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728B1 -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728B1
KR100883728B1 KR1020070118620A KR20070118620A KR100883728B1 KR 100883728 B1 KR100883728 B1 KR 100883728B1 KR 1020070118620 A KR1020070118620 A KR 1020070118620A KR 20070118620 A KR20070118620 A KR 20070118620A KR 100883728 B1 KR100883728 B1 KR 10088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ount
frame
bracket
vehicle
mou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범퍼의 연결과 동시에 바디 마운트 브라켓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11)를 따라 형성된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연결용 브라켓(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일 측에는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브라켓(14)이 “ㄷ”의 형상 구조로 형성되어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를 제공한다.
차량 프레임,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Description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Body mount bracket connecting structure of frame vehicles}
본 발명은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범퍼의 연결과 동시에 바디 마운트 브라켓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바디와 새시로 구분되며 상기 바디는 차실과 적재함 등으로 이루어져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차량의 외장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새시는 차량에서 바디부분을 제외한 것으로, 차량의 골격에 해당되는 프레임을 위시하여 이 프레임에 엔진 등 주행에 필요한 일체의 장치가 장착된 것을 말한다.
상기 프레임은 바디에서 전달되는 하중, 전후 차축에서의 반력을 지지하는 중요 부분으로서 차량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하중 등에 의해 생기는 굽힘, 비틀림, 텐션,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경량이 요구된다.
한편, 승용차 등에 있어서는 프레임과 바디가 구분되어 있는 관계로 프레임과 바디의 연결에 있어 노면으로부터 프레임에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의 바디전달을 차단하고, 두 강체의 직접체결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매개체로서 완충재인 바디 마운트 브라켓이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바디 마운트 브라켓이 장착된 차량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차량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1)를 따라 형성된 메인 프레임(2)과 리어 범퍼(3) 사이에 연결용 브라켓(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2)의 일 측에는 바디 마운트 브라켓(5)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디 마운트 브라켓(5)은 완충재 역할을 하며, 차량 프레임의 진동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프링 특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도 1의 확대 도면에 도시된 “ㄱ”형상의 연결용 브라켓(4)은 메인 프레임(2)과 리어 범퍼(3) 간의 결합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2)과 리어 범퍼(3)의 연결 강성이 우수해야 메인 프레임 전체의 글로벌 동강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 마운트 브라켓(5)의 동강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근본은 메인 프레임(2)과 리어 범퍼(3)의 연결 강성이고, 이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주는 부재가 "ㄱ" 형상의 연결용 브라켓(4)이다.
또한, 상기 바디 마운트 브라켓(5)은 프레임 차량의 가장 후방의 끝에 위치 하는 부재로써 실제 차량에서 샤시계 진동을 차체에 전달하는 경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바디 마운트 브라켓(5)의 강성이 강할수록 샤시계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서, 바디 마운트 브라켓(5)을 향상시키는 방법 대신에 부시(BUSH)의 특성을 약하게 하여 진동 전달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데 그 중 하나는 실제 차량의 자세 제어 및 승차감에 악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리어 범퍼의 연결과 함께 바디 마운트 브라켓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조립성 개선과 차량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11)를 따라 형성된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연결용 브라켓(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일 측에는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브라켓(14)이 “ㄷ”형상 구조로 형성되어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범퍼의 연결과 함께 바디 마운트 브라켓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조립성 개선과 차량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응답 속도 실험 데이터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차량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11)를 따라 형성된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연결용 브라켓(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일 측에는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은 프레임 차량에서 차체와 프레임을 연 결하는 프레임 부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은 프레임의 강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도 2의 확대 도면과 같이 상기 리어 범퍼(13)의 연결용 브라켓(14)은 기존의 “ㄱ”의 형상에서 “ㄷ”의 형상 구조 즉, 리어 범퍼(13)에 부착될 부분의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변경함으로써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 범퍼(13) 연결과 함께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조립성 개선과 차량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중앙부에서 하중 1 kgf 크기로 전주파수 영역을 가진한 경우, 속도 응답에 대한 그래프로서 가해진 부위의 공진주파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성능향상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고유주파수가 600Hz에서 660Hz로 증대되었다. 그리고, 450Hz 이상의 영역에서 속도 응답 크기가 종래 기술에 비해 저감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유주파수 향상은 실차에서 진동에 의한 승객의 불쾌감은 줄일 수 있다. 이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진동에 의한 영향보다는 공기 중의 소음의 영향도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주파수는 높으면 높을수록 유리하며, 응답 또한 낮을수록 승차감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디 마운트 브라켓이 장착된 차량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응답 속도 실험 데이터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사이드멤버 12: 메인 프레임
13: 리어 범퍼 14: 연결용 브라켓
15: 바디 마운트 브라켓

Claims (1)

  1. 차량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11)를 따라 형성된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연결용 브라켓(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일 측에는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리어 범퍼(13)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브라켓(14)이 “ㄷ”의 형상 구조로 형성되어 바디 마운트 브라켓(15)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KR1020070118620A 2007-11-20 2007-11-20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KR10088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20A KR100883728B1 (ko) 2007-11-20 2007-11-20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20A KR100883728B1 (ko) 2007-11-20 2007-11-20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728B1 true KR100883728B1 (ko) 2009-02-12

Family

ID=4068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620A KR100883728B1 (ko) 2007-11-20 2007-11-20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0U (ko) 2017-10-25 2019-05-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569A (ko) * 1995-03-22 1996-10-22 가와모또 노부히꼬 흡착식 벽면 보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569A (ko) * 1995-03-22 1996-10-22 가와모또 노부히꼬 흡착식 벽면 보행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6-0033569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0U (ko) 2017-10-25 2019-05-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3285A1 (en) Vehicle Wheel Suspension of Control Blade Design
KR20090035148A (ko) 소형 프레임 차량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WO2019082829A1 (ja) 作業車
KR100883728B1 (ko) 프레임 차량의 바디 마운트 연결용 브라켓 구조
JP2012051431A (ja) パワートレインの支持装置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US20130341881A1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installing shock absorber
CN211082051U (zh) 发动机空调压缩机的支架结构
KR10064396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JP2021160513A (ja) キャブ支持体
CN201187194Y (zh) 解放长头车柔性发动机罩锁
KR100633325B1 (ko) 트럭의 캐빈 마운팅 보강구조
KR100844756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의 마운팅 구조
KR20020088917A (ko) 차량의 바디마운트
JP2005170270A (ja) 車両の車体構造
CN110978924A (zh) 车辆的悬架摆臂和车辆
KR20100054535A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20020078282A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JPH11263109A (ja) 車両懸架装置
CN204659386U (zh) 一种横向稳定杆用稳定杆衬套
KR100292869B1 (ko) 유선형을 갖는 차량의 프레임 구조
JP2022103639A (ja) 車体構造および車両
KR100373269B1 (ko) 차체의 마운팅러버
KR100793902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906674B1 (ko) 차량용 쇽업쇼버 마운팅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