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42B1 -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42B1
KR100883142B1 KR1020080060672A KR20080060672A KR100883142B1 KR 100883142 B1 KR100883142 B1 KR 100883142B1 KR 1020080060672 A KR1020080060672 A KR 1020080060672A KR 20080060672 A KR20080060672 A KR 20080060672A KR 100883142 B1 KR100883142 B1 KR 10088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ipe
wall
build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태
Original Assignee
조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태 filed Critical 조정태
Priority to KR102008006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이 살아 있는 지하의 황토지반에서 인체에 유익한 지열 산소를 강제흡입수단을 통해 흡입하여 건축의 바닥과 벽체 또는 황토침대에 공급하여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실내의 환경개선과 이에 의한 인체의 건강촉진을 이루고, 지하에 매입된 황토가 지속적으로 살아 숨쉬어 황토층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증대를 이루게 하고, 간단한 시공으로 다양한 구조의 건축 및 침실에 적용하는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산소공급장치는 지하의 황토층(12)에 토양산소흡입관(10)을 매설하고, 흡입모우터(20)를 통하여 강제 흡입하고, 흡입된 유익산소를 건축바닥(80)과 벽체에서 산소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지하의 황토지반에 존재하는 오염되지 않은 유익산소를 강제 흡입하여 실내의 바닥과 벽체 또는 침대 매트리스와 침대벽체로 강제배출하여 유익한 산소을 통한 실내에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고 용이한 시공을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룬다.
유익산소, 흡입, 배출, 강제순환, 배출구, 건축바닥, 벽체, 침대, 매트리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OXYGEN SUPPLY SYSTEM FOR BAD AND CONSTRUCTION}
본 발명은 땅속의 지열 산소를 이용한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이 살아 있는 지하의 황토지반에서 흡수된 인체에 유익한 지열 산소를 강제 흡입수단을 통해 흡입하여 건축의 바닥과 벽체 또는 황토침대에 공급하여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실내의 환경개선과 이에 의한 인체의 건강촉진을 이루고, 지하에 존재하는 황토층의 유익한 지열산소를 외부로 배출하여서 황토가 지속적으로 살아 숨쉬어 황토층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증대를 이루게 하고, 간단한 시공으로 다양한 구조의 건축 및 침실에 적용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건축물의 구조는 일정한 간격배열로 수직기둥을 입설하고 그 수직기둥에는 층을 구별하는 구간마다 수평보를 그물망 형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그 수평보에 파형의 금속판 슬리브를 설치하고 슬리브의 표면에는 철망과 함께 시멘트몰탈을 충진하여 경화되면 각종 전기배선이나 전화선 및 상,하수배수관 등을 매입할 수 있는 파이프를 설치하고 다시 시멘트몰탈을 충진하여 경화되면 마무리 단계인 별도의 바닥재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구조물 구조의 시공은 그 작업공간의 충분한 확보와 양호한 작업 조건에 따라 시공상 별반 어려움이 없으나, 실내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증대하거나 보조적인 공급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있어서 별도의 공기청정기나 기타 산소공급 장비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게 되는 사용의 불편함과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산소는 상온 상압에서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이다. 이러한 산소는 생명을 연장함에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인체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예를 들면, 인간의 뇌는 약 145억 개의 뇌세포로 구성되며, 뇌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항상 다량의 산소가 필요하다. 뇌세포에 다량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뇌로 유입되는 혈액의 량은 대략 1일에 2000리터 정도가 알려져 있다. 뇌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부족되면 뇌의 기능에 증대한 장해가 발생되고, 30초간 지속되면 뇌세포가 파괴되기 시작하며 2~3분이 지나면 재생불능의 상태가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인체의 모든 세포가 각각의 기능을 완수하기 위한 에어지원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산소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때 노폐물로 탄산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탄산가스가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면 뇌, 심장, 장기 등의 움직임이 둔화되어 피로가 누적되고 활력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된다.
한편,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인류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주거하게 되었으며, 도시에 주거하는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의 매연, 공장으로부터의 연기 등에 의해 심각한 공기의 오염을 경험하고 있고 일부는 산소결핍에 기인한 만성 피로 등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휴식 또는 수면시 인체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산소 공급용 침대가,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5-16501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5284호에 “산소침대”및 “산소공급침대”로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산소 공급용 침대에 있어서는, 산소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칸막이”등을 마련하도록 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등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3380호에 개시된 산소 공급형 매트리스에 있어서도 매트리스 내에 산소공급공과 상호 연통되게 산소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산소탱크의 산소를 공급하여 휴식 또는 수면시 인체에 근접거리에서 전면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매트리스의 산소공급공으로 유입되는 산소가 별도의 충진된 산소탱크를 사용하게 되므로 수시로 산소탱크를 교환하게 되는 불편하고 비경제적인 사용이 되고, 산소탱크에 충진된 산소 역시 인체에 유익하고 건강촉진을 위하여 미생물이 살아있는 청정한 산소량이 부족하게 되어 그 효과가 크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의 벽체나 바닥면 또는 침대에 미생물이 살아 있는 황토에서 흡수된 인체에 유익한 지열 산소를 공급하여 휴식 또는 수면중에 쾌적하고 유익한 산소를 호흡계 및 피부를 통해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고, 별도의 점유 공간이 필요치 않아 실내의 환경개선과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산소나 생성산소가 모우터의 강제 흡입력으로 배관을 통하여 실내의 건축물 바닥이나 벽체 및 침대 등에 산소를 배출하는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지하의 지열산소가 함유된 황토층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통기공으로 지열산소를 유인하여 황토의 생존력을 증대하는 토양산소흡입관과; 상기 토양산소흡입관과 연결되어 지하의 황토층에서 흡입된 유익산소가 흡입모우터로 강제 이송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유익산소의 수분을 여과하는 필터관과; 상기 필터관과 연결되어 건축바닥 내에 설치되고 산소로 분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공을 형성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어 건축물 벽체에 내장설치되어 유익된 유익산소를 벽체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지하의 황토층에 분포된 미생물로 인하여 오염되지 않은 산소를 흡입하여 실내에 배풍하여 줌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산소를 흡입하여 건강촉진을 이루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단층건축물과 다층구조의 건축물은 물론 침대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시공의 간소화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하의 황토지반에 존재하는 오염되지 않은 산소를 강제 흡입하여 실내의 바닥과 벽체 또는 침대 매트리스와 침대벽체로 강제배출하여 유익한 산소를 휴식 중이나 수면시에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건강증대를 이 루게 하고 취약한 장기 또는 장부의 활성력을 부여하여 건강촉진을 이루게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단층 및 다층구조의 각 세대별과 침대 등에 간편하고 용이한 시공을 이루어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시공을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소공급기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산소공급기가 설치된 건축물 바닥과 벽체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82)이나 벽체(84)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기(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소공급기(100)는 황토로부터 산소를 유인하는 토양산소흡입구(10)가 흡입모우터(20)에 연결되고, 흡입모우터(20)는 상기 건축물바닥(80)에 배치된 순환관(30)으로 흡입된 산소를 배출하고 있다. 그리고, 순환관(30)은 상기 건축물 벽체(82)에 배치된 토출관(40)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있다.
상기 토양산소흡입관(10)은 지하층에 분포되어 있으며 황토층(12)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연은 다수개의 통기공(14)이 산소 흡입 가능하게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흡입모우터(20)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모우터(20)와 토양산소흡입관(10)의 연결부 근접영역에는 냉산소가 흡입될 경우 냉습으로 인한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적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히터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모우터(20)는 상기 토양산소흡입관(10)으로 산소를 흡입하는 흡입기능과 흡입된 산소를 배출하는 배출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배출기능은 필터관(22)과 연결되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터관(22)은 흡입된 산소중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는 여과포(24)를 관로상에 배치하고 있으며 순환관(3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순환관(30)은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관통된 다수개의 배출공(32)이 형성되고 건축물바닥(80) 내에 설치되어 흡입 순환되고 있는 산소를 분출하고 있다.
여기서 필터관(22)과 순환관(30) 사이에는 향보관함(52)을 배치하여 순환관(30)과 토출관(40)으로 공급하는 산소에 향이 발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관(40)은 순환관(30)과 연결되어 있으며 건축물 벽체(82)에 내장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다층구조 건축물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토출관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과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순환관(30)과 토출관(40)은 적어도 다층구조 건축바닥면(84)과 벽체(86)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층구조의 건축물 주벽(90)에 매몰되며 유도관(60)과 다수개의 세대별 분기가능한 분기튜브(62)가 내장된 공기순환관(64)에서 분기된 분기튜브(6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층구조의 건축물의 각 세대별 벽체(86)에 설치되는 토출관(42)은 외경이 다공망(44)을 가지며 지그재그로 배열되고 각각의 수평부(46a)와 수직부(46b)가 만나는 어느 한 영역별로 입자가 각기 다른 황토체(48a)(48b)(48c)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침대 구조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침대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양산소흡입관(10)으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배출하는 순환관(30)과, 토출관(40)은 침대 매트리스(70)와 침대 벽체(72)에 각각 설치되어 유익산소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건축바닥면(80)(84)이나 침대 매트리스(70) 내에 배치되는 순환관(30)은 온수파이프(92)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침대매트리스(70)는 통상적인 매트리스에 적용되거나 쿠션매트(71) 하단에 외장이 망사매트(76)로 이루어지고 이 망사매트(76)에 상부로부터 황토미장층(77)과, 수맥메탈라스(78)와, 황토층(7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장되어 있다.
상기 황토층(79)에는 상부에 온수파이프(92) 라인이 형성되고 이 온수파이프(92) 하단에는 순환관(30)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일 실시에 의한 순환관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순환관(30)를 건축바닥(80)(84)과 매트리스(70)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고 수직과 수평이 만나는 근접영역에 입자가 각기 다른 황토 체(48a)(48b)(48c)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지하의 황토층(12)으로 이루어진 지반에서 배출되는 황토 속에 존재하는 오염되지 않은 산소를 토양산소흡입관(10)으로 유인하여 외기 방출하여 실내에서 양질의 산소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체의 건강증대를 이루게 하면서 실내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황토층(12)에서 배출되는 미생물이 살아있는 유익한 산소를 흡입하기 위하여 흡입모우터(20)를 가동하면 토양산소흡입관(10)의 다수개 공기공(14)으로 유입되고 계속적으로 유입된 산소는 흡입모우터(20)와 연결되어 있는 향보관함(52)을 통하여 순환관(30)으로 이동된다.
이때 흡입모우터(20)와 연결되는 토양산소흡입관(10)에 설치되는 히터장치(16)에 의하여 토양산소흡입관(10)을 통하여 흡입되는 산소중 차가운 공기는 데워져 결로현상 없이 안전하게 유입되게 한다.
또한 흡입모우터(20)와 연결되는 필터관(22)의 필터에 의하여 유입되는 산소중 이물질이나 오염된 공기는 여과되어 청정한 맑고 유익한 산소만을 순환관(30)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관(22)과 순환관(30) 사이에는 향보관함(52)을 배치하여 자연향을 공기와 함께 순환관(30)과 토출관(40)으로 배출함으로써 휴식이나 수면시에 호흡하는 사람에게 쾌적하고 좋은 인식을 일으키게 하여 편안한 상태를 이루면서 건강증대를 이루게 한다.
이렇게 양질의 산소를 배출하는 순환관(30)은 건축바닥(80)에 매설하여 바닥 층에서 양질의 산소가 순환관(30)의 배출공(32)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순환관(30)과 연결되어 건축물 벽체(82)에 매설되어 있는 토출관(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 전체에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향상 쾌적한 상태로 양질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어 실내공기가 맑고 쾌청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산소공급기(100)를 다층구조에 설치하여 각층별 실내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의 주벽(90)에 공기순환관(64)를 매몰하고 이 공기순환관(64)에 다수개의 세대별 분기하는 분기튜브(62)와 이 분기 튜브(62) 내에 유도관(60)를 내장하여 기본적으로 유도관(60)과 분기튜브(62)로 유익한 산소를 공급하면서 다층구조의 개별세대별로 분기튜브(62)를 분기하여 각층 세대별로 설치되어 있는 순환관(30)과 토출관(40)에 산소공급을 이루게 하므로 상기에서와 같은 단층구조의 산소공급과 같은 작용을 이루게 하여 실내환경개선 및 흡입에 따른 건강증대를 이루게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모우터(20)를 각 세대별로 분기튜브(62)와 순환관(30) 사이에 설치하면 흡입력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세대별 산소공급이 양호해질 것이다.
한편,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산소공급기(100)를 침대 매트리스(70)와 침대 벽체(72)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매트리스(70) 및 침대 주변에 유익한 산소를 배출하여 침실에서도 더욱 효과적인 산소호흡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침대매트리스(70)는 통상적인 매트리스에 적용되거나 쿠션매트(71) 하단에 외장이 망사매트(76)로 이루어지고 이 망사매트(76)에 상부로부터 황토미장층(77)과, 수맥메탈라스(78)와, 황토층(79)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장되는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수맥매탈라스(78)를 통하여 수맥파를 차단하여 수맥파에 의한 인체의 치명적 손상으로 부터 휴식 또는 수면상태에서 인체를 보호하게 되고, 황토미장층(77)과 황토층(79)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하여 인체건강에 도움을 주게 되므로 노약자나 병자의 치료효과를 증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건축바닥(80)(84)와 매트리스(70)에 마련하고 있는 상기 황토층(79) 에는 온수파이프(92) 라인이 형성되고 이 온수파이프(92) 하단에는 순환관(30) 라인이 형성되어 있어서 겨울철에는 유류나 전기보일러가동에 의한 온수 공급으로 따뜻한 바닥면을 제공하게 되므로 온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다층구조의 건축물의 각 세대별 벽체(86)에 설치되는 토출관(42)은 외경이 다공망(44)을 가지며 지그재그로 배열되고 각각의 수평부(46a)와 수직부(46b)가 만나는 어느 한 영역별로 입자가 각기 다른 황토체(48a)(48b)(48c)를 배치하여서 유입되는 유익한 산소가 하단에서부터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하고 이때 하단으로부터 습도조절재(26)에서 습도조절된 후 상부로 진입하면서 입자가 작은 황토체(48a)로 부터 중간 황토체(48b)와 그리고 입자가 큰 황토체(48c)를 경유하면서 원적외선을 유입함과 동시에 단계별로 순환속도를 지연하면서 배출을 이루게 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건축바닥(80)(84) 및 매트리스(70)에 설치되는 순환 관(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할 경우 상기 벽체(86)와 같은 효과를 얻어 유익한 산소의 배출을 경제적으로 이룸과 동시에 유익한 산소량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층에 존재하는 황토층(79)의 지열산소가 나와서 황토층(79)의 생존력이 강화되며, 지열산소가 유출된 황토층(79)의 미생물은 더욱 활성화 되고, 황토층(79)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익한 산소를 호흡하게 되면, 혈액순환촉진, 세포 생리작용, 림프선자극으로 체내 노폐물 및 독소제거효과를 이루게 되고, 황토의 원적외선 방출기능과 전자파 흡수차단기능으로, 생활 속 전자파로 인한 두통완화 및 가습기효과와 기관지염 천식증세 개선을 이루게 한다.
또한, 한지 장판 사용과 황토로 여름에 냉습도, 겨울에 온습도 조절로 냉난방 효율성 증대 및 라돈가스 제거효과는 물론 아토피 새집 증후군 탈피와 침대 내에 순환시스템에 불순물 산화 효과로 소취제 역할을 이루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진술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가능 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소공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산소공급기가 설치된 건축물 바닥과 벽체의 개략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다층구조 건축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침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침대 구조를 보안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토출관이 벽체에 설치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일 실시에 의한 순환관의 평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토양산소흡입관 12; 황토층
14; 통기공 20; 흡입모우터
22; 필터관 30; 순환관
32; 배출공 40,42; 토출관
44; 다공망 46a; 수평부
46b; 수직부 48a,48b,48c; 황토체
52; 황보관함 60; 유도관
62; 분기튜브 64; 공기순환관
70; 매트리스 70; 침대벽체
100; 산소공급기

Claims (6)

  1. 외부산소나 생성산소가 모우터의 강제 흡입력으로 배관을 통하여 실내의 건축물 바닥이나 벽체 및 침대 등에 산소를 배출하는 산소공급기(100)에 있어서,
    지하의 지열산소가 함유된 황토층(12)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통기공(14)으로 지열산소를 유인하여 황토의 생존력을 증대하는 토양산소흡입관(10)과;
    상기 토양산소흡입관(10)과 연결되어 지하의 황토층(12)에서 흡입된 유익산소가 흡입모우터(20)로 강제 이송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유익산소의 수분을 여과하는 필터관(22)과;
    상기 필터관(22)과 연결되어 건축바닥(80) 내에 설치되고 산소로 분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공(32)을 형성된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관(30)과 연결되어 건축물 벽체(82)에 내장설치되어 유익된 유익산소를 벽체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층구조 건축바닥면(84)과 벽체(86)에 배치되는 순환관(30)과 토출관(40)은, 다층구조의 건축물 주벽(90)에 다층간 매몰되는 유도관(60)과 다수개의 세대별 분기가능한 분기튜브(62)가 내장된 공기순환관(64)에서 분기된 분기튜브(6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의 건축물의 각 세대별 벽체(86)에 설치되는 토출관(42)은 각각의 수평부(46a)와 수직부(46b)가 만나는 어느 한 영역별로 입자가 각기 다른 황토체(48a)(48b)(48c)를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80060672A 2008-06-26 2008-06-26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KR10088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672A KR100883142B1 (ko) 2008-06-26 2008-06-26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672A KR100883142B1 (ko) 2008-06-26 2008-06-26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142B1 true KR100883142B1 (ko) 2009-02-10

Family

ID=4068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672A KR100883142B1 (ko) 2008-06-26 2008-06-26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61B1 (ko) 2011-05-09 2012-11-27 김주규 황토벽체조립용 패널
KR101411590B1 (ko) 2012-12-13 2014-06-25 강성모 생체 친화적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263A (ko) * 1998-02-18 1999-09-15 김해준 자연에너지의이용을극대화한토담목재주택의건축구조
KR20060024887A (ko) * 2004-09-15 2006-03-20 조치영 건물용 산소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263A (ko) * 1998-02-18 1999-09-15 김해준 자연에너지의이용을극대화한토담목재주택의건축구조
KR20060024887A (ko) * 2004-09-15 2006-03-20 조치영 건물용 산소공급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61B1 (ko) 2011-05-09 2012-11-27 김주규 황토벽체조립용 패널
KR101411590B1 (ko) 2012-12-13 2014-06-25 강성모 생체 친화적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2153A (zh) 保温式卫生护理床
KR100883142B1 (ko) 건축물 바닥과 벽체 및 침대의 산소공급장치
CN103615763A (zh) 增进空气质量的空气调节装置
KR20090069035A (ko) 공기정화기능을 가진 실내조경 시설물
KR100843048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가진 참숯흙침대
CA2029851C (en) Burial monument vault air circulation and filtration system
JPWO2015046474A1 (ja) 温泉ミスト吸引施設
JP2014058800A (ja) ホテル、旅館、又は自宅の建屋の構造と、そのベッドルームの構造
JP3132918U (ja) ボックス型岩盤浴室
CN203586412U (zh) 增进空气质量的空气调节装置
JP3959477B2 (ja) サウナ室
CN207144099U (zh) 一种水膜除臭防溅水蹲便器和坐便器
KR200418160Y1 (ko)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침대 매트리스
JP2002071186A (ja) 空気浄化式家屋
KR200252901Y1 (ko) 보일러 온수를 이용한 난방용 매트리스
KR200207209Y1 (ko) 숯,황토,소금 및 쑥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CN107676882A (zh) 一种净化空气循环垫
JP3117705U (ja) 加湿機能付枕シート
JP2006034746A (ja) 岩盤浴用床又は岩盤浴用ブロック及びそれらを組み込んだ浴槽、又は足浴用浴槽、又はカプセル、又はユニットバス、又はユニットハウス
KR200184328Y1 (ko)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JP2002035078A (ja) ラジウム放射線温浴施設
KR20010097939A (ko) 실내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장치
KR200266021Y1 (ko) 개인용수면캡슐
JP2005034611A (ja) 敷物システム
KR200372819Y1 (ko) 환자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