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89B1 - 의자의 등받이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89B1
KR100883189B1 KR1020070073633A KR20070073633A KR100883189B1 KR 100883189 B1 KR100883189 B1 KR 100883189B1 KR 1020070073633 A KR1020070073633 A KR 1020070073633A KR 20070073633 A KR20070073633 A KR 20070073633A KR 100883189 B1 KR100883189 B1 KR 10088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back sheet
backrest
ro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658A (ko
Inventor
켄 나카야마
히사토 후지타
히로시 마스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8000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의자의 등받이 장치에서, 백 프레임(10)은 백 시트 부재(12)로 덮여 있다. 백 시트 부재(12)는 제조 비용을 낮추고 상기 백 시트 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단순화 되어 있다. 상기 백 시트 부재(12)는 하위단에서 개방되는 백(bag)처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백 프레임(10)은 상기 하위단을 제외한 상기 백 시트 부재(12)로 덮여 있고, 상기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상기 백 프레임(10)의 결합 지지체(31)에 결합하는 유지 부재(34)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백 프레임, 백 시트 부재, 결합 지지체, 유지 부재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 장치{A BACKREST DEVICE IN A CHAIR}
본 발명은 중간부에 개구부를 가진 백 프레임이 상기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백 시트 부재로 덮여 있는 의자의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JP2003-135200A에서,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의자의 등받이에 탄성 백 시트 부재가 펴져 있고, 백 프레임은 좌 사이드 로드, 우 사이드 로드 및 상기 좌우 사이드 로드의 상위단을 서로 연결하는 래터럴 로드를 포함한다. 하위 로드는 상기 사이드 로드를 결합하는 홀(holes) 및 슬릿(slit)을 가진다. 상기 백 시트 부재는 상기 상위 가장자리와 좌우 사이드 가장자리에 관상부(tubular portions)를 포함한다.
상기 백 시트 부재의 하위단(at the lower end)에는, 상기 하위 로드의 슬릿에 넣어지는 관상 장착부(tubular mounting portion)가 있으며 상기 백 시트 부재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서는, 등받이용 프레임은 백 프레임과 하위 로드를 포함하고, 백 시트 부재는 상위 관상부, 좌 관상부, 우 관상부 및 하위단에 상기 관상 장착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백 시트 부재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며 상기 백 프레임과 하위 로드에 백 시트 부재를 장착할 때 문제를 일으킨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백 프레임을 백 시트 부재로 덮는 의자에서, 백 시트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백 시트 부재의 구조를 보다 간이하게 하는 등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등받이 장치에 따르면, 백 프레임을 덮는 백 시트 부재는 제조 비용을 낮추고, 상기 백 시트 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단순화 될 수 있다.
도 1에서, 의자는 레그(2)에 결합된 지주(strut)(4) 위의 시트(5) 및 상기 시트(5)의 배면단(rear end)에 있는 등받이(6)를 포함한다. 등받이(6)는 백 프레임(6), 백 로드(back rods)(11) 및 백 시트 부재(12)를 포함한다. 백 로드(11)를 장착부(7)에 장착함으로써, 등받이(6)는 시트(5)에 고정된다. 등받이(6)는 앞뒤로 또는 상하로 움직이도록 조정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본 실시예의 의자(1)는 성장하는 어린이를 위해 사용된다. 등받이(6)는 앉아 있는 사람의 몸무게만큼 시트(5)가 후방으로 유연하게 움직인다. 등받이(6)는 시트(5)에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등받이(6)의 위치가 앉아 있는 사람의 형상에 맞추어 조정되도록 앞뒤로 또는 위아래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지주(4)의 하위단(lower end)은 지주(4)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레그(2)의 상위단에 결합되어 있다. 레그(2)의 하위단에서, 의자(1)가 마루 표면 위에서 이동하도록 다리 바퀴(3)가 회전한다. 등받이(6)에 고정된 시트(5)는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주(4)의 축을 중심으로 중추적으로(pivotally) 장착되어 있다.
지주(4)는 후술되는 등받이(6)의 슬라이딩과는 무관하게 지주(4) 위의 시트(5)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신축 자재식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6)의 슬라이딩과 지주(4)의 상하 이동은 각각 어린이의 성장에 맞추어 시트(5)의 높이와 등받이(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등받이(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등받이(6)는, 상위 로드(10a), 좌우 로드(10b, 10b), 하위 로드(10c) 및 중간 개구부 K를 포함하는 백 프레임(10); 도 1의 백 프레임(10)의 개구부 K를 폐쇄하는 백 시트 부재(12); 및 하위 로드(10c)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시트(5)의 장착부(7)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백 로드(back rods)(11)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백 프레임(10)의 좌우 로드(10b, 10b) 각각의 중간부에 곡선부(10d)가 제공되어 이 곡선부(10d)의 절반의 상부가 후방으로 유연하게 휘어 질 수 있다. 백 로드(11)는 유연성 있는 재료로서의 플라스틱으로 백 프레임(10)과 함께 주조되어 하위 로드(10c)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
백 프레임(10)의 좌우 사이드 로드(10b)는 하위 로드(10c)로부터 상위 로드(10a) 쪽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되어 있다. 하위 로드(10c) 및 상기 하위 로드(10c) 근처의 좌우 로드(10b)의 부분은 상위 로드(10a) 및 상기 상위 로드(10a) 근처의 좌우 로드(10b)의 부분들보다 두껍다. 상기 곡선부(10d)로부터 하위 로드(10c) 쪽으로 갈수록 그리고 하위 로드로부터 상위 로드(10a) 쪽으로 갈수록 강도가 더 높다. 앉아 있는 사람의 몸무게가 등받이(6)에 가해지면, 상위 로드(10a) 및 좌우 로드(10b)의 상위 부분은 쿠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유연해지는 반면, 하위 로드(10c) 및 좌우 로드(10b)의 하위 부분은 유연해지도록 되어 있지 않다. 특히, 하위 로드(10c)를 백 로드(11)에 연결시키는 부분은 등받이(6)에서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있지만 단단히 만들어질 수 있다.
백 로드(11)는 백 프레임(10)의 하위 로드(10c)로부터 경사진 경사부(11a); 마루에 대해 45도 미만의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약 24도로 경사져 있고 상기 경사부(11a)보다 완만한 연장부(11b)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1b)는 상기 소정의 각도로 슬라이드되어 등받이(6)가 전후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도 3의 부분적 확대도와 관련해서, 장착부(7)에 백 로드(11)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백 로드(11)의 연장부(11b)의 대향 표면 위에는, 결합 돌출부(engagement projection)(15)가 상기 연장부(11b)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다. 복수의 결합 홈(16)이 상기 결합 돌출부(15)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 기 결합 홈들(16)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 돌출부(15)를 측면에서 볼 때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
한편, 장착부(7)는 시트(5)의 하위 표면에 고정된 베이스(20); 상기 시트(5)의 하위 표면과 베이스(20) 사이의 결합 부재(21); 및 결합 부재(21)를 위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가동 부재(operating member)(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0)는 좌우 연장부(11b 및 11b) 사이에 고정된 박스와 같다. 상기 베이스(20)의 좌우측에서, 결합 돌출부들(15)이 홈들(23)에 고정된다.
가동 부재(22)는 결합 부재(21)의 암나삿니(female thread)에 결합되는 숫나삿니(male thread)(28); 및 암나삿니(28)의 하위단에 있는 손잡이(29)를 포함한다. 손잡이(29)를 돌리면 결합 부재(21)를 베이스(20)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손잡이(29)는 도 2에서 시트(5)의 아래에 돌출되어 있다.
사람이 등받이(6)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29)를 돌려 결합 부재(21)가 위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합 돌기(26)는 결합 홈(16)으로부터 분리되어 결합 돌출부(15)가 홈(23)에 슬라이딩된다. 이 상황에서, 사람은 등받이(6)를 움켜 잡고 앞뒤로 또는 위아래로 움직이게 해서 등받이(6)를 사람의 형상에 맞출 수 있다.
등받이(6)를 맞추기 위해, 손잡이(29)를 돌려 결합 부재(21)를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26)는 결합 홈(16)에 결합되어 결합 돌출부(15)가 슬라이딩하지 않으면서 홈(23)에 고정될 수 있다.
백 시트 부재(12)를 백 프레임(10)에 장착하는 구조를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서술한다. 백 시트 부재(12)는 직물형 천으로 만들어진 백(bag)이며 백 프레임(10)에 형상이 상응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서, 백 시트 부재(12)는 하위단에서 열리며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부착부(12a)를 가진다. 상기 부착부(12a)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하위 로드(10c)보다 좁고, 상기 하위 가장자리(12b)에 플레이트(30)가 꿰매어 있다.
하위 로드(10c)는 결합 지지체(31)를 가진다. 상기 결합 지지체(31)의 하부(31a)에, 결합 부재로서의 볼트(32)가 위로 넣어지는 관통공(through-hole)(33)이 있다. 상기 관통공(33)은 하위 로드(10c)의 접속부와 백 로드(11)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백 시트 부재(12)에 유지 부재(34)가 장착되어 하위 로드(10c)의 결합 지지체(31)에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유지 부재(34)의 하위단은 결합 지지체(31)의 하부(31a)에 대응한다. 또한, 유지 부재(34)의 하위단(34a)에는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로서의 너트(36)가 너트 홈(37)에 결합된다.
도 7에서, 유지 부재(34)의 후면단(rear end)에서, 유지 홈(38)이 유지 부재(34)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여 플레이트(30)가 장착되어 있는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를 유지한다. 유지 부재(34)의 돌출부(39)는 유지 홈(38)에 대향한다.
다음, 백 시트 부재(12)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도 5에서, 백 프레임(10)은 백 시트 부재(12)로 덮여 있다. 백 프레임(10)의 개구부 K의 대부분은 폐쇄되어 있다.
백 시트 부재(12)의 신축가공부(stretched part)(12a)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도 6의 플레이트(30)에 의해 유지 부재(34)의 유지 홈(38)에 유지된다. 신축가공부(12a)는 유지 부재(34)의 돌출부(39)에 감겨진다.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가 유지 부재(34)에 의해 유지되는 도 7에서, 유지 부재(34)는 하위 로드(10c)의 결합 지지체(31)에 결합된다. 유지 부재(34)의 너트 홈(37) 내의 너트(36)에, 볼트(32)의 상위 가장자리가 결합된다.
백 시트 부재(12)는 백 프레임(10)보다 짧다. 유지 부재(34)가 아래로 뻗어질 수 있도록 볼트(32)를 조인다. 백 시트 부재(12)는 볼트(32)의 조이는 힘에 의한 신장력(tension)으로 백 프레임(10)에 씌여진다.
본 실시예의 의자(1)의 등받이(6)에서는, 백 시트 부재(12)를 하위단에서 열리는 백(bag)으로 만들었고, 백 프레임(10)을 하위단을 제외하고 상기 백 시트 부재(12)로 덮고, 상기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유지 부재(34)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유지 부재(34)는 백 프레임(12)의 하위단에서 결합 지지체(31)에 결합된다. 상기 백 시트 부재(12)는 백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백 시트 부재(12)의 제조 비용을 낮추고, 백 시트 부재(12)가 용이하게 백 프레임의 더 큰 부분에 씌어지며,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유지 부재(34)에 의해 결합 지지체(31)에 결합되어 용이하게 백 시트 부재(1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지 부재(34)는 볼트(32)로 유지 지지체(31)에 고정되는 반면 백 시트 부재(12)는 볼트(32)의 조이는 힘에 의해 뻗어지며 상기 볼트(32)에 의해 유지 부 재(38)는 백 시트 프레임(10)의 하위단에서 결합 지지체(31)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백 시트 부재(12)가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 시트 부재(12)의 접힌 하위 가장자리(12b)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부재(34)에 유지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접힌 백 시트 부재(12)는 유지 부재(34)에 유지되고 이에 따라 백 시트 부재(12)에 신장력이 가해진다. 백 시트 부재(12)에 작용하는 앉는 사람의 몸무게는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가 유지 홈(38)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플레이트(30)가 부착되어 있는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유지 부재(38)에 유지된다.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는 유지 홈(38)에서 플레이트(30)에 의해 유지되고 이에 의해 백 시트 부재(12)는 더 용이하게 유지 부재(34)에 유지되고 또한 백 시트 부재(12)의 하위 가장자리(12b)가 유지 홈(38)으로부터 더욱 분리되지 않게 된다.
백 시트 부재(12)는 프론트 백 프레임(front back frame)(10)보다 짧기 때문에 유지 부재(34)가 유지 지지체(31)에 유지될 때 백 시트 부재(12)는 뻗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백 시트 부재(12)에 신장력을 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볼트(32)가 조여지는 관통공(33)은 하위 로드(10c)가 백 로드(11)에 결합되어 있는 위치의 근처에 형성되어, 유지 부재(34)가 좌우 백 로드(11)를 서로 결합시키는 보강재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하위 로드(10c)와 유지 부재(34)를 통해 서로 결합된 좌우 백 로드(11, 11)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백(bag) 모양의 백 시트 부재(12)가 백 프레임(10)에 씌어질 때, 백 프레 임(10)의 개구 K는 이중 직물 천에 의해 폐쇄되어 약하고 저렴한 직물 천이라도 백 시트 부재(1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하위 로드(10) 및 백 시트 부재(12)의 신축가공부(12a)에서 앞으로 그리고 위로 개방되는 결합 지지체(31)는 유지 부재(34)의 돌출부(39)에 감겨진다. 그러므로 의자를 뒤에서 보면, 유지 부재(34)와 하위 로드(10c) 사이의 경계가 백 시트 부재(12)에 의해 감춰지고 이에 따라 의자(1)의 외관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하였으나 상세한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의 범위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형 및 부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에 대한 등받이 구조의 실시예는 성장하는 어린이용 의자에만 적용되지만, 백 모양의 백 시트 부재(12)가 등받이(6)용 백 프레임(10)에 장착되는 한, 성인용 사무실 의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장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장착부와 백 로드를 보이는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등받이가 하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의자의 수직 부분도이다.
도 4는 등받이가 상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의자의 수직 부분도이다.
도 5는 백 시트 부재를 백 프레임에 어떻게 장착하는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백 시트 부재를 유지 부재에 장착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사도이다.
도 7은 유지 부재를 보이는 수직 부분도이다.

Claims (5)

  1. 중간 개구부(middle opening)를 가진 백 프레임(back frame)을 백 시트 부재(back sheet member)로 덮어 상기 백 프레임의 중간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의자의 등받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 시트 부재는 하위단에서 개방되는 백(bag)을 포함하고, 상기 백 프레임은 하위단(lower end)을 제외하고 상기 백 시트 부재로 덮여 있고, 상기 백 시트 부재의 하위 가장자리는 유지 부재(holding member)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백 프레임의 하위 부분에서, 위로 개방되는 결합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볼트에 의해 상기 결합 지지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백 시트 부재의 접힌 하위 가장자리를 유지하는 유지 홈(holding groov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 시트 부재의 하위 가장자리에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 시트 부재는 상기 백 프레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장치.
KR1020070073633A 2006-07-24 2007-07-23 의자의 등받이 장치 KR100883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1103A JP5031288B2 (ja) 2006-07-24 2006-07-24 椅子の背凭れ装置
JPJP-P-2006-00201103 2006-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58A KR20080009658A (ko) 2008-01-29
KR100883189B1 true KR100883189B1 (ko) 2009-02-12

Family

ID=3902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633A KR100883189B1 (ko) 2006-07-24 2007-07-23 의자의 등받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31288B2 (ko)
KR (1) KR100883189B1 (ko)
CN (1) CN101112275B (ko)
TW (1) TWI3144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501B1 (ko) 2015-12-04 2017-06-05 주식회사 한성교구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9643B2 (ja) * 2008-03-19 2014-01-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劇場椅子
JP5606717B2 (ja) * 2009-10-19 2014-10-1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背凭れ
JP5524564B2 (ja) * 2009-10-19 2014-06-1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背凭れ
US8534752B2 (en) 2010-06-02 2013-09-17 Steelcase Inc. Reconfigurable table assemblies
US9185974B2 (en) 2010-06-02 2015-11-17 Steelcase Inc. Frame type workstation configurations
TW201204292A (en) 2010-07-30 2012-02-01 guo-xiong Lin Office chair with hidden switch
CN101926568A (zh) * 2010-09-02 2010-12-29 苏州星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可调靠背的椅子
JP5905708B2 (ja) * 2011-11-04 2016-04-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張材の張設方法および張材の張設構造
US10039374B2 (en) 2016-05-13 2018-08-07 Steelcase Inc. Multi-tiered workstation assembly
US10517392B2 (en) 2016-05-13 2019-12-31 Steelcase Inc. Multi-tiered workstation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646A (en) 1997-12-10 2000-04-18 Sedus Stoll Ag Backrest
JP2004049719A (ja) 2002-07-23 2004-02-19 Okamura Corp 椅子の背凭れ装置
JP2006122399A (ja) 2004-10-29 2006-05-18 Itoki Corp 身体支持装置
US7055911B2 (en) 2003-05-08 2006-06-06 Haworth, Inc. Mesh chai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346B2 (ja) * 2003-12-10 2011-03-02 株式会社内田洋行 椅子の布張り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646A (en) 1997-12-10 2000-04-18 Sedus Stoll Ag Backrest
JP2004049719A (ja) 2002-07-23 2004-02-19 Okamura Corp 椅子の背凭れ装置
US7055911B2 (en) 2003-05-08 2006-06-06 Haworth, Inc. Mesh chair
JP2006122399A (ja) 2004-10-29 2006-05-18 Itoki Corp 身体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501B1 (ko) 2015-12-04 2017-06-05 주식회사 한성교구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31288B2 (ja) 2012-09-19
JP2008023195A (ja) 2008-02-07
TW200819089A (en) 2008-05-01
CN101112275A (zh) 2008-01-30
KR20080009658A (ko) 2008-01-29
CN101112275B (zh) 2010-06-02
TWI314444B (en)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189B1 (ko) 의자의 등받이 장치
US11464341B2 (en)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CA2125642C (en) Tubular frame seating structure with tension sleeve
US7748783B2 (en) Backrest for chair
JP4828530B2 (ja) オフィス用椅子
US6702378B2 (en) Lift chair skirt
KR101052239B1 (ko) 해먹형 유모차
KR101792119B1 (ko) 증강된 탄성력을 가지는 메쉬형 의자 좌판
JP5484873B2 (ja) 張地の角部あるいは端部の固定構造
CN206384017U (zh) 靠背调节装置及靠背可调节的座椅
US20190125084A1 (en) Convertible chair canopy
JP2727045B2 (ja) 椅 子
JP4486465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JP4063043B2 (ja) 椅子
JP4103541B2 (ja) 椅子
JPH0773553B2 (ja) 椅 子
JP4036253B2 (ja) 折り畳みいす
JP6960824B2 (ja) 椅子
JP2022065078A (ja) 椅子
JP5461857B2 (ja) 椅子
JP5378839B2 (ja) 椅子
JP4652761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WO2004086908A1 (ja) 折り畳み椅子
JP2010104833A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JP2002119361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