 작동된 하부승하강실린더, 인계용실린더(61) 및 하부푸쉬실린더(27)는 콘트롤패널(67)의 작동제어에 따라 원위치로 축소 작동된다.
이 상태에서 지게차(C)가 접근하여 지게날(CR)을 삽입구로 삽입하여 파렛트(49)를 견인하여 인출한다. 이에 따라 파렛트(49) 위에 적치된 절단 스트립(S)도 함께 인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된 미압연부 스트립을 낱장으로 제거하지 않고 파렛트에 적치된 상태에서 파렛트를 지게차로 한꺼번에 인출함으로써 많은 량의 스크랩을 한꺼번에 이송처리할 수 있어 스트랩 처리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둔라인의 미압연부 처리시 낮았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행스트립과 후행스트립의 미압연된 스트립의 톱부를 시어로 절단하여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이동라인에 설치된 상부베이스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받침대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의 우측을 승하강시켜 상기 절단된 스트립의 우측을 승하강시키는 상부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된 상부푸쉬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스트립을 상기 절단된 스트립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밀어내는 상부가이드롤러로 구성되는 배출부; 및
    지면에 설치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 위에 설치된 파렛트 적치대와, 상기 파렛트 적치대에 힌지 고정된 좌측이 우측에 설치된 인계용 실린더에 의해 힌지 회동하고 상기 배출부에 대향되는 측면에 수직으로 스톱퍼가 세워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위에 안착되고 일측에 지게차의 지게날이 삽입할 수 있는 지게날 삽입구가 형성되는 파렛트로 구성되는 인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이 하부베이스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롤러받침대와, 상기 하부롤러받침대의 우측을 승하강시키는 하부승하강실린더와, 상기 하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된 하부푸쉬실린더의 로드 끝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스트립을 좌측으로 밀어내는 하부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계부는,
    상기 장착대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축 상에 힌지 설치되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로드 끝에 고정되는 이동축의 양끝에 설치된 롤러와, 상기 이동축에 삽입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축에 삽입된 지지프레임이 연결축을 중심으로 교차 결합되며,
    상기 파렛트 적치대가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받침대와 하부롤러받침대의 위치로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받침대 및 하부롤러받침대의 상면에 각각에 상기 아이들롤러가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아이들롤러의 측방에 위치한 지지틀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틀에 푸쉬실린더의 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푸쉬실린더의 몸체는 상기 상부롤러받침대 및 하부롤러받침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KR20020052819A 2002-09-03 2002-09-03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KR10088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52819A KR100885212B1 (ko) 2002-09-03 2002-09-03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52819A KR100885212B1 (ko) 2002-09-03 2002-09-03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225A KR20040021225A (ko) 2004-03-10
KR100885212B1 true KR100885212B1 (ko) 2009-02-24

Family

ID=3732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52819A KR100885212B1 (ko) 2002-09-03 2002-09-03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1673A (zh) * 2020-08-28 2020-12-01 优钢新材料科技(湖南)有限公司 一种全自动恒温热处理生产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48A (ko) * 1995-07-10 1997-02-21 강필종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용액중의 반응물을 산화/환원하기 위한 사이클론 전해조와 그 운전방법
JPH11139550A (ja) * 1997-10-31 1999-05-25 Nichiha Corp パネル状搬送物の搬送装置
KR20000004328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
KR20010064199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20020041077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스트립 샘플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48A (ko) * 1995-07-10 1997-02-21 강필종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용액중의 반응물을 산화/환원하기 위한 사이클론 전해조와 그 운전방법
JPH11139550A (ja) * 1997-10-31 1999-05-25 Nichiha Corp パネル状搬送物の搬送装置
KR20000004328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
KR20010064199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20020041077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스트립 샘플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225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212B1 (ko) 미압연부 절단 스트립의 인출장치
US4510783A (en) Changing rolls in six-high roll stand
JP3332938B2 (ja) 積み紙交換装置
JPS63156611A (ja) クランクシヤー
US61454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annealing step of a galvannealing process
EP3849724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with automatic removal of separating foil and method thereof
US2278140A (en) Pack handling apparatus
JP5807472B2 (ja) 厚鋼板剪断により生じたスクラップ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KR100506410B1 (ko)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JP2933873B2 (ja) パイル自動交換時に印刷枚葉紙をスタックする装置
KR20010064199A (ko)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0885211B1 (ko) 코일 시편 인출장치
KR100518279B1 (ko) 시편 자동 채취 장치
JP2545331B2 (ja) スリッタにおける満巻ロ―ル取出し巻芯供給装置
CN210279870U (zh) 一种素铁皮的自动检测与剔除系统
JP2006056675A (ja) 板材の合紙セット装置
CA21826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the orientation of workpieces
JP2772113B2 (ja) 波形シート取り出し送り込み装置及びその方法
EP1281646B1 (en) Machine for separating a desired number of metal sheets from a master pack
CN115591942A (zh) 一种esp轧线事故快速处理工艺
JPH0663980A (ja) カレンダ成形機
KR100897776B1 (ko) 후프 권취기의 후프코일 분리 인출장치
KR100815791B1 (ko) 코일의 내경 불량부 절단장치
KR100815725B1 (ko) 코일의 외권부 풀림방지 및 선단부 오프닝장치
KR200277623Y1 (ko) 신문용지 자동 준비기계의 폐지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